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236B1 - L형 볼트를 포함하는 브라켓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L형 볼트를 포함하는 브라켓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236B1
KR102153236B1 KR1020190125882A KR20190125882A KR102153236B1 KR 102153236 B1 KR102153236 B1 KR 102153236B1 KR 1020190125882 A KR1020190125882 A KR 1020190125882A KR 20190125882 A KR20190125882 A KR 20190125882A KR 102153236 B1 KR102153236 B1 KR 102153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ing
shaped bolt
nu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수
Original Assignee
임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수 filed Critical 임창수
Priority to KR1020190125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지지부 상에 놓인 설비를 지지부에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는 결합 플레이트의 제2결합공 각각 및 지지부의 홀로 삽입되고, 삽입되는 단부에 절곡부위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L형 볼트를 구비한다. 작업자가 L형 볼트를 위에서 결합 플레이트의 제2결합공과 지지부의 홀에 삽입한 다음, 너트를 체결한다. L형 볼트의 몸통에는 직립보조구가 끼워질 수 있으며, 직립보조구에 의해 직립 상태에서 정자세로 조여진다.

Description

L형 볼트를 포함하는 브라켓 어셈블리{BRACKET ASSEMBLY INCLUDING L-SHAPED BOLT}
본 발명은 브라켓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구조의 일측에서 지지구조에 설비를 체결할 수 있는, L형 볼트를 포함하는 브라켓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 시설에서는 그레이팅 플레이트(grating plate)와 같은 지지판 상에 설비들을 고정하여 설치한다. 보통 그레이팅 플레이트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설치가 되고 그레이팅 플레이트 아래에는 배관, 배선 등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선반과 같은 형태를 구성하기 위해 다수의 그레이팅 플레이트들을 소정 높이로 배치하게 되며, 그 높이는 대략 3m 내지 5m 정도에 달한다. 이렇게 설치된 그레이팅 플레이트 상에 생산 설비들을 고정하여 설치한다. 고정 설치는 브라켓들을 이용하여 해당 설비와 그레이팅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고정되고 설비가 얹혀진 그레이팅 플레이트 상에 그레이팅 플레이트의 위치변경을 하지 않으면서 브라켓을 이용하여 설비를 해당 그레이팅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작업은 까다롭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레이팅 플레이트가 선반 형태로 소정 높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레이팅 플레이트 아래에서 다른 작업자가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구를 조이는데 일일이 조력해야 한다. 따라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그레이팅 플레이트 아래의 작업자에게는 위험을 감수하여야 한다.
그런가 하면, 생산 현장에서 위와 같이 선반 형태로 설치된 그레이팅 플레이트의 일부를 들어올릴 경우, 작업자가 낙하되는 등의 심각한 안전사고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설치된 그레이팅 플레이트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신속하게 견고하게 설비를 그레이팅 플레이트와 같은 지지구조에 고정할 수 있는, L형 볼트를 포함하는 브라켓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L형 볼트를 포함하는 브라켓 어셈블리는 지지부 상에 놓여진 설비를 지지부에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며, 일측에 설비와의 결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결합공을 구비하고, 타측에 상기 지지부와의 결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결합공을 구비하는 결합 플레이트; 상기 지지부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2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몸통과 상기 몸통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통보다 먼저 상기 제2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절곡부위를 가지고, 상기 절곡부위가 상기 지지부의 저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제2결합공 각각 및 대응하는 지지부의 홀로 삽입되는 L형 볼트; 및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L형 볼트 각각에 결합되는 너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너트들을 조일 때 상기 너트와 상기 하나 이상의 L형 볼트의 절곡부위가 사이에 개재된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부를 압박하면서 고정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결합공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설비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제1볼트; 상기 너트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L형 볼트 각각의 몸통이 삽입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제2결합공 및 상기 지지부의 홀에 삽입된 L형 볼트를 직립시키는 직립보조구; 및 상기 L형 볼트의 몸통에 끼워져서 상기 L형 볼트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결합공과 상기 지지부의 홀에 삽입될 때 상기 제2결합공에 걸림으로써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방지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서 작업자가 상기 너트를 조임에 따라 상기 절곡부위는 상기 지지부의 저면측을 가압함으로써, 별도로 상기 지지부를 들어올리거나 작업자가 상기 지지부의 아래측에서 상기 너트의 조임을 위한 상기 L형 볼트의 지지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의 저면측에는 강도 강화를 위한 리브(ri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너트를 조일때, 상기 L형 볼트의 몸체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절곡부위가 상기 리브에 접촉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너트의 회전시 상기 L형 볼트의 몸체의 헛돌기가 방지되어, 상기 지지부의 아래측에서 작업자가 상기 결합을 위한 위험작업을 하지 않고도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서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그레이팅 플레이트와 같은 지지부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그 위에 놓인 설비를 지지부에 고정할 수 있는 브라켓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절곡부위를 가지는 L형 볼트를 이용함으로써 지지부의 아래에서의 조력이 없이도 지지부 위의 작업자가 단독으로 브라켓을 지지부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구나, 본 발명의 브라켓 어셈블리는 이러한 절곡 볼트를 직립시킬 수 있는 직립보조구를 구비함으로써 너트의 결합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너트가 완전히 조여진 뒤에도 바른 결합자세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브라켓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브라켓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설비가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5는 도 3의 결합 상태에 대한 측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브라켓 어셈블리에 채용된 L형 볼트의 삽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브라켓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지지부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그레이팅 플레이트와 같은 지지부에 설비를 고정하는데 이용되는 브라켓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러한 브라켓 어셈블리는 L형 볼트를 포함하여, 지지부 상에 높인 설비를 지지부 상의 작업자가 다른 조력이 없이도 설비를 지지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L형 볼트는 몸체가 구부러진 절곡볼트로서, 작업자가 지지부 위에서 브라켓의 결합공과 지지부의 홀로 삽입하고 너트를 위쪽에 체결함으로써 지지부와 브라켓 어셈블리를 결합할 수 있다. L형 볼트를 브라켓의 결합공과 그에 대응하는 지지부의 홀로 삽입할 때 절곡부위를 회전시키면서 삽입시키고, 위쪽에서 너트를 채우면 볼트의 절곡부위와 너트가 그 사이에 브라켓과 지지부를 압박하면서 고정하게 된다. 나아가, 볼트와 너트의 체결 과정에서 L형 볼트를 직립시키기 위해 직립보조구가 볼트의 몸통에 끼워진다. L형 볼트가 직립되면, 작업자가 손쉽게 너트를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트와 너트의 결합자세가 바르게 되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 상태가 구현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브라켓 어셈블리는 L형 볼트의 몸통에 끼워지는 낙하방지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낙하방지링은 작업자가 L형 볼트를 브라켓의 결합공과 지지부의 홀에 삽입할 때 브라켓의 결합공에 걸림으로써 볼트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브라켓은 지면에서 수 미터 높이의 선반 형태로 설치되는 그레이팅 플레이트 상에 설비를 고정하는데 매우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브라켓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브라켓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설비가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5는 도 3의 결합 상태에 대한 측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어셈블리는 결합 플레이트(1), 하나 이상의 L형 볼트(2), 하나 이상의 제1볼트(4), 하나 이상의 너트(3), 및 하나 이상의 직립보조구(5)를 포함한다. 도면부호 6은 와셔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7은 낙하방지링을 나타낸다.
결합 플레이트(1)는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L"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측부위가 설비와 결합되고, 타측부위가 지지부(G)와 결합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1)의 일측(11)에는 설비와의 결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결합공(111)이 구비되고, 타측(12)에는 제2결합공(121)이 구비된다. 도면부호 13은 보강대이다. 예를 들어 도 3은 본 발명의 브라켓 어셈블리가 설비를 지지부(G)에 고정하는데 사용된 상태를 보여준다.
결합 플레이트(1)의 일측(11)의 제1결합공(111)을 통해서는 제1볼트(4)가 설비의 나사공(미도시)에 체결된다.
결합 플레이트(1)의 타측(12)은 그레이킹 플레이트와 같은 지지부(G)와 접하게 된다. 타측(12)의 제2결합공(121)에는 L형 볼트(2)가 삽입된다.
L형 볼트(2)는 절곡 볼트로서 단부에 절곡부위(22)를 가지고, 절곡부위(22)의 반대측에 나사부가 배치된다. 절곡부위(22)는 너트(3)가 조여질 때 지지부(G)의 하면에 압착되면서 결합 플레이트(1)를 지지부(G)에 고정하게 된다.
절곡부위(22)가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L형 볼트(2)를 결합 플레이트(1)의 제2결합공(121)과 지지부(G)의 홀(61)로 삽입하며, 이때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위(22)를 약간 회전시키면서 삽입하게 된다. L형 볼트(2)가 결합 플레이트(1)의 제2결합공(121)과 지지부(G)의 홀에 삽입되고 나면 절곡부위(22)가 지지부(G)의 하면측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L형 볼트(2)의 몸통(23)에는 L형 볼트(2)가 제2결합공(121) 및 지지부(G)의 홀에 삽입될 때, 지지부(G)의 아래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낙하방지링(7)이 끼워질 수 있다. 낙하방지링(7)은 예를 들어 e-링과 같이 약간의 탄성을 가져서 L형 볼트(2)의 몸통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낙하방지링(7)은 결합 플레이트(1)의 제2결합공(121)에 걸리는 크기를 가져서 L형 볼트(2)가 제2결합공(121) 및 지지부(G)의 홀에 삽입될 때 제2결합공(12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L형 볼트(2)를 놓치게 되더라도 L형 볼트(2)가 지지부(G) 아래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L형 볼트(2)의 몸통에는 직립보조구(5)가 끼워진다. 이러한 직립보조구(5)는 제2결합공(121) 및 지지부(G)의 홀(61)에 삽입된 L형 볼트(2)가 직립하도록 지지해주는 요소이다.
직립보조구(5)는 L형 볼트(2)가 절곡부위(22)를 가지지 때문에 제2결합공(121)과 지지부(G)의 홀(61)에 삽입되었을 때 자연스럽게 뉘어 지는 것을 방지하고 L형 볼트(2)가 직립하도록 지지한다. 이를 위해, 직립보조구(5)는 L형 볼트(2)의 몸통이 삽입되는 홀을 구비하고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직립보조구(5)가 사용되면, L형 볼트(2)가 직립한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너트(3)를 체결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너트(3)가 완전히 조여졌을 때 L형 볼트(2)가 직립에 가까운 정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직립보조구(5)가 채용되지 않는다면, L형 볼트(2)는 절곡부위(22)가 있기 때문에 직립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자연스럽게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너트(3)를 체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체결 자세가 직립에 가까운 바른 자세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완전하고 견고한 체결이라고 볼 수 없고, 시간이 경과한 후에 풀림 현상이 발생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브라켓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지지부(G)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G)는 그레이팅 플레이트와 같은 부재가 산업시설에서 이용되고 있고, 지지부(G)의 저면에는 너트(3)가 조여질 때 L형 볼트(2)의 절곡부위(22)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와 같은 돌출부위가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L형 볼트(2)의 절곡부위가 리브에 접촉되면서 회전이 정지될 수 있고, 리브가 없을 때보다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돌출부위가 있지 않을 경우에도 너트(3)의 조임에 의해 L형 볼트(2)가 강하게 당겨지면서 지지부(G)의 저면에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결합 플레이트, 2: L형 볼트, 3: 너트, 4: 제1볼트, 5: 직립보조구, 6: 와셔, 7: 낙하방지링, 22: 절곡부위, 23: 몸통, 61: 지지부의 홀

Claims (4)

  1. 지지부 상에 놓여진 설비를 지지부에 결합하기 위한 L형 볼트를 포함하는 브라켓 어셈블리로서:
    일측에 설비와의 결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결합공을 구비하고, 타측에 상기 지지부와의 결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2결합공을 구비하는 결합 플레이트;
    상기 지지부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2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몸통과 상기 몸통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통보다 먼저 상기 제2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절곡부위를 가지고, 상기 절곡부위가 상기 지지부의 저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제2결합공 각각 및 대응하는 지지부의 홀로 삽입되는 L형 볼트; 및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L형 볼트 각각에 결합되는 너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너트들을 조일 때 상기 너트와 상기 하나 이상의 L형 볼트의 절곡부위가 사이에 개재된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부를 압박하면서 고정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결합공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설비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제1볼트;
    상기 너트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L형 볼트 각각의 몸통이 삽입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제2결합공 및 상기 지지부의 홀에 삽입된 L형 볼트를 직립시키는 직립보조구; 및
    상기 L형 볼트의 몸통에 끼워져서 상기 L형 볼트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결합공과 상기 지지부의 홀에 삽입될 때 상기 제2결합공에 걸림으로써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방지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서 작업자가 상기 너트를 조임에 따라 상기 절곡부위는 상기 지지부의 저면측을 가압함으로써, 별도로 상기 지지부를 들어올리거나 작업자가 상기 지지부의 아래측에서 상기 너트의 조임을 위한 상기 L형 볼트의 지지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형 볼트를 포함하는 브라켓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저면측에는 강도 강화를 위한 리브(ri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너트를 조일때, 상기 L형 볼트의 몸체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절곡부위가 상기 리브에 접촉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너트의 회전시 상기 L형 볼트의 몸체의 헛돌기가 방지되어, 상기 지지부의 아래측에서 작업자가 상기 결합을 위한 위험작업을 하지 않고도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서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형 볼트를 포함하는 브라켓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KR1020190125882A 2019-10-11 2019-10-11 L형 볼트를 포함하는 브라켓 어셈블리 KR102153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882A KR102153236B1 (ko) 2019-10-11 2019-10-11 L형 볼트를 포함하는 브라켓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882A KR102153236B1 (ko) 2019-10-11 2019-10-11 L형 볼트를 포함하는 브라켓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236B1 true KR102153236B1 (ko) 2020-09-08

Family

ID=7247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882A KR102153236B1 (ko) 2019-10-11 2019-10-11 L형 볼트를 포함하는 브라켓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23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3151A (en) * 1974-11-06 1976-05-11 Takeshi Mori Yurumidome koteikanagu
JPS53149164U (ko) * 1977-04-28 1978-11-24
JPH03239804A (ja) * 1990-02-15 1991-10-25 Tokiwa Eng:Kk 締結ボルト装置
JP3787221B2 (ja) * 1997-08-04 2006-06-21 ウエキハウス株式会社 アンカーボルト位置決め具
KR101291172B1 (ko) * 2011-06-22 2013-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다리 결합용 홀더 및 그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의 그레이팅 구조체
KR20130128233A (ko) * 2012-05-16 2013-11-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오픈 그레이팅에 서포트를 설치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오픈 그레이팅과 서포트의 설치 구조
KR20140041001A (ko) * 2012-09-27 2014-04-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격자살 발판용 코밍장치
KR101386278B1 (ko) * 2010-05-19 2014-04-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 스토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3151A (en) * 1974-11-06 1976-05-11 Takeshi Mori Yurumidome koteikanagu
JPS53149164U (ko) * 1977-04-28 1978-11-24
JPH03239804A (ja) * 1990-02-15 1991-10-25 Tokiwa Eng:Kk 締結ボルト装置
JP3787221B2 (ja) * 1997-08-04 2006-06-21 ウエキハウス株式会社 アンカーボルト位置決め具
KR101386278B1 (ko) * 2010-05-19 2014-04-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 스토퍼
KR101291172B1 (ko) * 2011-06-22 2013-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다리 결합용 홀더 및 그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의 그레이팅 구조체
KR20130128233A (ko) * 2012-05-16 2013-11-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오픈 그레이팅에 서포트를 설치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오픈 그레이팅과 서포트의 설치 구조
KR20140041001A (ko) * 2012-09-27 2014-04-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격자살 발판용 코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7864B2 (en) Compression post with visual indication system
JP6337244B1 (ja) ナット緩み防止具
KR102153236B1 (ko) L형 볼트를 포함하는 브라켓 어셈블리
KR101409637B1 (ko) 안전난간용 철골고정 클램프
US20100116591A1 (en) Temporary scaffolding system
KR102153229B1 (ko) 볼트 체결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방진 장치
KR20140022678A (ko) 족장 장치
KR101825694B1 (ko) 볼트 풀림 방지장치
US20240133416A1 (en) L-shaped bolt fastening structure for upright fastening
KR20160027480A (ko) 볼트의 축력 감지장치
KR101665642B1 (ko) 전주 가공지선 지지대
KR102464695B1 (ko) 토글핀 유닛
KR102620132B1 (ko) 수직 연결유닛이 적용된 타워형 안전작업대
KR101548884B1 (ko) 체결부재 풀림방지 장치
US20240133417A1 (en) L-shaped bolt fastening structure using hole guard
KR200242495Y1 (ko) 풀림 방지용 밀침장치
KR20230121175A (ko) 볼트 체결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방진 장치
JP3018901U (ja) 覆工板用手摺支柱
KR20240055606A (ko) 직립 체결이 가능한 l형 볼트 체결 구조
KR20240035069A (ko) 고리형 체결장치 및 설치방법
TW202417756A (zh) 使用孔防護件的l形螺栓緊固結構
EP0754279B1 (en) Clamp for cable
KR20240055605A (ko) 홀가드를 이용한 l형 볼트 체결 구조
JPH07310440A (ja) 手摺の仮止め装置
JP3765478B2 (ja) 基礎ボルトを用いて取着された既設機器を大荷重の新規機器に交換取着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