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054B1 - 단말기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054B1
KR102531054B1 KR1020220116867A KR20220116867A KR102531054B1 KR 102531054 B1 KR102531054 B1 KR 102531054B1 KR 1020220116867 A KR1020220116867 A KR 1020220116867A KR 20220116867 A KR20220116867 A KR 20220116867A KR 102531054 B1 KR102531054 B1 KR 102531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arm
link
suppo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민
김혜성
Original Assignee
강영민
김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민, 김혜성 filed Critical 강영민
Priority to KR1020220116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 장치는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상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은, 기 설정 체적을 갖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2개가 제공되어, 각각 상이한 단말기를 지지하거나, 함께 하나의 단말기를 지지하는 서포트 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기 거치 장치{Information terminals h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단말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효과적으로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로, 단말기의 위치 및 각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정보 단말기는 생활 필수품으로 인식될 정도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정보 단말기는 일상 생활을 하면서 사용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정보 단말기를 사용할 때, 책상 등과 같은 시설물에 올려 둔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많은 경우 사람이 직접 정보 단말기를 든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필수적으로 적어도 한 손을 통해 정보 단말기를 들로, 다른 손으로 정보 단말기를 조작하게 되어, 사용 및 조작 편의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를 효과적으로 지지한 상태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거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복수의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거치된 단말기의 위치 및 각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상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은, 기 설정 체적을 갖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2개가 제공되어, 각각 상이한 단말기를 지지하거나, 함께 하나의 단말기를 지지하는 서포트 암을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암은,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는 암 지지부; 후단이 메인 관절에 의해 상기 암 지지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암 링크; 후단이 링크암 관절에 의해 상기 제1 암 링크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암 링크; 및 하부가 거치판 관절에 의해 상기 제2 암 링크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링크암 관절은 3자유를 가지고 상기 제2 암 링크가 상기 제1 암 링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거치판 관절은 2자유를 가지고 상기 거치판이 상기 제2 암 링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관절은, 일단에 위치되는 제1 관절 부재; 타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관절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 관절 부재; 및 상기 제2 관절 부재의 내측 중앙 영역에 형성된 조절용 홀에 위치되어, 누름 상태일 때 상기 제2 관절 부재가 상기 제1 관절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회전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하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은, 기 설정 체적을 갖는 하체 체결 바디; 및 상기 하체 체결 바디의 좌우 방향에 2개가 제공되어, 길이 및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는 하부 서포트 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단말기를 효과적으로 지지한 상태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거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복수의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거치된 단말기의 위치 및 각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상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을 좌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상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메인 관절, 제1 링크암 관절, 제2 링크암 관절, 제3 링크암 관절, 제1 거치판 관절 및 제2 거치판 관절 각각에 있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방향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5은 메인 관절, 제1 링크암 관절, 제2 링크암 관절, 제3 링크암 관절, 제1 거치판 관절 및 제2 거치판 관절 각각에 있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하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하측 링크의 후단부가 하체 체결 바디에 연결된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하측 링크의 전단부와 제2 하측 링크의 후단부가 연결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하측 링크의 전단부에 있어 단말기 지지 부재가 연결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 장치(1)는 상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10) 및 하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20)을 포함한다.
상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10)은 사용자(도 10의 U)의 가슴에 착용되어, 단말기(도 10의 F1)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하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20)은 사용자(U)의 허리에 착용되어, 단말기(도 10의 F2)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도 2는 도 1의 상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을 좌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상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10)은 지지판(100) 및 서포트 암(100b)을 포함한다.
지지판(100)은 기 설정 체적을 갖도록 제공된다. 지지판(100)의 배면은 사람의 가슴에 대응되는 굴곡을 갖도록 제공되어, 사용자(U)의 가슴에 밀착될 수 있다. 지지판(10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용 보조부(101)가 제공될 수 있다. 착용 보조부(101)는 지지판(100)이 사용자(U)의 가슴에 고정되는 것을 보조한다. 일 예로, 착용 보조부(101)는 지지판(100)에 연결되어 어깨에 메기 위한 벨트가 삽입되는 고리 구조로 제공되어, 지지판(100)의 좌우측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지지판(100)의 일측에는 보조 베터리(102)가 부착될 수 있다. 보조 베터리(102)는 상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10) 및 하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20)에 거치된 단말기(F1, F2)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지지판(100)의 일측에는 서포트 암(100b)이 체결되는 암 체결부(103)가 위치된다. 암 체결부(103)는 지지판(100)의 하부 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암 체결부(103)는 좌우 방향으로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서포트 암(100b)은 지지판(100)에 연결된다. 서포트 암(100b)은 암 체결부(103)를 통해 지지판(100)에 연결될 수 있다. 서포트 암(100b)은 좌우 방향으로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서포트 암(100b)은 암 지지부(104), 제1 암 링크(110), 제2 암 링크(120) 및 거치판(130)을 포함한다.
암 지지부(104)는 서포트 암(100b)의 후단부에 위치된다. 암 지지부(104)는 암 체결부(103)에 결합된다. 일 예로, 암 지지부(104) 및 암 체결부(103) 중 하나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암 지지부(104)는 암 체결부(103)에 상하로 정렬시킨 후 슬라이딩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암 링크(110)는 기 설정 길이를 갖도록 제공된다. 제1 암 링크(110)의 후단은 메인 관절(140a)을 통해 암 지지부(104)에 연결된다. 메인 관절(140a)은 1자유로를 가지고 제1 암 링크(110)가 암 지지부(104)에 대해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제1 암 링크(110)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휘어진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암 링크(120)는 기 설정 길이를 갖도록 제공된다. 제2 암 링크(120)의 후단은 링크암 관절(140b, 140c, 140d)을 통해 제1 암 링크(110)의 전단에 연결된다. 링크암 관절(140b, 140c, 140d)은 3자유도를 가지고, 제2 암 링크(120)가 제1 암 링크(110)에 대해 회전 되게 할 수 있다. 링크암 관절(140b, 140c, 140d)은 제1 링크암 관절(140b), 제2 링크암 관절(140c) 및 제3 링크암 관절(140d)을 포함한다.
제1 링크암 관절(140b)은 일측이 제1 암 링크(110)의 전단에 연결되고, 제1 링크암 관절(140b)의 타단은 제2 링크암 관절(140c)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2 링크암 관절(140c)의 타단은 제3 링크암 관절(140d)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3 링크암 관절(140d)의 타단은 제2 암 링크(120)의 후단에 연결된다.
거치판(130)은 기 설정 면적을 갖도록 제공되어, 단말기(F1)를 지지한다. 거치판(130)의 하부는 거치판 관절(140e, 140f)을 통해 제2 암 링크(120)의 전단에 연결된다. 거치판 관절(140e, 140f)은 2자유도를 가지고, 거치판(130)이 제2 암 링크(120)의 전단에 대해 회전 되게 할 수 있다. 거치판 관절(140e, 140f)은 제1 거치판 관절(140e) 및 제2 거치판 관절(140f)을 포함한다. 제1 거치판 관절(140e)의 일단은 제2 암 링크(120)의 전단에 연결되고, 제1 거치판 관절(140e)의 타단은 제2 거치판 관절(140f)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2 거치판 관절(140f)의 타단은 거치판(130)의 하부에 연결된다. 거치판(130)의 하부는 유니버셜 조인트(131)를 통해 제2 거치판 관절(140f)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메인 관절, 제1 링크암 관절, 제2 링크암 관절, 제3 링크암 관절, 제1 거치판 관절 및 제2 거치판 관절 각각에 있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방향에 따른 종 단면도이고, 도 5은 메인 관절, 제1 링크암 관절, 제2 링크암 관절, 제3 링크암 관절, 제1 거치판 관절 및 제2 거치판 관절 각각에 있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관절(140a), 제1 링크암 관절(140b), 제2 링크암 관절(140c), 제3 링크암 관절(140d), 제1 거치판 관절(140e) 및 제2 거치판 관절(140f) 각각(이하, 관절)는 제1 관절 부재(141), 제2 관절 부재(142) 및 회전 조절 부재(143)를 포함한다.
제1 관절 부재(141)는 관절(140a, 140b, 140c, 140d, 140e, 140f)의 일단에 위치된다. 제1 관절 부재(141)에 있어 관절(140a, 140b, 140c, 140d, 140e, 140f)의 타단을 향하는 면의 내측 중앙 영역에는 삽입 체결부(141a)가 돌출 형성된다. 삽입 체결부(141a)는 제1 관절 부재(141)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한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절 부재(142)는 관절(140a, 140b, 140c, 140d, 140e, 140f)의 타단에 위치되어, 제1 관절 부재(1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관절 부재(142)의 내측 중앙 영역에는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조절용 홀이 형성된다. 삽입 체결부(141a)는 조절용 홀이 삽입되게 위치될 수 있다. 삽입 체결부(141a)의 단부는 조절용 홀을 지나 제1 관절 부재(141)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삽입 체결부(141a)의 단부의 외측 둘레에는 체결 링(145)이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링(145)을 삽입 체결부(141a)가 조절용 홀에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에서, 제2 관절 부재(142)가 회전 가능하게 한다.
회전 조절 부재(143)는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어, 삽입 체결부(141a)의 내측 및 조절용 홀에 위치된다. 회전 조절 부재(143)에 있어 제1 관절 부재(141)를 향하는 하부 영역은 제1 관절 부재(141)와 제2 관절 부재(142) 사이에 형성된 회전 조절 공간에 위치된다. 회전 조절 부재(143)의 하부 영역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 조절부(143b)가 형성된다. 내측 조절부(143b)에는 삽입홀(143a)이 형성된다. 삽입홀(143a)은 삽입 체결부(141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삽입 체결부(141a)가 삽입된다. 내측 조절부(143b)의 외측 둘레에는 톱니가 형성된다. 제2 관절 부재(142)에 있어 회전 조절 공간을 향하는 영역에는 내측 조절부(143b)에 대응되는 형상의 외측 조절부(142a)가 형성된다. 외측 조절부(142a)는 제1 관절 부재(141)의 반대 방향의 영역(즉, 회전 조절 공간의 상부)에 형성된다. 내측 조절부(143b)는 회전 조절 공간보다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방향의 높이가 작게 제공되어, 회전 조절 부재(143)는 제1 관절 부재(141)와 제2 관절 부재(142)가 배치되는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회전 조절 부재(143)의 상부는 제2 관절 부재(14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된다. 관절(140a, 140b, 140c, 140d, 140e, 140f)의 타단 방향에 위치되는 제2 관절 부재(142)의 상부 내측에는 마감 부재(146)가 삽입되어, 회전 조절 부재(143)의 상부 외측과 제2 관절 부재(142)의 내측 중앙 영역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메울 수 있다.
회전 조절 부재(143)의 하부와 제1 관절 부재(141) 사이에는 탄성 부재(144)가 위치된다. 회전 조절 부재(143)의 하부 내측에는 홀이 형성되어, 탄성 부재(144)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조절 부재(143)를 눌러, 내측 조절부(143b)가 외측 조절부(142a)의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제2 관절 부재(142)는 제1 관절 부재(141)에 대해 회전 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조절 부재(143)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내측 조절부(143b)가 상승하면서 외측 조절부(142a)에 끼워지면서, 제2 관절 부재(142)는 제1 관절 부재(141)에 대한 회전이 제한된다.
도 6은 도 1의 하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20)은 하체 체결 바디(200), 하부 서포트 암(200a)을 포함한다.
하체 체결 바디(200)는 기 설정 체적을 갖도록 제공된다. 하체 체결 바디(200)는 내측면이 사람의 허리에 대응되는 굴곡을 갖도록 제공되어, 사용자(U)의 허리에 밀착될 수 있다. 하체 체결 바디(200)는 벨트 구조에 의해 허리에 착용될 수 있다. 하체 체결 바디(200)에는 하부 서포트 암(200a)이 체결되는 하부 암 체결부(201)가 위치된다. 하부 암 체결부(201)는 하체 체결 바디(200)의 좌우 양측에 위치된다.
하부 서포트 암(200a)은 하체 체결 바디(200)에 연결된다. 하부 서포트 암(200a)은 좌우 방향으로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하부 서포트 암(200a)은 제1 하측 링크(210), 제2 하측 링크(220) 및 단말기 지지 부재(230)를 포함한다.
도 7은 제1 하측 링크의 후단부가 하체 체결 바디에 연결된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하측 링크(210)는 기 설정 길이를 갖도록 제공된다. 제1 하측 링크(210)는 후단부가 하체 체결 바디(200)에 연결된다. 제1 하측 링크(210)의 후단은 하부 암 체결부(201)의 내측에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제공되는 링크 연결축(21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링크 연결축(211)은 기 설정 이상의 토크가 가해지면 회전 되게 제공된다. 링크 연결축(211)의 외측 단부는 하부 암 체결부(20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후방 조절 부재(212)에 연결될 수 있다. 후방 조절 부재(212)는 사람이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기 설정 체적을 갖도록 제공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U)는 후방 조절 부재(212)를 통해 제1 하측 링크(210)를 하체 체결 바디(200)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다.
도 8은 제1 하측 링크의 전단부와 제2 하측 링크의 후단부가 연결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하측 링크(220)의 후단부는 제1 하측 링크(210)이 전단부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예로, 제1 하측 링크(210)이 전단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홀이 형성되고, 제2 하측 링크(220)는 후단부가 제1 하측 링크(210)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측 링크(220)의 후단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레크(221)가 형성되고, 제1 하측 링크(210)의 전단부에는 레크(221)와 맞물리는 피니언(216)이 위치될 수 있다. 피니언(216)의 축은 제1 하측 링크(210)의 전단부 외측으로 연장되어, 중간 조절 부재(215)에 연결된다. 중간 조절 부재(215)는 사람이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기 설정 체적을 갖도록 제공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U)는 중간 조절 부재(215)를 통해 피니언(216)을 회전시켜, 제2 하측 링크(220)를 제1 하측 링크(210)에 대해 전후 방향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제2 하측 링크의 전단부에 있어 단말기 지지 부재가 연결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기 지지 부재(230)의 후단부는 제2 하측 링크(220)이 전단부에 연결된다.
단말기 지지 부재(230)의 후단부는 지지부 회전축(226)에 연결된다. 지지부 회전축(226)은 제2 하측 링크(220)의 전단부 내측에 위치된 지지 부재측 기어(226a)와 연결된다. 또한, 제2 하측 링크(220)의 전단부 내측에는 지지 부재측 기어(226a)와 맞물려 회전되는 링크측 기어(225)가 위치된다. 링크측 기어(225)의 축은 제2 하측 링크(220)의 전단부 외측으로 연장되어, 전방 조절 부재(224)에 연결된다. 지지 부재측 기어(226a) 및 링크측 기어(225)는 웜 기어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전방 조절 부재(224)는 사람이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기 설정 체적을 갖도록 제공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U)는 전방 조절 부재(224)를 통해 링크측 기어(225)를 회전시켜, 단말기 지지 부재(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단말기 지지 부재(230)에는 보조 지지판(240)이 부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 장치(1)는 상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10)은 사용자(U)의 가슴에 착용되고, 하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20)은 사용자(U)의 허리에 착용되어 사용된다.
상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10)의 경우, 서포트 암(100b)이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제1 암 링크(110), 제2 암 링크(120) 및 지지판(100)이 회전 가능함에 따라, 단말기(F1)를 거치하지 않는 경우, 서포트 암(100b)을 지지판(100) 쪽으로 접어두고, 단말기(F1)를 거치하는 경우 서포트 암(100b)을 펼친 후 지지판(100)에 단말기(F1)를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면적이 큰 단말기(F1)를 거치하는 경우, 2개의 서포트 암(100b)을 통해 단말기(F1)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2개의 서포트 암(100b)에 각각 다른 단말기를 거치하는 방식으로, 2개의 단말기를 거치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포트 암(100b)이 높은 자유도를 가짐에 따라 각각의 서포트 암(100b)의 지지판(100)의 위치를 사용자(U)가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20)의 경우, 하부 서포트 암(200a)이 길이, 각도가 다양하게 조절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U)는 거치된 단말기(F2)와 사용자(U) 사이의 거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상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 20: 하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
100: 지지판 100b: 서포트 암
101: 착용 보조부 102: 보조 베터리
110: 제1 암 링크 120: 제2 암 링크
130: 거치판 141: 제1 관절 부재
142: 제2 관절 부재 143: 회전 조절 부재
144: 탄성 부재 200: 하체 체결 바디
200a: 하부 서포트 암 210: 제1 하측 링크
220: 제2 하측 링크 230: 단말기 지지 부재
240: 보조 지지판

Claims (5)

  1. 사용자의 가슴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상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 및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하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은,
    기 설정 체적을 갖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2개가 제공되어, 각각 상이한 단말기를 지지하거나, 함께 하나의 단말기를 지지하는 서포트 암을 포함하되,
    상기 서포트 암은,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는 암 지지부;
    후단이 메인 관절에 의해 상기 암 지지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암 링크;
    후단이 링크암 관절에 의해 상기 제1 암 링크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암 링크; 및
    하부가 거치판 관절에 의해 상기 제2 암 링크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판을 포함하되,
    상기 링크암 관절은 제1링크암 관절, 제2 링크암 관절 및 제3 링크암 관절을 포함하여, 3자유를 가지고 상기 제2 암 링크가 상기 제1 암 링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거치판 관절은 제1 거치판 관절 및 제2 거치판 관절을 포함하여, 2자유를 가지고 상기 거치판이 상기 제2 암 링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메인 관절, 상기 제1 링크암 관절, 상기 제2 링크암 관절, 상기 제3링크암 관절, 상기 제1 거치판 관절 및 상기 제2 거치판 관절 각각은,
    일단에 위치되고 내측 중앙 영역에 삽입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1 관절 부재;
    타단에 위치되어, 내측 중앙 영역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삽입 체결부가 삽입되게 위치되는 조절용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관절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 관절 부재; 및
    상기 삽입 체결부의 내측 및 상기 제2 관절 부재의 내측 중앙 영역에 형성된 상기 조절용 홀에 위치되어, 누름 상태일 때 상기 제2 관절 부재가 상기 제1 관절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회전 조절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 체결부의 단부는 상기 조절용 홀을 지나 상기 제1 관절 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삽입 체결부의 단부의 외측 둘레에는 체결 링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 조절 부재에 있어 상기 제1 관절 부재를 향하는 하부 영역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 조절부가 형성되되, 상기내측 조절부에는 상기 삽입 체결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삽입 체결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조절부의 외측 둘레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제2관절 부재에 있어 내측 영역에는 상기 내측 조절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외측 조절부가 형성는 단말기 거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하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체측 단말기 거치 모듈은,
    기 설정 체적을 갖는 하체 체결 바디; 및
    상기 하체 체결 바디의 좌우 방향에 2개가 제공되어, 길이 및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제공되는 하부 서포트 암을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 장치.
KR1020220116867A 2022-09-16 2022-09-16 단말기 거치 장치 KR102531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867A KR102531054B1 (ko) 2022-09-16 2022-09-16 단말기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867A KR102531054B1 (ko) 2022-09-16 2022-09-16 단말기 거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054B1 true KR102531054B1 (ko) 2023-05-10

Family

ID=8638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867A KR102531054B1 (ko) 2022-09-16 2022-09-16 단말기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0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80861A1 (en) * 2016-03-31 2017-10-05 Chester Bryant Electronic Device Harness Assembly
KR101790949B1 (ko) * 2016-02-04 2017-10-27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태그가 장착된 다관절 옷걸이 및 그 이용 방법
KR20200102803A (ko) * 2019-02-22 2020-09-01 투두글로벌 주식회사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KR102157509B1 (ko) * 2020-01-07 2020-09-21 (주) 오토탑 선바이저나 차량 헤드레스트 지지봉 착탈형의 다단 가변식 휴대폰 거치대
US20210153644A1 (en) * 2019-11-27 2021-05-27 Max Daniel Pierre Lap free portable smart standing des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949B1 (ko) * 2016-02-04 2017-10-27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태그가 장착된 다관절 옷걸이 및 그 이용 방법
US20170280861A1 (en) * 2016-03-31 2017-10-05 Chester Bryant Electronic Device Harness Assembly
KR20200102803A (ko) * 2019-02-22 2020-09-01 투두글로벌 주식회사 가슴 착용형 거치 장치
US20210153644A1 (en) * 2019-11-27 2021-05-27 Max Daniel Pierre Lap free portable smart standing desk
KR102157509B1 (ko) * 2020-01-07 2020-09-21 (주) 오토탑 선바이저나 차량 헤드레스트 지지봉 착탈형의 다단 가변식 휴대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8123B1 (en) Eyewear with conductive temple joint
US10288908B2 (en) Modular heads-up display system
US8770741B2 (en) Image viewing glasses
JP4204436B2 (ja) カメラあるいはビデオカメラを固定するための肩装着型カメラ支持装置
US6700775B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cover device with a stand unit for supporting a user interface device
US10154936B2 (en) Connecting module and motion assistanc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317706B1 (en) Battery assembly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20170039670A (ko) 동작 지원 장치
EP4123416B1 (en) Flip function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TWM483638U (zh) 固定架
US20150137760A1 (en) Holding structure
CN106287140B (zh) 支架
KR102531054B1 (ko) 단말기 거치 장치
KR102157514B1 (ko) 등판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JP2012105117A (ja)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CN109316314B (zh) 外骨骼机器人、通用关节模组及其关节限位组件
CN105842849B (zh) 可佩带式显示设备
CN109313472A (zh) 散热结构和用于电子头戴设备框架的移动性装置
CN110897638A (zh) 可调节的穿戴装置及脑电波采集设备
CN210573048U (zh) 一种便于更换鼻托的眼镜
CN104565703B (zh) 一种显示装置
CN112386452A (zh) 一种中医消化内科治疗装置
EP3306171B1 (en) Hands-free dual clamp device
WO2008136613A1 (en) Hinge module for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EP4258630A1 (en) Grip assistant tool for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