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405B1 -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405B1
KR102151405B1 KR1020190165614A KR20190165614A KR102151405B1 KR 102151405 B1 KR102151405 B1 KR 102151405B1 KR 1020190165614 A KR1020190165614 A KR 1020190165614A KR 20190165614 A KR20190165614 A KR 20190165614A KR 102151405 B1 KR102151405 B1 KR 102151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air
height
golf practic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직
Original Assignee
이명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직 filed Critical 이명직
Priority to KR1020190165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63B2067/025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with incorporated means acting on the track surface for varying its topography, e.g.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안착 또는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되며 지면에 대한 높이 또는 경사각이 조절되는 변형부; 상기 변형부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변형부의 지면에 대한 높이 또는 경사각을 조절하는 에어공급부; 및 상기 변형부의 높이 또는 경사각이 조절됨에 따라 상이한 형상의 지형 또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잔디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호 정렬 배치된 복수 개의 가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가변부재는, 상호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가변부재가 군집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가변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공급부는 상기 복수 개의 가변그룹 각각의 지면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Variable Golf Practice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티샷 세컨샷 어프로치샷 퍼팅으로 샷을 구분한다. 그 중 세컨샷이란 단순 두번째샷 이라는 의미가 아니고 티샷 이후 그린에 올리기 전까지의 모든 샷을 말한다.
여기서, 티샷 이후의 공은 페어웨이(fairway)나 러프(rough) 등에 위치하게 되는데. 지면은 완전한 평면을 이루지 않고 공과 그린까지의 거리, 경사도, 지면 상태 등을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이에, 정교하게 공을 샷 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필드에서 퍼팅을 연습하기에는 비용 또는 이동거리 등 여러 가지의 현실적인 여건이 충족되기 어려운 바, 실내 또는 실외 골프연습장과 잔디로 이루어진 파쓰리골프장 등에서 연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실제의 모든 골프장은 티샷 이후 공이 놓아진 곳의 경사도나 지면상태가 모두 다른 반면, 종래의 골프 연습장 매트는 인조잔디가 주로 평면으로만 형성되어 실제 골프장 환경과 유사하지 않은 문제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불균일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실제 페어웨이와 러프와는 다소 상이한 환경에서만 골프 연습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71312호 (2004.12.1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지형 구조를 모사하여 사용자의 골프 연습 간 숙련도 및 흥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잔디플레이트의 단순 경사도뿐만 아니라 곡면의 곡률 반경 및 3차원 형상까지 제어할 수 있는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골프 연습 간 잔디플레이트의 지형을 신속하게 전환 또는 변형할 수 있는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골프 연습 간 개별 사용자에 따른 각 지형별 결과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맞춤형 연습 지형을 제안할 수 있는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안착 또는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되며 지면에 대한 높이 또는 경사각이 조절되는 변형부; 상기 변형부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변형부의 지면에 대한 높이 또는 경사각을 조절하는 에어공급부; 및 상기 변형부의 높이 또는 경사각이 조절됨에 따라 상이한 형상의 지형 또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잔디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호 정렬 배치된 복수 개의 가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가변부재는, 상호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가변부재가 군집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가변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공급부는 상기 복수 개의 가변그룹 각각의 지면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는,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가변그룹 각각에 대응 배치된 복수 개의 공기유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기유동부 각각은 대응된 상기 가변그룹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변부재 각각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에어공급부는 복수 개의 에어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에어주입부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가변그룹 각각의 일측에 상기 공기유동부를 통해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가변그룹 각각의 타측에는 상기 각각의 가변그룹 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가 상기 공기유동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공기유동부 각각 및 상기 복수 개의 에어주입부 각각의 사이에는 제1 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기유동부 각각 및 복수 개의 상기 공기배출부 각각의 사이에는 제2 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가변부재 각각은, 지면에 대한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연장 형성된 복수 개의 중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중첩부재는 높이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 위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중첩부재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중첩부재는 기 설정된 높이까지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는 상기 에어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복수 개의 형상 정보가 기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복수 개의 형상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에어공급부를 제어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형상 정보에 따라 상기 변형부의 지면에 대한 높이 또는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양한 지형 구조를 모사하여 사용자의 골프 연습 간 숙련도 및 흥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잔디플레이트의 단순 경사도뿐만 아니라 곡면의 곡률 반경 및 3차원 형상까지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골프 연습 간 잔디플레이트의 지형을 신속하게 전환 또는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골프 연습 간 개별 사용자에 따른 각 지형별 결과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맞춤형 연습 지형을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가 지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의 변형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의 유로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의 가변부재의 높이 조절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의 가변부재의 높이 조절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의 제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가 지면(3)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는 베이스부(100), 베이스부(100) 상에 위치된 변형부(200), 변형부(200)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300) 및 변형부(200) 상에 위치된 잔디플레이트(6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변형부(200)는 지면(3)에 대한 높이 또는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에어공급부(300)는 변형부(200)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변형부(200)의 지면(3)에 대한 높이 또는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잔디플레이트(600)는 변형부(200)의 높이 또는 경사각이 조절됨에 따라 상이한 형상의 지형 또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는 변형부(200)의 높이 또는 경사각 조절을 통해 잔디플레이트(600)의 배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고, 다양한 형상의 지형 구조를 모사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변형부(200)는 상호 정렬 배치된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는 상호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가변부재(211)가 군집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가변그룹(2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공급부(300)는 상기 복수 개의 가변그룹(210) 각각의 지면(3)에 대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가변부재(211)로 구성된 복수 개의 가변그룹(21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가변그룹(210) 각각은 에어공급부(300)에 의해 상호 개별적으로 지면(3)에 대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에어공급부(300)에 의해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복수 개의 가변그룹(210)은 상호 상이한 높이를 형성하며 위치될 수 있고, 인접하게 위치된 가변그룹(210) 상호 간은 상호 경사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는 수평 방향을 따라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에 복수 개씩 정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 중 상호 인접하게 정렬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변부재(211)는 하나의 가변그룹(210)을 구성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가변그룹(210) 내에는 수평 방향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을 따라 가변부재(211)가 복수 개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는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2*2, 3*3(도 4 및 5에 도시됨) 또는 3*4 등으로 정렬 배치되어 하나의 가변그룹(21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잔디플레이트(600)는 소정 탄성을 구비한 플랙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소정 두께 및 면적을 구비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잔디플레이트(600)의 상면에는 인조잔디 및 골프공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골프홀(미도시 됨)이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잔디플레이트(600)의 하면은 상술한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잔디플레이트(600)의 하면은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 각각의 상측면과 결합될 수 있고, 잔디플레이트(600)의 하면에서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된 일부면은 어느 하나의 가변부재(211)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함께 승하강될 수 있다. 또한, 잔디플레이트(600)는 소정 탄성의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바,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가 상호 상이한 높이로 위치되는 경우에도 잔디플레이트(600)는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 상호 간의 높이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고, 잔디플레이트(600)의 상면은 유선형의 곡면을 형성하며 변형될 수 있다. 즉, 잔디플레이트(600)의 다양한 지형 모사도가 증가될 수 있고, 사용자의 흥미가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3)에 안착되어 이용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3) 내측에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를 원하는 장소에 자유롭게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가정 또는 사무실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배치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를 지면(3) 내측에 설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는 지면(3)으로부터 소정 깊이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최초 위치에서 잔디플레이트(600)의 상면은 지면(3)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에어공급부(300)의 작동 및 변형부(200)의 변형시 잔디플레이트(600)의 형상은 변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가 지면(3) 내측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실제 필드(field)에 가까운 지형을 체험할 수 있다.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의 변형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 내지 (d)를 참조하면, 상술한 에어공급부(300)가 작동되고 복수 개의 가변그룹(210) 각각의 높이가 개별 조절됨에 따라 잔디플레이트(600) 상면의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 때, 잔디플레이트(600)의 상면은 도 3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을 형성하며 자연스러운 유선형으로 변형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a) 내지 (d)에 도시된 지형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는 특정 경사도 또는 특정 지형의 구현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의 가변그룹(210) 각각의 높이 및 인접한 가변그룹(210) 간의 높이 차가 제어됨에 따라 형성되는 모든 형태의 3차원 지형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a) 내지 (d) 각각에 도시된 예시적 지형 구조의 잔디플레이트(600) 상에는 사용자가 올라가 발 위치(610)에 맞춰 기립될 수 있고, 발 위치(610) 전방의 골프공 위치(620)에 골프공을 위치시켜 골프 연습에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발 위치(610) 및 골프공 위치(620)는 도 3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연습 자세 또는 연습 위치에 따라 잔디플레이트(600) 상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의 유로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상술한 에어공급부(300)는 복수 개의 에어주입부(310)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에어주입부(310) 각각은 복수 개의 가변그룹(210) 각각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에어주입부(310)는 에어펌프(air pump)로 형성될 수 있고, 기 설정된 유량의 공기를 각각의 가변그룹(210)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수 개의 가변그룹(210) 각각의 타측에는 각각의 가변그룹(210) 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400)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가변그룹(210)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경우, 각 가변그룹(210) 내의 공기는 공기배출부(400)를 통해 배기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공기배출부(400)는 배기펌프 또는 배기구로 형성될 수 있고, 각 가변그룹(210)의 타측에서 가변그룹(210)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는 가변그룹(210)의 높이 조절 간 에어 주입 및 배기 위치를 상호 분리하여 독립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변그룹(210) 내의 공기 주입 작업 및 배기 작업을 분리하여 수행할 수 있고, 각 가변그룹(210)의 높이 조절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잔디플레이트(600)의 지형 구조 역시 신속하게 변형되는 바, 사용자의 이용 편의도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는 각각이 복수 개의 가변그룹(210) 각각에 일대일 대응 배치된 복수 개의 공기유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베이스부(100)는 내측에 복수 개의 구획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공기유동부(500) 각각은 상술한 복수 개의 구획공간 내측에 대응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공기유동부(500) 각각은 대응 위치된 가변그룹(210)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변부재(211) 각각의 하단과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그룹(210) 각각이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3*3 배열된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를 포함하는 경우, 공기유동부(500) 각각은 상호 대응되는 가변그룹(210)에 포함된 3*3의 가변부재(211) 각각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에어주입부(310) 각각은 공기유동부(500)를 통해 가변그룹(210)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공기배출부(400) 각각은 공기유동부(500)를 통해 가변그룹(210)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공기유동부(500) 각각 및 복수 개의 에어주입부(310) 각각의 사이에는 제1 밸브(510)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공기유동부(500) 각각 및 복수 개의 공기배출부(400) 각각의 사이에는 제2 밸브(5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제1 밸브(510) 각각은 공기유동부(500)의 에어주입부(310) 측 유동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2 밸브(520) 각각은 공기유동부(500)의 공기배출부(400) 측 유동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밸브(510) 각각 및 복수 개의 제2 밸브(520) 각각은 상호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가변그룹(210)과 연통된 공기유동부(500)의 제1 밸브(510) 및 제2 밸브(520)를 개방 또는 차단함으로써 복수 개의 가변그룹(210) 각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밸브(510) 각각 및 복수 개의 제2 밸브(520) 각각을 독립적으로 개별 제어하는 바, 복수 개의 가변그룹(210) 각각의 높이를 독립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밸브(510) 및 제2 밸브(520)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후술할 제어부(700)는 제1 밸브(510) 각각 및 제2 밸브(520) 각각을 전기적 제어함으로써 각 밸브가 배치된 유동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가변그룹(210) 각각에서, 에어주입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부재(211) 중 어느 하나의 하측과 최단 공기유동거리로 연결될 수 있고, 공기배출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부재(211)의 나머지 중 하나의 하측과 최단 공기유동거리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에어주입부(310)와 최단 공기유동거리로 연결된 가변부재(211) 및 공기배출부(400)와 최단 공기유동거리로 연결된 가변부재(211)는 가변그룹(210) 내에서 상호 반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최단 공기유동거리에 연결된 가변부재(211)'란, 단순한 최단 직선 거리 또는 배치 거리에 위치된 가변부재(211)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가변그룹(210) 내의 가변부재(211) 중 주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 거리가 가장 짧게 위치된 가변부재(211)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그룹(210) 각각이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3*3 배열된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를 포함하는 경우, 에어주입부(310)는 제1 밸브(510)를 통해 가변그룹(210) 내의 좌상단에 위치된 가변부재(211)에 연결될 수 있고, 공기배출부(400)는 제2 밸브(520)를 통해 가변그룹(210) 내의 우하단에 위치된 가변부재(211)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가변그룹(210) 각각에서 대응 배치된 공기유동부(500)와 각각 가변그룹(210) 내의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 각각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개폐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 각각과 공기유동부(500)와 연결되는 위치에는 개페밸브가 형성될 수 있고, 단일의 가변그룹(210) 내에서도 복수 개의 개폐밸브 각각의 개방 또는 차단 제어를 통해 일부의 가변부재(211) 높이만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3*3 배치된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 중 최상단 3개의 가변부재(211)에 위치된 개폐밸브는 차단하고, 나머지 6개의 가변부재(211)는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밸브(510)를 개방하고 에어주입부(310)를 작동함으로써 최상단 3개의 가변부재(211)의 높이는 변화하지 않은 채 나머지 6개의 가변부재(211)의 높이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 가변그룹(210) 단위의 높이 조절뿐만 아니라, 각각의 가변부재(211)의 높이를 개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의 가변부재(211)의 높이 조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의 가변부재(211)의 상술한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 각각은 지면(3)에 대한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연장 형성된 복수 개의 중첩부재(2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중첩부재(2111)는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 위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중첩부재(2111)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복수 개의 중첩부재(2111)는 기 설정된 높이까지 연장 또는 팽창되어 확장될 수 있다. 즉, 가변부재(211) 하단으로 상술한 에어주입부(310)에 의해 공기가 공급된 경우, 수직 방향을 따라 상호 적층 중첩된 복수 개의 중첩부재(2111)는 팽창되며 상방 확장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가변부재(211) 각각은 자바라, 벨로우즈(bellows) 또는 주름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중첩부재(2111) 각각의 외주면은 높이 방향을 따라 접히거나 펴지는 주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어 수축된 상태에서는 복수 개의 중첩부재(2111)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어 최초 높이로 위치될 수 있고, 에어주입부(310)에 의해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된 경우 복수 개의 중첩부재(2111)는 외주면을 따라 중첩된 상태의 주름 구조가 펴지며 높이 방향을 따라 확장될 수 있다. 즉, 가변부재(211) 각각의 높이가 기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 조절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의 가변부재(211)의 높이 조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의 상술한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 각각은 지면(3)에 대한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연장 형성된 복수 개의 중첩부재(2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중첩부재(2111')는 수평 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 위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중첩부재(2111')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복수 개의 중첩부재(2111')는 기 설정된 높이까지 연장되어 확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부재(211') 각각이 지면(3)에 기립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중첩부재(2111') 각각은 수평 방향 단면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변부재(211') 각각이 지면(3)에 기립된 상태에서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중첩부재(2111') 중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된 중첩부재(2111')의 수평 방향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된 중첩부재(2111')의 수평 방향 단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된 중첩부재(2111')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된 중첩부재(211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중첩부재(2111') 중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중첩부재(2111')는 상호 외접 또는 내접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중첩부재(2111')는 수평 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 위치될 수 있다(도 7의 (a) 참조).
또한, 복수 개의 중첩부재(2111') 각각의 상단 외주연에는 제1 걸림부(미도시 됨)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중첩부재(2111') 각각의 하단 내주연에는 제2 걸림부(미도시 됨)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걸림부는 중첩부재(2111') 각각의 상단 외주연을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2 걸림부는 중첩부재(2111') 각각의 하단 내주연을 따라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 상호 간은 에어주입부(310)의 공기 공급에 의한 가변부재(211')의 높이 상승시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섭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의 간섭으로 상호 인접한 중첩부재(2111')는 분리되지 않은 채 지지될 수 있고, 가변부재(211)는 연장되어 확장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도 7의 (b) 참조).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에서 가변부재(211')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세부 내용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와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의 제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는 상기 에어공급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10)는 변형부(200)의 지면(3)에 대한 높이 또는 경사각을 측정하는 센싱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800)는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 각각의 내측 공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공기압센서(810) 및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 각각의 베이스부(100)에 대한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센서(8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높이센서(820)는 레이저센서 또는 IR센서 등의 거리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800)는 복수 개의 공기압센서(810)를 통해 가변부재(211) 각각의 공기압을 측정하거나 복수 개의 높이센서(820)를 통해 가변부재(211) 각각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고, 센싱부(800)에서 측정된 변형부(200)의 지면(3)에 대한 높이 또는 경사각 정보(바람직하게는, 가변부재(211) 각각의 공기압 또는 높이 정보)는 제어부(7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700)는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 각각의 현재 높이 상태 또는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 상호 간의 경사 배치 형태 등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가변부재(211)들의 높이 또는 배치 정보를 기초로 에어공급부(300)를 제어하며 잔디플레이트(60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센싱부(800)는 가변부재(211) 각각 뿐만 아니라, 상술한 가변그룹(210) 각각의 공기압 또는 높이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가변그룹(210) 각각의 공기압 또는 높이는 제어부(70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0)에는 복수 개의 형상 정보가 기 설정될 수 있고, 제어부(700)는 복수 개의 형상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에어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어느 하나의 형상 정보에 따라 에어공급부(300)가 제어됨으로써 변형부(200)의 지면(3)에 대한 높이 또는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에는 상기 도 3의 (a) 내지 (d) 각각에 도시된 잔디플레이트(600) 형상과 같은 복수 개의 형상 정보가 기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제어부(700)에 복수 개의 형상 정보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도 3의 (a)에 도시된 형상)에 대한 입력 신호가 전달된 경우, 제어부(700)는 어느 하나의 형상 정보에 대응하여 에어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고, 변형부(200)의 지면(3)에 대한 높이 또는 경사각(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가변부재(211) 각각의 높이 또는 경사각)이 조절됨으로써 잔디플레이트(600)를 도 3의 (a)에 도시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 설정된 형상 정보는 제어부(700)에 기본 저장된 복수 개의 형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제어부(700)를 통해 복수 개의 에어주입부(310) 각각, 복수 개의 제1 밸브(510) 각각 및 복수 개의 제2 밸브(520) 각각을 개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 개의 에어주입부(310), 복수 개의 제1 밸브(510) 및 복수 개의 제2 밸브(520)를 개별 제어함으로써 잔디 플레이트의 형상을 사용자의 필요 또는 취향에 맞게 맞춤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기 설정된 형상 정보는 사용자의 개별 조작에 의한 맞춤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 형상을 형성한 후 제어부(700)에 저장한 경우, 사용자는 제어부(700)를 통해 곧바로 맞춤 형상에 대응되도록 잔디플레이트(600)를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사용자의 외부 입력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2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사용자 단말(20)과 무선 통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7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700)는 송수신부(720)를 통해 사용자의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후술할 퍼팅 정확도 데이터 등을 사용자 단말(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사용자 단말(20)'이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무선 통신기기일 수 있고, 상술한 제어부(700)와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는 전자기기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사용자 단말(20)은 제어부(700)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어 제어부(700)로 원격 신호를 전송 가능한 리모컨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골프홀에는 IR(적외선)센서 등으로 형성된 감지부(미도시 됨)가 위치될 수 있고, 제어부(700)는 감지부를 통해 각 잔디플레이트(600) 형상에 따른 사용자의 퍼팅 정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700)는 각각의 잔디플레이트(600) 형상에 따른 사용자의 퍼팅 정확도 데이터(data)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데이터 저장부(710)에 저장된 퍼팅 정확도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퍼팅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던 잔디플레이트(600) 형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의 외부 입력시 제어부(700)는 에어공급부(30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퍼팅 정확도가 낮았던 형상 정보에 맞게 잔디플레이트(600) 형상을 맞춤 변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
100 : 베이스부
200 : 변형부
210 : 가변그룹
211, 211' : 가변부재
2111, 2111' : 중첩부재
300 : 에어공급부
310 : 에어주입부
400 : 공기배출부
500 : 공기유동부
510 : 제1 밸브
520 : 제2 밸브
600 : 잔디플레이트
610 : 발 위치
620 : 골프공 위치
700 : 제어부
710 : 데이터 저장부
720 : 송수신부
800 : 센싱부
810 : 공기압센서
820 : 높이센서
20 : 사용자 단말
3 : 지면

Claims (6)

  1. 지면에 안착 또는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되며 지면에 대한 높이 또는 경사각이 조절되며, 상호 정렬 배치된 복수 개의 가변부재와, 상기 복수 개의 가변부재는 상호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가변부재가 군집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가변그룹을 포함하는 변형부;
    상기 변형부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가변그룹 각각의 지면에 대한 높이 또는 경사각을 조절하는 에어공급부;
    상기 변형부의 높이 또는 경사각이 조절됨에 따라 상이한 형상의 지형 또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프홀이 형성되는 잔디플레이트; 및
    복수 개의 형상 정보가 기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복수 개의 형상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에어공급부를 제어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형상 정보에 따라 상기 변형부의 지면에 대한 높이 또는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는,
    사용자의 외부 입력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골프홀에는 감지부가 마련되어 상기 잔디플레이트의 형상에 따른 사용자의 퍼팅 정확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는,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가변그룹 각각에 대응 배치된 복수 개의 공기유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기유동부 각각은 대응된 상기 가변그룹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변부재 각각과 연통된,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부는 복수 개의 에어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에어주입부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가변그룹 각각의 일측에 상기 공기유동부를 통해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가변그룹 각각의 타측에는 상기 각각의 가변그룹 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가 상기 공기유동부를 통해 연결된,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공기유동부 각각 및 상기 복수 개의 에어주입부 각각의 사이에는 제1 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기유동부 각각 및 복수 개의 상기 공기배출부 각각의 사이에는 제2 밸브가 형성된,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변부재 각각은, 지면에 대한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연장 형성된 복수 개의 중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중첩부재는 높이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 위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중첩부재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중첩부재는 기 설정된 높이까지 확장되는,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
  6. 삭제
KR1020190165614A 2019-12-12 2019-12-12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 KR102151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14A KR102151405B1 (ko) 2019-12-12 2019-12-12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14A KR102151405B1 (ko) 2019-12-12 2019-12-12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405B1 true KR102151405B1 (ko) 2020-09-03

Family

ID=7245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614A KR102151405B1 (ko) 2019-12-12 2019-12-12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4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599A (ko) 2020-12-29 2022-07-06 편수정 골프 연습용 매트 유닛
WO2022186633A1 (ko) * 2021-03-03 2022-09-09 김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치
KR102584314B1 (ko) * 2023-05-04 2023-09-27 김한일 에어를 이용한 경사 조절 방식의 골프 퍼팅 연습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559A (ko) * 1999-07-12 2001-02-05 배효석 골프 연습기
KR100371312B1 (ko) 1999-01-13 2003-02-07 시벤토, 인크. 알킬(아미노)디알콕시실란의 제조 방법
US20090118025A1 (en) * 2007-11-07 2009-05-07 Valerio Presezzi Variable morphology putting green for playing golf
KR20130135447A (ko) *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포디존 에어셀 타입의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312B1 (ko) 1999-01-13 2003-02-07 시벤토, 인크. 알킬(아미노)디알콕시실란의 제조 방법
KR20010009559A (ko) * 1999-07-12 2001-02-05 배효석 골프 연습기
US20090118025A1 (en) * 2007-11-07 2009-05-07 Valerio Presezzi Variable morphology putting green for playing golf
KR20130135447A (ko) *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포디존 에어셀 타입의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599A (ko) 2020-12-29 2022-07-06 편수정 골프 연습용 매트 유닛
WO2022186633A1 (ko) * 2021-03-03 2022-09-09 김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치
KR102584314B1 (ko) * 2023-05-04 2023-09-27 김한일 에어를 이용한 경사 조절 방식의 골프 퍼팅 연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1405B1 (ko) 가변형 골프 연습 장치
US10596442B2 (en) Golf simulation system
KR100470703B1 (ko) 골프연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US9993712B2 (en) Enhanced golf simulation system
US5441265A (en) Practice putting greens with variable contours
KR20130135453A (ko) 감지기능이 구비된 홀컵 및 홀컵이 구비된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100657549B1 (ko) 골프 연습용 받침대
US10137351B2 (en) Enhanced golf simulation system
KR101362789B1 (ko) 에어셀 타입의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US9987542B2 (en) Enhanced golf simulation system
KR200454505Y1 (ko) 골프장 그린 환경 변환 장치
KR102446316B1 (ko) 가변형 골프 퍼팅 연습매트
KR101159676B1 (ko) 골프 연습용 매트장치
KR101434245B1 (ko) 퍼팅 연습 장치
KR102253311B1 (ko) 경사면 골프퍼팅 연습기
KR101492766B1 (ko) 골프퍼팅 연습장치
KR102557916B1 (ko) 스마트 퍼팅보드 및 이를 이용한 퍼팅게임 시스템
US10065081B1 (en) Object positioning system
KR100672898B1 (ko) 골프연습기
KR20090085320A (ko) 골프 시뮬레이터
KR20160051346A (ko) 스크린 골프 시스템
US9993713B2 (en) Enhanced golf simulation system
JP6025005B1 (ja) ゴルフ用パター練習装置
KR102551383B1 (ko) 수동 골프티를 사용할 수 있는 타격 매트,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252816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