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640B1 - 유지보수 안전형 방음패널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방음벽 - Google Patents

유지보수 안전형 방음패널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640B1
KR102151640B1 KR1020200037085A KR20200037085A KR102151640B1 KR 102151640 B1 KR102151640 B1 KR 102151640B1 KR 1020200037085 A KR1020200037085 A KR 1020200037085A KR 20200037085 A KR20200037085 A KR 20200037085A KR 102151640 B1 KR102151640 B1 KR 102151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sulation
transparent
frames
fr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화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삼신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삼신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삼신기업
Priority to KR1020200037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Abstract

유지보수 안전형 방음패널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형의 투명한 판으로 소음을 차단하는 투명방음판, 투명방음판의 각 변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프레임, 복수 개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어 투명방음판의 적어도 한 변을 압착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프레임 사이에 투명방음판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 및 각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의 볼트의 나사결합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투명방음판의 각 변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고정블록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볼트의 나사결합이 풀림에 따라 복수 개의 고정블록이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부터 탈락된 후, 투명방음판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의 압착에 의해 복수 개의 프레임과의 결합이 유지되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가 압축됨에 따라 투명방음판이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Description

유지보수 안전형 방음패널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방음벽{Sound-proof panel for safe maintenance and sound-proof wall having the same}
유지보수 안전형 방음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투명방음판의 교체 작업시 투명방음판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안전형 방음패널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방음벽은 소리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벽으로서, 소음이 발생하는 위치와 그 소음을 듣는 사람이 위치하는 장소 사이에 설치된다. 방음벽은 주로 도로 옆에 설치된다.
방음벽은 H 빔(beam) 지주, 및 소리를 흡수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방음패널로 구성된다. 방음벽은 복수 개의 H 빔 지주가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인접한 2개의 H 빔 지주 사이에 복수 개의 방음패널이 차례대로 적층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음벽은 주로 도로 옆에 설치되기 때문에, 많은 자동차들의 진동으로 인하여 방음패널의 파손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자동차의 매연 및 도로의 분진 등이 방음패널에 달라붙어서 지저분해지거나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가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음벽은 복수 개의 방음패널이 2개의 H 빔 지주 사이에 적층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일부 방음패널이 파손되어 교체하는 경우, 적층된 모든 방음패널을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0941호 “도로용 투명 방음패널구조”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도로용 투명 방음패널구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투명 방음패널구조는 도로변에 직립 설치되는 H빔 지주들의 사이에 적층 결합되어지며 투시 가능한 투명판, 투명판의 네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는 좌우 및 상하측 프레임, 좌우 및 상하측 프레임의 모서리를 각각 결합하는 다수의 모서리부재를 포함하고, 종래의 투명 방음패널구조는 상하측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방음패널의 전체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디자인함과 동시에 주변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도하도록 다양한 색상으로 분할되고 탈부착가능한 장식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투명 방음패널구조는 탈부착이 가능한 장식판을 방음패널에 추가하여 방음패널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고, 장식판의 교체가 용이하게 하는 효과는 있으나, 방음패널의 투명판을 용이하게는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방음패널을 교체하기 위하여는 H 빔 지주 사이에 적층된 모든 방음패널을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유지보수 안전형 방음패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을 구성하고 소음을 차단하는 안전형 방음패널은 투명 소재의 직사각판으로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투명방음판; 각각이 일측이 함몰된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직관으로, 상기 투명방음판의 변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프레임;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어 각각의 탄성에 의해 상기 투명방음판의 적어도 한 변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에 상기 투명방음판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 및 각각이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직관으로 상기 각 프레임의 함몰 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볼트의 나사결합을 이용하여 부착됨으로써 상기 투명방음판의 네 개의 변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고정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방음판은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과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 사이의 복수 개의 일자형 틈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일자형 틈 중 적어도 하나의 일자형 틈으로부터 연장된 형태의 고정홈에 위치하여 상기 끼움 결합된 투명방음판의 적어도 한 변에 의해 압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트의 나사결합이 풀림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부터 탈락된 후, 상기 투명방음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의 압착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과의 결합이 유지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투명방음판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은 상기 투명방음판의 상측 변에 결합되고, 상기 지면을 향하는 하면에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상측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형 방음패널은 상기 상측 프레임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투명방음판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사이에 고정될 때 지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압축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부터 탈락된 후, 외력에 의해 상기 투명방음판이 상기 상측 프레임 방향으로 밀어 올려지는 방식으로 상기 투명방음판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방음패널은 고무 재질의 밀봉재로서 상기 투명방음판의 각 변에 끼워지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방음판의 각 변에 끼워진 개스킷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과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 사이의 일자형 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과 상기 투명방음판 사이의 틈, 및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과 상기 투명방음판 사이의 틈이 상기 개스킷에 의해 메꿔진다.
상기 개스킷은 양 측면 각각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개스킷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투명방음판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과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 사이에서 흔들릴 때 상기 날개가 수축 및 이완을 반복하면서 상기 투명방음판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 각각은 일측이 함몰된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각각은 상기 함몰된 부위로부터 상기 투명방음판을 향하여 돌출되는 밀림방지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 각각의 밀림방지턱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 각각의 함몰된 부분과 맞닿고, 상기 밀림방지턱은 상기 투명방음판의 하중에 의하여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밀리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 각각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방음패널, 및 H형상의 단면을 갖는 형강으로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전형 방음패널이 끼워지는 복수 개의 H빔 지주를 포함한다.
방음벽의 안전형 방음패널은 투명방음판을 지지하는 고정블록이 프레임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다. 고정블록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투명방음판을 방음벽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인접한 2개의 H빔 지주 사이에 적층된 복수 개의 방음패널을 모두 해체할 필요 없이 투명방음판만을 분리하여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형 방음패널은 투명방음판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더라도 작업자가 투명방음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형 방음패널은 투명방음판을 교체 작업 시에 투명방음판의 각 변을 지지하는 고정블록을 탈락시키고, 작업자가 투명방음판을 위로 들어 올려 투명방음판의 상측 변과 마주하는 탄성부재를 압축시켜 프레임으로부터 투명방음판을 분리할 수 있다. 안전형 방음패널은 투명방음판의 각 변을 지지하는 고정블록을 프레임으로부터 탈락시키더라도 투명방음판의 상측 변과 마주하는 상측 프레임의 고정홈에 삽입된 탄성부재가 투명방음판을 가압함으로써, 투명방음판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고정됩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방음판의 교체 작업 시 투명방음판의 모든 변을 지지하는 고정블록을 탈락시킨 상태에서 투명방음판을 교체할 수 있음에 따라 투명방음판이 넘어지게 되어 작업자가 투명방음판에 깔리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투명방음판을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안전형 방음패널은 투명방음판의 상측 변을 고정하는 상측 프레임의 고정홈에 삽입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투명방음판이 프레임 사이에 삽입될 때 투명방음판의 상측 변이 탄성부재를 가압한다. 가압된 탄성부재는 투명방음판을 상측 프레임으로부터 하측 프레임 방향으로 가압하여 투명방음판을 프레임 사이에서 단단하게 고정한다. 투명방음판을 프레임 사이에서 단단하게 고정함으로써 도로에서 방음벽으로 전달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투명방음판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방음벽은 투명방음판의 각 변에 끼워진 개스킷을 포함한다. 개스킷은 투명방음판과 고정블록 사이의 틈 및 투명방음판과 프레임 사이의 틈을 밀봉함으로써, 주변의 소음이 이러한 틈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형 방음패널은 투명방음판을 프레임 사이에 고정하는 고정블록의 파손 및 고정블록과 프레임 사이의 결합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턱을 포함한다. 밀림방지턱은 투명방음판의 하중으로 인하여 고정블록이 파손되거나 고정블록과 프레임 사이의 결합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방음패널을 포함하는 방음벽의 설치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형 방음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전형 방음패널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안전형 방음패널의 상하 및 좌우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방음패널의 상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방음벽에 사용되는 방음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에서 설명될 “방음패널”은 방음벽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발생된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방음패널을 포함하는 방음벽의 설치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음벽(1)은 복수 개의 H빔 지주(2), 및 복수 개의 안전형 방음패널(3)을 포함한다. 방음벽(1)은 고속도로나 교통량이 많은 도로 변에 설치되어, 도로의 차량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한다.
H빔 지주(2)는 H 형상의 단면을 갖는 형강으로서,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H빔 지주(2)는 강철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복수 개의 H빔 지주(2)는 도로변을 따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된다. H빔 지주(2)는 H빔 지주(2)의 오목한 부분이 인접한 다른 H빔 지주(2)의 오목한 부분과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서로 인접한 2개의 H빔 지주(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형 방음패널(3)이 적층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안전형 방음패널(3)은 가운데가 투명한 직육면체 형상의 패널로서, 주변의 소음을 차단한다. 일반적으로 방음패널(3)은 4개의 금속재질의 프레임(302) 및 4개의 프레임(302) 사이에 결합된 투명방음판(301)을 포함한다. 안전형 방음패널(3)은 2개의 인접한 H빔 지주(2) 사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삽입되고, 볼트 결합, 용접 등과 같은 결합 방식에 의해 H빔 지주(2)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형 방음패널(3)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형 방음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전형 방음패널의 분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안전형 방음패널(3)은 투명방음판(301), 투명방음판(301)에 4개의 변에 각각 결합되는 4개의 프레임(302), 각 프레임(302)에 결합되는 4개의 고정블록(303), 4개의 프레임(302)을 연결하는 4개의 연결블록(304), 탄성부재(306), 및 투명방음판(301)의 각 변에 끼워지는 4개의 개스킷(gasket)(307)을 포함한다. 프레임(302), 고정블록(303), 및 연결블록(304)은 강철,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투명방음판(301)은 투명한 소재의 직사각판이다. 투명방음판(301)은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의 투명한 수지제, 강화유리, 접합유리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투명방음판(301)은 도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한다. 또한, 투명방음판(301)은 보행자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보행자와 운전자에게 개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로 주변의 경관을 해치지 않는다. 투명방음판(301)은 투명방음판(301)의 각 변을 고정하는 4개의 프레임(302)에 의하여 고정된다.
복수 개의 프레임(302)은 창틀 형태로서 투명방음판(301)의 변에 결합되어, 투명방음판(301)을 고정한다. 복수 개의 프레임(302) 각각은 일측이 함몰된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직관으로 형성되고, 투명방음판(301)의 변을 둘러싼다. 각 프레임(302)의 함몰된 부위에 고정블록(303)이 부착된다. 복수 개의 프레임(302)은 투명방음판(301)의 변을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과 함께 고정한다.
고정블록(303)은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직관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은 복수 개의 프레임(302) 각각의 함몰 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볼트(308)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레임(302)에 부착된 고정블록(303)은 투명방음판(301)의 각 변을 지지하여 투명방음판(301)을 프레임(320) 사이에 고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302)의 함몰 부위에 부착된 고정블록(303)은 고정블록(303)이 부착되는 프레임(302)의 함몰 부위와 동일한 변에서 프레임(302)의 함몰되지 않은 부위와 이격되어 부착됨으로써, 고정블록(303)과 프레임(302) 사이에 프레임(30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자형 틈이 형성된다. 고정블록(303)과 프레임(302)의 사이의 일자형 틈에 투명방음판(301)의 변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끼움 결합된다. 투명방음판(301)의 각 변이 복수 개의 프레임(302)과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 사이의 복수 개의 일자형 틈에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투명방음판(301)이 복수 개의 프레임(302)에 고정된다.
도 2를 참고하면, 4개의 프레임(302)은 투명방음판(301)의 상측 변을 지지하는 상측 프레임(3021), 하측 변을 지지하는 하측 프레임(3022), 투명방음판(301)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 변을 지지하는 좌측 프레임(3023), 투명방음판(301)의 우측 변을 지지하는 우측 프레임(3024), 및 각 프레임(302)을 연결하는 4개의 연결블록(304)으로 구성된다.
상측 프레임(3021)은 투명방음판(301)의 상부에 설치되고, 투명방음판(301)의 상측 변을 고정한다. 지면을 향하는 상측 프레임(3021)의 하면에 투명방음판(301)을 가압하는 탄성부재(306)가 삽입되는 고정홈(309)이 형성되고, 상측 프레임(302)의 상면에는 다른 안전형 방음패널(3)의 하측 프레임(3022)의 수용 결합부(30221)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 결합부(30211)가 형성된다. 상측 프레임(302)에 형성된 고정홈(309)은 상측 프레임(302)이 연장되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측 프레임(302)의 하면의 함몰 부위에 고정블록(303)이 적어도 하나의 볼트(308)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탈부착가능하게 부착된다. 고정블록(303)은 고정블록(303)이 결합되는 하면의 일측에는 고정블록(303)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된 밀림방지턱(305)이 형성된다.
하측 프레임(3022)은 투명방음판(301)의 하부에 설치되고, 투명방음판(301)의 하측 변을 고정한다. 상측 프레임(3021)을 향하는 하측 프레임(3022)의 상면의 함몰 부위에 고정블록(303)이 부착된다. 고정블록(303)이 결합되는 상면의 일측에는 고정블록(303)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된 밀림방지턱(305)이 형성된다. 하측 프레임(3022)의 하면에는 다른 안전형 방음패널(3)의 삽입 연결부(3021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수용 결합부(30221)가 형성된다.
좌측 프레임(3023)은 투명방음판(301)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고, 투명방음판(301)의 좌측 변을 고정한다. 우측 프레임(3023)과 마주보는 좌측 프레임(3023)의 우측면의 함몰 부위에 고정블록(303)이 부착된다. 고정블록(303)이 결합되는 우측면의 일측에는 고정블록(303)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된 밀림방지턱(305)이 형성된다.
우측 프레임(3024)은 투명방음판(301)의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고, 투명방음판(301)의 우측 변을 고정한다. 좌측 프레임(3023)과 마주보는 우측 프레임(3024)의 좌측면의 함몰 부위에 고정블록(303)이 결합된다. 고정블록(303)이 결합되는 좌측면의 일측에는 고정블록(303)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된 밀림방지턱(305)이 형성된다. 좌측 프레임(3023) 및 우측 프레임(3024) 각각이 H빔 지주(2)의 오목한 부분에 끼워진다.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은 상측 프레임(3021), 하측 프레임(3022), 좌측 프레임(3023), 및 우측 프레임(3024)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볼트(308)의 나사결합에 의해 부착된다. 고정블록(303)은 볼트(308)의 나사결합이 풀림에 따라 프레임(302)으로부터 탈락된다. 각 프레임(302)의 함몰 부위에 부착된 고정블록(303)은 각 프레임(302)의 비함몰 부위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됨으로써, 고정블록(303)이 결합된 프레임(302)의 측면에 투명방음판(301)의 변이 삽입되는 일자형 틈을 형성한다. 각 프레임(302)에 부착된 고정블록(303)은 투명방음판(301)의 변을 지지함으로써, 투명방음판(301)이 상측 프레임(3021), 하측 프레임(3022), 좌측 프레임(3023) 및 우측 프레임(3024) 사이에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블록(303)은 각 프레임(302)과 적어도 하나의 볼트(308)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블록(303)은 볼트(308)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프레임에 부착되고, 볼트(308)의 나사결합이 풀림에 따라 프레임(302)으로부터 용이하게 탈락된다. 상술한 방식으로 고정블록(303)은 프레임(302)에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블록(303)은 부착된 프레임(302)에 따라 상측 고정블록(303), 하측 고정블록(303), 좌측 고정블록(303), 및 우측 고정블록(303)으로 구별될 수 있다.
연결블록(304)은 “L”형상의 단면을 갖는 블록으로서, 상/하측 프레임(3021, 3022) 각각과 좌/우측 프레임(3023, 3024) 각각을 연결한다. 4개의 연결블록(304) 각각은 직사각형 단면의 안전형 방음패널(3)의 각 꼭짓점에 배치되어, 좌측 프레임(3023)을 상측 프레임(3021) 및 하측 프레임(3022)과 연결하고, 우측 프레임(3024)을 상측 프레임(3021) 및 하측 프레임(3022)과 연결한다. “L”형상인 연결블록(304)의 양측 단부는 각 프레임(302)의 두께 보다 얇게 제조된다. 연결블록(304)의 양측 단부 각각은 각 프레임(302)에 삽입됨으로써, 상/하측 프레임(3021, 3022) 각각과 좌/우측 프레임(3023, 3024) 각각을 연결한다.
탄성부재(306)는 복수 개의 프레임(302)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된다. 탄성부재(306)의 대표적인 예로는 강철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30)는 복수 개의 프레임(302) 중 투명방음판(301)의 상측 변을 지지하는 상측 프레임(3021) 및 좌측 변을 지지하는 좌측 프레임(3023)에 삽입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302)에 삽입된 탄성부재(306)는 복수 개의 프레임(302) 사이에 고정된 투명방음판(301)의 적어도 한 변에 의하여 압착됨으로써, 복수 개의 프레임(302) 사이에서 투명방음판(301)을 단단하게 고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306)는 프레임(302)과 고정블록(306) 사이의 일자형 틈으로부터 연장된 고정홈(309)에 삽입된다. 고정홈(309)에 삽입된 탄성부재(306)는 프레임(302)과 고정블록(306) 사이의 일자형 틈에 끼워진 투명방음판(301)의 변에 의하여 압축된다. 압축된 탄성부재(306)의 복원력이 투명방음판(301)이 끼워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함에 따라 투명방음판(306)은 프레임(302) 사이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프레임(302)과 고정블록(303)를 부착하는 볼트(308)의 나사결합이 풀림에 따라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이 복수 개의 프레임(302)으로부터 탈락된 후, 투명방음판(301)은 탄성부재(306)의 압착에 의하여 복수 개의 프레임(302) 사이에 고정됨에 따라, 투명방음판(301)이 복수 개의 프레임(302)으로부터 탈락되지 않고 결합이 유지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 프레임(3021)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홈(309)에 강철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306)가 삽입된다. 투명방음판(301)이 4개의 프레임(302) 사이에 고정된 경우, 투명방음판(301)에 의해 압축된 탄성부재(306)의 복원력은 하측 프레임(302) 방향으로 작용한다. 투명방음판(301)은 탄성부재(306)에 의해 4개의 프레임(302) 사이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방음판(301)이 4개의 프레임(302) 사이에 고정될 때 상측 프레임(3021)에 결합된 탄성부재(306)의 복원력에 의하여 투명방음판(301)이 가압된다.
개스킷(307)은 “[”형상의 단면적을 갖는 직관 형태로 투명방음판(301)의 각 변에 끼워지는 밀봉재이다. 개스킷(307)은 투명방음판(301)과 프레임(302) 사이의 틈, 및 투명방음판(301)과 고정블록(303) 사이의 틈을 밀봉한다. 개스킷(307)은 투명방음판(301)과 프레임(302) 사이의 틈 및 투명방음판(301)과 고정블록(303) 사이의 틈을 밀봉한다. 개스킷(307)은 일반적으로 고무제의 재료로 제조된다. 개스킷(307)은 프레임(302)과 고정블록(303) 사이를 밀봉하여 프레임(302)과 고정블록(303) 사이의 틈으로 소음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명방음판(301)의 각 변에 끼워진 개스킷(307)이 복수 개의 프레임(302)과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 사이의 일자형 틈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프레임(302)과 투명방음판(301) 사이의 틈, 및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과 투명방음판(301) 사이의 틈이 개스킷(307)에 의해 메꿔진다.
투명방음판(301)의 변에 끼워지는 개스킷(307)은 고정블록(303) 및 프레임(302) 각각과 맞닿는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날개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개스킷(307)은 고무 재질로 제조되기 때문에, 개스킷(307)이 프레임(302)과 고정블록(303) 사이의 일자형 틈에 삽입되고 일정시간 이상이 지나는 경우 고무가 금속 재질의 프레임(302)과 고정블록(303)에 눌러 붙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의 개스킷(307)은 양 측면에 돌출되고 프레임(30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3071)를 포함한다. 개스킷(307)의 날개(3071)는 개스킷(307)과 고정블록(303) 사이에 그리고 개스킷(307)과 프레임(302) 사이에 각각 위치한다. 개스킷(307)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각 날개(3071)는 개스킷(307)의 본체가 고정블록(303) 및 프레임(302)과 완전히 밀착되지 않게 함으로써, 개스킷(307)이 고정블록(303)과 프레임(302)에 눌러 붙지 않게 한다. 또한, 개스킷(307)의 본체가 고정블록(303) 및 프레임(302)과 완전히 밀착되지 않게 함으로써 개스킷(307)이 끼워진 투명방음판(301)의 각 변이 고정블록(303)과 프레임(302) 사이의 일자형 틈에 쉽게 끼워질 수 있게 한다.
이에 더하여, 개스킷(307)의 날개(3071)는 투명방음판(301)이 프레임(302)과 고정블록(303) 사이에서 흔들릴 때 양 측면의 날개가 수축 및 이완을 반복하면서 투명방음판(301)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이에 따라, 투명방음판(30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안전형 방음패널의 상하 및 좌우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안전형 방음패널(3)의 상하 단면도이고, 도 4b는 안전형 방음패널(3)의 좌우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 프레임(3021), 하측 프레임(3022), 좌측 프레임(3023), 및 우측 프레임(3024) 각각에 고정블록(303)이 결합된다.
도 4a를 참고하면, 상측 프레임(3021)의 하면에 상측 고정블록(303)이 결합되고, 하측 프레임(3022)의 상면에 하측 고정블록(303)이 결합된다. 상측 고정블록(303) 및 하측 고정블록(303) 각각은 상측 프레임(3021) 및 하측 프레임(3022)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볼트(308)에 의해 결합된다. 상측 프레임(3021)에 결합된 상측 고정블록(303)은 상측 프레임(3021)과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됨으로써 투명방음판(301)의 상측 변이 삽입될 수 있는 일자형 틈을 형성한다. 하측 프레임(3022) 및 하측 고정블록(303) 또한 투명방음판(301)의 하측 변이 삽입되는 일자형 틈을 형성한다.
직사각형 형태의 투명방음판(301)의 각 변에는 개스킷(307)이 끼워진다. 개스킷(307)이 끼워진 투명방음판(301)의 상측 변은 상측 프레임(3021)과 고정블록(303) 사이의 일자형 틈에 삽입되고, 개스킷(307)이 끼워진 투명방음판(301)의 하측 변은 하측 프레임(3022)과 고정블록(303) 사이의 일자형 틈에 삽입된다. 고정블록(303)과 프레임(302) 사이의 일자형 틈에 삽입된 투명방음판(301)의 변은 완전하게 끼워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투명방음판(301)과 고정블록(303) 사이에 그리고 투명방음판(301)과 프레임(302) 사이에 약간의 틈이 생긴다. 이러한 틈으로 인하여 투명방음판(301)에 진동이 전달될 때 투명방음판(301)이 금속 재질의 고정블록(303) 및 프레임(302)에 부딪히게 되어 투명방음판(301)이 파손되거나 손상될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형 방음패널(3)은 4개의 프레임(302)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302)에 형성된 고정홈(309)에 삽입된 탄성부재(306)를 포함한다. 탄성부재(306)는 투명방음판(301)이 프레임(302) 사이에 끼워질 때 투명방음판(301)에 의해 압축된다. 압축된 탄성부재(306)의 복원력은 상측 프레임(3021)으로부 하측 프레임(302) 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투명방음판(301)을 가압한다. 탄성부재(306)는 투명방음판(301)을 가압함으로써 투명방음판(301)을 단단하게 고정한다.
도 4b를 참고하면, 좌측 프레임(3023)의 우측면에 좌측 고정블록(303)이 결합되고, 우측 프레임(3024)의 좌측면에 우측 고정블록(303)이 결합된다.
좌측 고정블록(303) 및 우측 고정블록(303) 각각은 좌측 프레임(3023) 및 우측 프레임(3024)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볼트(308)의 나사결합에 의해 부착된다. 좌측 프레임(3023)에 결합된 좌측 고정블록(303)은 좌측 프레임(3023)과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됨으로써 투명방음판(301)의 좌측 변이 끼워질 수 있는 일자형 틈을 형성한다. 우측 프레임(3024) 및 우측 고정블록(303) 또한 투명방음판(301)의 우측 변이 삽입되는 일자형 틈을 형성한다.
상술한 방식으로, 투명방음판(301)은 상측 프레임(3021), 하측 프레임(3022), 좌측 프레임(3023) 및 우측 프레임(3024) 각각에 결합된 고정블록(303)에 의하여 4개의 프레임(302) 사이에 고정된다.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프레임(302) 각각에 결합된 고정블록(303)은 각 프레임(302)에 적어도 하나의 볼트(308)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된다. 투명방음판(301)은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프레임(302) 각각에 부착된 고정블록(303)은 투명방음판(301)의 상측 변, 하측 변, 좌측 변, 및 우측 변을 지지한다.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프레임(302) 각각에 결합된 고정블록(303)은 투명방음판(301)의 변을 지지함으로써 투명방음판(301)이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블록(303)과 프레임(302)을 볼트(308)에 의해 결합되고, 볼트(308)의 나사결합이 풀림에 따라 고정블록(303)이 프레임(308)으로부터 분리된다.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 각각을 복수 개의 프레임(302) 각각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투명방음판(301)이 복수 개의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고정블록(303) 모두를 프레임(302)으로부터 탈락시키는 경우 투명방음판(301)이 넘어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투명방음판(301)이 넘어지는 경우 투명방음판(301)을 교체하는 작업자가 투명방음판(301)에 깔리거나 투명방음판(301)과 충돌하는 것과 같은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방음판(301)은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을 복수 개의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하고, 투명방음판(301)을 밀어 올림으로써 투명방음판(301)을 복수 개의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명방음판(301)은 투명방음판(301)의 상측에 배열된 상측 프레임(3021)의 고정홈에 삽입된 탄성부재(306)에 의해 투명방음판(301)이 가압됨으로써, 복수 개의 고정블록(304)이 복수 개의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되더라도 투명방음판(301)이 넘어지지 않고 프레임(302) 사이에서 고정된다. 이때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투명방음판(301)의 상측 변과 마주하는 탄성부재(306)가 더 압축될 수 있다. 탄성부재(306)가 외력에 의하여 더 압축됨으로써 투명방음판(301)이 위로 움직일 수 있다. 투명방음판(301)이 들려 올려짐으로써, 투명방음판(301)이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명방음판(301)의 교체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명방음판(301)의 상측 변을 고정하는 상측 프레임(3021)은 투명방음판(301)을 압착하는 탄성부재(306)를 포함한다. 투명방음판(301)의 상측 변이 탄성부재(306)에 의하여 압착됨으로써, 투명방음판(301)이 상측 프레임(3021)과 하측 프레임(3022) 사이에서 고정된다. 투명방음판(301)을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투명방음판(301)을 가압하는 탄성부재(301)가 외력에 의해 수축됨에 따라 투명방음판(301)이 프레임(302)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4a를 참고하면, 외력에 의하여 투명방음판(301)이 위로 들리게 되는 경우 탄성부재(306)가 수축되고 투명방음판(301)이 상측 프레임(3021) 및 하측 프레임(3022) 사이에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방음판(301)은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 중 투명방음판(301)의 좌측 변 및 우측 변을 지지하는 고정블록(303)을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하고, 외력에 의해 투명방음판(301)을 상측 프레임(302) 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투명방음판(301)을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투명방음판(301)의 각 변을 지지하는 모든 고정블록(303)을 분리할 필요 없이 투명방음판(301)의 좌측 변과 우측 변을 지지하는 고정블록(303)을 제거하더라도 투명방음판(301)을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프레임(302) 각각에 부착된 각 고정블록(303)은 투명방음판(301)의 하중에 의하여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블록(303)은 투명방음판(301)의 하중에 의한 지면과 평행한 방향의 힘에 의하여 밀리게 된다. 각 프레임(302)의 측면 중 고정블록(303)이 결합된 측면에서 돌출된 밀림방지턱(305)은 고정블록(303)이 투명방음판(301)의 하중에 의하여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밀림방지턱(305)은 고정블록(303)을 지지하여 투명방음판(301)이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음벽(1)은 고속도로나 교통량이 많은 도로 변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로를 빠르게 통과하는 차량으로 인해 발생된 강한 진동이 방음벽(1)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진동 외에도 바람, 충돌 등 다양한 외력으로 인하여 방음벽(1)을 구성하는 방음패널이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특히, 방음패널의 투명방음판(301)은 강화 유리 또는 아크릴로 제조되기 때문에 강철로 제조되는 프레임(302)에 비하여 쉽게 파손된다. 종래의 방음벽의 경우 방음패널의 투명방음판(301)이 손상 또는 파손된 경우에 하나의 투명방음판(301)을 교체하기 위하여 H빔 지주(2) 사이에 적층된 모든 방음패널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형 방음패널(3)은 4개의 프레임(302) 각각에 결합된 고정블록(303)을 분리함으로써, 투명방음판(301)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고정블록(303)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볼트(308)를 풀어 고정블록(303)을 각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안전형 방음패널(3)을 방음벽(1)의 H빔 지주(2)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투명방음판(301)을 교체할 수 있다.
투명방음판(301)의 각 변에 끼워진 개스킷(307)은 고정블록(303)과 프레임(302) 사이의 일자형 틈에 삽입된다. 일자형 틈에 삽입된 개스킷(307)은 투명방음판(301)과 고정블록(303) 사이의 틈 및 투명방음판(301)과 프레임(302) 사이의 틈을 밀봉한다. 개스킷(307)이 투명방음판(301)과 고정블록(303) 사이의 틈, 및 투명방음판(301)과 프레임(302) 사이의 틈을 밀봉하여 이러한 틈으로 소음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형 방음패널(3)은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안전형 방음패널(3)은 투명방음판(301)의 각 변에 끼워진 개스킷(307)에 의하여 투명방음판(301)과 고정블록(303) 사이의 틈, 및 투명방음판(301)과 프레임(302) 사이의 틈을 밀봉함으로써, 투명방음판(301)이 고정블록(303)과 프레임(302) 사이에서 진동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스킷(307)이 투명방음판(301)에 끼워지지 않는 경우, 투명방음판(301)과 고정블록(303) 사이 그리고 투명방음판(301)과 프레임(302) 사이에 틈이 발생한다. 방음벽(1)에 차량으로 인해 발생된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고정블록(303)과 프레임(302) 사이에서 투명방음판(301)이 흔들리게 됨에 따라, 투명방음판(301)이 고정블록(303)과 프레임(302)과 충돌하여 투명방음판(301)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안전형 방음패널(3)은 투명방음판(301)의 각 변에 개스킷(307)이 끼워짐에 따라 투명방음판(301)이 고정블록(303)과 프레임(302) 사이의 일자형 틈에 완전하게 끼워짐으로써, 투명방음판(301)이 진동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방음패널의 상하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302) 사이에 끼워지는 투명방음판(301)은 강화 유리 또는 아크릴로 제조되고 그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매우 무겁다. 투명방음판(301)이 프레임(302) 사이에 끼워지고 4개의 고정블록(303)에 의하여 고정될 때, 투명방음판(301)의 하중은 양측면의 측면 프레임(302)보다 상측 프레임(302) 및 하측 프레임(302)으로 집중된다. 이에 따라, 상측 프레임(302) 및 하측 프레임(302)에 결합된 고정블록(303)은 투명방음판(301)의 하중에 의하여 밀리게 되고, 결국 고정블록(303)이 상측 프레임(302) 또는 하측 프레임(302)으로 분리될 수 있다. 고정블록(303)과 상측 프레임(302) 또는 하측 프레임(302) 사이의 결합이 파손되어 고정블록(303)이 상측 프레임(302) 또는 하측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투명방음판(301)이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투명방음판(301)이 프레임(302)으로부터 떨어지는 경우, 도로의 차량이 파손되거나 또는 보행자가 크게 다치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방음패널(3)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측 프레임(302) 및 하측 프레임(302)의 밀림방지턱(305)은 측면 프레임(302)의 밀림방지턱(305)보다 더 돌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측 프레임(302) 및 하측 프레임(302)의 밀림방지턱(305)의 돌출된 높이는 고정블록(303)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측 프레임(302)의 하면으로부터 밀림방지턱(305)이 돌출된 높이와 상측 프레임(302)의 하면에 결합된 고정블록(303)의 높이가 동일한다. 하측 프레임(302)의 밀림방지턱(305)의 높이 또한 하측 프레임(302)에 결합된 고정블록(303)의 높이와 동일한다. 여기에서, 고정블록(303)의 높이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상측 프레임(302) 및 하측 프레임(302)의 밀림방지턱(305)이 많이 돌출됨에 따라, 투명방음판(301)의 하중에 의하여 밀리게 되는 고정블록(303)을 더욱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방음패널(3)은 고정블록(30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블록(303)과 상/하측 프레임(302) 사이의 결합을 단단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방음패널(3)은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이 복수 개의 프레임(302)으로부터 탈락되더라도, 투명방음판(301)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볼트(308)의 나사결합이 풀림에 따라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이 복수 개의 프레임(302)으로부터 탈락된 후, 투명방음판(301)이 하중에 의하여 넘어지더라도 투명방음판(301)의 상측 변 또는 하측 변이 상측 프레임(3021) 또는 하측 프레임(3022)의 밀림방지턱(305)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이 복수 개의 프레임(302)으로부터 탈락되더라도 투명방음판(301)이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넘어지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형 방음패널은 프레임에 탈부착되는 고정블록을 이용하여 투명방음판을 고정하고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안전형 방음패널은 프레임과 결합된 고정블록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고 투명방음판을 밀어올리는 방식으로 투명방음판을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안전형 방음패널은 상술한 방식으로 투명방음판을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리함으로써, 투명방음판이 파손되거나 오염물로 더러워지는 경우 작업자가 투명방음판을 쉽고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음벽을 유지하고 보수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교체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형 방음패널은 투명방음판을 교체 작업 시에 투명방음판의 각 변을 지지하는 고정블록을 모두 탈락시킬 필요없이 일부 고정블록(예를 들어, 투명방음판의 좌측 변, 및 우측을 지지하는 고정블록만을 탈락)만을 탈락시키고, 투명방음판의 상측 변과 마주하는 탄성부재를 압축시켜 프레임으로부터 투명방음판을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방음판의 교체 작업 시 투명방음판의 모든 변을 지지하는 고정블록 중 일부만을 탈락시킨 상태에서 투명방음판을 교체할 수 있음에 따라 투명방음판이 넘어지게 되어 작업자가 투명방음판에 깔리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투명방음판을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형 방음패널은 투명방음판을 프레임 사이에 고정하는 고정블록의 파손 및 고정블록과 프레임 사이의 결합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턱을 포함한다. 밀림방지턱은 투명방음판의 하중으로 인하여 고정블록이 파손되거나 고정블록과 프레임 사이의 결합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방음벽 2: H빔 지주
3: 안전형 방음패널
301: 투명방음판 302: 프레임
303: 고정블록 304: 연결블록
305: 밀림방지턱 306: 탄성부재
307: 개스킷 308: 볼트

Claims (6)

  1. 방음벽을 구성하고 소음을 차단하는 안전형 방음패널에 있어서,
    투명 소재의 직사각판으로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투명방음판(301);
    각각이 일측이 함몰된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직관으로, 상기 투명방음판(301)의 변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프레임(302);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2)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어 각각의 탄성에 의해 상기 투명방음판(301)의 적어도 한 변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2)에 상기 투명방음판(301)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306); 및
    각각이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직관으로 상기 각 프레임(302)의 함몰 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볼트(308)의 나사결합을 이용하여 부착됨으로써 상기 투명방음판(301)의 네 개의 변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방음판(301)은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2)과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 사이의 복수 개의 일자형 틈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306)는 상기 복수 개의 일자형 틈 중 적어도 하나의 일자형 틈으로부터 연장된 형태의 고정홈(309)에 위치하여 상기 끼움 결합된 투명방음판(301)의 적어도 한 변에 의해 압착되고, 상기 압착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306)의 복원력이 상기 투명방음판(301)이 끼워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함에 따라 상기 투명방음판(301)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1) 사이에서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트(308)의 나사결합이 풀림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2)으로부터 탈락된 후, 상기 투명방음판(30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306)의 압착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2)과의 결합이 유지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306)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투명방음판(301)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2) 중 상측 프레임(3021) 및 하측 프레임(3022) 각각은 직관의 내부의 전면과 후면에 "T"단면을 갖는 제 1 돌출부 및 "I" 단면을 갖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 각각은 일측이 함몰된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2) 각각은 상기 함몰된 부위로부터 상기 투명방음판(301)을 향하여 돌출되는 밀림방지턱(305)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2) 중 상측 프레임(302) 및 하측 프레임(302)의 밀림방지턱(305)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 각각의 함몰된 부분과 맞닿고,
    상기 밀림방지턱(305)은 상기 투명방음판(301)의 하중에 의하여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밀리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 각각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방음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2)은
    상기 투명방음판(301)의 상측 변에 결합되고, 지면을 향하는 하면에 형성된 고정홈(309)을 포함하는 상측 프레임(3021)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형 방음패널은
    상기 상측 프레임(3021)의 고정홈(309)에 삽입되는 탄성부재(30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306)는 상기 투명방음판(301)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2) 사이에 고정될 때 지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압축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2)으로부터 탈락된 후, 외력에 의해 상기 투명방음판(301)이 상기 상측 프레임(3021) 방향으로 밀어 올려지는 방식으로 상기 투명방음판(301)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방음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고무 재질의 밀봉재로서 상기 투명방음판(301)의 각 변에 끼워지는 개스킷(307)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방음판(301)의 각 변에 끼워진 개스킷(307)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2)과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 사이의 일자형 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2)과 상기 투명방음판(301) 사이의 틈, 및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과 상기 투명방음판(301) 사이의 틈이 상기 개스킷(307)에 의해 메꿔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방음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307)은 양 측면 각각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개스킷(30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투명방음판(301)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302)과 상기 복수 개의 고정블록(303) 사이에서 흔들릴 때 상기 날개가 수축 및 이완을 반복하면서 상기 투명방음판(301)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형 방음패널.
  5. 삭제
  6. 제 1 항에 따른 복수 개의 안전형 방음패널; 및
    H형상의 단면을 갖는 형강으로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전형 방음패널이 끼워지는 복수 개의 H빔 지주를 포함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
KR1020200037085A 2020-03-26 2020-03-26 유지보수 안전형 방음패널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방음벽 KR102151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085A KR102151640B1 (ko) 2020-03-26 2020-03-26 유지보수 안전형 방음패널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085A KR102151640B1 (ko) 2020-03-26 2020-03-26 유지보수 안전형 방음패널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640B1 true KR102151640B1 (ko) 2020-09-03

Family

ID=7245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085A KR102151640B1 (ko) 2020-03-26 2020-03-26 유지보수 안전형 방음패널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6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54B1 (ko) * 2007-05-29 2007-11-08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투명방음판 조립체
KR100802025B1 (ko) * 2006-10-24 2008-02-12 주용산업주식회사 발광용 홀더부재를 갖는 전방분리형 투명방음판
KR101979701B1 (ko) * 2018-02-23 2019-05-17 송윤석 회전 분리형 방음벽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025B1 (ko) * 2006-10-24 2008-02-12 주용산업주식회사 발광용 홀더부재를 갖는 전방분리형 투명방음판
KR100774554B1 (ko) * 2007-05-29 2007-11-08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투명방음판 조립체
KR101979701B1 (ko) * 2018-02-23 2019-05-17 송윤석 회전 분리형 방음벽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5920C (en) Panel assembly for traffic noise barrier wall
KR101464460B1 (ko) 방음벽 하중전이방지장치 및 이 하중전이방지장치를 이용한 방음벽의 흡음패널 교체방법
KR100861265B1 (ko) 방음벽
KR100856557B1 (ko) 방음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구조
KR102114961B1 (ko) 방음판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방음벽
KR200396762Y1 (ko) 투명 방음판넬
US20100126797A1 (en) Panel Assembly For Traffic Noise Barrier Wall
KR101612106B1 (ko) 소음 감쇄용 안전 방음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36542B1 (ko) 투명 방음 패널
US8616331B2 (en) Panel assembly for traffic noise barrier wall
KR102151640B1 (ko) 유지보수 안전형 방음패널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방음벽
KR102149725B1 (ko) 소음유도형 방음패널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방음벽
CN103359276A (zh) 保护加强板的方法和装置以及相应的复合面板
KR102152503B1 (ko) 탈부착 구조를 갖는 투명 방음판
KR102426377B1 (ko) 탈부착 투명 방음판용 하중 전이 방지용 지주
KR101791997B1 (ko) 완충 구조를 겸비한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1912711B1 (ko) 내진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910627B1 (ko) 분리형 이중 프레임 구조로 된 방음패널
KR101544787B1 (ko) 후방교체형 방음패널 조립체
KR102412713B1 (ko) 회전 스토퍼형 탈부착 투명 방음판용 하중 전이 방지용 지주
KR102265837B1 (ko) 상부 프레임 탈착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차음과 흡음 복합형 방음판과 이를 포함하는 방음시설 및 이의 시공과 유지보수 방법
KR101234705B1 (ko) 핑거 조인트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의 상판 연결장치
KR20200045376A (ko) 도로용 가드레일의 레일 간 결합구조
KR102413914B1 (ko) 개별 탈부착형 방음벽 설치시스템
JPH07247517A (ja) 透光性防音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