KR102153397B1 -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397B1
KR102153397B1 KR1020180100415A KR20180100415A KR102153397B1 KR 102153397 B1 KR102153397 B1 KR 102153397B1 KR 1020180100415 A KR1020180100415 A KR 1020180100415A KR 20180100415 A KR20180100415 A KR 20180100415A KR 102153397 B1 KR102153397 B1 KR 102153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bending strength
receiving space
bone plate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3914A (ko
Inventor
권용욱
유승진
강창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키
Priority to KR1020180100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3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3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23Variable length plates adjustable in both dire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해 규격이 작지 않고 동일한 규격을 갖도록 설계될 있게 됨에 따라,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측에 모두 수용되는 일반적인 구조에 비해 굽힘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대이동될 수 있게 하여 장골의 부러진 부위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는 효과와, 각 고정부재를 동일한 구조로 설계할 수 있어서 상대적으로 제작이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Medical bone plate enabling to improve bending strength}
본 발명은 장골의 2분할된 부분의 어느 일측(제1부위)을 다른 일측(제2부위)에 견고히 접합시키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고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절된 뼈 치료시 사용되는 IM-nail(110; intramedulary nail, 혹은 IM-rod)는,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뼈의 중심부인 골수강 내 배치되어서 골절된 뼈의 원활한 접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IM-nail(110)이 골수강 내에 배치되는 것과는 달리, 환자의 골절 상태에 따라 골절된 뼈의 외면에 결속되는 플레이트 타입(120)의 뼈 치료 유닛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두 가지 서로 다른 타입의 뼈 치료 유닛은, 서로 다른 특징이 있어서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필요에 따라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플레이트 타입의 뼈 치료 유닛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환자마다 뼈의 부러진 부위의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그 부러진 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에 플레이트 타입 뼈 치료 유닛을 원활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서로의 상대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 구현을 위해 일반적으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감싸도록 구성되는데, 이 경우 다른 하나의 내측에 삽입된 어느 하나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굽힘강도가 약해짐에 따라 요구되는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골의 2분할된 부분 중 어느 일측과 다른 일측에 대한 결합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어느 일측에 결합되는 요소의 굽힘강도가 다른 일측에 결합되는 요소에 비해 약해지지 않게 설계할 수 있게 하며, 상대적으로 제작이 용이한 의료용 뼈 플레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는, 장골의 2분할된 부분의 어느 일측(제1부위)을 다른 일측(제2부위)에 견고히 접합시키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장골의 제1부위의 외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부위에 대한 상대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제1결합공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대물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게 하는 수용공간과 그 수용공간과 외측을 소통시키는 소통슬릿을 구비하여서, 상기 상대물의 일부는 수용공간 측에 삽입되게 하고 나머지는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재와 연결되는 상대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장골의 제2부위의 외면에 고정되고, 복수의 제2결합공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제1고정부재의 일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삽입부와 반대측에 위치된 노출부 및 상기 삽입부와 노출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는, 각각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4면이 상기 삽입부, 노출부, 연결부 및 소통슬릿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서로 중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굽힙강도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해 약해지지 않음은 물론, 서로 중첩된 부분의 굽힙강도는 중첩되지 않는 부분보다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고정부재의 소통슬릿을 한정하는 일면에는 상기 소통슬릿의 폭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고정부재는, 상대물의 수용공간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하여 굽힘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상대물의 빈 공간에 채워지는 채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해 규격이 작지 않고 동일한 규격을 갖도록 설계될 있게 됨에 따라,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측에 모두 수용되는 일반적인 구조에 비해 굽힘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대이동될 수 있게 하여 장골의 부러진 부위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는 효과와, 각 고정부재를 동일한 구조로 설계할 수 있어서 상대적으로 제작이 용이한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굽힘강고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의 단면도.
도 7은 일반적인 의료용 뼈 치료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굽힘강고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Ⅳ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이하 '뼈 플레이트'라 함)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골의 2분할된 부분의 어느 일측(제1부위)을 다른 일측(제2부위)에 견고히 접합시키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제1고정부재(1)와 제2고정부재(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고정부재(1)는, 뼈의 넓은 범위에 걸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장골의 제1부위의 외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부위에 대한 상대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1결합공(11a)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대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되어 이??.
상기 제1고정부재(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용공간(12)을 가진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뼈 플레이트와 유사점이 있기는 하나, 일반적인 뼈 플레이트와는 달리 소통슬릿(1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통슬릿(12a)은, 도 2 및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재(1)의 내측에 해당하는 수용공간(12)과 그 제1고정부재(1)의 외측을 소통시킴으로써, 제1고정부재(1)에 연결되는 상대물의 일부는 수용공간(12) 측에 삽입되게 하고 나머지는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제1고정부재(1)는 상대물의 일부만을 내측에 수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대물의 전부가 내측에 수용되는 구조에 비해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상기 제1고정부재(1)에 소통슬릿(12a)이 형성되지 있지 않고 수용공간(12)만을 가지는 비교 실시예에 의하면, 제1고정부재(1)의 수용공간(12)에 상대물이 모두 수용되는 구조이거나 제1고정부재(1)를 상대물이 감싸는 구조인 경우에 제1고정부재(1)와 상대물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고정부재(1)와 상대물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감싸게 되는 비교 실시예에 의하면,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작게 설계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굽힘강도가 약할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앞에서 설명한 비교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제1고정부재(1)에 수용공간(12)과 소통되는 소통슬릿(12a)이 형성되어 있어서, 간격 조절을 위해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일부만을 수용하고 나머지는 노출되게 함에 따라, 제1고정부재(1)와 상대물 각각의 규격을 줄일 필요성이 없게 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2)는, 상기 제1고정부재(1)와 연결되는 상대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장골의 제2부위의 외면에 고정되고, 복수의 제2결합공(21a)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고정부재(2)는, 상기 제1고정부재(1)의 수용공간(12)에 삽입되는 삽입부(21), 상기 제1고정부재(1)의 일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삽입부(21)와 반대측에 위치된 노출부(22) 및 상기 삽입부(21)와 노출부(22)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고정부재(2)는, 플레이트 형상의 4면 구조로 이루어지되, 4면 중 일면은 상기 제1고정부재(1)의 수용공간(12)에 삽입되는 삽입부(21)로 구성하고, 다른 일면은 상기 노출부(22)로 구성하며, 또 다른 일면은 상기 연결부(23)로 구성하는 한편, 나머지 일면은 상기 삽입부(21)만 제1고정부재(1)의 수용공간(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1)와 마찬가지로 소통슬릿(12a)에 의해 대체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1)와 제2고정부재(2)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해 규격이 작지 않고 동일한 규격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측에 모두 수용되는 일반적인 구조에 비해 굽힘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과,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대이동될 수 있게 하여 장골의 부러진 부위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는 장점과, 각 고정부재(1)(2)를 동일한 구조로 설계할 수 있어서 상대적으로 제작이 용이한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1)와 제2고정부재(2)는, 각각 상기 수용공간(12)을 형성하는 4면이 상기 삽입부, 노출부, 연결부 및 소통슬릿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실시예는, 서로 중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굽힙강도의 경우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해 약해지지 않음은 물론, 서로 중첩된 부분의 굽힙강도의 경우 중첩되지 않는 부분보다 우수한 강도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각 고정부재의 소통슬릿(12a)을 한정하는 일면에는, 상기 소통슬릿(12a)의 폭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리브(12b)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소통슬릿(12a)의 간격을 최대한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그 소통슬릿(12a)에 의한 각 고정부재(1)(2)의 변형 정도를 작게 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각 고정부재(3)(4)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상대물의 수용공간 측에 형성된 빈 공간에 채워지는 채움부(31)(4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채움부(31)(41)는, 상대물의 수용공간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하여 굽힘강도가 향상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각 고정부재(3)(4)에 삽입부의 평평한 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돌출된 채움부(31)(41)가 마련되어 있어서, 그 자체의 굽힘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 서로 중첩된 부분의 빈 공간을 채우게 됨으로써 중첩부위의 굽힘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채움부는, 본 실시예와 같이 앞에 설명한 실시예의 연장리브를 확장한것과 같이 설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도 6과 같이 반복적인 요철 구조((51)(61)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제1고정부재 11a:제1결합공
12:수용공간 12a:소통슬릿
12b:연장리브 2:제2고정부재
21:삽입부 21a:제2결합공
22:노출부 23:연결부

Claims (4)

  1. 장골의 2분할된 부분의 어느 일측(제1부위)을 다른 일측(제2부위)에 견고히 접합시키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장골의 제1부위의 외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부위에 대한 상대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제1결합공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대물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게 하는 수용공간과 그 수용공간과 외측을 소통시키는 소통슬릿을 구비하여서, 상기 상대물의 일부는 수용공간 측에 삽입되게 하고 나머지는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고정부재와 연결되는 상대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장골의 제2부위의 외면에 고정되고, 복수의 제2결합공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제1고정부재의 일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삽입부와 반대측에 위치된 노출부 및 상기 삽입부와 노출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는, 각각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4면이 상기 삽입부, 노출부, 연결부 및 소통슬릿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서로 중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굽힙강도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해 약해지지 않음은 물론, 서로 중첩된 부분의 굽힙강도는 중첩되지 않는 부분보다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부재의 소통슬릿을 한정하는 일면에는 상기 소통슬릿의 폭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부재는, 상대물의 수용공간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하여 굽힘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상대물의 빈 공간에 채워지는 채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
KR1020180100415A 2018-08-27 2018-08-27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 KR102153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415A KR102153397B1 (ko) 2018-08-27 2018-08-27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415A KR102153397B1 (ko) 2018-08-27 2018-08-27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914A KR20200023914A (ko) 2020-03-06
KR102153397B1 true KR102153397B1 (ko) 2020-09-08

Family

ID=6980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415A KR102153397B1 (ko) 2018-08-27 2018-08-27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3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926B1 (ko) * 2021-07-27 2023-10-06 주식회사 아이키 인체의 뼈 고정용 타겟팅 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4680A1 (en) 2007-01-26 2008-09-25 Structure Medical, Inc. Interlock for dynamic bone fixation plates
US20100057127A1 (en) 2008-08-26 2010-03-04 Mcguire Brian Expandable Laminoplasty Fixation System
KR101166783B1 (ko) 2004-12-01 2012-07-26 신세스 게엠바하 뼈 고정용 일방향 이동 시스템
JP5276105B2 (ja) 2007-08-20 2013-08-28 シンセ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ラチェット式骨端固定プレ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783B1 (ko) 2004-12-01 2012-07-26 신세스 게엠바하 뼈 고정용 일방향 이동 시스템
US20080234680A1 (en) 2007-01-26 2008-09-25 Structure Medical, Inc. Interlock for dynamic bone fixation plates
JP5276105B2 (ja) 2007-08-20 2013-08-28 シンセ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ラチェット式骨端固定プレート
US20100057127A1 (en) 2008-08-26 2010-03-04 Mcguire Brian Expandable Laminoplasty Fix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914A (ko)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31238B (zh) 具有模组化骨髓内钉的医疗器材及一种骨髓内钉
JP6017553B2 (ja) モジュール式骨プレート及び該モジュール式骨プレートの部材
KR970009552B1 (ko) 척주용 훅크
KR102153397B1 (ko) 굽힘강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뼈 플레이트
US10166052B2 (en) Bone plate with polyaxial locking mechanism
EP3295897B1 (en) Animal restraining tool
CA2887199A1 (en) Intervertebral spacers
CN105848599B (zh) 骨板
US20210102424A1 (en) Miter joint connectors for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connecting mitered frame members
JP2018531064A (ja) 外部リング固定システムに対して取り外し可能に結合されたウォーキングスケートシステム
JP2018531064A6 (ja) 外部リング固定システムに対して取り外し可能に結合されたウォーキングスケートシステム
US10149762B2 (en) Multiple component bone void filling implant
KR102310844B1 (ko) 뼈 내고정술용 겸자
US202003453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mbling a structure to secure to opposite sides of a fracture in a bone of a subject
US11311322B1 (en) Load sharing bone plate
JPS62172942A (ja) 骨の骨折端部を固定する装置
JP6675728B1 (ja) 板材連結機構
KR20140022543A (ko) 골 접합용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골 접합용 플레이트 조립체
KR102153794B1 (ko) 인체의 뼈 접합용 스크류
KR101909350B1 (ko) 하이브리드 타입 뼈 치료 유닛
CN210056394U (zh) 一种骨科术后用固定夹具
CN210019606U (zh) 一种桡骨万向接骨板
US10842543B2 (en) Load sharing bone plate
KR102273055B1 (ko) 뼈 접합용 스크류의 고정력 증대를 위한 뼈 플레이트 유닛
KR101910189B1 (ko) 골절편 고정용 맞춤형 가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