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392B1 -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392B1
KR102151392B1 KR1020200044099A KR20200044099A KR102151392B1 KR 102151392 B1 KR102151392 B1 KR 102151392B1 KR 1020200044099 A KR1020200044099 A KR 1020200044099A KR 20200044099 A KR20200044099 A KR 20200044099A KR 102151392 B1 KR102151392 B1 KR 102151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il
cosmetic composition
weight
amphiphi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은
김진영
김진모
홍인기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4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Abstract

본 발명은 유화 안정성 및 색소 분산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Water-in-oil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유화 안정성 및 색소 분산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스틱형 파운데이션 제품에 적용 가능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파운데이션은 피부, 특히 얼굴에 아름다운 색상과 광택을 부여하고, 발적(redness)이나 반점과 같은 피부 결점을 감추는데 사용되는 화장품으로, 사용자의 편의와 취향을 고려하여 액상, 크림상, 케이크상, 고형, 스프레이형, 스틱형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되고 있다. 특히, 스틱형 파운데이션은 화장료의 도포 시 손이나 스펀지 등의 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사용 및 휴대가 간편하고, 피부 트러블의 발생 우려가 적고, 화장료의 낭비가 적다는 장점으로 인해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유성 파운데이션 스틱은 왁스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사용의 편리성, 지속 내수성, 고커버력의 측면에서 우수하나, 왁시한 제형으로 인해 건조하고, 부드러운 발림성이 떨어지는 등 사용감이 열세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감 개선을 위해 수중유형(o/w type) 또는 유중수형(w/o type)과 같은 유화형 고체 파운데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9-0056298호에는 수중유형 고형 메이크업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중유형 조성물로 제조된 파운데이션의 경우, 사용감 면에서 우수하나 열세한 내수성으로 인해 땀이나 물에 대한 메이크업 지속성이 약하고, 장기 안정도를 발취하지 못하고, 커버력 구현에 한계가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또한, 수분 손실에 따른 수축 또는 탈리 현상으로 인해 제품 충전에 어려움이 있고, 특히 고온 환경에서 수분 손실로 인한 수축, 경도 하락 등 안정도가 열세해져 자외선 차단 성분의 SPF 유지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강력한 자외선 차단능과 고커버력 등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가 증가하면서, 고함량의 피그먼트(pigment)를 포함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으나, 유화 불안정, 점도 상승으로 인한 고온 유동성 부족, 충전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PEG) 계열의 유화제를 사용하는 제품이 있으나, 해당 유화제의 사용에 따른 피부 알러지 이슈 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유화 안정성 및 색소 분산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 및 수상 성분과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유화 안정성과 색소 분산성을 발휘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스틱형 파운데이션 제품에 적용 가능하며, 고함량의 피그먼트를 포함하는 안정적인 제형, 우수한 자외선 차단 성능 및 커버력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적용된 스틱형 파운데이션은 우수한 커버력 및 안정도를 나타내고, 청량감 있는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파운데이션 조성물의 피그먼트 분산도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파운데이션 조성물의 충전 상태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3의 파운데이션 조성물의 충전 상태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 6 및 7의 파운데이션 조성물의 피그먼트 분산도 및 충전 상태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의 조성물로 충전된 스틱형 파운데이션의 사용 후 단면을 관찰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내용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요소가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선택적으로 혼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 및 수상 성분과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상을 포함한다.
<유상>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은 유상 성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상은 필요에 따라 분산제, 안료 등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통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유상 성분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유상 성분은 오일,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로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스테아랄코늄 헥토라이트,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디부틸 아디페이트,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왁스로는 세레신 왁스, 칸델리나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비즈 왁스, 라놀리, 오조케라이트,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왁스는 폴리에틸렌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세레신 왁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유상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50 중량%, 예를 들어 3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상 성분이 오일 및 왁스를 포함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오일은 10 내지 40 중량%, 예를 들어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왁스는 1 내지 20 중량%, 예를 들어 5 내지 15 중량%, 다른 예로 9 내지 1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분산제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분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유상 성분 내 수상 성분의 유화를 돕고, 특히, 유성 안료의 분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산제로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통상의 분산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6폴리리시놀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상기 분산제는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일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함량은 당 분야에 공지된 함량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으며, 일례로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 예를 들어 0.1 내지 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안료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안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발색을 통해 커버력을 높이고, 자외선 차단 효과를 발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료로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분체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체 안료로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통상의 안료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무기 분체, 유기 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분체로는 이산화티탄, 산화철,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카본 블랙,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운모, 탈크, 탄화규소, 황산바륨, 질화붕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분체로는 나일론 파우더, 아크릴 파우더, 실크 파우더, 결정 셀룰로오스, N-아실 리진, 타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체 안료는 그 표면을 소수화제로 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수화제로는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소수화제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폴리실록산, 고점성 실리콘, 가교형 실리콘, 불소변성 실리콘, 아크릴변성 실리콘, 실리콘 수지 등의 실리콘 화합물, 퍼플루오로 알킬실란,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 라우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아연 등의 금속 비누, 폴리이소부틸렌, 왁스,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등의 유제, N-아실아미노산, 퍼플루오로 알킬인산 및 이의 염,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알킬인산 및 이의 염 등의 불소 화합물, 폴리비닐피롤리돈 변성 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분체 안료는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으로 소수화 처리된 황색 산화철,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으로 소수화 처리된 적색 산화철,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으로 소수화 처리된 흑색 산화철,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으로 소수화 처리된 이산화티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수득하고자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자외선 차단 성능 등에 따라 적절한 함량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예컨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 예를 들어 1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수상>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수상은 수상 성분 및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상은 필요에 따라 보습제, 보존제, 착향제 등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통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수상 성분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수상 성분은 정제수일 수 있고, 상기 수상 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를 만족시키는 잔량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50 중량%, 다른 예로 20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한다. 상기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는 친수성 폴리머 골격의 양쪽 말단에 소수성기가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수상 내에서, 상기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의 소수성기들은 서로 뭉쳐 꽃 모양의 구조를 형성하여, 조성물의 점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는 통상의 점증제 보다 PH 및 염에 강한 특성을 갖는다. 수상 내에 피그먼트가 투입되면, 상기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가 피그먼트의 계면을 둘러싸면서 피그먼트의 분산도 및 유화 안정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는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켜 충전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양친매성 구조적 특이성에 의하여 유화 입자를 안정화시키고, 안료나 색소의 분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고함량의 피그먼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피부 자극의 위험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는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테르(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트리데세스-6(Trideceth-6),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는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 코폴리머 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테르 및 트리데세스-6가 75 내지 95 : 5 내지 25 중량비, 예를 들어 88 내지 92 : 8 내지 12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상기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는 0.5 내지 3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를 전술한 함량으로 사용할 경우, 수상부를 적절한 정도로 점증시킬 수 있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스틱형 파운데이션이 우수한 커버력, 안정도를 나타내고, 청량감 있는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가 0.5 중량% 미만이면 점증 효과 및 분산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3 중량%를 초과하면 수상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공정 효율이 떨어지고, 발림성이 무거워져 수분감과 커버력이 열세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보존제, 보습제, 산화방지제, 착향제 등과 같은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첨가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자외선 차단제, 비비 크림, 씨씨 크림 등의 제조에 적용 가능하며, 크림상, 밤상, 고상의 제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틱형 파운데이션 제품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성 안료, 왁스, 오일 등을 가열 혼합하여 유상 부분을 제조하고,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 보습제, 정제수 등을 혼합하여 수상 부분을 제조한 후, 유상 부분에 수상 부분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추가하여 가열 혼합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오일, 왁스, 분산제 및 분체 안료를 80-85 ℃에서 가온하면서 아지-믹서(agi-mixer)로 완전히 용해하여 유상을 제조하였다. 보습제, 보존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60-70 ℃에서 가온하면서 아지-믹서로 프리믹싱하고, 200-1,000 rpm에서 수분산 폴리머를 소량씩 투하하며 혼합하여 수상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수상을 유상에 천천히 투입하여 유화 입자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투입 후 4,000 rpm에서 호모-믹서(HOMO-mixer)를 이용하여 약 8-10분 동안 유화하여, 실시예 1의 유중수형 파운데이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서의 각 성분의 사용량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2-3]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3의 유중수형 파운데이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7]
하기 표 2 및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7의 유중수형 파운데이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 및 표 3에서의 각 성분의 사용량 단위는 중량%이다.
Figure 112020037590190-pat00001
Figure 112020037590190-pat00002
Figure 112020037590190-pat00003
[실험예 1: 유화 안정성 평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파운데이션 조성물을 스틱 용기에 몰드 충전한 후, 각각 실온 조건, 고온 조건(40 ℃, 45 ℃), 냉-해동(fz) 조건(-17 ℃ 및 25 ℃ 12시간 간격으로 반복), cycle 조건(25 ℃, -5 ℃, 25 ℃ 및 40 ℃ 8 시간 간격으로 반복)의 인큐베이터에 보관하고, 제조 익일, 1주, 2주, 3주 및 4주 후에 각각 안정성을 평가하였고, 평가 결과는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37590190-pat00004
○ : 충전 표면 상태 양호, 스틱 형상 유지
△ : 스틱 표면에 스웨팅(Sweating) 발생, 표면 결이 고르지 못함
X : 유화 분리 현상 또는 수축 현상 관찰됨
Figure 112020037590190-pat00005
○ : 충전 표면 상태 양호, 스틱 형상 유지
△ : 스틱 표면에 스웨팅(Sweating) 발생, 표면 결이 고르지 못함
X : 유화 분리 현상 또는 수축 현상 관찰됨
표 4 및 표 5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조성물들은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유화 안정도를 나타냈다.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에서 수상에 존재하는 염은 유화 입자의 계면막을 두껍게 형성하여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전해질 층을 형성하는 염에 강한 수분산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유화 안정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본 발명의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 대신 종래의 폴리머 점증제를 사용한 비교예 3-5의 경우, 초기 유화 안정도는 양호하나 3주차부터 수축 현상이 심화되고 표면 불안정 현상이 관찰되었다. 비교예 3-5에 사용된 수분산 폴리머는 염에 대한 내성이 부족하여, 수상에서 점증이 잘 되지 않거나, 점증이 되더라도 유화 시 유화막이 불안정하여 유화가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폴리머 타입이 아닌 종래의 점증제를 사용한 비교예 6의 경우, 제조 후 초기부터 표면에 기공이 발생하고 물이 새어나오는 등, 유화 불안정성을 보였다.
[실험예 2: 안정성 평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파운데이션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 방법으로 안정성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피그먼트 분산도
유화 직후 80-85 ℃에서 육안으로 색띠의 발생 유무를 관찰하였다.
충전 상태
에어타이트 스틱 용기에 충전하여 냉각시킨 후, 육안으로 충전 결무늬 및 기포의 발생 유무를 관찰하였다.
벌크 유동도
유화 직전, 유화 중, 유화 직후, 80-85 ℃에서 벌크의 점도를 확인하였다.
장기 저장 후 상태
충전하여 실온(25℃)에서 7일 보관한 후, 표면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Figure 112020037590190-pat00006
표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조성물의 경우 피그먼트 분산도, 충전 상태, 벌크 유동도 및 장기 저장 후 상태에서 모두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파운데이션 조성물의 피그먼트 분산도를 관찰한 사진이고, 도 2는 실시예 1의 파운데이션 조성물의 충전 상태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화 전 유상부에 흰색의 띠가 존재하나(좌측 도면 참조), 유화 후에는 색띠가 관찰되지 않았고(우측 도면 참조), 이로서 실시예 1의 조성물이 우수한 피그먼트 분산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파운데이션 조성물은 스틱 용기에 몰드 충전 시 충전 결이 고르고, 분산 띠나 기포 없이 우수한 외관을 나타내었다.
반면, 비교예의 파운데이션 조성물은 측정한 물성 하나 이상에서 열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1은 본 발명의 수분산 폴리머를 소량으로 적용한 예로, 점증 효과 및 분산 효과가 떨어져 실시예에 비해 충전 상태가 열세하게 나타났다. 한편, 비교예 2는 본 발명의 수분산 폴리머를 과량으로 적용한 예로, 실시예에 비해 충전 상태가 열세하게 나타났으며, 이 경우 수상 점도가 높아져 공정 효율 또한 떨어진다.
도 3은 비교예 3의 파운데이션 조성물의 충전 상태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3의 파운데이션 조성물은 스틱 용기에 몰드 충전 시 표면에 기포가 발생하는 등 유화 불안정 현상이 관찰되었다(좌측 도면 참조). 또한, 충전 후 절단하여 단면을 관찰한 결과, 유화 분리 현상이 관찰되었고(중간 도면 참조), 유화 분리된 벌크(bulk)를 넓게 펴 발라보았을 때 정제수 및 오일이 분리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우측 도면 참조).
도 4는 비교예 6-7의 파운데이션 조성물의 피그먼트 분산도 및 충전 상태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6-7에서는 충전 무늬, 크랙, 색띠가 관찰되었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의 조성물로 충전된 스틱형 파운데이션의 사용 후 단면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얼굴면에 펴바른 후에도 스틱의 단면이 매끄럽게 유지된 반면, 비교예 3의 경우 단면이 매끄럽게 유지되지 못하였고 유화 분리 현상도 관찰되었다.
비교예의 조성물과 같이 피그먼트 분산도가 좋지 않을 경우, 유화 후 벌크의 점도가 높아져 고온에서 연속적인 흐름성을 나타내지 않고, 겔상으로 존재하게 된다. 또한, 비교예의 조성물은 충전 후 결 무늬가 생기거나 기포가 많이 발생하여 표면 상태가 고르지 않은 등, 충전 상태가 불량하여 스틱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경도 평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80-85 ℃ 가온조에서 완전히 용해하여 4 cm 직경의 용기에 2 cm 높이로 채우고, 25 ℃에서 하루 동안 보관한 후, FUDOH RHEO METER 기기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측정 조건: 10 mm 파이 직경의 핀으로 30 cm/s 속도로 1 cm 깊이에 대해 침입). 평가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37590190-pat00007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조성물들은 우수한 경도를 나타내는 바 스틱형 파운데이션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고, 고온 환경에서 2주 보관 후에도 유사한 수준의 경도를 유지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 대신 종래의 폴리머 점증제를 사용한 비교예 3-5의 경우, 표준품에 비해 낮은 경도를 나타내었고, 무른 사용감으로 인하여 스틱형 제품에 적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관능 평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로 제조된 스틱형 파운데이션의 번들거림, 발림성, 촉촉함, 피부자극 및 커버력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가장 낮음을 1로, 가장 높음을 5로 평가하였다.
Figure 112020037590190-pat00008
표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파운데이션들은 모든 평가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비교예의 파운데이션들은 하나 이상의 항목에서 열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 폴리머를 과량으로 적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수상 점도가 높아져 발림성 및 수분감이 열세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폴리머를 사용한 비교예 3-5의 경우, 유화 분리 현상으로 인해 수분감이 떨어지고, 제형이 분리되어 발림성 및 커버력 또한 열세해짐을 확인하였다. 종래의 유화제를 사용한 비교예 6-7도 발림성 및 커버력이 열세하게 나타났고, 특히 비교예 7의 경우 피부 자극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Claims (7)

  1. 유상 성분과 안료를 포함하는 유상 및 수상 성분과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상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는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테르 및 트리데세스-6을 88 내지 92 : 8 내지 12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상기 안료 10 내지 40 중량% 및 상기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은 오일,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의 분산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산제가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6폴리리시놀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분산제, 분체 안료, 보존제, 보습제, 산화방지제, 착향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유상 20 내지 50 중량%,
    상기 수상 성분 10 내지 50 중량% 및
    상기 양친매성 수분산 폴리머 0.5 내지 3 중량%
    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틱형 파운데이션.
KR1020200044099A 2020-04-10 2020-04-10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51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099A KR102151392B1 (ko) 2020-04-10 2020-04-10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099A KR102151392B1 (ko) 2020-04-10 2020-04-10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392B1 true KR102151392B1 (ko) 2020-09-03

Family

ID=7246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099A KR102151392B1 (ko) 2020-04-10 2020-04-10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3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1634A (ja) * 2008-11-07 2010-05-20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ベースメーキャップ化粧料
KR20170081221A (ko) * 2014-12-03 2017-07-11 로레알 자가결합성 폴리우레탄, 지방 알코올 또는 지방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안료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17178887A (ja) * 2016-03-31 2017-10-05 株式会社コーセー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20190088204A (ko) * 2018-01-18 2019-07-26 한국콜마주식회사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1634A (ja) * 2008-11-07 2010-05-20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ベースメーキャップ化粧料
KR20170081221A (ko) * 2014-12-03 2017-07-11 로레알 자가결합성 폴리우레탄, 지방 알코올 또는 지방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안료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17178887A (ja) * 2016-03-31 2017-10-05 株式会社コーセー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20190088204A (ko) * 2018-01-18 2019-07-26 한국콜마주식회사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1421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1410B1 (ko) W/o 유화 화장료
US7883690B2 (en) Mascara comprising a liquid fatty phase and a wax
EP1064909A2 (en) High internal aqueous phase water-in-oil type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WO2015174241A1 (ja) うるおい補給用スティック状化粧料
KR101975850B1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3453A (ko)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립메이크업 조성물
CZ221399A3 (cs) Stabilní základ s vysokým ochranným faktorem
US6740328B2 (en) Solid cosmetics
KR10050897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스테아로일 이눌린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9151A (ko) 실리콘 분체를 안정화시킨 무 계면활성제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N110227040B (zh) 一款可以出水的蜡基棒状化妆品及制备方法
JP4786172B2 (ja) 固型粉末化粧料
JP3442108B2 (ja) 水中油型固型化粧料
KR102151392B1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H07187950A (ja) 水中油型化粧料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747528B2 (ja) メ−クアツプ化粧料
KR20200134872A (ko) 천연 유래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10800B1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606776B1 (ko) 유성 고체형태 화장료
JPH092920A (ja) 化粧料及び表面処理剤
KR100614380B1 (ko) 겔화제를 이용한 유중수 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US11931436B2 (en) Water-in-oil emulsion for skin or lip care or makeup
KR101094544B1 (ko)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