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206B1 - 제품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제품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206B1
KR102152206B1 KR1020190146026A KR20190146026A KR102152206B1 KR 102152206 B1 KR102152206 B1 KR 102152206B1 KR 1020190146026 A KR1020190146026 A KR 1020190146026A KR 20190146026 A KR20190146026 A KR 20190146026A KR 102152206 B1 KR102152206 B1 KR 102152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nit
rotation
guide rai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태
박명규
황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티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티이씨
Priority to KR1020190146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65G47/96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 B65G47/962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tilt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F16H1/2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non-parallel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품안착부가 형성된 이송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부와 연결되어 이송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 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된다.

Description

제품 운반장치{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제품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의 제조 또는 검사 등의 작업을 위해 제품을 운반하는 동시에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품의 제조 또는 검사 등의 위치 또는 오차에 의해 제품의 안착 위치가 작업 위치와 소정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운반장치를 틸팅하거나, 제품안착부의 회전을 통해 제품의 안착 위치를 변경하여 원활하게 제품의 제조 및 검사가 가능한 제품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판 또는 카메라 모듈 등과 같은 제품을 제조 또는 검사에는 여러 가지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제조 또는 검사 공정에서는 다양한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복합 장치에서 제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송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복합장비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품을 자동으로 이송하기 위한 운반장치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운반장치들은 작업자가 각각의 공정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제품을 수동으로 공급하거나, 컨베이어 벨트 등을 통해 트레이 등에 안착된 제품을 이동시킨다.
하지만, 종래의 이송장치들은 공급되는 제품을 하나씩 이송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제품의 이송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베이어벨트 등의 자동 운반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을 운반하는 경우 운반 중 발생하는 진동 또는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운반중인 제품이 운반장치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품의 오차 또는 운반장치의 안착 위치에 대한 오차 등이 발생하는 경우 제품의 접합 또는 검사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러한 제품을 제거하거나, 재배치하는 등의 추가적인 공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추가적인 재배치 등의 공정으로 인해 제품의 제조 또는 검사가 중단되어 작업 시간이 증가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품의 오차 또는 운반장치의 안착 위치가 접합장치를 통한 접합 위치 등과 반대 방향으로 안착되어 운반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직접 제품을 재배치하거나, 제품을 최초 투입위치로 반송시켜 제품을 재배치하거나,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품의 작업 또는 검사가 중단 및 지연되어 작업 시간이 증가하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0971946 1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품의 제조 또는 검사 등의 작업을 위해 제품을 운반하는 동시에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품의 제조 또는 검사 등의 위치 또는 오차에 의해 제품의 안착 위치가 작업 위치와 소정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운반장치를 틸팅하거나, 제품안착부의 회전을 통해 제품의 안착 위치를 변경하여 원활하게 제품의 제조 및 검사가 가능한 제품 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품 운반장치는 길이 방향을 갖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에 제품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품안착부가 형성된 이송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부와 연결되어 이송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 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케이블 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품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품안착부 및 상기 제품안착부와 인접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품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품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베이스 유닛, 상기 제1베이스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틸팅 회전축, 상기 틸팅 회전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틸팅 회전축을 정, 역 회전 시키는 제1모터 및 상기 베이스 유닛에 구비되는 틸팅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틸팅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베이스 유닛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제품안착부가 구비되는 제2베이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안착부는 안착된 상기 제품을 회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품안착부와 연결되는 는 축 회전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 회전부는, 상기 제품안착부가 별도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베이스 유닛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제품안착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품안착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축 회전 유닛 및 상기 축 회전 유닛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축 회전 유닛이 정, 역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안착부는 복수 구비되고, 상기 축 회전 유닛은 상기 제품안착부와 대응되도록 복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축 회전 유닛의 일단에는 각각 회전 기어가 구비되고, 각각의 회전 기어는 상호 인접한 회전 기어와 맞물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모터는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 기어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어 복수의 축 회전 유닛을 동시에 제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품안착부와 인접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품을 고정 또는 상기 제품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유닛의 회전 중심 역할을 수행하는 회전 중심축 및 상기 회전 중심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중심축을 정, 역 회전 시키는 제3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품의 양단부 일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안착부는 복수 구비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양 끝단에 구비된 상기 제품안착부에 삽입되는 하나의 상기 제품의 일단부 일측을 고정하고, 중심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유닛은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품의 상호 대면하는 일단부 일측을 동시에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 운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품을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쳐 제조하거나, 제조 및 검사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복합장치에 적용되어 각각의 공정 라인을 따라 가이드 레일을 배치하여 제품을 각각의 공정에 해당하는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제품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품 운반 시 클램프를 통해 제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제품이 임의로 이탈되거나, 배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품의 투입 및 배출 시에는 간단한 동작으로 제품의 고정을 해제하여 제품의 투입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제품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제품의 안착위치에 대한 오차, 제품의 오차 또는 기계적인 오차가 발생한 경우 제품을 제거 후 재배치 하지 않고, 이송부를 틸팅 시켜 제품의 오차를 보정하여 제조 또는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제품을 다각도에서 제조 또는 검사하거나, 제조 또는 검사 위치와 다른 방향으로 제품이 안착되는 경우, 축 회전부를 통해 제품안착부를 회전시켜 공정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품을 회전시켜 신속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부의 틸팅 또는 축 회전부를 통한 제품안착부의 회전을 통해 제품을 제거 후 재배치할 필요가 없어, 제품의 생산성 및 작업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이송부에 복수의 제품이 안착되는 경우에도 제품안착부의 회전 및 클램프를 통한 고정을 각각 하나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제어가 가능하여 제품의 부피를 간소화하고, 제조 단가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운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가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제품안착부의 축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가 구동부에 의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품 운반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운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운반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가이드 레일(100), 이송부(200) 및 구동부(300)로 구성된다.
가이드 레일(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1000)이 안착되는 이송부(200)가 해당 공정에 따라 각각의 공정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제품(10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송부(200)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00)은 이송부(200)가 결합되어 이송부(200)가 제조 또는 검사에 필요한 공정 위치로 이송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를 위해서 가이드 레일(100)이 직선인 형태로 도시하고 있지만,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곡선 또는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송부(200)는 상부에 제품(100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가이드 레일(100)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제품(1000)을 제조 또는 검사 공정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송부(200)는 제품(1000)이 안착되어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 다른 이송부(200)는 제품(1000)이 최초 안착되는 배치 또는 오차의 발생 등으로 인해 각각의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오차를 최소화 시켜 원활한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부(210), 제품안착부(220) 및 클램프(240)로 구성된다.
베이스부(210)는 제품(1000)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며 제품(1000)의 제조 또는 검사에 필요한 위치로 제품(1000)을 이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 다른 베이스부(210)는 제품(1000)이 최초 안착되는 배치 또는 오차의 발생 등으로 인해 각각의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오차를 최소화 시키기 위하여 틸팅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부(210)는 제1베이스 유닛(211), 틸팅 회전축(213), 제1모터(214) 및 제2베이스 유닛(215)으로 구성된다.
제1베이스 유닛(211)은 가이드 레일(100)의 상부에 안착되어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제1베이스 유닛(211)은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 및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하지만, 제2베이스 유닛(215)이 틸팅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제2베이스 유닛(215)의 회전 중심이 되는 틸팅 회전축(213)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21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212)는 제1베이스 유닛(211)의 일측에 상호 대면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에는 틸팅 회전축(213)이 결합되는 결합홈 또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틸팅 회전축(213)은 제1베이스 유닛(211)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1베이스 유닛(211)의 결합부(212)에 형성된 결합홈 또는 결합공에 베어링 등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모터(214)는 틸팅 회전축(213)의 일측에 구비되어 틸팅 회전축(213)이 정, 역 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1모터(214)는 틸팅 회전축(213)과 연결되어 틸팅 회전축(213)이 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틸팅 회전축(213)을 정해진 각도로 회전 시키는 스텝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가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2베이스 유닛(21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이스 유닛(211)과 결합된 틸팅 회전축(213)의 일측에 결합되어 틸팅 회전축(213)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일측에는 제품(100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2베이스 유닛(215)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하부 일측에는 틸팅 회전축(213)에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216)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체결부(216)는 제2베이스 유닛(215)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두 개 이상의 체결부(216)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제2베이스 유닛(215)에 돌출 형성된 체결부(216)가 팅팅 회전축에 고정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제2베이스 유닛(215)은 틸팅 회전축(213)의 회전에 따라 틸팅 회전축(213)을 중심으로 틸팅 회전축(213)의 구동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제2베이스 유닛(215)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부 일측에는 제품(100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품안착부(2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품안착부(220)는 제품(100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제품(10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품(1000)의 단면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베이스 유닛(215)에 구비되는 제품안착부(220)는 제품(1000)을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무방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품안착부(220)는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베이스 유닛(215)과 마찬가지로 제품(1000)이 최초 안착되는 배치 또는 오차의 발생 등으로 인해 각각의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오차를 최소화 시키기 위하여 제품안착부(22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제품안착부(220)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기 위해 제품안착부(220)는 제2베이스 유닛(215)과 일체로 이루어지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 하기 위하여 제2베이스와는 별도의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품안착부(220)를 회전 시키기 위한 축 회전부(23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제품안착부의 축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안착부(22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기 위하여 제2베이스 유닛(215)과 일체로 구비되지 않고, 하나의 제품(1000)이 안착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진 제품안착부(220)를 축 회전 시키기 위한 축 회전부(23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축 회전부(230)는 크게 축회전 유닛(231) 및 제2모터(233)로 구성된다.
축 회전 유닛(231)은 제2베이스의 하부 일측에 제2베이스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제품안착부(220)를 제2베이스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제2모터(233)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제품안착부(220)를 회전시키는 장치이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베이스의 일측에 제품안착부(220)가 복수 구비되면 각각의 제품안착부(2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품안착부(220)와 대응되는 개수의 축 회전 유닛(231)이 구비된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축 회전 유닛(231)에 개별적으로 제2모터(233)를 구비할 수도 있지만,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장치의 부피를 간소화하고, 제조 단가를 감소하기 위하여 하나의 제2모터(233)가 복수의 축 회전 유닛(231)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축 회전 유닛(231)의 일단, 제품안착부(220)와 결합되는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에는 회전 기어(232)가 구비된다. 이때, 복수의 회전 기어(232)는 상호 인접한 축 회전 유닛(231)에 구비된 회전 기어(232)와 맞물리도록 구비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234)에 의해 각각의 회전 기어(232)가 회전 샤프트(234)의 외주면에 회전 기어(232)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 샤프트(234)를 이용하여 각각의 회전 기어(232)가 맞물린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모터(233)는 회전 샤프트(234)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회전 샤프트(234)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 샤프트(234)를 정, 역 회전 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2모터(233)는 회전 샤프트(234)를 정, 역 회전 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기 설정된 값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하는 스텝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사용양태에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234)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복수의 회전 기어(232)가 상호 맞물리도록 구비되고, 어느 하나의 회전 기어(232)와 제2모터(233)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클램프(2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안착부(220)와 인접한 제2베이스 유닛(215)의 일측에 구비되어 각각의 공정에 따라 제품(1000)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장치이다. 이처럼 클램프(240)는 제품안착부(220) 또는 제품(1000)이 임의적으로 이송 또는 작업 중 임의로 이동, 회전 및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예로, 클램프(240)는 고정유닛(241), 회전 중심축(242) 및 제3모터(243)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유닛(241)은 제품안착부(220)와 인접한 제2베이스 유닛(215)의 일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제품안착부(220) 또는 제품(1000)을 고정 및 고정을 해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고정유닛(241)은 제품안착부(220) 또는 제품(1000)과 접촉하는 일면이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구비되어 제품(1000)이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고정유닛(241)이 제품안착부(220) 또는 제품(1000)을 전체적으로 고정시키면 제품(1000)의 제조 또는 검사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제품안착부(220) 또는 제품(1000)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좋다. 일예로, 고정유닛(241)은 제품(1000) 또는 제품안착부(220)의 양측 일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제품(1000) 또는 제품안착부(220)의 양측 일부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나의 제품안착부(220) 또는 제품(1000)을 두 개의 고정유닛(241)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만약, 제품안착부(22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구비되면 이에 대응되도록 고정유닛(241) 역시 복수 구비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장치의 부피를 감소하고, 제조 단가를 감소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안착부(220)의 개수보다 고정유닛(241)은 하나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품안착부(220)가 1열로 7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8개의 고정유닛(241)이 구비된다. 이때, 양측 끝단에 고정유닛(241)은 각각 끝단에 구비되는 제품안착부(220) 또는 제품(1000)을 하나씩만 고정하고, 나머지 고정유닛(241)은 각각의 제품안착부(220)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인접한 제품안착부(220)의 종단부 일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중간부에 구비되는 고정유닛(241)은 2개의 제품안착부(220)를 고정할 수 있게 구비된다.
회전 중심축(242)은 고정유닛(241)의 회전 중심이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3모터(243)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고정유닛(241)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만약, 복수의 고정유닛(241)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고정유닛(241)이 하나의 회전 중심축(242)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모터(243)는 회전 중심축(242)의 일측에 구비되어 고정유닛(241)이 제품안착부(220) 또는 제품(1000)을 고정 또는 고정해제를 위하여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3모터(243)는 회전 중심축(242)을 통해 고정유닛(241)을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 중심축(242)을 회전시킬 수 있는 스텝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구성에서는 하나의 회전 중심축(242)과 하나의 제3모터(243)를 이용하여 복수의 고정유닛(241)을 동시 제어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각각의 고정유닛(241)에 회전 중심축(242) 및 제3모터(243)가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고정유닛(241)이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구동부(300)는 가이드 레일(100) 및 이송부(200)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이송부(200)를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구동부(300)는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이송부(200)를 이동 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예로, 구동부(300)는 일단은 가이드 레일(10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이송부(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이송부(200)를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이동시키는 케이블 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체인은 접히는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이송부(200)를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케이블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300)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케이블 체인 외에 이송부(200)를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선택적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제품 운반장치의 사용양태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품 운반장치(10)의 사용양태를 보다 상세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가 구동부에 의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이송부(200)에 구비된 제품안착부(220)에 제품(1000)이 안착되거나, 제품(1000)의 제조 또는 검사 공정 또는 이러한 공정이 완료 후 제품(1000)을 반출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공정을 위하여 이송부(200)를 통해 제품(1000)을 각각의 공정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체인으로 이루어진 구동부(300)를 이용하여 각각의 공정라인을 따라 배치된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이송부(200)를 해당 공정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이송부(200)가 해당 공정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이동되면 각각의 위치에 따른 공정을 수행한다. 이를 각각의 공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품(1000)의 투입 또는 배출 공정이 이루어지는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품(1000)을 투입 또는 배출되기 위해서는 클램프(240)가 개방된 상태로 제품안착부(220)가 노출되어야 한다. 이때, 제3모터(243)를 이용하여 회전 중심축(242)을 회전시키면, 이와 연결된 복수의 고정유닛(241)이 회전하며 도 6과 같이 제품안착부(220)가 노출될 수 있도록 고정유닛(241)이 회전된다. 이렇게 고정유닛(241)이 개방된 상태에서 제품안착부(220)에 제품(1000)을 안착 시키거나 제조 또는 검사가 완료된 제품(1000)을 제품안착부(220)에서 제거할 수 있다.
만약, 제품(1000)을 투입시키는 공정이라면 제품(1000)을 제품안착부(220)에 투입 후, 이송 중 제품(1000)이 제품안착부(220)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램프(240)를 통해 제품(1000)을 고정시켜야 한다. 이러한 공정은 전술한 공정과 반대로 제3모터(243)를 이용하여 회전 중심축(242)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와 연결된 복수의 고정유닛(241)이 회전 중심축(242)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품안착부(220)에 안착된 제품(1000)을 고정시킨다. 이처럼 고정유닛(241)을 통해 제품(1000)을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주며 고정시키기 때문에 제품(1000)은 이송 중 임의로 제품안착부(220)에서 이탈이 이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클램프(240)에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유닛(241)은 사용양태에 따라 하나의 회전 중심축(242)에 모두 연결되어 제3모터(243) 하나로 동시 제어 되거나, 각각의 고정유닛(241)에 개별적인 회전 중심축(242) 및 제3모터(243)을 구비하여 각각 별도로 구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송부(200)를 제품(1000)의 제조 또는 검사 공정을 위한 위치로 이동시켜 제품(1000)의 제조 또는 검사 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기계적 오차가 발생하거나, 제품(1000)의 미세한 오차에 의해 제품(1000)의 제조 또는 검사가 현 위치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200)의 틸팅을 통해 제품(1000)의 제조 또는 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제품(1000)을 접합하는 경우, 접합장치와 제품(1000)의 위치가 소정각도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회전축(213)을 중심으로 제2베이스 유닛(215)을 틸팅시켜 접합장치와 제품(1000) 사이의 오차를 보정하여 접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정할 수 있다. 이처럼 허용오차범위 내에 있는 제품(1000) 자체의 오차 또는 제품안착부(220)에 제품(1000)이 정위치에 배치되지 않는 오차 등을 이송부(200)의 틸팅을 통해 보정하여 제품(1000)의 제조 또는 검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한 제품(1000)의 제조 또는 검사를 생략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차가 발생한 제품(1000)의 해당공정을 생략하지 않고 보정을 통해 각각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오차가 발생한 제품(1000)을 제거하거나, 건너뛰지 않고 틸팅을 통한 보정을 통해 원활하게 수행하여 제품(1000) 생산 및 검사의 불량율을 감소하고, 제고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만약, 제품(1000)의 제조 또는 검사를 다각도에서 실시하거나, 제품(1000)이 제조 또는 검사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제품안착부(220)에 안착이 된 경우에도 제품(1000)을 제거 후 재배치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회전부(230)를 통해 제품안착부(220)를 회전시켜 신속하게 해당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제품(1000)의 접합이 제품(1000)의 4면에 모두 이루어지는 경우 일면을 접합 후, 축 회전부(230)를 통해 제품안착부(220)를 다음 접합이 필요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음 접합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로 제품(1000)이 안착된 위치가 제품(1000) 접합을 위한 접합장치와 다른 경우에도 제품(1000)을 제거 후 재 배치할 필요 없이 축 회전부(230)를 통해 제품안착부(220)를 회전시켜 제품(1000)을 접합위치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처럼, 다각도의 공정을 수행하거나, 제품(1000)이 공정위치와 대응 위치로 배치된 경우에 이를 수정하기 위하여 제품(1000)을 제거 후 재 배치할 필요 없이 축 회전부(230)를 통한 제품안착부(220)의 회전을 통해 신속한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제품(1000)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축 회전부(230)를 통한 제품안착부(220)의 회전은 사용양태에 따라 복수의 제품안착부(220)가 하나의 회전 샤프트(234) 및 제2모터(233)를 통해 동시 제어되거나,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샤프트(234) 및 제2모터(233)를 구비하여 각각 별도로 구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품(1000)의 제조가 완료되면 구동부(300)를 통해 이송부(200)를 제품(1000)의 배출을 위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마지막으로 제품(1000)을 배출하기 위해 고정유닛(241)을 회전시켜 제품(1000)의 고정을 해제 후 제품(1000)을 제품안착부(220)에서 분리하여 제품(1000)을 배출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품 운반장치
100 : 가이드 레일
200 : 이송부
210 : 베이스부
211 : 제1베이스 유닛
212 : 결합부
213 : 틸팅 회전축
214 : 제1모터
215 : 제2베이스 유닛
216 : 체결부
220 : 제품안착부
230 : 축 회전부
231 : 축 회전 유닛
232 : 회전 기어
233 : 제2모터
234 : 회전 샤프트
240 : 클램프
241 : 고정유닛
242 : 회전 중심축
243 : 제3모터
300 : 구동부
1000 : 제품

Claims (12)

  1. 길이 방향을 갖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에 제품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품안착부가 형성된 이송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부와 연결되어 이송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 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품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품안착부; 및
    상기 제품안착부와 인접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품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품을 고정하는 클램프;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베이스 유닛;
    상기 제1베이스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틸팅 회전축;
    상기 틸팅 회전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틸팅 회전축을 정, 역 회전 시키는 제1모터; 및
    상기 제1베이스 유닛에 구비되는 틸팅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품 자체의 오차 또는 상기 제품의 결합상태와 상기 제품을 생산 또는 검사하기 위한 장치와의 오차를 틸팅을 통해 보정하여 상기 제품의 생산 또는 검사 공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틸팅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베이스 유닛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제품안착부가 구비되는 제2베이스 유닛;
    을 포함하는 제품 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케이블 체인으로 구성되는 제품 운반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품을 회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품안착부와 연결되는 축 회전부가 더 구비되는 제품 운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축 회전부는,
    상기 제품안착부가 별도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베이스 유닛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제품안착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품안착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축 회전 유닛; 및
    상기 축 회전 유닛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축 회전 유닛이 정, 역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
    를 포함하는 제품 운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안착부는 복수 구비되고, 상기 축 회전 유닛은 상기 제품안착부와 대응되도록 복수 구비되는 제품 운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축 회전 유닛의 일단에는 각각 회전 기어가 구비되고,
    각각의 회전 기어는 상호 인접한 회전 기어와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제품 운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터는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 기어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어 복수의 축 회전 유닛을 동시에 제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품 운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품안착부와 인접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품을 고정 또는 상기 제품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유닛의 회전 중심 역할을 수행하는 회전 중심축; 및
    상기 회전 중심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중심축을 정, 역 회전 시키는 제3모터;
    를 포함하는 제품 운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품의 양단부 일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품 운반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안착부는 복수 구비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양 끝단에 구비된 상기 제품안착부에 삽입되는 하나의 상기 제품의 일단부 일측을 고정하고, 중심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유닛은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품의 상호 대면하는 일단부 일측을 동시에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제품 운반장치.
KR1020190146026A 2019-11-14 2019-11-14 제품 운반장치 KR102152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026A KR102152206B1 (ko) 2019-11-14 2019-11-14 제품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026A KR102152206B1 (ko) 2019-11-14 2019-11-14 제품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206B1 true KR102152206B1 (ko) 2020-09-04

Family

ID=7247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026A KR102152206B1 (ko) 2019-11-14 2019-11-14 제품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2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804A (ja) * 1991-09-30 1993-04-16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基板搬送装置
JP2001253536A (ja) * 2000-03-09 2001-09-18 Hirata Corp 基板移載ロボット装置
KR100971946B1 (ko) 2005-06-01 2010-07-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이송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부착시스템과 인쇄회로기판 부착방법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제조방법
KR20120012693A (ko) * 2010-08-03 2012-02-1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트레이 틸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804A (ja) * 1991-09-30 1993-04-16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基板搬送装置
JP2001253536A (ja) * 2000-03-09 2001-09-18 Hirata Corp 基板移載ロボット装置
KR100971946B1 (ko) 2005-06-01 2010-07-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이송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부착시스템과 인쇄회로기판 부착방법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제조방법
KR20120012693A (ko) * 2010-08-03 2012-02-1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트레이 틸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4381B2 (ja) 半導体素子テストハンドラの素子搬送装置
JP5931389B2 (ja) 搬送システム
CN106553863B (zh) 输送机装置及输送机装置的调节方法
KR102184612B1 (ko) 스테이터 코어용 레이저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용접방법
KR20170113314A (ko) 핸드 유닛 및 이동탑재 방법
WO2016072014A1 (ja) ロータリーヘッド型部品実装機
KR102152206B1 (ko) 제품 운반장치
CN114505666A (zh) 一种用于pcb产品的自动组装设备
KR20150081980A (ko) 유압용 관 이음쇠 조립장치
KR20120041888A (ko) 비전 검사 장치
TWI730134B (zh) 機器人、機器人之控制方法、教示用治具及機器人之教示方法
US11504761B2 (en) Feed mechanism for pocketed spring strands
KR102130962B1 (ko) 제품 제조용 솔더링 및 디스펜싱 장치
KR101754958B1 (ko) 멀티 칩 픽커
KR101682465B1 (ko) 기판이송로봇
JP2019079941A (ja) 基板分割装置及び基板分割方法
KR20220110519A (ko) 비드 유지 부재
KR200417758Y1 (ko) 백라이트 램프 공급장치
CN112975621A (zh) 平磨装置
JPS6186305A (ja) プレ−ト搬送装置
JP2008282996A (ja) ワークのカセット間移載装置及び方法
KR20200035718A (ko) 스테이터 코어용 레이저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용접방법
JPH0963477A (ja) 電子銃の組立方法および装置
KR20200017950A (ko) 웨이퍼 이송 장치
CN115602590B (zh) 一种to-can组件pin引脚插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