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947B1 -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4947B1 KR101114947B1 KR1020110124757A KR20110124757A KR101114947B1 KR 101114947 B1 KR101114947 B1 KR 101114947B1 KR 1020110124757 A KR1020110124757 A KR 1020110124757A KR 20110124757 A KR20110124757 A KR 20110124757A KR 101114947 B1 KR101114947 B1 KR 1011149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housing
- light emitting
- heat sink
- explo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12—Flameproof or explosion-proof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1—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using a combination of separate elements interconnected by heat-conducting means, e.g. with heat pipes or thermally conductive bars between separate heat-sink elements
- F21V29/71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using a combination of separate elements interconnected by heat-conducting means, e.g. with heat pipes or thermally conductive bars between separate heat-sink elements using split or remote units thermally interconnected, e.g. by thermally conductive bars or heat pip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diverging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fan-like or star-like cross-s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방폭등에 있어서, 광원으로 원판 형상을 갖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실장된 형태에서 하부 방열판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과; 원판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형태를 갖고 상기 뚜껑체의 링형 고정편에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를 방열하고 나머지 열은 뚜껑체와 하우징 및 복수의 방열봉으로 전달하는 하부 방열판과; 외주면에 방열면적을 넓히기 위한 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방열판의 상면과 상부 방열판의 저면 사이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을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들의 열을 방열시켜 주는 복수의 방열봉과; 원판 형상을 갖고 상기 방열봉들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과 방열봉들을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들의 열을 방열시켜 줌은 물론 일부 열은 하우징 측으로 전달해 주는 상부 방열판;으로 구성되는 발광다이오드 광원 모듈로 성형하여 상기 뚜껑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방열봉 대신 중앙의 고정봉의 외주면에 수개의 방열핀이 정해진 각도를 두고 방사형으로 돌출 성형된 형태를 갖고 상기 하부 방열판의 상면과 상부 방열판의 저면 사이에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을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들의 열을 방열시켜 주는 히트 파이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방폭등 자체의 방열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 방폭등에서 사용되는 광원에 비해 고효율이면서 에너지는 절감할 수 있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방폭등 자체의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종래 방폭등의 하우징 및 뚜껑체 등을 그대로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을 형성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 LED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시간에 방열시킬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고, 교체 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자체의 호환성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방폭등 자체의 방열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 방폭등에서 사용되는 광원에 비해 고효율이면서 에너지는 절감할 수 있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방폭등 자체의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종래 방폭등의 하우징 및 뚜껑체 등을 그대로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을 형성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 LED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시간에 방열시킬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고, 교체 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자체의 호환성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의 폭발 위험성이 있는 곳에서도 안전하게 조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조되는 방폭등의 하우징 및 뚜껑체 등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종래 방폭등에서 사용하던 메탈 할라이드나 수은 또는 나트륨 등의 광원 대신 발광다이오드(LED) 광원 모듈로 대체하는 구성으로 변경하여 기존 방폭등에서 사용되는 광원에 비해 고효율이면서 에너지는 절감할 수 있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LED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시간에 방열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켜 교체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연성 가스 및 증기 또는 분진에 의한 폭발 위험 분위기가 형성되는 곳이나 각종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는 공장 등은 상시 위험성이 상존하는 지역이다.
이러한 위험 지역은 NEC(National Electric Code) 또는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tte)에서 위험 상태에 따라 위험 장소를 대략 0종, 1종, 2종 장소로 구분하여 분류하고 있는데, 이러한 위험 지역 중 0종과 1종 장소는 항상 화재, 폭발 및 열 발생으로 인한 위험성이 높아, 사용되는 전기기구는 대개 방폭 구조를 가지도록 규정되어 있다.
한편, 폭발성 가스는 조명기구를 점멸할 때 일어나는 팽창과 수축에 의해 생긴 작은 틈새로 침투할 수 있어 기구를 밀폐하더라도 방폭의 효과를 얻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방폭등은 기구 내부에 폭발성 가스가 침투해서 폭발을 일으키더라도 인화되지 않도록 주위에 공기가 불활성 가스를 유입시킨 것이며, 이러한 방폭등은 일반적으로 백열등, 형광등, 삼파장등 등을 광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크기가 크고 전력소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형광등과 같은 방전등을 광원으로 사용할 경우 방폭등은 과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안정기를 사용하고 있는바, 부피가 커지고 전력소모가 많으며, 종종 설치 장소가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장소 등 설치 환경적 요인에 의해 불안정한 상태에 노출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방폭등은 광원과 안정기의 방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과열로 인해 수명이 단축되고 매우 위험한 상황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폭등은 통상 고압 수은등, 고압 나트륨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과 같이 유리구를 구비하는 램프를 구비하고, 과열 등에 의한 스파크 발생시 램프의 폭발이 2차 폭발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내압 케이싱이 구비된다.
상기 내압 케이싱은 용기 내부에서 램프의 전기 스파크 등으로 폭발성 가스 또는 증기가 폭발했을 때 용기가 그 압력에 견디는 내압력을 가지며, 접합면, 개구부 등을 통해 외부의 폭발성 가스에 인화될 우려가 없는 기밀이 요구된다.
또한, 방폭등의 케이싱은 금속재로 되는 케이싱 본체에 유리 글로브 또는 강화유리가 긴밀하게 결착되는 구조로 되고 유리 글로브 또는 강화유리 외부에는 보호망이 형성되는 견고한 구조로 된다.
또한, 램프가 유리구를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유리 글로브 또는 강화유리가 유리구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내부공간을 확보해야 되고, 유리구 폭발시의 파괴력에 대한 내 압력을 가져야 되므로 글로브 또는 강화유리를 포함하는 케이싱 전체의 두께가 두껍고 크기가 큰 육중한 형태의 방폭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램프가 열발광 특성에 의하여 빛을 발하므로 열로 인한 스파크 발생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램프 교체가 빈번하고, 램프교체시에는 상기 육중한 구조의 케이싱을 개폐해야 되므로 램프교체 작업 및 취급이 대단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발광다이오드의 경우에는 열발광이 아닌 반도체의 p-n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캐리어(전자 또는 정공)를 만들어내고, 이들의 재결합(再結合)에 의하여 발광이 이루어짐으로써 열에 의한 램프의 스파크 발생위험이 거의 없고, 따라서 엘이디램프를 이용하여 방폭등을 구성한다면 강한 내압구조가 불필요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는 방폭등이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910539호와 10-1072178호 및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6648호 등 다량으로 제시된 바 있으나, 방폭등 하우징을 그대로 이용할 수 없고, 새로운 하우징을 제작해야 하여 방폭등 전체를 모두 교체해야 하는 경제상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복잡하며 방열성능이 뒷받침되지 못하여 조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수명이 짧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가스의 폭발 위험성이 있는 곳에서도 안전하게 조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조되는 방폭등의 하우징 및 뚜껑체 등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종래 방폭등에서 사용하던 메탈 할라이드나 수은 또는 나트륨 등의 광원 대신 발광다이오드(LED) 광원 모듈로 대체하는 구성으로 변경하되, 발광다이오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고정용 하부 방열판을 포함하여 복수의 방열봉 또는 히트 파이프 및 상부 방열판을 알루미늄 합금이나 상기 알루미늄 합금보다 중량이 가볍고 방열 특성이 좋은 마그네슘(Mg) 합금 또는 카본 알루미늄(carbonic aluminum) 복합소재 등으로 성형하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방폭등의 하우징 및 뚜껑체 형상은 종래와 동일하게 성형하되, 그 재질을 알루미늄이 아닌 탄소나노튜브(CNT)가 함유된 전도성/고분자 방열 수지재인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로 성형하여 줌으로써 방폭등 자체의 방열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 방폭등에서 사용되는 광원에 비해 고효율이면서 에너지는 절감할 수 있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방폭등 자체의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종래 방폭등의 하우징 및 뚜껑체 등을 그대로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을 형성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 LED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시간에 방열시킬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교체 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특히 제품 자체의 호환성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전선 통과겸 탑 커버 설치봉이 중앙에 돌출 형성되고, 저면 일측부와 주연부에는 뚜껑체 걸림구와 복수개의 스크류 체결구가 구비된 반구 형상의 하우징과; 링형 고정판이 일체로 구비됨은 물론 주연부에는 상기 뚜껑체 걸림구에 걸려진 상태에서 힌지 작용을 수행하는 힌지편과 복수개의 스크류 결합구가 돌출 형성된 뚜껑체와; 주연부에 형성된 링형 고정편이 상기 뚜껑체의 링형 고정판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용 브라켓과 복수의 스크류를 통해 뚜껑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강화유리와; 상기 하우징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을 발생하는 광원과; 상기 하우징의 전선 통과겸 탑 커버 설치봉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탑 커버;로 구성된 방폭등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 원판 형상을 갖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실장된 형태에서 하부 방열판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과; 원판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형태를 갖고 상기 뚜껑체의 링형 고정편에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를 방열하고 나머지 열은 뚜껑체와 하우징 및 복수의 방열봉으로 전달하는 하부 방열판과; 외주면에 방열면적을 넓히기 위한 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방열판의 상면과 상부 방열판의 저면 사이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을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들의 열을 방열시켜 주는 복수의 방열봉과; 원판 형상을 갖고 상기 방열봉들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과 방열봉들을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들의 열을 방열시켜 줌은 물론 일부 열은 하우징 측으로 전달해 주는 상부 방열판;으로 구성되는 발광다이오드 광원 모듈로 성형하여 상기 뚜껑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전선 통과겸 탑 커버 설치봉이 중앙에 돌출 형성되고, 저면 일측부와 주연부에는 뚜껑체 걸림구와 복수개의 스크류 체결구가 구비된 반구 형상의 하우징과; 링형 고정판이 일체로 구비됨은 물론 주연부에는 상기 뚜껑체 걸림구에 걸려진 상태에서 힌지 작용을 수행하는 힌지편과 복수개의 스크류 결합구가 돌출 형성된 뚜껑체와; 주연부에 형성된 링형 고정편이 상기 뚜껑체의 링형 고정판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용 브라켓과 복수의 스크류를 통해 뚜껑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강화유리와; 상기 하우징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을 발생하는 광원과; 상기 하우징의 전선 통과겸 탑 커버 설치봉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탑 커버;로 구성된 방폭등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 원판 형상을 갖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실장된 형태에서 하부 방열판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과; 원판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형태를 갖고 상기 뚜껑체의 링형 고정편에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를 방열하고 나머지 열은 뚜껑체와 하우징 및 히트 파이프로 전달하는 하부 방열판과; 중앙의 고정봉의 외주면에 수개의 방열핀이 정해진 각도를 두고 방사형으로 돌출 성형된 형태를 갖고 상기 하부 방열판의 상면과 상부 방열판의 저면 사이에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을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들의 열을 방열시켜 주는 히트 파이프와; 원판 형상을 갖고 상기 히트 파이프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과 히트 파이프를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들의 열을 방열시켜 줌은 물론 일부 열은 하우징 측으로 전달해 주는 상부 방열판;으로 구성되는 발광다이오드 광원 모듈로 성형하여 상기 뚜껑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두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는 발광다이오드 광원 모듈의 상부 방열판과 하우징 자체가 면 접촉되어 열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열판 삽입 또는 평면 접촉부를 더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두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에는 내,외부 공기가 상호 순환됨은 물론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팽창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수개의 내,외부 공기 순환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의 저면 주연부에는 뚜껑체를 통해 전달되는 열에 대한 방열효과를 증대시켜 주기 위해 날개형 방열핀들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두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방열판과 복수의 방열봉 또는 히트 파이프 및 상부 방열판은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또는 카본 알루미늄 복합소재 중 어느 한 소재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알루미늄 합금은 열 확산 계수가 0.6-0.84[㎠/sec] 정도이고, 열 전도도는 220-240[W/m.K] 정도이며, 밀도는 2.7[g/㎤] 정도이고, 용융온도가 600-660[℃] 정도이며, 비열은 0.9[J/g.K]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마그네슘(Mg) 합금은 열 확산 계수가 1.3-1.4[㎠/sec] 정도이고, 열 전도도는 60-90[W/mK] 정도이며, 밀도는 1.8±0.3[g/㎤] 정도이고, 용융온도가 595[℃] 정도이며, 비열은 1.02-1.05[J/gK]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본 알루미늄 복합소재는 카본 덩어리를 800-900℃의 로에 넣고 가열하여 소정 체적을 갖는 압축 성형 금형 내에 넣고, 알루미늄 용융물을 압축 성형 금형 내로 부어 넣고 프레스를 이용 가압시켜 알루미늄 용융물이 카본에 형성된 공극 내로 합침되게 한 다음 소성 후 카본의 외부에서 경화된 알루미늄은 제거하고 공극 내로 알루미늄이 함침된 상태를 갖는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를 소정 체적 및 부피를 갖는 원판형 상,하부 방열판이나 방열봉 또는 히트 파이프 형태로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는 열 확산 계구가 2.40-2.55[㎠/sec] 정도이고, 열 전도도는 415-425[W/mk] 정도이며, 밀도는 2.3-2.3[g/㎤]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일 실시 예에 적용된 상기 상,하부 방열판의 저면 및 상면에는 각각 수개의 방열봉 안치홈을 정해진 각격을 두고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일 실시 예에 적용된 상기 상,하부 방열판과 복수의 방열봉은 각각 복수개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호 일체로 고정하거나, 또는 각각의 접촉부에 열 경화성 접착제를 투입하여 상호 일체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는 하부 방열판의 상면 또는 상부 방열판의 저면에 복수의 방열봉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다이케스팅을 통해 성형하고, 방열봉이 구비되지 않은 상부 방열판 또는 하부 방열판을 방열봉들의 상단부 또는 저단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뚜껑체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는, 탄소나노튜브(CNT)가 함유된 전도성/고분자 방열 수지재로, 그의 열 확산 계수는 0.7-1.4[㎠/sec] 정도이고, 열 전도도는 90-150 [W/mK] 정도이며, 밀도는 1.4± 0.3[g/㎤] 정도이고, 용융온도는 106-160[℃] 정도이며, 비열은 1.1± 0.4[J/gK]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에 의하면, 종래 방폭등의 하우징 및 뚜껑체 등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종래 방폭등에서 사용하던 메탈 할라이드나 수은 또는 나트륨 등의 광원 대신 발광다이오드(LED) 광원 모듈로 대체하는 구성으로 변경하되, 발광다이오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고정용 하부 방열판을 포함하여 복수의 방열봉 또는 히트 파이프 및 상부 방열판을 알루미늄 합금이나 상기 알루미늄 합금보다 중량이 가볍고 방열 특성이 좋은 마그네슘(Mg) 합금 또는 카본 알루미늄(carbonic aluminum) 복합소재 등으로 성형하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방폭등의 하우징 및 뚜껑체 형상은 종래와 동일하게 성형하되, 그 재질을 알루미늄이 아닌 탄소나노튜브(CNT)가 함유된 전도성/고분자 방열 수지재인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로 성형하여 줌으로써 방폭등 자체의 방열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 방폭등에서 사용되는 광원에 비해 고효율이면서 에너지는 절감할 수 있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방폭등 자체의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종래 방폭등의 하우징 및 뚜껑체 등을 그대로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을 형성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 LED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시간에 방열시킬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고, 교체 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자체의 호환성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방폭등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방폭등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의 종단면도.
도 4 및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중 발광다이오드 광원 모듈의 결합상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방폭등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방폭등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의 종단면도.
도 4 및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중 발광다이오드 광원 모듈의 결합상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방폭등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의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방폭등의 결합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방폭등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 및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중 발광다이오드 광원 모듈의 결합상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방폭등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전선 통과겸 탑 커버 설치봉(11)이 중앙에 돌출 형성되고, 저면 일측부와 주연부에는 뚜껑체 걸림구(12)와 복수개의 스크류 체결구(13)가 구비된 반구 형상의 하우징(1)과; 링형 고정판(21)이 일체로 구비됨은 물론 주연부에는 상기 뚜껑체 걸림구(12)에 걸려진 상태에서 힌지 작용을 수행하는 힌지편(22)과 복수개의 스크류 결합구(23)가 돌출 형성된 뚜껑체(2)와; 주연부에 형성된 링형 고정편(41)이 상기 뚜껑체(2)의 링형 고정판(21)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용 브라켓(3)과 복수의 스크류(7)를 통해 뚜껑체(2)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반구형 강화유리(4)와; 상기 하우징(1)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을 발생하는 광원(5)과; 상기 하우징(1)의 전선 통과겸 탑 커버 설치봉(11)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탑 커버(6);로 구성된 방폭등에 있어서,
상기 광원(5)으로,
원판 형상을 갖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52)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실장된 형태에서 하부 방열판(53)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51)과;
원판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형태를 갖고 상기 뚜껑체(2)의 링형 고정편(41)에 스크류(7)를 통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52)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를 방열하고 나머지 열은 뚜껑체(2)와 하우징(1) 및 복수의 방열봉(54)으로 전달하는 하부 방열판(53)과;
외주면에 방열면적을 넓히기 위한 요철부(541)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방열판(53)의 상면과 상부 방열판(55)의 저면 사이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53)을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52)들의 열을 방열시켜 주는 복수의 방열봉(54)과;
원판 형상을 갖고 상기 방열봉(54)들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53)과 방열봉(54)들을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52)들의 열을 방열시켜 줌은 물론 일부 열은 하우징(1) 측으로 전달해 주는 상부 방열판(55);으로 구성되는 발광다이오드 광원 모듈(50)로 성형하여 상기 뚜껑체(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전선 통과겸 탑 커버 설치봉(11)이 중앙에 돌출 형성되고, 저면 일측부와 주연부에는 뚜껑체 걸림구(12)와 복수개의 스크류 체결구(13)가 구비된 반구 형상의 하우징(1)과; 링형 고정판(21)이 일체로 구비됨은 물론 주연부에는 상기 뚜껑체 걸림구(12)에 걸려진 상태에서 힌지 작용을 수행하는 힌지편(22)과 복수개의 스크류 결합구(23)가 돌출 형성된 뚜껑체(2)와; 주연부에 형성된 링형 고정편(41)이 상기 뚜껑체(2)의 링형 고정판(21)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용 브라켓(3)과 복수의 스크류(7)를 통해 뚜껑체(2)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반구형 강화유리(4)와; 상기 하우징(1)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을 발생하는 광원(5)과; 상기 하우징(1)의 전선 통과겸 탑 커버 설치봉(11)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탑 커버(6);로 구성된 방폭등에 있어서,
상기 광원(5)으로,
원판 형상을 갖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52)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실장된 형태에서 하부 방열판(53)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51)과;
원판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형태를 갖고 상기 뚜껑체(2)의 링형 고정편(41)에 스크류(7)를 통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52)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를 방열하고 나머지 열은 뚜껑체(2)와 하우징(1) 및 히트 파이프(56)로 전달하는 하부 방열판(53)과;
중앙의 고정봉(561)의 외주면에 수개의 방열핀(562)이 정해진 각도를 두고 방사형으로 돌출 성형된 형태를 갖고 상기 하부 방열판(53)의 상면과 상부 방열판(55)의 저면 사이에 스크류(7)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53)을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52)들의 열을 방열시켜 주는 히트 파이프(56)와;
원판 형상을 갖고 상기 히트 파이프(56)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53)과 히트 파이프(56)를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52)들의 열을 방열시켜 줌은 물론 일부 열은 하우징(1) 측으로 전달해 주는 상부 방열판(55);으로 구성되는 발광다이오드 광원 모듈(50)로 성형하여 상기 뚜껑체(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두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의 내측 상부에는 발광다이오드 광원 모듈(50)의 상부 방열판(55)과 하우징(1) 자체가 면 접촉되어 열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열판 삽입 또는 평면 접촉부(14)를 더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두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2)에는 내,외부 공기가 상호 순환됨은 물론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팽창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수개의 내,외부 공기 순환공(24)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2)의 저면 주연부에는 뚜껑체를 통해 전달되는 열에 대한 방열효과를 증대시켜 주기 위해 수개의 날개형 방열핀(25)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두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방열판(53)과 복수의 방열봉(54) 또는 히트 파이프(56) 및 상부 방열판(55)은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또는 카본 알루미늄 복합소재 중 어느 한 소재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알루미늄 합금은 열 확산 계수가 0.6-0.84[㎠/sec] 정도이고, 열 전도도는 220-240[W/m.K] 정도이며, 밀도는 2.7[g/㎤] 정도이고, 용융온도가 600-660[℃] 정도이며, 비열은 0.9[J/g.K]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마그네슘(Mg) 합금은 열 확산 계수가 1.3-1.4[㎠/sec] 정도이고, 열 전도도는 60-90[W/mK] 정도이며, 밀도는 1.8±0.3[g/㎤] 정도이고, 용융온도가 595[℃] 정도이며, 비열은 1.02-1.05[J/gK]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본 알루미늄 복합소재는 카본 덩어리를 800-900℃의 로에 넣고 가열하여 소정 체적을 갖는 압축 성형 금형 내에 넣고, 알루미늄 용융물을 압축 성형 금형 내로 부어 넣고 프레스를 이용 가압시켜 알루미늄 용융물이 카본에 형성된 공극 내로 합침되게 한 다음 소성 후 카본의 외부에서 경화된 알루미늄은 제거하고 공극 내로 알루미늄이 함침된 상태를 갖는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를 소정 체적 및 부피를 갖는 원판형 상,하부 방열판(55)(53)이나 방열봉(54) 또는 히트 파이프(56) 형태로 가동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는 열 확산 계구가 2.40-2.55[㎠/sec] 정도이고, 열 전도도는 415-425[W/mk] 정도이며, 밀도는 2.3-2.3[g/㎤]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적용된 상기 상,하부 방열판(55)(53)의 저면 및 상면에는 각각 수개의 방열봉 안치홈(552)(532)을 정해진 각격을 두고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적용된 상기 상,하부 방열판(55)(53)과 복수의 방열봉(54)은 각각 복수개의 스크류(7)를 이용하여 상호 일체로 고정하거나, 또는 각각의 접촉부에 열 경화성 접착제(8)를 투입하여 상호 일체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는 하부 방열판(53)의 상면 또는 상부 방열판(55)의 저면에 복수의 방열봉(54)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다이케스팅을 통해 성형하고, 방열봉(54)이 구비되지 않은 상부 방열판(55) 또는 하부 방열판(53)을 방열봉(54)들의 상단부 또는 저단부에 스크류(7) 또는 열 전도성 접착제(8)를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 및 뚜껑체(2)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는, 탄소나노튜브(CNT)가 함유된 전도성/고분자 방열 수지재로, 그의 열 확산 계수는 0.7-1.4[㎠/sec] 정도이고, 열 전도도는 90-150 [W/mK] 정도이며, 밀도는 1.4± 0.3[g/㎤] 정도이고, 용융온도는 106-160[℃] 정도이며, 비열은 1.1± 0.4[J/gK]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551, 531은 상,하부 방열판(55)(53)에 각각 형성된 전선 통과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반구 형상의 하우징(1)과 뚜껑체(2), 반구형 강화유리(4), 광원(5) 및 탑 커버(6)로 구성된 공지의 방폭등에 있어서, 상기 광원(5)으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52)와, 하나 또는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51), 하부 방열판(53), 복수의 방열봉(54) 및 상부 방열판(55)으로 구성되는 발광다이오드 광원 모듈(50)로 성형하여 상기 뚜껑체(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한 일 실시 예의 구성요소 중 복수의 방열봉(54) 대신 히트 파이프(56)를 설치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두 실시 예 모두에서 공지된 방폭등의 구성부품 중 하우징(1)은 기본적으로 반구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것으로, 그 중앙 상부에는 전선 통과겸 탑 커버 설치봉(11)이 형성되고, 저면 일측부와 주연부에는 뚜껑체 걸림구(12)와 복수개의 스크류 체결구(13)가 구비된 형태를 갖고 방폭등의 본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뚜껑체(2)는 하우징(1)의 저면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링형 고정판(21)이 일체로 구비됨은 물론 주연부에는 상기 뚜껑체 걸림구(12)에 걸려진 상태에서 힌지 작용을 수행하는 힌지편(22)과 복수개의 스크류 결합구(23)가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반구 형상을 갖는 상기 강화유리(4)는 가스의 폭발시 광원 등과 같은 내부 구성품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주연부에 형성된 링형 고정편(41)이 상기 뚜껑체(2)의 링형 고정판(21)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용 브라켓(3)과 복수의 스크류(7)를 통해 뚜껑체(2)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광원(5)은 하우징(1)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을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탑 커버(6)는 하우징(1)의 전선 통과겸 탑 커버 설치봉(11)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우징 내의 기밀을 유지시켜 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두 실시 예에서 방폭등의 광원(5)으로 제시된 발광다이오드 광원 모듈(50)의 구성요소 중, 하나 또는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51)은 뚜껑체(2)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판 형상을 갖도록 알루미늄으로 성형된 형태를 갖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52)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실장된 형태에서 후술하는 하부 방열판(53)의 저면에 복수의 스크류 또는 열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51)에 실장되는 발광다이오드(52)들은 방폭등의 출력에 따라 설치개수 및 최대 출력이 정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종래 최대 250W급 방폭등의 경우 100W급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면 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각각의 발광다이오드(52)에서 조사되는 빛을 원하는 각도로 고르게 분산시켜 주기 위한 렌즈를 발광다이오드에 일체로 더 설치하거나 또는 비교적 크게 형성한 하나의 렌즈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두 실시 예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하부 방열판(53)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또는 카본 알루미늄 복합소재 중 어느 한 소재를 이용하여 원판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형태를 갖고 상기 뚜껑체(2)의 링형 고정편(41)에 스크류(7)를 통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52)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를 1차적으로 방열하고 나머지 열은 뚜껑체(2)와 하우징(1) 및 복수의 방열봉(54) 또는 히트 파이프(56)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두 실시 예 중 일 실시 예에서 적용한 복수의 방열봉(54)도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또는 카본 알루미늄 복합소재 중 어느 한 소재를 이용하여 외주면에 방열면적을 넓히기 위한 요철부(541)를 구비한 원봉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열봉(54)들은 상기 하부 방열판(53)의 상면과 상부 방열판(55)의 저면 사이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배치된 다음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스크류(7)를 통해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도 4와 같이 열 전도성 접착제(8)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53)을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52)들의 2차적으로 열을 방열시켜 줌은 물론 일부 열은 상부 방열판(55) 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두 실시 예 중 다른 실시 예에서 적용한 히트 파이프(56) 역시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또는 카본 알루미늄 복합소재 중 어느 한 소재를 이용하여 중앙의 고정봉(561)의 외주면에 방열면적을 넓히기 위한 수개의 방열핀(562)이 정해진 각도를 두고 방사형으로 돌출 성형한 것이다.
이와 같은 히트 파이프(56)는 상기 하부 방열판(53)의 상면과 상부 방열판(55)의 저면 사이에 배치된 다음 도 7과 같이 스크류(7)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53)을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52)들의 2차적으로 열을 방열시켜 줌은 물론 일부 열은 상부 방열판(55) 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두 실시 예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상부 방열판(55)은 전술한 하부 방열판(53)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또는 카본 알루미늄 복합소재 중 어느 한 소재를 이용하여 원판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으로, 상기 방열봉(54)들의 상단부에 스크류(7) 또는 열 전도성 접착제(8)를 통해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히트 파이프(56)의 상면에 스크류(7)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53)과 방열봉(54)들 또는 히트 파이프(56)를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52)들의 열을 3차 방열시켜 줌은 물론 일부 열은 하우징(1) 측으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의 내면을 종래와 같이 단순히 반구형 형태를 갖도록 성형할 경우 원판 형상을 갖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광원 모듈(50)의 상부 방열판(55)과 하우징(1)의 내측면이 선 접촉되거나 아예 접촉되지 않아 상기 상,하부 방열판(55)(53)과 복수의 방열봉(54)을 통해 전달되어 오는 발광다이오드(52)의 열을 하우징(1) 측으로 전달시킬 수 없어 방열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두 실시 예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하우징(1)의 내측 상부에 방열판 삽입 또는 평면 접촉부(14)를 더 성형하여 줌으로써 상기 발광다이오드 광원 모듈(50)의 상부 방열판(55)과 하우징(1) 자체가 방열판 삽입 또는 평면 접촉부(14)를 통해 면 접촉되어 열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므로 발광다이오드(52)들에 대한 방열효과를 4-5차에 걸쳐 실시할 수 있어 방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방폭등의 하우징(1)과 뚜껑체(2)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킬 경우 발광다이오드(52)들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뚜껑체(2)에 의해 막혀진 하우징(1)의 내부 공기가 팽창되어 방열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두 실시 예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뚜껑체(2)의 주연부에 수개의 내,외부 공기 순환공(24)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천공하여 줌으로써 하우징(1)의 내,외부 공기가 상기 내,외부 공기 순환공(24)들을 통해 상호 순환되며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팽창된 공기가 외부로 자동 방출되게 되므로 방열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뚜껑체(2)의 저면 주연부에 수개의 날개형 방열핀(25)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하여 줌으로써 뚜껑체(2)를 통해 전달되는 열에 대한 방열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두 실시 예 모두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방열판(53)과 복수의 방열봉(54) 또는 히트 파이프(56) 및 상부 방열판(55)을,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또는 카본 알루미늄 복합소재 중 어느 한 소재를 이용하여 성형하였는데, 이때 상기 알루미늄 합금은 열 확산 계수가 0.6-0.84[㎠/sec] 정도이고, 열 전도도는 220-240[W/m.K] 정도이며, 밀도는 2.7[g/㎤] 정도이고, 용융온도가 600-660[℃] 정도이며, 비열은 0.9[J/g.K]을 나타나게 된다.
이에 반하여, 상기 마그네슘(Mg) 합금은 열 확산 계수가 1.3-1.4[㎠/sec] 정도이고, 열 전도도는 60-90[W/mK] 정도이며, 밀도는 1.8±0.3[g/㎤] 정도이고, 용융온도가 595[℃] 정도이며, 비열은 1.02-1.05[J/gK]을 나타내게 되며, 또한 상기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는 열 확산 계구가 2.40-2.55[㎠/sec] 정도이고, 열 전도도는 415-425[W/mk] 정도이며, 밀도는 2.3-2.3[g/㎤]를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방열판(53)과 복수의 방열봉(54) 및 상부 방열판(55)을, 알루미늄 합금으로 성형하는 것에 비해 마그네슘 합금 또는 카본 알루미늄 복합소재 중 어느 한 소재로 성형하게 되면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하부 방열판(53)과 복수의 방열봉(54) 및 상부 방열판(55)을 마그네슘 합금 또는 카본 알루미늄 복합소재로 성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부 방열판(53)과 복수의 방열봉(54) 또는 히트 파이프(56) 및 상부 방열판(55)을 마그네슘(Mg) 합금으로 성형하게 되면, 밀도와 비열이 각각 1.8±0.3[g/㎤]와 1.02-1.05[J/gK]을 갖게 되므로 밀도와 비열이 각각 2.7[g/㎤]와 0.9[J/gK]를 갖는 알루미늄 합금보다 작고, 또 열 확산 계수는 0.6-0.84[㎠/sec]인 알루미늄과 달리 1.3-1.4[㎠/sec]로 높으며, 또한 열 전도도에 있어서는 220-240[W/mK]를 갖는 알루미늄에 비해 60-90[W/mK]로 낮은 특성을 갖게 되므로 알루미늄 합금으로 성형하는 것보다 경량화와 소형화가 가능하게 됨은 물론 열 방출 성능 역시 좋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방열판(53)과 복수의 방열봉(54) 또는 히트 파이프(56) 및 상부 방열판(55)을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로 성형하게 되면, 밀도가 2.3-2.3[g/㎤]와 1.02-1.05[J/gK]을 갖게 되므로 밀도가 2.7[g/㎤]를 갖는 알루미늄 합금보다 매우 작고, 또 열 확산 계수는 0.6-0.84[㎠/sec]인 알루미늄과 달리 2.40-2.55[㎠/sec]로 약 3배 정도 높으며, 또한 열 전도도에 있어서는 220-240[W/mK]를 갖는 알루미늄에 비해 415-425[W/mk]로 약 2배 정도 높은 특성을 갖게 되므로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으로 성형하는 것보다 더 경량화와 소형화가 가능하게 됨은 물론 열 방출 성능 역시 알루미늄 합금보다 2-3배 더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본 알루미늄 복합소재는 소정 중량 및 체적을 갖는 카본 덩어리를 도시 생략한 800-900℃의 로에 넣고 가열한 후, 이를 압축 성형 금형 내로 옮겨 넣은 후 알루미늄 용융물을 상기와 같이 카본 덩어리가 들어 있는 압축 성형 금형 내로 부어 넣은 다음 프레스를 이용 가압시켜 알루미늄 용융물이 카본에 자체적으로 형성된 공극 내로 합침되게 한 후, 소성을 한 다음 카본의 외부에서 경화된 알루미늄을 절단해내고 공극 내로 알루미늄이 고르게 함침된 상태를 갖는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를 소정 체적 및 부피를 갖는 원판형 상,하부 방열판(55)(53)이나 방열봉(54) 또는 히트 파이프(56)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하부 방열판(55)(53)을 단순한 원판 형상으로 성형하지 않고 각각의 저면 및 상면에는 각각 수개의 방열봉 안치홈(552)(532)을 정해진 각격을 두고 더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방열봉(54)들을 상,하부 방열판(55)(53) 사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시키고 스크류(7) 또는 열 전도성 접착제(8)를 이용하여 상호 일체로 고정시킬 때 방열봉(54)들의 상,하 단부가 상,하부 방열판(55)(53)에 형성된 수개의 방열봉 안치홈(552)(532)에 각각 끼워져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 상호 조립과정 중 방열봉(54)들이 상,하부 방열판(55)(53)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립성이 매우 좋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51)을 하부 방열판(53)에 접착시켜 주거나, 상,하부 방열판(55)(53)과 복수의 방열봉(54)들의 접촉부를 각각 일체로 고정시켜 주기 위해 사용되는 열 경화성 접착제(8)는 열전도가 마그네슘 합금이나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보다는 높고 알루미늄 합금보다는 약 20% 정도 낮은 특성을 갖고 있어 발광다이오드(52)에서 발생되는 열을 하부 방열판(53)을 통해 복수의 방열봉(54) 또는 히트 파이프(56) 및 상부 방열판(55) 등으로 빠르게 전달시킬 수 있어 각각의 구성품에서 열을 대기중으로 빨리 방사시켜 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품들에 대한 방열 효율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각각의 구성품이 일체로 고정 설치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상기 하부 방열판(53)과 복수의 방열봉(54) 및 상부 방열판(55)을 각각 별도로 성형하여 상호 결합시킨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는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필요에 따라서는 하부 방열판(53)의 상면 또는 상부 방열판(55)의 저면에 도 5의 (a)(b)와 같이, 각각 복수의 방열봉(54)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다이케스팅을 통해 성형하고, 방열봉(54)이 구비되지 않은 상부 방열판(55) 또는 하부 방열판(53)을 방열봉(54)들의 상단부 또는 저단부에 스크류(7) 또는 열 전도성 접착제(8)를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공정과 시간 및 인건비 등의 절감을 통해 제품의 제조원가를 점감시킬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두 실시 예 모두에서 상기 하우징(1) 및 뚜껑체(2)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합금 등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로 성형할 수도 있다.
이때,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는, 탄소나노튜브(CNT)가 함유된 전도성/고분자 방열 수지재로, 그의 열 확산 계수는 0.7-1.4[㎠/sec] 정도이고, 열 전도도는 90-150 [W/mK] 정도이며, 밀도는 1.4± 0.3[g/㎤] 정도이고, 용융온도는 106-160[℃] 정도이며, 비열은 1.1± 0.4[J/gK]를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1) 및 뚜껑체(2)를 탄소나노튜브(CNT)가 함유된 전도성/고분자 방열 수지재인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로 성형하게 되면 종래 알루미늄 합금으로 성형한 상기 하우징(1) 및 뚜껑체(2)보다 적은 표면적으로도 열전자의 대기 방출 성능이 높게 되어 알루미늄 합금으로 성형하는 것보다 대폭 경량화 및 소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 방폭등의 하우징 및 뚜껑체 등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종래 방폭등에서 사용하던 메탈 할라이드나 수은 또는 나트륨 등의 광원 대신 발광다이오드(LED) 광원 모듈로 대체하는 구성으로 변경하되, 발광다이오드(52)가 실장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인쇄회로기판(51) 고정용 하부 방열판(53)을 포함하여 복수의 방열봉(54) 또는 히트 파이프(56) 및 상부 방열판(55)을 알루미늄 합금이나 상기 알루미늄 합금보다 중량이 가볍고 방열 특성이 좋은 마그네슘(Mg) 합금 또는 카본 알루미늄(carbonic aluminum) 복합소재 등으로 성형하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방폭등의 하우징(1) 및 뚜껑체(2) 형상은 종래와 동일하게 성형하되, 그 재질을 알루미늄이 아닌 탄소나노튜브(CNT)가 함유된 전도성/고분자 방열 수지재인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로 성형하여 줌으로써 방폭등 자체의 방열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 방폭등에서 사용되는 광원에 비해 고효율이면서 에너지는 절감할 수 있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방폭등 자체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고, 또 종래 방폭등의 하우징 및 뚜껑체 등을 그대로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을 형성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LED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시간에 방열시킬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고, 교체 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자체의 호환성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하우징
11 : 전선 통과겸 탑 커버 설치봉 12 : 뚜껑체 걸림구
13 : 스크류 체결구 14 : 방열판 삽입 또는 평면 접촉부
2 : 뚜껑체 21 : 링형 고정판
22 : 힌지편 23 : 스크류 결합구
24 : 내,외부 공기 순환공 25 : 날개형 방열핀
3 : 고정용 브라켓
4 : 강화유리 41 : 링형 고정편
5 : 광원 50 : 광다이오드 광원 모듈
51 : 인쇄회로기판 52 : 발광다이오드
53 : 하부 방열판 531, 551 : 전선 통과공
54 : 방열봉 541 : 요철부
55 : 상부 방열판 552, 532 : 방열봉 안치홈
56 : 히트 파이프 561 : 고정봉
562 : 방열핀
6 : 탑 커버
7 : 스크류
8 : 열 전도성 접착제
11 : 전선 통과겸 탑 커버 설치봉 12 : 뚜껑체 걸림구
13 : 스크류 체결구 14 : 방열판 삽입 또는 평면 접촉부
2 : 뚜껑체 21 : 링형 고정판
22 : 힌지편 23 : 스크류 결합구
24 : 내,외부 공기 순환공 25 : 날개형 방열핀
3 : 고정용 브라켓
4 : 강화유리 41 : 링형 고정편
5 : 광원 50 : 광다이오드 광원 모듈
51 : 인쇄회로기판 52 : 발광다이오드
53 : 하부 방열판 531, 551 : 전선 통과공
54 : 방열봉 541 : 요철부
55 : 상부 방열판 552, 532 : 방열봉 안치홈
56 : 히트 파이프 561 : 고정봉
562 : 방열핀
6 : 탑 커버
7 : 스크류
8 : 열 전도성 접착제
Claims (10)
-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체와; 상기 뚜껑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강화유리와; 상기 하우징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을 발생하는 광원;으로 구성된 방폭등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
원판 형상을 갖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실장된 형태에서 하부 방열판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과;
원판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형태를 갖고 상기 뚜껑체의 링형 고정편에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를 방열하고 나머지 열은 뚜껑체와 하우징 및 복수의 방열봉으로 전달하는 하부 방열판과;
외주면에 방열면적을 넓히기 위한 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방열판의 상면과 상부 방열판의 저면 사이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을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들의 열을 방열시켜 주는 복수의 방열봉과;
원판 형상을 갖고 상기 방열봉들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과 방열봉들을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들의 열을 방열시켜 줌은 물론 일부 열은 하우징 측으로 전달해 주는 상부 방열판;으로 구성되는 발광다이오드 광원 모듈로 성형하여, 상기 뚜껑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하부 방열판의 상면 또는 상부 방열판의 저면에 복수의 방열봉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다이케스팅을 통해 성형하고, 방열봉이 구비되지 않은 상부 방열판 또는 하부 방열판을 방열봉들의 상단부 또는 저단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체와; 상기 뚜껑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강화유리와; 상기 하우징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을 발생하는 광원;으로 구성된 방폭등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
원판 형상을 갖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실장된 형태에서 하부 방열판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과;
원판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형태를 갖고 상기 뚜껑체의 링형 고정편에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를 방열하고 나머지 열은 뚜껑체와 하우징 및 히트 파이프로 전달하는 하부 방열판과;
중앙의 고정봉의 외주면에 수개의 방열핀이 정해진 각도를 두고 방사형으로 돌출 성형된 형태를 갖고 상기 하부 방열판의 상면과 상부 방열판의 저면 사이에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을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들의 열을 방열시켜 주는 히트 파이프와;
원판 형상을 갖고 상기 히트 파이프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열판과 히트 파이프를 통해 전달되는 발광다이오드들의 열을 방열시켜 줌은 물론 일부 열은 하우징 측으로 전달해 주는 상부 방열판;으로 구성되는 발광다이오드 광원 모듈로 성형하여 상기 뚜껑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하우징 및 뚜껑체는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는 발광다이오드 광원 모듈의 상부 방열판과 하우징 자체가 면 접촉되어 열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열판 삽입 또는 평면 접촉부를 더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에는 내,외부 공기가 상호 순환되며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팽창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수개의 내,외부 공기 순환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의 저면 주연부에는 뚜껑체를 통해 전달되는 열에 대한 방열효과를 증대시켜 주기 위해 날개형 방열핀들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방열판과 복수의 방열봉 또는 히트 파이프 및 상부 방열판은,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또는 카본 알루미늄 복합소재 중 어느 한 소재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카본 알루미늄 복합소재는,
카본 덩어리를 800-900℃의 로에 넣고 가열하여 소정 체적을 갖는 압축 성형 금형 내에 넣고, 알루미늄 용융물을 압축 성형 금형 내로 부어 넣고 프레스를 이용 가압시켜 알루미늄 용융물이 카본에 형성된 공극 내로 합침되게 한 다음 소성 후 카본의 외부에서 경화된 알루미늄은 제거하고 공극 내로 알루미늄이 함침된 상태를 갖는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를 소정 체적 및 부피를 갖는 원판형 상,하부 방열판이나 방열봉 또는 히트 파이프 형태로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방열판과 복수의 방열봉은 각각 복수개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호 일체로 고정하거나, 또는 각각의 접촉부에 열 경화성 접착제를 투입하여 상호 일체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뚜껑체는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4757A KR101114947B1 (ko) | 2011-11-28 | 2011-11-28 |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
PCT/KR2012/005454 WO2013081269A1 (ko) | 2011-11-28 | 2012-07-10 |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4757A KR101114947B1 (ko) | 2011-11-28 | 2011-11-28 |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14947B1 true KR101114947B1 (ko) | 2012-03-06 |
Family
ID=4614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4757A KR101114947B1 (ko) | 2011-11-28 | 2011-11-28 |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4947B1 (ko) |
WO (1) | WO2013081269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03872A (ko) | 2015-02-25 | 2016-09-0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화물창 설치용 작업등 |
KR20160103871A (ko) * | 2015-02-25 | 2016-09-0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방열 성능이 향상된 방폭등 |
KR20190125839A (ko) * | 2018-04-30 | 2019-11-07 | (주)프라우텍 | 엘이디 방폭등 |
KR20200020506A (ko) * | 2018-08-17 | 2020-02-26 | 신용범 | 도로면으로 보조 교통신호가 조사되는 교통신호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322305B (zh) * | 2015-06-25 | 2023-03-03 | 袁烽旗 | 一种led防爆灯 |
CN116357942B (zh) * | 2023-06-01 | 2023-08-01 | 山东智信光电有限公司 | 一种煤矿防爆led灯带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7908B1 (ko) * | 2010-08-26 | 2011-04-12 | 주식회사 에이팩 | 히트싱크와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및 그 제조방법 |
KR20110006648U (ko) * | 2011-05-20 | 2011-06-30 | 임성남 | 방폭등용 엘이디 광원 모듈 |
KR101079151B1 (ko) * | 2011-08-18 | 2011-11-02 | 이슬기 | 발광다이오드 조명 모듈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8578B1 (ko) * | 2007-04-18 | 2009-07-22 | 박준형 | 전동차 조명용 엘이디 모듈 및 이에 의한 전동차용 엘이디전등 |
KR100910539B1 (ko) * | 2008-09-29 | 2009-07-31 | 화우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엘이디 방폭등 |
-
2011
- 2011-11-28 KR KR1020110124757A patent/KR10111494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07-10 WO PCT/KR2012/005454 patent/WO201308126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7908B1 (ko) * | 2010-08-26 | 2011-04-12 | 주식회사 에이팩 | 히트싱크와 히트싱크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및 그 제조방법 |
KR20110006648U (ko) * | 2011-05-20 | 2011-06-30 | 임성남 | 방폭등용 엘이디 광원 모듈 |
KR101079151B1 (ko) * | 2011-08-18 | 2011-11-02 | 이슬기 | 발광다이오드 조명 모듈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03872A (ko) | 2015-02-25 | 2016-09-0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화물창 설치용 작업등 |
KR20160103871A (ko) * | 2015-02-25 | 2016-09-0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방열 성능이 향상된 방폭등 |
KR102353691B1 (ko) * | 2015-02-25 | 2022-01-26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방열 성능이 향상된 방폭등 |
KR20190125839A (ko) * | 2018-04-30 | 2019-11-07 | (주)프라우텍 | 엘이디 방폭등 |
KR102180248B1 (ko) | 2018-04-30 | 2020-11-19 | (주)프라우텍 | 엘이디 방폭등 |
KR20200020506A (ko) * | 2018-08-17 | 2020-02-26 | 신용범 | 도로면으로 보조 교통신호가 조사되는 교통신호장치 |
KR102097000B1 (ko) * | 2018-08-17 | 2020-04-03 | 신용범 | 도로면으로 보조 교통신호가 조사되는 교통신호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081269A1 (ko) | 2013-06-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4947B1 (ko) | 발광다이오드형 방폭등 | |
KR100910539B1 (ko) | 엘이디 방폭등 | |
JP3182927U (ja) | 放熱機能を有する防爆灯 | |
KR101095868B1 (ko) | 발광다이오드형 조명 모듈 | |
TWI498508B (zh) | 具塑膠燈殼及塑膠散熱鰭片之發光二極體燈泡結構及其製造方法 | |
KR20130016343A (ko) | 루미네어를 위한 열적 트림 | |
TW201719080A (zh) | Led防爆燈罩 | |
KR200459504Y1 (ko) | 방폭등용 엘이디 광원 모듈 | |
KR20080113885A (ko) | 방폭등 | |
MX2011005438A (es) | Alojamiento de diodo emisor de luz con disipador de transferencia de calor. | |
KR101997669B1 (ko) | 방열구조체 일체형 pcb가 구비된 led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
WO2015144072A1 (zh) | 一种led灯 | |
CN102213376A (zh) | Led灯 | |
KR101134990B1 (ko) | 인증 방폭형 등기구를 적용하여 방열성능을 향상시킨 led광원 방폭등 | |
CN102506331B (zh) | 一种替代气体放电灯的超大功率led灯泡 | |
KR101763692B1 (ko) | 방열고분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방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625160B1 (ko) | 엘이디 방폭등 | |
CN105276550A (zh) | 散热灯杯 | |
JPWO2013111214A1 (ja) | ランプ | |
KR20160103871A (ko) | 방열 성능이 향상된 방폭등 | |
CN110617453A (zh) | 一种石墨烯导热塑料结构散热的电动车led头灯 | |
CN220397382U (zh) | 灯具组件以及照明灯具 | |
CN211475642U (zh) | 一种led防爆灯具的散热结构 | |
CN219300691U (zh) | 一种免维修矿灯 | |
CN208952019U (zh) | 一种室外灯外壳及室外照明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