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885B1 -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885B1
KR102150885B1 KR1020190021269A KR20190021269A KR102150885B1 KR 102150885 B1 KR102150885 B1 KR 102150885B1 KR 1020190021269 A KR1020190021269 A KR 1020190021269A KR 20190021269 A KR20190021269 A KR 20190021269A KR 102150885 B1 KR102150885 B1 KR 102150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
mounting device
band
wor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803A (ko
Inventor
이명옥
Original Assignee
투두글로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투두글로벌주식회사 filed Critical 투두글로벌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1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88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러한 부담의 최소화로 물건을 거치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는,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하여 물건을 거치하기 위한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로, 상기 가슴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부; 상기 밴드부에 구비되는 가슴 지지부; 및 상기 가슴 지지부와 상기 물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물건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Holder with wearable type on chest}
본 발명은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치 장치는 휴대 단말기 등의 물건을 받쳐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게 물건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구이다.
이러한 거치 장치는, 테이블 등의 고정체에 장착하여 휴대 단말기 등의 물건을 거치하는 테이블 고정형 거치 장치와, 손에 착용하여 휴대 단말기 등의 물건을 거치하는 손 착용형 거치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나아가, 손 착용형 거치 장치는 손가락 등의 손에 착용할 수 있다. 특히, 손 착용형 거치 장치는, 이동하면서 휴대 단말기 등의 물건을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사용이 편리하다는 이유로 그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손 착용형 거치 장치는, 휴대 단말기 등의 물건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배면에 접착 테이프 등을 통해 부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시킬 수 있는 금속 재질의 핑거링(finger ring)을 포함한다.
하지만, 기존의 손 착용형 거치 장치는, 눈 높이에 맞추기는 용이하나 사용자가 지지할 수 있는 손 또는 팔의 힘의 한계로 장시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핑거링이 손가락에 상당한 압박을 가하면서 손가락에 불편함과 통증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특히 이러한 불편함과 통증으로 인해 장시간 거치 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신체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러한 부담의 최소화로 물건을 장시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안 전방에 대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는,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하여 물건을 거치하기 위한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로, 상기 가슴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부; 상기 밴드부에 구비되는 가슴 지지부; 및 상기 가슴 지지부와 상기 물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물건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슴 지지부와 상기 위치 조절부의 일단부는 제1 착탈부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착탈부는, 상기 위치 조절부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사각 판 형상의 삽입 부재; 및 상기 가슴 지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 부재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안내하며 상기 위치 조절부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전면에 걸림 방지홈을 가지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가슴 지지부는, 상기 밴드부에 구비되되 상기 가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밴드부는, 상기 가슴 지지부의 제1 부분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가슴 지지부의 제2 부분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가슴 둘레를 감싸는 제1 밴드; 및 상기 가슴 지지부의 제3 부분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밴드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좌측 어깨 또는 우측 어깨 중 어느 하나에 걸리는 제2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밴드부는, 상기 가슴 지지부의 제1 부분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가슴 지지부의 제2 부분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좌측 어깨에 걸리는 제1 걸림 밴드; 상기 가슴 지지부의 제3 부분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가슴 지지부의 제4 부분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우측 어깨에 걸리는 제2 걸림 밴드; 및 상기 제1 걸림 밴드와 상기 제2 걸림 밴드를 연결하며 상기 사용자의 등에 위치되는 밴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는, 상기 위치 조절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회전 원판; 및 상기 삽입 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 원판을 수용하며 상기 가슴 지지부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회전 원판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안내하는 원판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절부가 상기 회전 원판에 대해 틸팅(tilting)되도록 상기 위치 조절부의 일단과 상기 회전 원판 사이에 틸팅용 힌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건과 상기 위치 조절부의 타단부는 제2 착탈부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착탈부는, 상기 물건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삽입 돌기; 상기 위치 조절부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 돌기를 수용하는 삽입관;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 상기 삽입 돌기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관의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마찰 부재; 상기 삽입 돌기가 관통되고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부가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마찰 부재를 상기 삽입관의 내부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는, 상기 삽입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점 직경이 커지는 중공된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는 그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그 일단에서 그 타단까지 절개된 절개부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하여 물건을 거치하기 위한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로, 밴드부와, 가슴 지지부와, 그리고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손이나 팔에 착용하는 기존 기술과 달리 밴드부 및 가슴 지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할 수 있고 위치 조절부 및 가슴 지지부를 통해 물건의 하중을 사용자의 가슴에 집중시킬 수 있어, 손이나 팔에 비해 신체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부담의 최소화로 물건을 장시간 거치하여도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슴 지지부는 밴드부에 구비되되 가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치우쳐 구비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위치 조절부를 통해 가슴 지지부에 구비되는 물건이 사용자의 시선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 놓일 수 있어,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안 전방에 대해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슴 지지부와 위치 조절부의 일단부는 제1 착탈부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물건을 거치하지 않을 때에는 돌출 구조물인 위치 조절부를 가슴 지지부로부터 탈거하여 밴드부와 가슴 지지부만을 가슴에 착용한 상태로 놓이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거동이 용이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의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를 벗어 보관할 경우 돌출 구조물인 위치 조절부가 탈거된 상태에 놓이므로 보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물건과 위치 조절부의 타단부는 제2 착탈부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제2 착탈부를 통해 물건을 위치 조절부의 타단부에서 탈거한 상태로 놓이게 할 수 있어, 물건을 보다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중 가슴 지지부와 위치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중 제1 착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중 제2 착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를 가슴에 착용한 상태에서 제2 착탈부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를 가슴에 착용한 상태에서 제2 착탈부를 이용하여 우산을 장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도 1의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를 가슴에 착용한 상태에서 제2 착탈부를 이용하여 손 선풍기를 장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중 가슴 지지부와 위치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중 제1 착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1의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중 제2 착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를 가슴에 착용한 상태에서 제2 착탈부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를 가슴에 착용한 상태에서 제2 착탈부를 이용하여 우산을 장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7은 도 1의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를 가슴에 착용한 상태에서 제2 착탈부를 이용하여 손 선풍기를 장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하여 물건(P10)을 거치하기 위한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로, 밴드부(110)와, 가슴 지지부(120)와, 그리고 위치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손이나 팔에 착용하는 기존 기술과 달리 밴드부(110) 및 가슴 지지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할 수 있고 위치 조절부(130) 및 가슴 지지부(120)를 통해 물건(P10)의 하중을 사용자의 가슴에 집중시킬 수 있어, 물건(P10)을 지지함에 있어 손이나 팔에 비해 신체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부담의 최소화로 물건(P10)을 장시간 거치하더라도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밴드부(110)는, 본 발명의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100)를 사용자의 가슴에 실질적으로 착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일 예로, 밴드부(11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밴드(111) 및 제2 밴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밴드(111)는, 그 일단이 가슴 지지부(120)의 제1 부분[도 1에서 가슴 지지부(120)의 좌측단]에 구비될 수 있고, 그 타단이 가슴 지지부(120)의 제2 부분[도 1에서 가슴 지지부(120)의 우측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 나머지 부분이 사용자의 가슴 둘레를 감쌀 수 있다. 나아가, 제1 밴드(111)에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길이 조절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밴드(112)는, 그 일단이 가슴 지지부(120)의 제3 부분[도 1에서 가슴 지지부(12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고, 그 타단이 제1 밴드[예를 들어, 제1 밴드(111) 중 사용자의 등에 위치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 나머지 부분이 사용자의 좌측 어깨(또는 우측 어깨)(도 5 참조)에 걸릴 수 있다. 나아가, 제2 밴드(112)에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 길이 조절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한 쪽 어깨에만 걸릴 수 있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100)를 가슴에 착용할 경우 답답한 느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밴드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걸림 밴드, 제2 걸림 밴드, 그리고 밴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 밴드는 그 일단이 가슴 지지부의 제1 부분(좌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고 그 타단이 가슴 지지부의 제2 부분(좌측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좌측 어깨에 걸릴 수 있다. 제2 걸림 밴드는 그 일단이 가슴 지지부의 제3 부분(우측 상부)에 그 일단이 구비될 수 있고 그 타단이 가슴 지지부의 제4 부분(우측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우측 어깨에 걸릴 수 있다. 밴드 고정부는 제1 걸림 밴드와 제2 걸림 밴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등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슴 지지부에 물건 등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제1 및 제2 걸림 밴드에 의해 좌측 어깨와 우측 어깨 모두에 지지될 수 있어 어느 한 측으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슴 지지부(120)는, 위치 조절부(130)를 사용자의 가슴에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가슴 지지부(12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밴드부(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밴드부(110)에 의해 가슴에 밀착될 수 있다.
나아가, 가슴 지지부(12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110)에 구비되되 가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측(또는 우측)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조절부(130)를 통해 가슴 지지부(120)에 구비되는 물건(P10)이 사용자의 시선에서 좌측(또는 우측)으로 치우쳐 놓일 수 있어,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안 전방에 대해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위치 조절부(130)는, 물건(P10)의 위치(경사각도와 높이 등)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위치 조절부(13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슴 지지부(120)와 물건(P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조절부(130)는, 길다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내부에 휘어질 수 있는 변형 가능한 금속 부재(미도시)가 길게 내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 외부가 고무 등의 외피로 감싸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건(P10)의 위치를 변경하면 위치 조절부(130)가 휘어지면서 그 변경된 위치에 물건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착탈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착탈부(140)는 가슴 지지부(120)와 위치 조절부(130)의 일단부를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물건(P10)을 거치하지 않을 때에는 제1 착탈부(140)를 통해 돌출 구조물인 위치 조절부(130)를 가슴 지지부(120)로부터 탈거하여 밴드부(110)와 가슴 지지부(120)만을 가슴에 착용한 상태로 놓이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거동이 용이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의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100)를 벗어 보관할 경우 돌출 구조물인 위치 조절부(130)가 탈거된 상태에 놓이므로 보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착탈부(14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41)와 가이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41)는 위치 조절부(130)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142)는, 가슴 지지부(120)에 구비될 수 있고, 삽입부(141)를 상하 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으며, 그리고 위치 조절부(130)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전면에 걸림 방지홈(142a)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삽입부(1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부재(141a), 회전 원판(141b), 그리고 원판 수용홈(141c)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부재(141a)는 가이드(142)에 인입출될 수 있고, 회전 원판(141b)은 위치 조절부(130)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원판 수용홈(141c)은, 삽입 부재(141a)에 구비될 수 있고, 회전 원판(141b)을 수용할 수 있으며, 가슴 지지부(12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회전 원판(141b)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조절부(130)가 회전 원판(141b)에 대해 틸팅(tilting)되도록 위치 조절부(130)의 일단과 회전 원판(141b) 사이에 틸팅용 힌지부(14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1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착탈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착탈부(150)는 물건(P10)과 위치 조절부(130)의 일단부를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착탈부(150)를 통해 물건(P10)을 위치 조절부(130)의 타단부에서 탈거한 상태로 놓이게 할 수 있어, 물건(P10)을 보다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착탈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돌기(151), 삽입관(152), 수나사부(153), 마찰 부재(154), 그리고 가압 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돌기(151)는 물건(P10)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삽입관(152)은 위치 조절부(130)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삽입 돌기(151)를 수용할 수 있다. 수나사부(153)는 삽입관(152)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마찰 부재(154)는 삽입 돌기(151)의 외주면과 삽입관(152)의 내주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가압 부재(156)는 삽입 돌기(151)가 관통될 수 있고 그 내주면에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암나사부가 수나사부(153)에 체결되면서 마찰 부재(154))를 삽입관(152)의 내부로 가압할 수 있다.
나아가, 마찰 부재(1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15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점 직경이 커지는 중공된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가압 부재(155)가 삽입관(152)을 향해 이동될수록 마찰 부재(154)가 압착되면서 삽입 돌기(151)는 삽입관(152)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마찰 부재(1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그 일단에서 그 타단까지 절개된 절개부(154a)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마찰 부재(154)가 압착되는 동안 절개부(154a) 사이가 조여질 수 있다.
참고로, 물건(P10)이 휴대 단말기(P11)인 경우 삽입 돌기(151)는 휴대 단말기(P11)를 파지는 파지부(H10)에 구비될 있고(도 5 참조), 물건(P10)이 우산(P12)인 경우 삽입 돌기(151)는 우산(P12)의 손잡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도 6 참조), 물건(P10)이 손 선풍기(P13)인 경우 삽입 돌기(151)는 손 선풍기(P13)의 손잡이에 구비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P10: 물건 P11: 휴대 단말기
P12: 우산 P13: 손 선풍기
100: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110: 밴드부
111: 제1 밴드 112: 제2 밴드
113: 제1 길이 조절부 114: 제2 길이 조절부
120: 가슴 지지부 130: 위치 조절부
140: 제1 착탈부 141: 삽입부
142: 가이드 150: 제2 착탈부
151: 삽입 돌기 152: 삽입관
153: 수나사부 154: 마찰 부재
155: 가압 부재

Claims (3)

  1.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하여 물건을 거치하기 위한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로,
    상기 가슴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부;
    상기 밴드부에 구비되는 가슴 지지부; 및
    상기 가슴 지지부와 상기 물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물건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슴 지지부와 상기 위치 조절부의 일단부는 제1 착탈부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착탈부는,
    상기 위치 조절부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사각 판 형상의 삽입 부재; 및
    상기 가슴 지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 부재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삽입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안내하며 상기 위치 조절부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전면에 걸림 방지홈을 가지는 가이드;
    를 포함하는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가슴 지지부는,
    상기 밴드부에 구비되되 상기 가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치우쳐 구비되는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3. 삭제
KR1020190021269A 2019-02-22 2019-02-22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KR102150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269A KR102150885B1 (ko) 2019-02-22 2019-02-22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269A KR102150885B1 (ko) 2019-02-22 2019-02-22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803A KR20200102803A (ko) 2020-09-01
KR102150885B1 true KR102150885B1 (ko) 2020-09-02

Family

ID=7244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269A KR102150885B1 (ko) 2019-02-22 2019-02-22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8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054B1 (ko) * 2022-09-16 2023-05-10 강영민 단말기 거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8483A2 (en) * 2003-05-01 2004-11-18 Rogers Dean B Chest-mounted suppor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0168A (ko) * 2012-02-29 2012-04-26 양두헌 모바일 기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8483A2 (en) * 2003-05-01 2004-11-18 Rogers Dean B Chest-mounted suppor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803A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2750B2 (en) Detachable and rotatable clip
US8170261B2 (en) Personal audio set with adjustable force mechanisms
JP3140740B2 (ja) イヤホンコード収納ケース
CA2955496C (en) Headband comfort and fit adjustment mechanisms
US5233650A (en) Telephone support device
US7325920B1 (en) Glasses for mounting to both rearward and forward facing caps
US5608917A (en) Ergonomic head band apparatus
US20110089207A1 (en) Mounting device couplable to a human head
KR102150885B1 (ko)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US11793260B2 (en) Skull mounting system for headgear, respiratory hood with headgear and method for fastening of headgear
KR101411380B1 (ko) 이어폰
US20120140974A1 (en) Personal audio set with adjustable force mechanisms
US3797045A (en) Turning device for the bail of an ear protector
CA2933856C (en) Safety glasses deployment system
US6053612A (en) Multi-purpose eyeglass retainer
US6278788B1 (en) Articulating support arm apparatus for head-worn devices
US6428167B1 (en) Eyewear with ponytail holder
US20130001008A1 (en) Hearing Protection Device For Removable Mounting to Eyeglass Frames
US7216972B1 (en) Glasses for mounting to both rearward and forward facing caps
KR101338886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
JP2002034089A (ja) ヘッドホン
KR20190080700A (ko) 일회용 방진마스크
CN211826769U (zh) 一种鼻托组件及眼镜
KR20060113207A (ko) 영상 표시기기의 틸트 제어 장치
JP3127009U (ja) 指輪の回転防止ストッ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