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358B1 -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358B1
KR101963358B1 KR1020160057012A KR20160057012A KR101963358B1 KR 101963358 B1 KR101963358 B1 KR 101963358B1 KR 1020160057012 A KR1020160057012 A KR 1020160057012A KR 20160057012 A KR20160057012 A KR 20160057012A KR 101963358 B1 KR101963358 B1 KR 101963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head image
parallel
landmark
dimensional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6669A (ko
Inventor
배웅
최성일
Original Assignee
(주)바텍이우홀딩스
주식회사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텍이우홀딩스, 주식회사바텍 filed Critical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to KR1020160057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358B1/ko
Priority to PCT/KR2017/004841 priority patent/WO2017196082A1/ko
Publication of KR2017012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3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generating planar views from image data, e.g. extracting a coronal view from a 3D im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3차원 두부 영상을 정렬하여 임의 피검체에 대해서도 3차원 두부 영상이 잘 정렬되는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피검체에 대한 3차원 두부 영상을 획득하는 3차원 두부 영상 획득부, 상기 3차원 두부 영상의 서로 직교하는 2 이상의 슬라이스 영상들에서 각각 사전 설정된 랜드마크들을 추출하는 랜드마크 추출부, 상기 추출된 랜드마크들 중 서로 대응하는 랜드마크들을 잇는 직선의 기울기들을 획득하는 기울기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기울기들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두부 영상을 정렬하는 영상 정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3D HEAD IMAGE}
본 발명은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랜드마크로 피검체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3차원 두부 영상을 정렬하는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차원 세팔로(cephalo) 영상은 피검체의 귀에 기준 장치를 꽂고 기준 장치를 기준으로 피검체를 정렬한 다음 피검체를 촬영하여 획득되거나(제 1 방법), 피검체에 대하여 획득된 3차원 두부 영상을 피검체의 하악턱 또는 악관절(TMJ : Temporomandibular Joint)을 기준으로 정렬한 다음, 3차원 두부 영상을 프로젝션하여 획득된다(제 2 방법).
그러나 제 1 방법은 피검체의 3차원 두부 영상이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CT 촬영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고, 그에 따라, 피검체가 방사선에 2회 쏘이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제 2 방법은 하악이 비대칭인 피검체의 경우, 3차원 두부 영상이 잘못 정렬되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잘 정렬되지 않은 2차원 세팔로 영상이 획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랜드마크(특정한 해부학적 지점)를 기준으로 3차원 두부 영상을 정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3차원 두부 영상을 정렬하여 임의 피검체에 대해서도 3차원 두부 영상이 잘 정렬되는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피검체에 대한 3차원 두부 영상을 획득하는 3차원 두부 영상 획득부, 상기 3차원 두부 영상의 서로 직교하는 2 이상의 슬라이스 영상들에서 각각 사전 설정된 랜드마크들을 추출하는 랜드마크 추출부, 상기 추출된 랜드마크들 중 서로 대응하는 랜드마크들을 잇는 직선의 기울기들을 획득하는 기울기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기울기들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두부 영상을 정렬하는 영상 정렬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피검체에 대한 3차원 두부 영상을 획득하는 3차원 두부 영상 획득 단계, 상기 3차원 두부 영상의 서로 직교하는 2 이상의 슬라이스 영상들에서 각각 사전 설정된 랜드마크들을 추출하는 랜드마크 추출 단계, 상기 추출된 랜드마크들 중 서로 대응하는 랜드마크들을 잇는 직선의 기울기들을 획득하는 기울기 획득 단계 및 상기 획득된 기울기들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두부 영상을 정렬하는 영상 정렬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3차원 두부 영상을 정렬하여 임의 피검체에 대한 3차원 두부 영상도 잘 정렬되는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액시얼 평면에 평행한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좌우 EAP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코로날 평면에 평행한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좌우 전두관골 봉합부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새지털 평면에 평행한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ANS 및 PNS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3차원 두부 영상의 횡방향 세팔로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라 하악턱을 기준으로 보정한 3차원 두부 영상의 횡방향 세팔로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보정한 3차원 두부 영상의 횡방향 세팔로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코로날 평면에 평행한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오리온 본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의 기재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들을 단수형으로 기재하였다고 해서, 본 발명이 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구성요소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100)는 3차원 두부 영상 획득부(10), 랜드마크(Landmark) 추출부(30), 기울기 획득부(50) 및 영상 정렬부(70)를 포함한다.
3차원 두부 영상 획득부(10)는 피검체에 대한 3차원 두부 영상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공지의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와 같은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피검체에 대한 3차원 두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랜드마크 추출부(30)는 3차원 두부 영상의 서로 직교하는 2 이상의 슬라이스 영상,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개의 슬라이스 영상에서 사전 설정된 랜드마크들을 추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드마크 추출부(30)는 랜드마크지역 검출부(31) 및 랜드마크지역 대표점 추출부(3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랜드마크는 특정한 해부학적 지점을 가리킨다. 사전 설정된 랜드마크는 임상적으로 대칭으로 알려진 피검체의 랜드마크(즉,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랜드마크)이다. 예를 들어, 사전 설정된 랜드마크는 좌우 익스터널 앵귤러 프로세스(External Angular Process, 이하 "EAP"라고 지칭함), 좌우 전두관골 봉합부(Frontozygomatic Suture), 전비극첨(ANS : Anterior Nasal Spine, 이하 "ANS"라고 지칭함) 및 후비극첨(PNS : Posterior Nasal Spine, 이하 "PNS"라고 지칭함)의 각각의 대표점이다.
랜드마크지역 검출부(31)는 3차원 두부 영상의 서로 직교하는 2 또는 3개의 슬라이스 영상에서 랜드마크지역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랜드마크지역들을 각각 검출한다. 랜드마크지역 검출부(31)는 랜드마크지역 검출 알고리즘으로서 2차원 영상에서 소정 형상의 마스크(mask)를 이용하여 소정 형상의 마스크에 적합한 영역을 검출하는 모폴로지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Morphology Image Processing Algorithm)을 이용할 수 있다. 소정 형상의 마스크는 각각의 랜드마크지역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랜드마크지역은 랜드마크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이다.
예를 들어, 서로 직교하는 2차원 슬라이스 영상들이 액시얼(Axial) 평면에 평행하거나 코로날(Coronal) 평면에 평행한 2개의 2차원 슬라이스 영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랜드마크지역 검출부(31)는 3차원 두부 영상의 액시얼 평면에 평행한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EAP에 대응하는 형상의 마스크(사전 설정됨)를 이용하여 좌 EAP 및 우 EAP를 검출하고, 3차원 두부 영상의 코로날 평면에 평행한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전두관골 봉합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마스크(사전 설정됨)를 이용하여 좌 전두관골 봉합부 및 우 전두관골 봉합부를 검출한다.
또는, 예를 들어, 서로 직교하는 2차원 슬라이스 영상들이 액시얼 평면에 평행하거나 새지털(Saggital) 평면에 평행한 2개의 2차원 슬라이스 영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랜드마크지역 검출부(31)는 액시얼 평면에 평행한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좌우 EAP를 검출하고, 3차원 두부 영상의 새지털 평면에 평행한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ANS 및 PNS에 대응하는 형상의 마스크(사전 설정됨)를 이용하여 ANS 및 PNS를 검출한다.
또는, 예를 들어, 서로 직교하는 2차원 슬라이스 영상들이 코로날 평면에 평행하거나 새지털 평면에 평행한 2개의 2차원 슬라이스 영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코로날 평면에 평행한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좌우 전두관골 봉합부를 검출하고, 새지털 평면에 평행한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ANS 및 PNS를 검출한다.
또는, 예를 들어, 서로 직교하는 2차원 슬라이스 영상들이 액시얼 평면, 코로날 평면 또는 새지털 평면에 평행한 3개의 2차원 슬라이스 영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액시얼, 코로날 및 새지털 평면에 각각 평행한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랜드마크지역을 각각 검출할 수도 있다.
즉, 랜드마크지역 검출부(31)는 액시얼, 코로날, 새지털 평면 중 2 또는 3개의 평면에 각각 평행한 2차원 슬라이스 영상들에서 각각 랜드마크지역을 검출할 수 있다.
도 2는 액시얼 평면에 평행한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좌우 EAP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코로날 평면에 평행한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좌우 전두관골 봉합부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새지털 평면에 평행한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ANS 및 PNS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EAP, 좌우 전두관골 봉합부, ANS 및 PNS는 각각의 빨간색 테두리 안에 도시되어 있다.
그 다음, 랜드마크지역 대표점 추출부(32)는 검출된 랜드마크지역, 예를 들어, 좌우 EAP, 좌우 전두관골 봉합부, ANS 및 PNS의 대표점을 추출한다. 랜드마크지역 대표점 추출부(32)는 랜드마크지역의 좌표의 평균점, 즉, 랜드마크지역의 무게중심을 랜드마크지역의 대표점으로서 추출한다.
예를 들어, 좌우 EAP 및 좌우 전두관골 봉합부가 랜드마크지역으로서 추출된 경우, 랜드마크지역 대표점 추출부(32)는 좌 EAP의 대표점, 우 EAP의 대표점, 좌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 및 우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을 추출한다.
또는, 예를 들어, 좌우 EAP, ANS 및 PNS가 랜드마크지역으로서 추출된 경우, 랜드마크지역 대표점 추출부(32)는 좌 EAP의 대표점, 우 EAP의 대표점, ANS의 대표점 및 PNS의 대표점을 추출한다.
또는, 예를 들어, 좌우 전두관골 봉합부, ANS 및 PNS가 랜드마크지역으로서 추출된 경우, 랜드마크지역 대표점 추출부(32)는 좌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 우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 ANS의 대표점 및 PNS의 대표점을 추출한다.
또는, 예를 들어, 좌우 EAP, 좌우 전두관골 봉합부, ANS 및 PNS가 랜드마크지역으로서 추출된 경우, 랜드마크지역 대표점 추출부(32)는 좌 EAP의 대표점, 우 EAP의 대표점, 좌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 우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 ANS의 대표점 및 PNS의 대표점을 추출한다.
기울기 획득부(50)는 추출된 랜드마크들 중 서로 대응하는 랜드마크들을 잇는 직선의 기울기들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좌우 EAP 및 좌우 전두관골 봉합부가 랜드마크지역으로서 추출된 경우, 기울기 획득부(50)는 액시얼 평면에서 좌 EAP의 대표점 및 우 EAP의 대표점이 이루는 직선의 기울기(이하 "제 1 기울기"라고 함)를 획득하고, 코로날 평면에서 좌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 및 우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이 이루는 직선의 기울기(이하 "제 2 기울기"라고 함)를 획득한다. 제 1 기울기는 액시얼 평면의 가로축에 대한 기울기이고, 제 2 기울기는 코로날 평면의 가로축에 대한 기울기이다.
또는, 예를 들어, 좌우 EAP, ANS 및 PNS가 랜드마크지역으로서 추출된 경우, 기울기 획득부(50)는 새지털 평면에서 ANS의 대표점 및 PNS의 대표점이 이루는 직선의 기울기(이하 "제 3 기울기"라고 함)와 제 1 기울기를 획득한다. 제 3 기울기는 새지털 평면의 가로축에 대한 기울기이다.
또는, 예를 들어, 좌우 전두관골 봉합부, ANS 및 PNS가 랜드마크지역으로서 추출된 경우, 기울기 획득부(50)는 제 2 기울기와 제 3 기울기를 획득한다.
또는, 예를 들어, 좌우 EAP, 좌우 전두관골 봉합부, ANS 및 PNS가 랜드마크지역으로서 추출된 경우, 기울기 획득부(50)는 제 1 기울기, 제 2 기울기 및 제 3 기울기를 획득한다.
영상 정렬부(70)는 획득된 기울기들을 이용하여 3차원 두부 영상을 정렬한다.
예를 들어, 제 1 기울기 및 제 2 기울기가 획득된 경우, 영상 정렬부(70)는 좌 EAP의 대표점 및 우 EAP의 대표점이 이루는 직선이 액시얼 평면의 가로축에 평행하도록 3차원 두부 영상을 제 1 기울기만큼 정렬하고, 좌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 및 우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이 이루는 직선이 코로날 평면의 가로축에 평행하도록 3차원 두부 영상을 제 2 기울기만큼 정렬한다.
또는, 예를 들어, 제 1 기울기 및 제 3 기울기가 획득된 경우, 영상 정렬부(70)는 좌 EAP의 대표점 및 우 EAP의 대표점이 이루는 직선이 액시얼 평면의 가로축에 평행하도록 3차원 두부 영상을 제 1 기울기만큼 정렬하고, ANS의 대표점 및 ANS의 대표점이 이루는 직선이 새지털 평면의 가로축에 평행하도록 3차원 두부 영상을 제 3 기울기만큼 정렬한다.
또는, 예를 들어, 제 2 기울기 및 제 3 기울기가 획득된 경우, 영상 정렬부(70)는 좌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 및 우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이 이루는 직선이 코로날 평면의 가로축에 평행하도록 3차원 두부 영상을 제 2 기울기만큼 정렬하고, ANS의 대표점 및 ANS의 대표점이 이루는 직선이 새지털 평면의 가로축에 평행하도록 3차원 두부 영상을 제 3 기울기만큼 정렬한다.
또는, 예를 들어, 제 1 기울기, 제 2 기울기 및 제 3 기울기가 획득된 경우, 영상 정렬부(70)는 좌 EAP의 대표점 및 우 EAP의 대표점이 이루는 직선이 액시얼 평면의 가로축에 평행하도록 3차원 두부 영상을 제 1 기울기만큼 정렬하고, 좌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 및 우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이 이루는 직선이 코로날 평면의 가로축에 평행하도록 3차원 두부 영상을 제 2 기울기만큼 정렬하고, ANS의 대표점 및 ANS의 대표점이 이루는 직선이 새지털 평면의 가로축에 평행하도록 3차원 두부 영상을 제 3 기울기만큼 정렬한다.
도 5는 3차원 두부 영상의 횡방향 세팔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라 하악턱을 기준으로 보정한 3차원 두부 영상의 횡방향 세팔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보정한 3차원 두부 영상의 횡방향 세팔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을 비교하면, 도 5 및 6에는 안와라인(파란색 테두리) 및 외이도 부분(빨간색 테두리)이 흐릿하게 나타나고, 도 7에는 안와라인 및 외이도 부분이 뚜렷하게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5 내지 7에 도시된 횡방향 세팔로 영상들 중 도 7에 도시된 횡방향 세팔로 영상이 가장 잘 정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는 코로날 평면에서 오리온 본(Orion Bone)을 검출하고(도 8의 빨간 테두리 참조), 좌 전두관골 봉합부와 오리온 본의 기울기와 우 전두관골 봉합부와 오리온 본의 기울기가 동일하도록 3차원 두부 영상을 정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는 각각의 슬라이스 영상에서 랜드마크지역을 검출할 때, 3차원 두부 영상의 사전 정해진 구간에 위치한 2차원 슬라이스 영상만을 대상으로 랜드마크지역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는, 좌우 EAP를 검출할 때, 프론탈 본(Frontal Bone)이 위치한 2차원 슬라이스 영상에서 검출하거나, 부비동에서 안와까지의 구간에 위치한 슬라이스 영상에서 검출할 수 있다.
도 9는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방법의 흐름도이다.
두부 영상 정렬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도 1의 두부 영상 정렬 장치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동작 과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S110 단계에서, 3차원 두부 영상 획득부(10)는 피검체에 대한 3차원 두부 영상을 획득한다.
그 다음, S120 단계에서, 랜드마크 추출부(30)는 3차원 두부 영상에서 사전 설정된 랜드마크들을 추출한다.
그 다음, S130 단계에서, 기울기 획득부(50)는 추출된 랜드마크들 중 서로 대응하는 랜드마크들을 잇는 직선의 기울기들을 획득한다.
그 다음, S140 단계에서, 영상 정렬부(70)는 획득된 기울기들을 이용하여 3차원 두부 영상을 정렬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피검체에 대한 3차원 두부 영상을 획득하는 3차원 두부 영상 획득부;
    상기 3차원 두부 영상의 서로 직교하는 2 이상의 슬라이스 영상들에서 각각 사전 설정된 해부학적 지점인 랜드마크들을 추출하는 랜드마크 추출부;
    상기 추출된 랜드마크들 중 상기 슬라이스 영상 별로 서로 대응하는 랜드마크들의 대표점을 잇는 직선의 기울기들을 획득하는 기울기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기울기들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두부 영상을 정렬하는 영상 정렬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정렬부는,
    상기 슬라이스 영상별 대표점을 연결한 직선이 해당 평면의 가로축에 평행하도록 상기 3차원 두부 영상을 정렬하는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영상 중 어느 하나는 액시얼 평면에 평행하고,
    상기 랜드마크 추출부는
    상기 액시얼 평면에 평행한 슬라이스 영상에서 좌 EAP(External Angular Process)의 대표점과 우 EAP의 대표점을 상기 랜드마크로서 추출하는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영상 중 어느 하나는 코로날 평면에 평행하고,
    상기 랜드마크 추출부는
    상기 코로날 평면에 평행한 슬라이스 영상에서 좌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과 우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을 상기 랜드마크로서 추출하는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영상 중 어느 하나는 새지털 평면에 평행하고,
    상기 랜드마크 추출부는
    상기 새지털 평면에 평행한 슬라이스 영상에서 전비극첨(ANS)의 대표점과 후비극첨(PNS)의 대표점을 상기 랜드마크로서 추출하는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5. 삭제
  6. 피검체에 대한 3차원 두부 영상을 획득하는 3차원 두부 영상 획득 단계;
    상기 3차원 두부 영상의 서로 직교하는 2 이상의 슬라이스 영상들에서 각각 사전 설정된 해부학적 지점인 랜드마크들을 추출하는 랜드마크 추출 단계;
    상기 추출된 랜드마크들 중 상기 슬라이스 영상 별로 서로 대응하는 랜드마크들의 대표점을 잇는 직선의 기울기들을 획득하는 기울기 획득 단계; 및
    상기 획득된 기울기들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두부 영상을 정렬하는 영상 정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정렬 단계는,
    상기 슬라이스 영상 별 대표점을 연결한 직선이 해당 평면의 가로축에 평행하도록 상기 3차원 두부 영상을 정렬하는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영상은 액시얼 평면, 코로날 평면, 새지털 평면 중 적어도 하나와 평행하고,
    상기 랜드마크 추출 단계는
    상기 랜드마크로서, 상기 액시얼 평면에 평행한 슬라이스 영상에서 좌 EAP(External Angular Process)의 대표점과 우 EAP의 대표점, 상기 코로날 평면에 평행한 슬라이스 영상에서 좌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과 우 전두관골 봉합부의 대표점, 상기 새지털 평면에 평행한 슬라이스 영상에서 전비극첨(ANS)의 대표점과 후비극첨(PNS)의 대표점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방법.
  8. 삭제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따른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60057012A 2016-05-10 2016-05-10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및 방법 KR101963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012A KR101963358B1 (ko) 2016-05-10 2016-05-10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및 방법
PCT/KR2017/004841 WO2017196082A1 (ko) 2016-05-10 2017-05-10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012A KR101963358B1 (ko) 2016-05-10 2016-05-10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669A KR20170126669A (ko) 2017-11-20
KR101963358B1 true KR101963358B1 (ko) 2019-03-28

Family

ID=60267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012A KR101963358B1 (ko) 2016-05-10 2016-05-10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3358B1 (ko)
WO (1) WO20171960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390B1 (ko) * 2018-08-21 2020-04-09 디디에이치 주식회사 교정 진단을 위한 치과 영상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152243B1 (ko) * 2019-02-20 2020-09-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이미지 보정 방법, 이미지 보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2334519B1 (ko) * 2020-12-14 2021-12-06 이마고웍스 주식회사 치과용 3차원 스캔 데이터의 간소화된 랜드마크 자동 검출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663182B1 (ko) * 2021-09-14 2024-05-14 주식회사 잇다헬스케어 랜드마크 추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48405A1 (en) * 2013-05-21 2014-11-27 Carestream Health, Inc. Method and system for user interaction in 3-d cephalometric analysis
KR101494975B1 (ko) 2013-11-07 2015-02-25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자동 유방 초음파 영상의 유두 자동 검출 시스템 및 그 검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8334B2 (en) * 2004-08-27 2008-09-2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3D segmentation of ultrasound images
JPWO2007102509A1 (ja) * 2006-03-09 2009-07-23 イマグノーシス株式会社 医用画像の処理方法
KR101062196B1 (ko) * 2009-07-15 2011-09-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세팔로-광학사진 합성영상 획득장치 및 3차원 세팔로 영상 획득장치
US8805048B2 (en) * 2010-04-01 2014-08-12 Mark Batesole Method and system for orthodontic diagnosis
KR20150068162A (ko) * 2013-12-11 2015-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초음파 영상 통합 장치 및 방법
KR102289393B1 (ko) * 2014-07-11 2021-08-13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48405A1 (en) * 2013-05-21 2014-11-27 Carestream Health, Inc. Method and system for user interaction in 3-d cephalometric analysis
KR101494975B1 (ko) 2013-11-07 2015-02-25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자동 유방 초음파 영상의 유두 자동 검출 시스템 및 그 검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6082A1 (ko) 2017-11-16
KR20170126669A (ko)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358B1 (ko) 3차원 두부 영상 정렬 장치 및 방법
KR101531440B1 (ko) 표면 스캔 정보를 이용한 3차원 치과용 x 레이 데이터 세트로부터의 아티팩트의 감소 및 제거
JP5486197B2 (ja) 椎骨中心検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707542B2 (ja) 物体の細長い関心領域を撮像するための撮像システム
JP2019519257A (ja) 画像処理して解剖学的部分の三次元(3d)ビューを生成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7537727A5 (ko)
JP3910239B2 (ja) 医用画像合成装置
US20130163719A1 (en) Stereo x-ray imaging apparatus and stereo x-ray imaging method
JP2020528302A (ja) 3次元超音波画像の表示方法
TWI583192B (zh) 影像處理裝置
JP6416631B2 (ja) ステレオx線管に基づく体外高コントラスト物体の抑圧
JP2019030492A (ja) X線画像処理装置及びx線画像処理方法
US10176587B2 (en) Medical cross-sectional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ross-sectional image
JP5576631B2 (ja)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635473B (zh) 用于重建医疗图像的设备和方法
KR102096561B1 (ko) 의료 영상 재구성 장치 및 그 방법
WO2017169014A1 (ja) 医療用立体観察装置、医療用立体観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42094B2 (ja) 医用画像撮影装置、医用画像処理装置および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150041948A (ko) 템플릿 영상 기반 수술 계획의 자동 생성 방법
TW202130326A (zh) 醫用影像處理裝置、醫用影像處理程式、醫用裝置及治療系統
KR102203618B1 (ko) 엑스선 영상 생성 방법, 엑스선 영상 생성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901255B2 (en)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operating the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program
JP2004038860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WO2022120714A1 (zh) 图像分割方法及装置、图像引导系统、放射治疗系统
KR20160112289A (ko) 의료 영상 데이터의 지오메트리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