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164B1 - 방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164B1
KR102152164B1 KR1020190031660A KR20190031660A KR102152164B1 KR 102152164 B1 KR102152164 B1 KR 102152164B1 KR 1020190031660 A KR1020190031660 A KR 1020190031660A KR 20190031660 A KR20190031660 A KR 20190031660A KR 102152164 B1 KR102152164 B1 KR 102152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heat
heat dissipating
radiating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투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투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투마
Priority to KR1020190031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29/87Organic material, e.g. filled polymer composites; Thermo-conductive additives or coa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29/89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 LED조명기구나 차량 헤드라이트 및 고발열소자 등의 발열대상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낮추기 위해 적용되는 방열장치로서, 단순화된 제조공정과 발광 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생산성 제고와 함께 방열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방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방열장치는 질화알루미늄(AIN)으로 제조되고,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통체로 형성되며, 둘레면에는 설정된 간격으로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다수개의 관통공(12)이 형성된 방열몸체(10); 상기 방열몸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폴리벤족사진(polybenzoxazine) 또는 에폭시(epoxy)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된 방열재(20); 상기 방열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방열재(20)가 방열몸체(10)의 개구된 상부에서 가압되는 가압물에 의해 압착되면서 관통공(1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져 형성된 섬모 형태의 방열핀(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방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Heat dissipa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실내·외 LED조명기구나 차량 헤드라이트 및 고발열소자 등의 발열대상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낮추기 위해 적용되는 방열장치로서, 단순화된 제조공정과 발광 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생산성 제고와 함께 방열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방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제품은 사용하는 동안 열을 발산하게 되는데, 전자 부품의 수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자 제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켜주는 방열체의 적용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제품의 발열 현상은 70 - 80% 가량을 열로 방출하는 LED조명 역시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부분의 LED조명은 광원인 LED 또는 LED칩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방열체를 적용하고 있다.
통상의 방열체의 구조는 방열 부품이나 멀티칩과 접촉하는 모체 부분과, 발열시키는 방열편이나 방열핀으로 나뉘어지는데, 방열은 모체 부분에서 직·간접적으로 발열 부품에서 열을 전달받아 방열편 또는 방열핀에서 방출되는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방열 형태는 방열체의 면적이 클수록 방열이 잘 됨은 물론 열 전도도가 높은 재료로 제조된 경우에는 더 높은 방열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열체는 대부분이 단순한 사각판이나 원판 등의 특정 형상으로만 형성되어 있고, 가공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형태 및 디자인을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함이 있었고, 특히 한정된 형상으로 인해 방열효율을 향상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자동차나 오토바이의 헤드라이트로 사용되는 LED조명의 경우는 협소한 밀폐 공간으로 인해 방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방열장치로서, 특허공개 제10-2019-0011980호(섬모를 이용한 방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위 특허는 보론 나이트라이드가 혼합된 실리카겔로 형성된 방열몸체의 외표면에 그래핀(graphene) 또는 보론 나이트라이드(boron nitride, BN)나 이들의 화합물로 된 섬모를 결합하여 제조되는 방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열 전도성을 대폭 높이면서도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방열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열 전도성을 높이도록 하는 섬모가닥을 방열몸체의 표면에 압입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제조 공정이 복잡함은 물론 제조 시간이 길어지게 되었고, 결과적으로는 제품의 생산량 저하와 함게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1980호(2019.02.08., 섬모를 이용한 방열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0258호(2007.12.01., 마이크로 히트싱크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714928호(2015.03.20., 섬유형 기둥모양 구조체 집합체 및 방열 부재)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질화알루미늄 소재로 기계적 특성과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방열성능이 우수한 방열몸체를 제조하고, 방열몸체의 내부에 폴리벤족사진(polybenzoxazine)이나 에폭시(epoxy)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방열재를 수용시킨 후 방열몸체의 개구된상부에서 가압물을 이용하여 일정한 모멘트로 압착하여 내부 밀도차에 의해 방열몸체에 수용된 방열재가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열 전도성을 높이는 섬모 형태의 방열핀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발열대상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하고 간소화된 공정으로 제품의 생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방열장치는 질화알루미늄(AIN)으로 제조되고,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통체로 형성되며, 둘레면에는 설정된 간격으로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다수개의 관통공(12)이 형성된 방열몸체(10); 상기 방열몸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폴리벤족사진(polybenzoxazine) 또는 에폭시(epoxy)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된 방열재(20); 상기 방열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방열재(20)가 방열몸체(10)의 개구된 상부에서 가압되는 가압물에 의해 압착되면서 관통공(1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져 형성된 섬모 형태의 방열핀(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12)은 10㎚ - 1㎜의 직경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방열핀(30)은 방열몸체(10) 표면 일단부에서부터 1㎜ - 3㎝의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방열장치 제조방법은 a) 질화알루미늄을 용융하여 사출성형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통체 형상으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12)이 형성되도록 방열몸체(10)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방열몸체(10) 내부로 폴리벤족사진(polybenzoxazine)이나 에폭시(epoxy)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된 방열재(20)를 수용시키는 단계; c) 상기 b)단계를 거친 방열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방열재(20)가 내부 밀도차에 의해 상기 방열몸체(10)의 관통공(12)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섬모 형태의 방열핀(30)으로 형성되도록 상부에서 압착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섬모 형태의 방열핀(30)이 형성된 방열몸체(10)를 냉각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방열장치에 따르면, 열을 방열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현되는 방열장치의 일련의 제조 과정이 종래 보다 간소화되어 제품의 생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루미늄보다 방열성이 우수한 질화알루미늄 재질로 방열몸체를 제조함에 따라 발열대상체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열핀은 물론 방열몸체가 동시에 방열시키게 됨으로써 발열대상체의 기능적 효율 향상과 수명을 연장 또는 유지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열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열핀의 형태를 보인 단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열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열장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열장치의 제조순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방열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통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관통공(12)을 형성시켜 된 방열몸체(10)와, 상기 방열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폴리벤족사진(polybenzoxazine) 또는 에폭시(epoxy)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된 방열재(20)와, 상기 방열몸체(10)에 수용된 방열재(20)가 압착에 의해 관통공(1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져 형성된 섬모 형태의 방열핀(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방열장치는 발열대상체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열몸체(10)와 방열핀(30)이 함께 방열시킴으로써 발열대상체의 기능적 효율 향상은 물론 수명을 연장 또는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발열대상체로는 실내·외 조명기구, 차량 헤드라이트, 가전제품, 전기장치, 터빈 등 작동 시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열장치로서, 제1실시예에서 상기 방열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관통공(12)을 형성시켜 된 구성으로서, 기계적 특성과 성형성이 우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방열몸체(10)는 기본 재질이 일반 알루미늄 소재가 아닌 질화알루미늄(AIN) 소재로 제조됨에 따라 고온 충격에 강하며 가벼운 무게를 지닐 수 있게 되고, 성형성이 우수함에 따라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형태 및 디자인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절연성은 물론 높은 열전도성을 지니고 있어 상기 방열핀(30)을 통한 방열 외에도 방열몸체(10)를 통해서도 탁월한 방열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이러한 방열몸체(10)는 질화알루미늄의 특성에 의해 가공이 용이함에 따라 제조 공정에 따른 시간 단축은 물론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형태 및 디자인에 따라서 그 형상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음은 물론 높은 열전도성으로 방열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어, 종래의 그래핀(graphene)이나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등으로 제조된 방열체에 비해서 우수한 기능적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핀(30)은 페이스트(paste) 상태 또는 반고체 상태의 물성을 갖는 폴리벤족사진(polybenzoxazine)이나 에폭시(epoxy)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열재(20)를 섬모 형태로 경화시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열몸체(10)에 수용된 상태에서 개구된 상부를 통해 인입되는 가압물에 의해 압착되어 내부 밀도차에 의해 상기 방열몸체(10)의 다수의 관통공(12)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섬모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폴리벤족사진은 다양한 분자 구조의 디자인이 용이하여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열 경화성 물질의 합성이 가능한 소재이다. 또한, 경화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부피의 변화가 거의 없다.
상기 폴리벤족사진의 가장 특징적인 성질은 경화를 위해 강한 산성 촉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과, 경화가 진행되는 동안 부산물의 발생이 없다는 점이다.
특히, 상기 폴리벤족사진은 높은 유리전이온도(Tg), 저 유전 특징, 높은 장력, 낮은 열팽창계수, 뛰어난 신축성, 저흡수성 등을 포함하여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 및 화학적 특성의 균형이 잘 잡힌 경화 중합체로서, 열 전도도가 매우 우수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최적의 소재이다.
열 경화성 수지인 상기 에폭시 또한 열 전도도가 우수한 특징을 갖는 소재로서, 그 물성은 마치 고무와 같아 상기 에폭시를 방열몸체(10) 내부에 수용시켜도 방열몸체(10)에 형성된 관통공(12)을 통해 쉽게 빠져나가지 않는다.
한편, 상기 방열핀(30)이 돌출된 길이는 방열몸체(10)의 표면 일단에서부터 대략 1㎜ - 3㎝의 길이로 하며, 상기 방열핀(30)이 접합 또는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방열몸체(10)의 내부로부터 돌출된 상태임에 따라 전도된 열을 방열핀(30)의 손실없이 그대로 전달받아 방열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방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방열핀(30)을 방열몸체(10)에 투입된 방열재(20)를 압착시켜 방열몸체(10)의 내부 밀도차에 의해 상기 방열몸체(10)에 형성된 관통공(12)을 통과시켜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것은 첫째,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함이며, 둘째, 상기 방열핀(30)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가령, 방열핀(30)을 접합시킨 경우에는 상기 방열몸체(10)를 원형관 형태로 말아놓게 되면 자칫 방열핀(30)의 접합부위가 늘어나면서 파손 내지는 떨어져 나갈 가능성이 크나, 방열몸체(10)의 내부에서 밀도차에 의해 돌출된 상태에서는 방열몸체(10)의 해당 부분만이 확장되면서 관통공을 통해 빠져나올 뿐 방열핀(30)에 전달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방열핀(30)의 분리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방열몸체(10)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관통공(12)은 그 직경크기가 10㎚ 내지 1㎜로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다. 이는 직경크기가 1㎜를 초과할 경우에는 방열재(20)의 물리, 화학적 특성으로 인한 경화 작용이 늦어져 제품에 결함이 발생하고, 10㎚ 미만일 경우에는 직경의 크기가 매우 미세하여 페이스트 또는 반고체 물성을 갖는 방열재(20)가 쉽게 돌출되지 못하거나 강한 모멘트를 요구하여 방열몸체(10)에 손상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열몸체(10)의 가장자리에 단면이 호형 형상인 슬릿(14)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상태도로서, 방열장치를 기판 등의 발열대상체에 고정할 경우에 상기 슬릿(14)을 통해 볼트로 발열대상체와 체결하여 방열장치가 유동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장치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방열장치를 제조하는 단계는 크게 질화알루미늄 재질의 방열몸체(10)를 제조하는 단계, 방열몸체(10) 내부로 방열재(20)를 수용시키는 단계, 방열몸체(10)에 수용된 방열재(20)를 관통공(12)을 통해 섬모 형태인 방열핀(30)으로 형성되도록 압착하는 단계 및 방열핀(30)이 형성된 방열몸체(10)를 냉각하는 단계로 나뉘어진다.
질화알루미늄 재질의 방열몸체(10)를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질화알루미늄을 용융하여 사출성형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통체 형상으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12)이 형성되도록 방열몸체(10)를 제조(a 단계)한다.
이때, 상기 방열몸체(10)의 외경 크기는 한정하지는 않으나 비교적 소형화된 장치에 적용할 경우에는 10㎜ 내지 100㎜가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공(12)은 그 직경크기가 10㎚ 내지 1㎜로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다. 이는 직경크기가 1㎜를 초과할 경우에는 방열재(20)의 물리, 화학적 특성으로 인한 경화 작용이 늦어져 제품에 결함이 발생하고, 10㎚ 미만일 경우에는 직경의 크기가 매우 미세하여 페이스트 또는 반고체 물성을 갖는 방열재(20)가 쉽게 돌출되지 못하거나 강한 모멘트를 요구하여 방열몸체(10)에 손상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방열몸체(10) 내부로 방열재(20)를 수용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방열몸체(10)의 내부로 폴리벤족사진(polybenzoxazine)이나 에폭시(epoxy)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열재(20)를 수용(b 단계)한다.
상기 폴리벤족사진과 에폭시를 혼합할 경우 바람직한 혼합비율은 중량%로, 40 - 60 : 40 - 60이다. 이 같은 상기 혼합비율은 가장 바람직한 혼합비율을 나타낸 것이고, 다양한 외적 요인 등에 따라서 상기 혼합비율의 범위는 달라질 수도 있다.
방열몸체(10)에 수용된 방열재(20)를 관통공(12)을 통해 돌출되어 섬모 형태인 방열핀(30)으로 형성되도록 압착하는 단계에서는 방열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방열재(20)가 내부 밀도차에 의해 상기 방열몸체(10)의 관통공(12)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섬모 형태의 방열핀(30)으로 형성되도록 상부에서 가압물을 이용하여 압착(c 단계)한다.
상기 방열핀(30)이 돌출된 길이는 방열몸체(10)의 표면 일단에서부터 대략 1㎜ - 3㎝의 길이가 바람직하며, 상기 방열핀(30)이 접합 또는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방열몸체(10)의 내부로부터 돌출된 상태임에 따라 전도된 열을 방열핀(30)의 손실없이 그대로 전달받아 방열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방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방열핀(30)이 형성된 방열몸체(10)를 냉각하는 단계에서는 페이스트 또는 반고체 물성으로 되어 외부로 돌출된 방열재(20)가 경화됨과 동시에 물성이 향상된 방열핀(30)으로 형성되도록 비교적 저온에서 냉각(d 단계)한다.
이때, 상기 방열핀(3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방열몸체(10)의 일부를 절단하거나 상기 방열재(20)를 방열몸체(10)에 더 수용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열몸체(10)의 외곽에 슬릿(14)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상태도로서, 상기 a)단계의 방열몸체(10)를 가장자리에 볼트체결을 위한 슬릿(14)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슬릿(14)을 형성함에 따라 방열장치를 커버하기 위한 외부케이스에 방열장치를 인입할 경우 또는 방열장치를 발열대상체에 체결하는 경우에 상기 슬릿(14)에 볼트를 끼워 발열대상체나 외부케이스에 체결하여 상기 방열장치가 유동되지 않은 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열장치는 방열몸체로 전달된 열이 용이하게 방열핀으로 전도되어 효과적인 방열이 일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방열장치의 일련의 제조 과정이 종래 보다 간소화되어 제품의 생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0 : 방열몸체 20 : 방열재
12 : 관통공 30 : 방열핀
14 : 슬릿

Claims (6)

  1. 질화알루미늄(AIN)으로 제조되고,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통체로 형성되며, 둘레면에는 설정된 간격으로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다수개의 관통공(12)이 형성된 방열몸체(10);
    상기 방열몸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폴리벤족사진(polybenzoxazine) 또는 에폭시(epoxy)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된 방열재(20);
    상기 방열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방열재(20)가 방열몸체(10)의 개구된 상부에서 가압되는 가압물에 의해 압착되면서 관통공(1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져 형성된 섬모 형태의 방열핀(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2)은 10㎚ - 1㎜의 직경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방열핀(30)은 방열몸체(10) 표면 일단부에서부터 1㎜ - 3㎝의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몸체(10)를 장착대상물에 볼트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해, 방열몸체(10)의 가장자리에는 볼트가 수용되는 슬릿(14)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장치.
  4. 제1 항 기재의 방열장치 제조방법은,
    a) 질화알루미늄을 용융하여 사출성형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통체 형상으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12)이 형성되도록 방열몸체(10)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방열몸체(10) 내부로 폴리벤족사진(polybenzoxazine)이나 에폭시(epoxy)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된 방열재(20)를 수용시키는 단계;
    c) 상기 b)단계를 거친 방열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방열재(20)가 내부 밀도차에 의해 상기 방열몸체(10)의 관통공(12)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섬모 형태의 방열핀(30)으로 형성되도록 개구된 상부를 통해 가압물로 가압하여 압착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관통공을 통해 섬모 형태로 방열핀(30)이 돌출되어 형성된 방열몸체(10)를 냉각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장치 제조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관통공(12)은 10㎚ - 1㎜의 직경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c)단계의 방열핀(30)은 방열몸체(10)의 표면에서부터 1㎜ - 3㎝의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장치 제조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방열몸체(10)는 가장자리에에 볼트체결을 위한 슬릿(14)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장치 제조방법.
KR1020190031660A 2019-03-20 2019-03-20 방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52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60A KR102152164B1 (ko) 2019-03-20 2019-03-20 방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660A KR102152164B1 (ko) 2019-03-20 2019-03-20 방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164B1 true KR102152164B1 (ko) 2020-09-04

Family

ID=7247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660A KR102152164B1 (ko) 2019-03-20 2019-03-20 방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16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4928A (en) 1992-12-18 1998-02-03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System for preventing collision for vehicle
KR200424242Y1 (ko) * 2006-05-15 2006-08-22 한-밍 리 섬유형 방열핀을 구비한 히트싱크 장치
KR100680258B1 (ko) 2003-04-30 2007-02-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마이크로 히트싱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2538U (ko) * 2008-06-03 2009-12-08 혼-엔 첸 고 방열 발광 다이오드 램프
KR101104322B1 (ko) * 2011-04-07 2012-01-13 에스티플렉스 주식회사 탄소섬유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용 방열체의 제조방법
JP2013127875A (ja) * 2011-12-16 201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照明装置の放熱部材
JP2014517440A (ja) * 2011-03-22 2014-07-17 ダウ コーニ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Ledアセンブリ内の熱管理方法
KR20160068685A (ko) * 2014-12-05 2016-06-1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벤족사진 전구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7043070A1 (ja) * 2015-09-09 2017-03-16 株式会社カネカ 熱伝導性樹脂組成物
KR20190011980A (ko) 2017-07-26 2019-02-08 주식회사 오투마 섬모를 이용한 방열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4928A (en) 1992-12-18 1998-02-03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System for preventing collision for vehicle
KR100680258B1 (ko) 2003-04-30 2007-02-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마이크로 히트싱크 및 그 제조방법
KR200424242Y1 (ko) * 2006-05-15 2006-08-22 한-밍 리 섬유형 방열핀을 구비한 히트싱크 장치
KR20090012538U (ko) * 2008-06-03 2009-12-08 혼-엔 첸 고 방열 발광 다이오드 램프
JP2014517440A (ja) * 2011-03-22 2014-07-17 ダウ コーニ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Ledアセンブリ内の熱管理方法
KR101104322B1 (ko) * 2011-04-07 2012-01-13 에스티플렉스 주식회사 탄소섬유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용 방열체의 제조방법
JP2013127875A (ja) * 2011-12-16 201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照明装置の放熱部材
KR20160068685A (ko) * 2014-12-05 2016-06-1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벤족사진 전구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7043070A1 (ja) * 2015-09-09 2017-03-16 株式会社カネカ 熱伝導性樹脂組成物
KR20190011980A (ko) 2017-07-26 2019-02-08 주식회사 오투마 섬모를 이용한 방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966B1 (ko) 방열장치 제조방법
CN104603525B (zh) 光的散热系统,包括其的前灯组件,以及散热方法
US20130294093A1 (en) Lighting apparatus
US20090244899A1 (en) LED Lamp Having Higher Efficiency
WO2010004702A1 (ja) 電球形照明用光源
US20100187963A1 (en) Heat Sink for Passive Cooling of a Lamp
KR101971550B1 (ko) 섬모를 이용한 방열장치
JP4828639B2 (ja) 照明装置
EP2105659A1 (en) LED lamp having higher efficiency
KR101924638B1 (ko) 발광소자 램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072651A (ko) 엘이디 조명 모듈
JP2013175450A (ja) ヒートシンク
KR101319564B1 (ko) 전기전자 기기용 방열구조체
KR101114947B1 (ko)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KR102152164B1 (ko) 방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201634869A (zh) 具有塑膠殼體的戶外發光二極體(led)燈具
KR200450948Y1 (ko) 고효율 엘이디 램프
KR20160008338A (ko) 방열날개 중공형 히트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KR101185469B1 (ko) 삽입형 발광체 방열유닛
KR20230158451A (ko) 열전도성 고분자 히트싱크 경량 방열 구조 및 제조방법
KR102288143B1 (ko) 조명기구용 방열장치
US20170051908A1 (en) Heat dissipation structure for led and led lighting lamp including the same
WO2011124386A1 (en) Heat dissipation structure, led lam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KR101709669B1 (ko) 방열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방열판 및 led 가로등
KR102430404B1 (ko) 방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