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783B1 - 수경작물용 기능성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수경작물용 기능성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783B1
KR102151783B1 KR1020180134106A KR20180134106A KR102151783B1 KR 102151783 B1 KR102151783 B1 KR 102151783B1 KR 1020180134106 A KR1020180134106 A KR 1020180134106A KR 20180134106 A KR20180134106 A KR 20180134106A KR 102151783 B1 KR102151783 B1 KR 102151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frame
hydroponic crops
crops
hydrop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1148A (ko
Inventor
나정찬
Original Assignee
나정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정찬 filed Critical 나정찬
Priority to KR1020180134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7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1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2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travelling on a belt or the like, or conveyed by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5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guided along a ra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또는 산양삼과 같은 수경작물을 실내에서 재배하기 위한 수경작물용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경작물을 심은 상태에서 상부로 줄기와 잎이 자라고 하부로 뿌리가 내리도록 하는 한편, 상기 뿌리가 내리는 하부에는 물 또는 배양액이 저장되는 재배통; 상기 재배통을 안착시킨 상태로 받쳐 올리도록 하면서 좌우 양측의 무게 중심에 클램프가 축 설치된 리프트; 상기 클램프를 이용한 연결을 통해 다수개의 리프트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체인; 상기 체인을 걸기 위한 좌우 스프로킷이 상하전후에 각각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스프로킷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다수개의 재배통이 궤도를 따라 상하전후로 이동하면서 사용의 편리성 및 공간의 활용성이 크게 향상되는 수경작물용 재배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수경작물용 기능성 재배장치 {PLANT CULTIVATION DEVICE}
본 발명은 인삼 또는 산양삼과 같은 수경작물을 실내에서 재배시 작업자가 편리하고 관리가 용이하기 위한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경재배란 흙을 사용하지 않고 물과 수용성 영양분으로 만든 배양액 속에서 식물을 키우는 방법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422636호(2014.07.24. 공고)는 가정용 수경재배 장치가 발명되어 있다.
상기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측으로 개방된 재배실이 형성되고, 상기 재배실 양 측면에는 레일이 구비되며, 전면에는 개폐식 도어가 구비된 본체; 상기 재배실에 구비된 레일에 안치되어 외부로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배양액이 저장되는 배양액 저장통과, 상기 배양액 저장통의 상측에서 상기 레일에 안치되어 상기 배양액 저장통과 같이 혹은 별개로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재배되는 식물이 식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생홀이 형성된 식생판으로 이루어지는 식생부재; 상기 재배실 상측에 설치되어 내부로 인공 광을 공급하기 위한 고휘도 엘이디가 배열된 조명부재; 상기 배양액 저장통으로 배양액을 공급할 수 있는 배양액 공급부재; 및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수경재배 장치는 식생부재의 높낮이가 정해져 있어서 높고 낮음에 따른 관리의 불편함이 있고, 높고 낮은 각각의 식생부재에 대하여 조명부재 및 배양액 공급부재가 연결되어야 하는 곤란함에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인삼 또는 산양삼과 같은 수경작물을 심은 상태에서 물 또는 배약액이 담기는 다수개의 재배통이 궤도를 따라 상하전후로 이동한 수경작물용 재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재배통의 이동과정에서 물 또는 배양액의 공급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수경재배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삼 또는 산양삼과 같은 수경작물을 실내에서 재배하기 위한 수경작물용 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경작물을 심은 상태에서 상부로 줄기와 잎이 자라고 하부로 뿌리가 내리도록 하는 한편, 상기 뿌리가 내리는 하부에는 물 또는 배양액이 저장되는 재배통; 상기 재배통을 안착시킨 상태로 받쳐 올리도록 하면서 좌우 양측의 무게 중심에 클램프가 축 설치된 리프트; 상기 클램프를 이용한 연결을 통해 다수개의 리프트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체인; 상기 체인을 걸기 위한 좌우 스프로킷이 상하전후에 각각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스프로킷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면서 상기 재배통에 물 또는 배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체인의 견인을 통해 상하전후로 이동하는 재배통 또는 리프트를 일정각도 기울여 배양액이 배출되도록 하는 버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재배통의 바닥에 설치되면서 하부로 레버가 길게 연장된 밸브; 및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레버를 간섭하여 밸브가 열리도록 하는 경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수경작물에게 빛을 공급하는 조명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수경작물용 재배장치에 의하면 인삼 또는 산양삼과 같은 수경작물을 심은 상태에서 물 또는 배약액이 담기는 다수개의 재배통이 궤도를 따라 상하전후로 이동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 및 공간의 활용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수경작물용 재배장치에 의하면 재배통의 이동과정에서 배양액의 공급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관리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경작물용 재배장치의 재배통을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경작물용 재배장치를 도시한 외형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경작물용 재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경작물용 재배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설명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수경작물용 재배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경작물을 심은 상태에서 물 또는 배양액이 저장되는 재배통(100), 상기 재배통을 안착시킨 상태로 받쳐 올리도록 하면서 좌우 양측의 무게 중심에 클램프가 축 설치된 리프트(200), 상기 클램프를 이용한 연결을 통해 다수개의 리프트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체인(300), 상기 체인을 걸기 위한 좌우 스프로킷이 상하전후에 각각 설치되는 프레임(400) 및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스프로킷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재배통(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경작물을 심은 상태에서 상부로 줄기와 잎이 자라고 하부로 뿌리가 내리도록 하는 한편, 상기 뿌리가 내리는 하부에는 물 또는 배양액이 저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재배통(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경작물을 심은 상태에서 수경작물의 밑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하부에 저장되는 물 또는 배양액 상에 떠있도록 하는 식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재배통(100)은 하나에 2개 이상의 수경작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리프트(2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배통(100)을 안착시킨 상태로 받쳐 올리도록 하면서 좌우 양측의 무게 중심에 클램프(210)가 축 설치된다. 이때, 상기 리프트(200)는 좌우로 둘 이상의 재배통(100)을 올릴 수 있도록 하고, 올려진 재배통(100)의 바닥을 통해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바닥에 물 빠짐 면을 떼어낸 형태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 클램프(210)는 후술하는 체인(300)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서, 체인(300)을 따라 상하전후로 이동시 원활하게 회전하면서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리프트(200)는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체인(30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210)를 이용한 연결을 통해 다수개의 리프트(200)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체인(300)은 폐쇄된 형태로 연결됨으로써 후술하는 프레임(400)의 상하전후의 스프로킷(410)을 따라 무한궤도 형태의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40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300)을 걸기 위한 좌우 스프로킷(410)이 상하전후에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프레임(400)은 타워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상하전후에 형성된 각 스프로킷(410)을 이용하여 상기 체인을 걸어 다수개의 리프트와 재배통이 상하전후로 일정간격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모터(5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400) 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스프로킷(410)을 구동시키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500)는 감속기를 통해 회전 속도를 줄이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스프로킷과 직접 축 결합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스프로킷과 체인을 이용하여 연동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실시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400)에 설치되면서 상기 재배통(100)에 물 또는 배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관(6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00)의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안정적이고 물 공급시 수경작물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실시 예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400) 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체인(300)의 견인을 통해 상하전후로 이동하는 재배통(100) 또는 리프트(200)를 일정각도 기울여 배양액이 배출되도록 하는 버팀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버팀대(7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는 재배통(100) 또는 리프트(200)의 후단부가 걸리면서 자연스럽게 기울도록 하는 한편, 일정각도 기울어진 후에는 자연스럽게 걸림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재배통(100)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배통(100)의 바닥에 설치되면서 하부로 레버(810)가 길게 연장된 밸브(800) 및 상기 프레임(400) 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레버(810)를 간섭하여 밸브(800)가 열리도록 하는 경사판(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밸브(8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닫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레버(810)를 간섭하기 위한 경사판(900)은 상기 레버(810)가 일정시간 열린 상태로서 물이 충분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재배통(10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일정길이로 길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40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수경작물에게 빛을 공급하는 조명등(10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조명등(1000)은 수경작물이 광합성 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서, LED를 비롯한 여러 형태의 조명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인삼 또는 산양삼과 같은 수경작물을 심은 상태에서 물 또는 배약액이 담기는 다수개의 재배통이 궤도를 따라 상하전후로 이동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 및 공간의 활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재배통의 이동과정에서 배양액의 공급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관리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된다.
100: 재배통
200: 리프트 210: 클램프
300: 체인
400: 프레임 410: 스프로킷
500: 모터
600: 공급관
700: 버팀대
800: 밸브 810: 레버
900: 경사판
1000: 조명등

Claims (5)

  1. 수경작물을 심은 상태에서 상부로 줄기와 잎이 자라고 하부로 뿌리가 내리도록 하는 한편, 상기 뿌리가 내리는 하부에는 물 또는 배양액이 저장되는 재배통;
    상기 재배통을 안착시킨 상태로 받쳐 올리도록 하면서 좌우 양측의 무게 중심에 클램프가 축 설치된 리프트;
    상기 클램프를 이용한 연결을 통해 다수개의 리프트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체인;
    상기 체인을 걸기 위한 좌우 스프로킷이 상하전후에 각각 설치되며, 프레임에 설치되면서 상기 재배통에 물 또는 배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과 중앙부에 설치되어 수경작물에게 빛을 공급하는 조명등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스프로킷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재배통의 바닥에 설치되면서 하부로 레버가 길게 연장되어 지면에 닿아를 경우에 상부로 들어 올려지도록 형성한 밸브;를 포함하여 인삼 또는 산양삼과 같은 수경작물을 실내에서 재배하기 위한 수경작물용 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800)는 스프링(820)의 탄성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닫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레버(810)를 간섭하기 위한 경사판(900)은 상기 레버(810)가 일정시간 열린 상태로서 물이 충분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재배통(10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일정길이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작물용 재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34106A 2018-11-05 2018-11-05 수경작물용 기능성 재배장치 KR102151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106A KR102151783B1 (ko) 2018-11-05 2018-11-05 수경작물용 기능성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106A KR102151783B1 (ko) 2018-11-05 2018-11-05 수경작물용 기능성 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148A KR20200051148A (ko) 2020-05-13
KR102151783B1 true KR102151783B1 (ko) 2020-09-03

Family

ID=7073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106A KR102151783B1 (ko) 2018-11-05 2018-11-05 수경작물용 기능성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2614A (zh) * 2022-08-03 2022-10-11 北京中环易达设施园艺科技有限公司 植物栽培装置及植物栽培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2636B2 (ja) * 1996-10-02 2001-05-0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2636U (ja) * 2010-06-29 2010-09-09 和人 美間坂 水耕栽培装置
KR101282231B1 (ko) * 2011-01-14 2013-07-09 손용만 무동력 관수장치를 이용한 식물재배 시스템
CA2834933C (en) * 2011-05-06 2018-11-20 Non-Industrial Manufactu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along an undulating pat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2636B2 (ja) * 1996-10-02 2001-05-0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148A (ko)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5238B2 (en) Vertical aeroponic plant growing system
JP5625202B2 (ja) 植物栽培システム
KR101423127B1 (ko) 수경재배장치
NZ196085A (en) Seedling pot:depending converging strips
CN102523976A (zh) 一种育苗钵及钵苗一体化育苗栽植方法
CN204426147U (zh) 一种可伸缩的立体育苗架
KR102154034B1 (ko) 인삼 수경 재배장치
CA2389143C (en) Push-pull root air-pruning tray and container systems
CN109906724A (zh) 一种幼苗育苗钵移栽装置
KR102151783B1 (ko) 수경작물용 기능성 재배장치
KR102320847B1 (ko) 분무식 수경 재배장치
CN107135841B (zh) 一种便于取出的育苗盘
EP1210868A1 (en) Ultra-high-density plant vertical mist hydroponic system and raising panel
JP2016054683A (ja) 育苗装置及び育苗方法
KR101423992B1 (ko) 수경재배판 및 이를 적용한 수경재배 시스템
JP2928758B2 (ja) 植物栽培装置
CN206851479U (zh) 逆重力栽培装置
KR101161159B1 (ko) 건물 농장 시스템
CN110521574B (zh) 便于残茬回收的藤蔓作物栽培装置及其使用方法
CN211745644U (zh) 一种林业育苗装置
JP4191629B2 (ja) 農用苗移植機
CN110558110A (zh) 一种用于红薯育苗的培育装置
CN205596729U (zh) 一种花卉种植大棚
KR102436872B1 (ko) 자유로운 수평이동으로 식재와 수확이 용이한 수직형 수경재배장치
CN219373229U (zh) 一种林业育苗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