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243B1 - 이미지 보정 방법, 이미지 보정 장치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이미지 보정 방법, 이미지 보정 장치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243B1
KR102152243B1 KR1020190019752A KR20190019752A KR102152243B1 KR 102152243 B1 KR102152243 B1 KR 102152243B1 KR 1020190019752 A KR1020190019752 A KR 1020190019752A KR 20190019752 A KR20190019752 A KR 20190019752A KR 102152243 B1 KR102152243 B1 KR 102152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patient
image
distortion
coordin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1640A (ko
Inventor
황영상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9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24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80Geometric correction
    • G06T5/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3Reconstruction from projections, e.g. tomography
    • G06T11/008Specific post-processing after tomographic reconstruction, e.g. voxelisation, metal artifact cor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60Rot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3/608Rot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by skew deformation, e.g. two-pass or three-pass ro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116X-ray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이미지 보정 방법 및 이미지 보정 장치가 개시된다. 이미지 보정 방법은 X-ray를 통해 촬영 대상의 구강 구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식별하는 과정에서 촬영 대상의 좌우 외이도 및 하악점에 대한 좌표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보정 방법은 X-ray 촬영 대상의 움직임 및 부정확한 자세로 인해 발생하는 이미지의 왜곡을 보정함으로써 재촬영을 하지 않아도 되어 촬영 대상에 노출될 수 있는 불필요한 방사선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보정 방법, 이미지 보정 장치 및 기록매체{Image Correction Method, Image Correc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이미지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X-ray 촬영 대상의 움직임 및 부정확한 자세로 인해 발생하는 이미지의 왜곡을 보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스레이 촬영장치는 엑스선의 투과 특성을 이용하여 2차원 또는 3차원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엑스레이 촬영장치는 엑스선을 조사하는 제너레이터와 이를 수신하는 디텍터가 구비되어 있어 촬영 대상의 인체 부위를 엑스레이 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다.
기존에는 이와 같은 엑스레이 촬영장치의 제너레이터와 디텍터가 고정된 형태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제너레이터와 디텍터가 대향 회전하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어 다양한 각도에서 2차원 투영 영상을 획득하여 3차원 CT(Computed Tomography)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최근의 엑스레이 촬영장치를 통해 고품질의 엑스레이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촬영 대상이 촬영 영역에 바르게 정렬한 후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할 때 촬영 대상의 정렬이 고르지 않거나 움직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엑스레이 촬영 장치를 통해 획득하는 엑스레이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획득된 엑스레이 영상에 이미지 왜곡이 심할 경우 재촬영을 진행해야 하는데, 이 경우 촬영 대상은 불필요한 방사선에 노출 될 수 있다. 또한, 잘못 촬영한 엑스레이 영상의 경우 상하좌우 길이나 비율이 달라 해부학적구조를 왜곡 시킬 수 있어 진료 시 전반적으로 신뢰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엑스레이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 대상의 엑스레이 영상을 획득할 시 촬영 대상의 정렬이 고르지 않거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되는 이미지 왜곡을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엑스레이 촬영 중 획득된 안면 3곳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엑스레이 영상에 발생된 이미지 왜곡을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 방법은 X-ray를 통해 생성된 환자의 구강 구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식별하는 과정에서 추출된 상기 환자의 좌우 외이도(Porion) 및 하악점(Gnathion)에 대한 좌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왜곡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보정 방법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좌우 외이도 및 하악점에 대한 좌표 정보는 상기 환자의 머리를 고정하는 템플 서포트(Temple support) 및 스캔 위치를 제공하는 턱받이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추출될 수 있다.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상기 환자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환자의 좌우 외이도 및 하악점에 대한 좌표 정보의 변동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정렬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상기 환자의 좌우 외이도 및 하악점에 대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좌우 외이도를 잇는 수평 성분의 중심에 상기 하악점의 수직 성분이 일치하도록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이미지 보정 장치는 X-ray를 통해 생성된 환자의 구강 구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환자의 머리를 고정하는 템플 서포트(Temple support) 및 스캔 위치를 제공하는 턱받이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상기 환자의 좌우 외이도 및 하악점(Gnathion)에 대한 좌표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부 및 상기 식별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왜곡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보정 방법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정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상기 환자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환자의 좌우 외이도 및 하악점에 대한 좌표 정보의 변동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보정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정렬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상기 환자의 좌우 외이도 및 하악점에 대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보정부는 상기 환자의 좌우 외이도를 잇는 수평 성분의 중심에 상기 하악점의 수직 성분이 일치하도록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엑스레이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 대상의 엑스레이 영상을 획득할 시 촬영 대상의 정렬이 고르지 않거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되는 이미지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엑스레이 촬영 중 획득된 안면 3곳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엑스레이 영상에 발생된 이미지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엑스레이 영상에 발생된 이미지 왜곡의 보정을 통해 재촬영을 하지 않음으로써 촬영 대상에 노출될 수 있는 불필요한 방사선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왜곡 보정을 위해 사용되는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안면 3곳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영상의 획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왜곡의 보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의 제1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의 제2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 방법을 플로우챠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식별부(110) 및 보정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식별부(110)는 X-ray 장치를 통해 생성된 환자의 구강 구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X-ray 장치는 엑스선을 조사하는 제너레이터와 이를 수신하는 디텍터를 포함할 수 있다. X-ray 장치는 이와 같은 제너레이터와 디텍터가 서로 대향 회전하는 구조를 통해 환자의 2차원 투영 영상 및 3차원 CT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각도의 로우 프레임(Raw frame)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X-ray 장치는 촬영 대상인 환자가 촬영 영역에 바르게 정렬한 후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고품질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의 정렬이 고르지 않거나 움직이는 경우가 빈번하여 X-ray 장치를 통해 생성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이미지 왜곡이 발생됨으로써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식별부(110)는 X-ray 장치를 통해 생성되는 환자의 다양한 각도에 대한 로우 프레임들을 수신함과 동시에 수신된 로우 프레임들에 이미지 왜곡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이를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부(110)는 별도의 센서를 통해 환자의 안면 중 3곳의 좌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일례로, 식별부(110)는 도 2의 (a)와 같이 환자의 스캔 위치를 제공하는 턱받이(210) 및 환자의 머리를 고정하는 템플 서포트(Temple support)(220)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환자의 안면 중 3곳의 좌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턱받이(210) 및 템플 서포트(220)에 부착된 센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센서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부(110)는 도 3과 같이 X-ray 장치를 통해 환자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즉 로우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동안 턱받이(210) 및 템플 서포트(220)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측정된 안면 3곳 즉, 하악점(310) 및 좌우 외이도(320)의 좌표 정보를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식별부(110)는 일례로, 자이로스코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환자의 3차원적 운동을 측정함으로써 획득된 안면 3곳의 절대 좌표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식별부(110)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환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첫 시점에 대한 안면 3곳의 기준좌표 대비 틀어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보정부(120)는 X-ray 장치를 통해 수집된 환자의 다양한 각도에 대한 로우 프레임들과 식별부(110)를 통해 식별된 안면 3곳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정렬 불량 및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된 이미지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정부(120)는 X-ray 장치를 통해 수집된 환자의 다양한 각도에 대한 로우 프레임들을 겹치는 스티칭(Stitching) 기능을 통해 환자의 2차원 투영 영상 또는 3차원 CT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스티칭 기능을 수행하여 환자의 2차원 투영 영상 또는 3차원 CT 영상을 획득할 때, 환자의 정렬이 불량하거나 움직임이 발생하여 이미지 왜곡이 발생하여도 보정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정부(120)는 식별부(110)를 통해 식별된 안면 3곳의 좌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환자의 정렬 불량이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된 이미지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보정부(120)는 스티칭 과정에서 안면 3곳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로우 프레임들에 대한 위치를 조정하고, 좌표 정보에 따른 로우 프레임들의 위치 조정으로 발생되는 공백은 보간법(Interpolation)을 수행하여 보간함으로써 이미지 왜곡이 제거된 고품질의 2차원 투영 영상 또는 3차원 CT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왜곡의 보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①과 같이 환자의 하악점 및 좌우 외이도를 포함하는 안면 3곳의 좌표를 삼각형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센서를 통해 식별된 안면 3곳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②와 같이 좌우 외이도의 연결선이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스티칭 과정에서 상기 좌우 외이도의 연결선이 수평이 되도록 로우 프레임들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센서를 통해 식별된 안면 3곳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③과 같이 'A'의 각도를 기준으로 턱의 위치를 판단하여 로우 프레임들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안면 3곳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한 결과 'A'의 각도보다 작으면,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턱이 과도하게 앞으로 나왔다고 판단하고, 스티칭 과정에서 'A'의 각도에 대응하도록 로우 프레임들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스티칭 과정에서 안면 3곳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로우 프레임들에 대한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이미지 왜곡이 보정된 고품질의 2차원 투영 영상 또는 3차원 CT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의 제1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이미지 보정 장치(100)를 통해 이미지 왜곡이 보정된 예를 보여준다. 일례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움직임이 발생되면, 도 5의 (a)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에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턱받이(210)와 템플 서포트(220)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식별된 환자의 하악점(310) 및 좌우 외이도(320)에 대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도 5의 (b)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에 발생된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즉,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턱받이(210)와 템플 서포트(220)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식별된 환자의 좌우 외이도(320)를 연결한 연결선이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스티칭 과정에서 좌우 외이도의 연결선이 수평이 되도록 로우 프레임들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에 발생된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의 제2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정렬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미지 보정 장치(100)를 통해 왜곡이 보정된 예를 보여준다. 즉, X-ray 장치를 통해 환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정렬의 문제가 발생되면, 도 6의 (a)와 같이 로우 데이터들을 겹치는 스치팅 기능을 통해 획득된 2차원 투영 영상 또는 3차원 CT 영상이 틀어지는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턱받이(210)와 템플 서포트(220)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식별된 환자의 하악점(310) 및 좌우 외이도(320)에 대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정렬 문제로 왜곡된 이미지 데이터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6의 (b)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에 발생된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일례로, 환자의 구강 구조에 대한 정면 이미지 데이터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정렬에 문제가 발생하면,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환자의 구강 구조에 대한 정면이 아닌 측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이와 같이 환자의 정렬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환자의 좌우 외이도(320)를 잇은 수평 성분의 중심에 하악점(310)의 수직 성분이 일치하도록 이미지 데이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정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 방법을 플로우챠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710)에서,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X-ray를 통해 생성된 환자의 구강 구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엑스선을 조사하는 제너레이터와 이를 수신하는 디텍터를 포함하는 X-ray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2차원 투영 영상 및 3차원 CT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생성된 다양한 각도의 로우 프레임(Raw frame)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720)에서,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식별된 이미지 데이터에 왜곡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이를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환자의 안면 3곳에 대한 좌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환자의 스캔 위치를 제공하는 턱받이(210) 및 환자의 머리를 고정하는 템플 서포트(Temple support)(220)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환자의 하악점(310) 및 좌우 외이도(320)에 대한 좌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730)에서,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식별된 안면 3곳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왜곡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보정 방법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만약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촬영 대상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턱받이(210)와 템플 서포트(220)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식별된 환자의 좌우 외이도(320)를 연결한 연결선이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스티칭 과정에서 좌우 외이도의 연결선이 수평이 되도록 로우 프레임들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에 발생된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만약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정렬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턱받이(210)와 템플 서포트(220)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식별된 환자의 하악점(310) 및 좌우 외이도(320)에 대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정렬 문제로 왜곡된 이미지 데이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미지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일례로, 환자의 구강 구조에 대한 정면 이미지 데이터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정렬에 문제가 발생하면,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환자의 구강 구조에 대한 정면이 아닌 측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보정 장치(100)는 이와 같이 환자의 정렬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환자의 좌우 외이도(320)를 잇은 수평 성분의 중심에 하악점(310)의 수직 성분이 일치하도록 이미지 데이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정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중 획득된 안면 3곳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엑스레이 영상에 발생된 이미지 왜곡을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 및 전송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이미지 보정 장치
110 : 식별부
120 : 보정부
210 : 턱받이
220 : 템플 서포트
310 : 하악점
320 : 좌우 외이도

Claims (9)

  1. 환자의 구강 구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들을 식별하는 과정에서 추출된 상기 환자의 좌우 외이도(Porion) 및 하악점(Gnathion)에 대한 좌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환자의 좌우 외이도 및 하악점에 대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들을 스티칭(Stitching)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들을 스티칭 하는 과정에서 상기 환자의 좌우 외이도 및 하악점에 대한 좌표 정보를 통해 생성된 삼각형의 평면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들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스티칭된 이미지 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좌우 외이도 및 하악점에 대한 좌표 정보는,
    상기 환자의 머리를 고정하는 템플 서포트(Temple support) 및 스캔 위치를 제공하는 턱받이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보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삼각형의 평면 중 상기 환자의 좌우 외이도에 대한 좌표의 연결선이 수평면에 비교하여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이미지 데이터들을 좌우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티칭된 이미지 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보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삼각형의 평면 및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와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들을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티칭된 이미지 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보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된 이미지 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들 사이의 공백에 대해 보간법(Interpolation)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보정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6.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환자의 구강 구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좌우 외이도 및 하악점(Gnathion)에 대한 좌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환자의 좌우 외이도 및 하악점에 대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들을 스티칭(Stitching) 하며, 상기 이미지 데이터들을 스티칭 하는 과정에서 상기 환자의 좌우 외이도 및 하악점에 대한 좌표 정보를 통해 생성된 삼각형의 평면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들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스티칭된 이미지 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보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삼각형의 평면 중 상기 환자의 좌우 외이도에 대한 좌표의 연결선이 수평면에 비교하여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이미지 데이터들을 좌우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티칭된 이미지 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보정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삼각형의 평면 및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와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들을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티칭된 이미지 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보정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티칭된 이미지 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들 사이의 공백에 대해 보간법(Interpolation)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보정 장치.
KR1020190019752A 2019-02-20 2019-02-20 이미지 보정 방법, 이미지 보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2152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752A KR102152243B1 (ko) 2019-02-20 2019-02-20 이미지 보정 방법, 이미지 보정 장치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752A KR102152243B1 (ko) 2019-02-20 2019-02-20 이미지 보정 방법, 이미지 보정 장치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640A KR20200101640A (ko) 2020-08-28
KR102152243B1 true KR102152243B1 (ko) 2020-09-04

Family

ID=7229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752A KR102152243B1 (ko) 2019-02-20 2019-02-20 이미지 보정 방법, 이미지 보정 장치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24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202B1 (ko) * 2010-07-22 2012-05-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영상 보정 방법
KR20170111908A (ko) * 2016-03-30 2017-10-12 주식회사바텍 엑스선 촬영을 위한 촬영대상의 위치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촬영 장치
KR101963358B1 (ko) * 2016-05-10 2019-03-28 (주)바텍이우홀딩스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Xia JJ, Shevchenko J. ET AL:"Outcome Study of Computer-Aided Surgical Simulation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raniomaxillofacial Deformities", J.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2011.7.7.)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640A (ko)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6054B2 (en) Medical image processing device, treatment system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method
US8810640B2 (en) Intrinsic feature-based pose measurement for imaging motion compensation
KR101961351B1 (ko) 방사선 촬영 시스템 및 방사선 촬영 방법
US20160247293A1 (en) Medical imaging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motion-corrected image reconstruction
US112346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accuracy of a medical imaging device
JP6335227B2 (ja) コンピューター断層撮像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240065816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tching three-dimensional intra-oral scan data using computed tomography image
US201101526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positioning in cone-beam tomography
US10052079B2 (en) Method for producing an X-ray image
US202200228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2d panoramic image
Hsung et al. Recording of natural head position using stereophotogrammetry: a new technique and reliability study
CN111803110B (zh) X射线透视摄影装置
KR102152243B1 (ko) 이미지 보정 방법, 이미지 보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963650B1 (ko) 의료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346199B1 (ko) 파노라믹 영상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처리장치
US11426139B2 (en)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CN107635468B (zh) 用于重建医学图像的设备和方法
US20100159414A1 (en) Automatic spatial adjustment of a pan-oral x-ray source in response to the actual dentition of a patient
CN107635473B (zh) 用于重建医疗图像的设备和方法
KR102203618B1 (ko) 엑스선 영상 생성 방법, 엑스선 영상 생성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04056230A (ja) 3次元物体の投影画像位置合わせシステム
JP2004152043A (ja) 差分画像の補正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06020937A (ja) 医用画像の位置合わせ方法及び装置
CN113229840B (zh) 一种口腔cbct拍摄图像运动补偿重建方法
US20060133579A1 (en) Distortion corrector for digital radiograp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