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055B1 -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055B1
KR102153055B1 KR1020190158922A KR20190158922A KR102153055B1 KR 102153055 B1 KR102153055 B1 KR 102153055B1 KR 1020190158922 A KR1020190158922 A KR 1020190158922A KR 20190158922 A KR20190158922 A KR 20190158922A KR 102153055 B1 KR102153055 B1 KR 102153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insertion member
space
separation spac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원식
Original Assignee
동양프론테크(주)
주식회사 쓰리젯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프론테크(주), 주식회사 쓰리젯 filed Critical 동양프론테크(주)
Priority to KR1020190158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 several steps
    • B29C43/146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 several steps for 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8Machine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L2031/7506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플레이트에 원통형의 제1 삽입부재를 배치하는 제1 삽입부재 배치단계, 상기 제1 삽입부재가 삽입되는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배치하는 금형 배치단계,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의 이격공간 사이로 불소수지를 충진하는 충진단계, 상기 금형의 상부에 제2 삽입부재를 배치하는 제2 삽입부재 배치단계, 상기 제2 삽입부재를 상기 이격공간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단계, 금형을 180도 회전시키는 금형 회전단계, 상기 회전된 금형 상부에 제3 삽입부재를 배치하는 제3 삽입부재 배치단계 및 상기 제3 삽입부재를 상기 이격공간으로 가압하는 제3 가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격 공간은 제1 이격공간, 상기 제1 이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이격공간의 직경과 다른 직경을 가지는 제2 이격공간 및 상기 제1 이격공간 및 상기 제2 이격공간을 연결하는 원추대 형상의 제3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eflon sleeve for plug valve}
실시예는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테프론 슬리브의 내부 강성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러그 밸브는 유체의 유동을 개폐하는데에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조 일예를 도 1에 표시 하였다. 도 1은 슬리브가 사용되는 플러그와 그 밸브의 내부를 보이게 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로서, 플러그 밸브는 유체를 유동되게 하기위한 유통로(2)와 밸브실(4)를 갖는 밸브 본체(1)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플러그 본체(1)의 유통로(2)는 상기 밸브실(4)내에 회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원추대(圓錐臺)형의 플러그(10)을 조작함에 따라서 개방되거나 폐쇄되는데, 이러한 개폐는 상기 플러그(10)을 관통하게 형성한 밸브공(12)이 상기 유통로(2)와 일치되거나 혹은 불일치 하게 되는 상태에 따라서 실행된다. 상기 밸브실(4)의 주벽면에는 원추대(圓錐臺)형의 플러그(10)과 같은 원추대형의 중공상 슬리브(20)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상기 슬리브(20)에 설치된 통공(22)이 상기 유통로(2)와 밸브공(12)를 연락되게 한다. 상기 밸브본체(1)의 내부에 상기 슬리브(20)을 설치한 이유는 상기 밸브본체(1)과 플러그(10)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유체 누수의 방지를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슬리브(20)을 상기 플러그(10)과 같이 원추대형을 이루게 한 것은, 밸브를 개폐하기위한 플러그(10)의 회전시 그만 큼 마찰 면적을 감소시키어 상기 플러그(10)에 대한 토르크를 작게함으로써, 상기 플러그(10)의 회전이 보다 자유롭게 실행되도록 하기위함이며, 또한 플러그(10)을 슬리브(20)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만큼 타이트하게 면 접촉시킬수 있게 하여 지속적으로 수밀성을 얻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슬리브에 대한 종래의 제작 일예를 도 2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플러그 밸브용 슬리브의 제조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으로, 종래는 슬리브(20)를 제작함에 있어서, 먼저 불소수지를 가압 성형함에 의해 내부가 빈 중공형상의 원통체(30)을 만든 다음, 그 원통체(30)의 내외 주벽부를 대략 2°의 각(θ)을 이루게 깍는 절삭공정을 거침에 의해 원추대형의 상기와 같은 슬리브(20)을 제작하고 있다. 도 2에서 빗금친 부분이 깍아내는 부분을 표시한 것이며, 또한 원통체(30)의 내주벽부를 대략 2°의 각(θ)을 이루게 절삭하는 이유는 도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높은 수밀성(Sealing)과 아울러 낮은 토르크(Torque)를 얻기 위함이다.참고로 상기 슬리브(20)의 내외주벽부의 각(θ)이 설정각도인 2°보다 크게 될경우에는 토르크가 높아져서 플러그의 회전 작동이 어렵게되는 문제가 있게되며, 반대로 각(θ)이 설정 각도인 2°보다 작게 될 경우에는 수밀성이 다소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슬리브 제작은 상기한바와 같이, 일단 원통체를 이루게 성형후 이를 다시 깍는 절삭공정을 통하여 만들고 있기 때문에 그 만큼 더 많은 작업공정과 노동력의 소요를 유발하고, 결과적으로는 작업성 및 생산성을 떨어지게하고 있다. 또 도 2의 빗금친 부분 만큼 절단하므로 인해 그 만큼 재료 손실을 입게 하고 있고, 이 역시 결과적으로 경제성을 약화시키게 요인이 되게 하고 있다. 참고로 슬리브의 제작에는 불소수지를 사용하는데, 국내의 제조가 불가능하여 전량을 외국에서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슬리브의 제조시 남게되는 잔여물 역시 국내에서는 재 활용이 불가하여 수거하여 외국으로 보내고 있음이 현 실정이다.
또 직립 원통체로부터 원추형대의 슬리브를 이루도록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깍음에는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므로 숙련공을 채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어려움이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는 슬리브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을 이루게 하고, 나아가서는 생산성 및 경제성을 약화시키는 주 요인으로 작용되게 하는 폐단을 주고 있다.
실시예는 테프론 슬리브의 압축과정을 다단계로 진행하여 테프론 슬리브의 내부 강성을 균일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지플레이트에 원통형의 제1 삽입부재를 배치하는 제1 삽입부재 배치단계; 상기 제1 삽입부재가 삽입되는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배치하는 금형 배치단계;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의 이격공간 사이로 불소수지를 충진하는 충진단계; 상기 금형의 상부에 제2 삽입부재를 배치하는 제2 삽입부재 배치단계; 상기 제2 삽입부재를 상기 이격공간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단계; 금형을 180도 회전시키는 금형 회전단계; 상기 회전된 금형 상부에 제3 삽입부재를 배치하는 제3 삽입부재 배치단계; 및 상기 제3 삽입부재를 상기 이격공간으로 가압하는 제3 가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격 공간은 제1 이격공간, 상기 제1 이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이격공간의 직경과 다른 직경을 가지는 제2 이격공간 및 상기 제1 이격공간 및 상기 제2 이격공간을 연결하는 원추대 형상의 제3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형 배치단계 이전에 상기 금형을 가열하는 금형 가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형 가열단계에서 상기 금형은 100~155℃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삽입부재는 내측 삽입부재와 외측 삽입부재로 구분되며, 상기 불소수지와 접촉하는 상기 내측 삽입부재와 상기 제1 삽입부재의 재질은 상기 제1 금형 및 상기 제2 금형과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은 제1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금형, 제2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금형 및 제3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연결금형으로 구분되며, 상기 하부금형,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연결금형은 분해가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진단계에서 상기 제1 이격공간과 상기 제2 이격공간에 충진되는 양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다단계 압축을 통해 테프론 슬리브의 강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형의 온도 제어를 통해 테프론 슬리브의 강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슬리브가 사용되는 플러그와 그 밸브의 내부를 보이게 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플러그 밸브용 슬리브의 제조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금형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10은 도 3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3의 제조방법에 의해 생상된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금형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10은 도 3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3의 제조방법에 의해 생상된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은 금형 가열단계(S100), 제1 삽입부재 배치단계(S200), 금형 배치단계(S300), 충진단계(S400), 제2 삽입부재 배치단계(S500), 제1 가압단계(S600), 금형 회전단계(S700), 제3 삽입부재 배치단계(S800), 제3 가압단계(S900)를 포함할 수 있다.
금형 가열단계(S100)는 불소수지(600)의 충진 전에 금형을 기설정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는 사용되는 기계장치에 따라 그 크기가 다양하다. 일정크기를 가지는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는 가압을 통해 요구되는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일정 직경을 넘어가는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는 가압만으로 요구되는 강도를 확보하기가 어려운바, 온도조건을 함께 제어하여 원하는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금형 가열단계에서 금형은 100~155℃ 내외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가열된 금형은 불소수지(600)를 주입하기 위해 지지플레이트(400)로 이동되며, 금속으로 마련되는 금형은 천천히 식게되며, 금형의 내부로 주입되는 불소수지(600)는 압력과 온도 조건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제1 삽입부재(510) 배치단계(S200)는 지지플레이트(400)에 원통형의 제1 삽입부재(510)를 배치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제1 삽입부재(510)는 지지플레이트(400) 상부에 놓이는 바닥판(41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닥판(410)에는 제1 삽입부재(510)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바닥돌기(411)가 구비될 수 있다. 바닥돌기(411)는 제1 삽입부재(51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바닥돌기(411)는 제1 삽입부재(510)와 함께 금형이 형성하는 이격공간(300)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바닥판(410)의 구조는 본 발명에서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불소수지(600)가 삽입되는 높이를 제어하기 위해 제1 삽입부재(510)의 높이가 변형될 수 있다.
금형 배치단계(S300)는 제1 삽입부재(510)가 삽입되는 이격공간(300)을 형성하도록 제1 금형(100)을 형성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금형은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으로 구분되며, 제1 금형(100)은 제2 금형(2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부재(510)는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형성하는 이격공간(300)으로 삽입되어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이격공간(300)으로 삽입되는 불소수지(600)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이격공간(300)은 제1 이격공간(310), 제2 이격공간(320) 및 제3 이격공간(330)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격 공간은 제1 이격공간(310), 제1 이격공간(3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이격공간(310)의 직경과 다른 직경을 가지는 제2 이격공간(320) 및 제1 이격공간(310)과 제2 이격공간(320)을 연결하는 원추대 형상의 제3 이격공간(33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이격공간(310)과 제2 이격공간(320)은 제1 삽입부재(510), 제2 삽입부재(530) 및 제3 삽입부재(550)가 삽입되어 충진되는 불소수지(600)를 가압하기 위한 공간을 의미한다. 제3 이격공간(330)은 불소수지(600)가 가압되어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가 제작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일실시예로,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은 제1 이격공간(310)을 형성하는 하부금형(130, 230), 제2 이격공간(320)을 형성하는 상부금형(110, 210) 및 제3 이격공간(330)을 형성하는 연결금형(150, 250)으로 구분되며, 하부금형(130, 230), 상부금형(110, 210) 및 연결금형(150, 250)은 분해가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충진단계(S400)는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형성하는 이격공간(300) 사이로 불소수지(600)를 충진할 수 있다. 충진단계(S400)에서는 제1 삽입부재(510)가 이격공간(300)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충진된다.
도 6은 제1 삽입부재(510)가 삽입된 상태에서 불소수지(600)가 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하부금형(130, 230) 내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재(510)에 의해 제1 이격공간(310)과 제2 이격공간(320)에 충진되는 불소수지(600)의 양에는 차이가 존재하게 된다. 상부금형(110, 210)이 형성하는 제2 이격공간(320)으로 불소수지(600)가 주입되는 경우, 제2 이격공간(320)에 적층되는 불소수지(600)의 높이는 제1 이격공간(310)으로 삽입되는 불소수지(600)의 양보다 많게 된다. 이는 제2 삽입부재(530)를 통해 불소수지(600)를 가압하는 경우 가압되는 영역이 제3 이격공간(330)으로 집중하기 위함이다.
도 7은 제2 삽입부재(530)를 배치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삽입부재(530) 배치단계(S500)는 금형의 상부에 제2 삽입부재(53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2 삽입부재(530)는 가압부(700)를 통한 가압으로 제2 이격공간(320) 내부로 삽입되어, 제2 이격공간(320)에 적층되는 불소수지(600)를 가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2 삽입부재(530)는 내측 삽입부재(531)와 외측 삽입부재(53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삽입부재(531)는 불소수지(600)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내측 삽입부재(531)와 제1 삽입부재(510)는 금형과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내측 삽입부재(531)와 제1 삽입부재(510)는 이격공간(300) 내부로 깊게 들어가게되며, 불소수지(600)를 가압하기 위해 공차가 거의 없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금형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 가압을 통해 내측 삽입부재(531)와 제1 삽입부재(510)가 이격공간(300)으로 삽입되는 경우 금형에 스크래치를 남길 수 있다. 금형에 스크래치가 남는 경우, 가압을 통해 제작되는 제품에 상처가 생길 우려가 존재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내측 삽입부재(531)와 제1 삽입부재(510)는 금형과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내측 삽입부재(531)와 제1 삽입부재(510)는 황동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압단계(S600)는 제2 삽입부재(530)를 이격공간(300)으로 가압하는 단계이다.
도 8은 가압부(700)를 통해 이격공간(300)에 존재하는 불소수지(600)를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내측 삽입부재(531)와 외측 삽입부재(532)는 제2 이격공간(320)에 삽입된 상태로 불소수지(600)를 가압하게 된다.
금형 회전단계(S700)는 불소수지(600)이 제2 가압을 위해 금형을 회전하는 단계이다.
금형에 형성되는 이격공간(300)은 양측이 연결되는 통로구조이다. 이때, 분말형태의 불소수지(600)가 충진되는 이격공간(300)을 양측에서 가압하는 것은 금형이 매우 불안정해진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삽입부재(5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에서 1차 가압을 진행하여 이격공간(300)에 배치되는 불소수지(600)를 가압을 하고, 금형을 회전하여 반대 방향에서 가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양측 가압에 비해 분말형태의 불소수지(600)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3 삽입부재(550) 배치단계(S800)는 회전된 금형 상부에 제3 삽입부재(550)를 배치할 수 있다.
도 9는 제3 삽입부재(550)가 제1 삽입부재(5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 삽입부재(550)는 제1 삽입부재(5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삽입부재(550)는 바닥돌기(411)가 배치되는 공간에 삽입배치되어 위치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3 삽입부재(550)는 제1 삽입부재(510)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것과 같이 제3 삽입부재(550)와 제1 삽입부재(510)는 서로 다른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제3 가압단계(S900)는 제3 삽입부재(550)를 이격공간(300)으로 가압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1 이격공간(310)에 위치하던 불소수지(600)는 제3 이격공간(330)으로 가압되어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가 제작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에 따라 생산된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이격공간(310)과 제2 이격공간(320)에 주입되는 불소수지(600)는 순차적 가압을 통해 제3 이격공간(330)으로 압축되어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가 압축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압축후에는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 이격공간(300)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재(510), 제2 삽입부재(530) 및 제3 삽입부재(550)가 제거된다. 이때,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탈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격공간(300)을 형성하는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의 측면에는 윤활성을 가지는 경질의 크롬이 도금될 수 있다.
금형으로부터 탈형된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는 일반적인 전기로에 넣어 열처리를 통해 완전한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가 제조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1 금형 110, 210 : 상부금형
130, 230 : 하부금형 150, 250 : 연결금형
200 : 제2 금형 300 : 이격공간
310 : 제1 이격공간 320 : 제2 이격공간
330 : 제3 이격공간 400 : 지지플레이트
410 : 바닥판 411 : 바닥돌기
510 : 제1 삽입부재 530 : 제2 삽입부재
531 : 내측 삽입부재 532 : 외측 삽입부재
550 : 제3 삽입부재 600 : 불소수지
700 : 가압부

Claims (6)

  1. 지지플레이트에 원통형의 제1 삽입부재를 배치하는 제1 삽입부재 배치단계;
    상기 제1 삽입부재가 삽입되는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배치하는 금형 배치단계;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의 이격공간 사이로 불소수지를 충진하는 충진단계;
    상기 금형의 상부에 제2 삽입부재를 배치하는 제2 삽입부재 배치단계;
    상기 제2 삽입부재를 상기 이격공간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단계;
    금형을 180도 회전시키는 금형 회전단계;
    상기 회전된 금형 상부에 제3 삽입부재를 배치하는 제3 삽입부재 배치단계; 및
    상기 제3 삽입부재를 상기 이격공간으로 가압하는 제3 가압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이격 공간은 제1 이격공간, 상기 제1 이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이격공간의 직경과 다른 직경을 가지는 제2 이격공간 및 상기 제1 이격공간 및 상기 제2 이격공간을 연결하는 원추대 형상의 제3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충진단계에서 상기 제1 이격공간과 상기 제2 이격공간에 충진되는 불소수지의 양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배치단계 이전에 상기 금형을 가열하는 금형 가열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가열단계에서 상기 금형은 100~155℃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부재는 내측 삽입부재와 외측 삽입부재로 구분되며,
    상기 불소수지와 접촉하는 상기 내측 삽입부재와 상기 제1 삽입부재의 재질은 상기 제1 금형 및 상기 제2 금형과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은 제1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금형, 제2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금형 및 제3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연결금형으로 구분되며, 상기 하부금형,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연결금형은 분해가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190158922A 2019-12-03 2019-12-03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 KR102153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922A KR102153055B1 (ko) 2019-12-03 2019-12-03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922A KR102153055B1 (ko) 2019-12-03 2019-12-03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055B1 true KR102153055B1 (ko) 2020-09-07

Family

ID=72471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922A KR102153055B1 (ko) 2019-12-03 2019-12-03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0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468A (ko) * 1999-06-15 2001-01-15 신원식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2002187131A (ja) * 2000-12-20 2002-07-02 Mitsuboshi Belting Ltd 加硫スリーブ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金型
KR20060015447A (ko) * 2005-03-09 2006-02-17 이베리아 애쉬랜드 케미칼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슬리브, 슬리브의 제조 공정 및 상기 슬리브를 생성하기 위한 혼합물
US20130207312A1 (en) * 2012-02-13 2013-08-15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Seal molding sleeve
KR101410918B1 (ko) * 2014-03-25 2014-06-23 홍순승 가압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가압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468A (ko) * 1999-06-15 2001-01-15 신원식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2002187131A (ja) * 2000-12-20 2002-07-02 Mitsuboshi Belting Ltd 加硫スリーブ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金型
KR20060015447A (ko) * 2005-03-09 2006-02-17 이베리아 애쉬랜드 케미칼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슬리브, 슬리브의 제조 공정 및 상기 슬리브를 생성하기 위한 혼합물
US20130207312A1 (en) * 2012-02-13 2013-08-15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Seal molding sleeve
KR101410918B1 (ko) * 2014-03-25 2014-06-23 홍순승 가압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가압성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055B1 (ko) 플러그 밸브용 테프론 슬리브의 제조방법
US20220392718A1 (en) Monolithic remote control
US10500798B2 (en) Method of forming carbon-fiber product and implementation device thereof
RU2563627C1 (ru) Пресс-форма для пропитки заранее изготовленного конденсаторного сердечника высоковольтного проходного изолято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конденсаторного сердечника высоковольтного проходного изолятора
US5804231A (en) Expandable hot runner manifold
US5178885A (en) Resin transfer mold
EP2045066B1 (en)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with direct insert thermal control
US8226390B2 (en) Flexible shutoff insert molding device
CN115816765B (zh) 一种无气纹的pfa包覆蝶板的成型方法
JP6419518B2 (ja) インサート成形用金型を用いたインサート成形方法
JP5863827B2 (ja) 射出成型機
TWI659818B (zh) Method for manufacturing angle type air tool housing
JP6756203B2 (ja) 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JP2018018863A (ja) 容器本体の製造方法
EP0968064A1 (fr) Procede et installation de coulee sous basse pression dans un moule a coquille ceramique
EP1800036B1 (en) Pressure control device
KR101834333B1 (ko) 코어 교체형 가압성형장치
JP2003136561A (ja) 環状成形品の射出成形用金型及び環状成形品の成形方法
KR101692131B1 (ko) 플라스틱 연료탱크의 제조방법
FR3137603A1 (fr) Ensemble de moule d’injection, en particulier pour procédés type RTM
TWI835358B (zh) 透氣鋼模具組件之製造方法及其構造
WO2021106358A1 (ja) ブロー成形機及びこれを用いた圧力容器のための樹脂ライナーの製造方法
JP2023170492A (ja) 流体制御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7942619U (zh) 一种模具装置
JP2023129174A (ja) 大型成形品金型のガス抜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