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786B1 -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 - Google Patents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786B1
KR102150786B1 KR1020190008760A KR20190008760A KR102150786B1 KR 102150786 B1 KR102150786 B1 KR 102150786B1 KR 1020190008760 A KR1020190008760 A KR 1020190008760A KR 20190008760 A KR20190008760 A KR 20190008760A KR 102150786 B1 KR102150786 B1 KR 102150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llow body
hollow
bund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678A (ko
Inventor
김화순
Original Assignee
김화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순 filed Critical 김화순
Priority to KR1020190008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7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formed by a rigid spout outlet opened by tilting of the spout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이나 작동 행위 없이도 용기를 아래 방향으로 기울이거나 거꾸로 드는 것만으로 용기 내의 액상 물질이 일정량만 배출되도록 하는 캡(500)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500)은, 용기(600)의 입구부를 밀봉하는 본체부(510)와, 상기 본체부 중심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 길이의 봉형의 중공체(520)와, 상기 중공체 내에서 상,하 자유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블록 뭉치(530)와, 상기 중공체의 일측 끝단에 구성되어 상기 블록 뭉치(530)가 그 중공체(52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함과 동시에 상기 블록 뭉치(530)에 의하여 상기 일측 중공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그 중공체(520) 일단에 구성되는 단턱부(521)와, 상기 중공체(520)의 타측에 구성되어 상기 블록 뭉치(530)가 그 중공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체(522)를 구비하고, 상기 봉형의 중공체(520)는 상기 용기(600)의 입구부(601)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는 용기의 목(602) 내면에 밀착되게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A control cap for a discharge volume of a bottle}
본 발명은 병에 담겨있는 액체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캡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사용자의 배출량 조작 행위가 없어도 병 내의 액체가 일정량 이상 과도하게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캡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올리브유, 참기름, 들기름, 간장, 식초 등의 식용유는 병 등의 용기에 내에 담겨 캡으로 밀봉하여 판매되는 경우가 많다.
캡으로 밀봉된 용기 내의 액상 물질은 사용자가 캡을 개방한 후 용기를 기울여 적정량 따라서 사용하는데, 액상 물질을 일정량씩 따라 사용하는 과정에서 액상물질이 사용자가 의도한 것보다 너무 과도하게 배출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음식 등을 요리하는 과정에서 한 스푼의 간장이나 식용유가 투입되어야 하는데, 의도하지 않은 두 스푼 분량이 배출되어 투입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76052호에는 캡 내부에 정량조절부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만 액상 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하는 캡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 정량조절 캡(200)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종래 액상 물질이 저장되어 있는 용기(10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정량조절 캡(200)은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에 일단이 힌지(220)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은 체결수단(230)에 의해 몸체에 결합되는 마개(240)와,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 액상 물질의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정량조절부(250)가 구성된다.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는 2개의 상,하부공간부(211,21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공간부(211)의 상면에는 상부공간부(211)의 내부로 공급된 액상 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211-1)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공간부(211)의 하면에는 하부공간부(212)와 연통되는 관통공(211-2)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공간부(212)의 하면은 개구되어 용기(100)의 상단부와 결합된다.
상기 상부공간부(211)의 상단부에는 용기(100)에 저장된 액상 물질이 상부공간부(211) 내부로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개폐수단(300)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수단(300)은 용기(100) 내부에 저장된 액상 물질을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만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상부공간부(211)의 상면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은 상부공간부(211)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공(211-2)과 동일한 중심축선 상에 형성된다. 또 상기 구멍에는 수직이동손잡이(310)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수직이동손잡이(310)의 하단부는 상부공간부(211)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공(211-2)까지 연장설치된다.
한편, 상기 수직이동손잡이(310)의 상,하단부에는 각각 원기둥 형상의 상,하부개폐마개(311, 312)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이동손잡이(3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부개폐마개(311)는 상부공간부(211)의 상면에 형성된 배출구(21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직이동손잡이(310)와 함께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상부공간부(211) 내부에 저장된 액상 물질이 배출구(211-1)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컨트롤한다.
상기 수직이동손잡이(310)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부개폐마개(312)는 상부공간부(211)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공(21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수직이동손잡이(310)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여 용기(100) 내부에 저장된 액상 물질이 상부공간부(211)로 유입되는 것을 컨트롤한다.
또, 상기 하부개폐마개(312)의 하면에는 하부보조마개(312-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개폐마개(311)의 상면에는 스프링(S)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S)의 타단은 상부공간부(211)의 구멍 상단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수직이동손잡이(310)를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수직이동손잡이(310)는 하부로 이동하면서 스프링은 신장하고, 사용자가 하부방향으로 누르던 수직이동손잡이(310)에서 손을 떼면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수직이동손잡이(310)는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 위치로 복원하게 된다.
상기 수직이동손잡이(310)가 사용자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면, 상기 수직이동손잡이(3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부개폐마개(311)는 상부공간부(211)에 형성된 배출구(211-1)를 차단하고, 상기 수직이동손잡이(310)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부개폐마개(312)는 상부공간부에 형성된 관통공(211-2)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부공간부(211)와 용기(100)는 연통된 상태가 된다.
상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100)를 거꾸로 들면 용기(100) 내부에 저장된 액상 물질은 상부공간부(211) 내부로 일정량 유입되어 상부공간부(211) 내부에 저장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용기(100)를 바로 세움과 동시에 수직이동손잡이(310)에서 손을 떼면, 상기 수직이동손잡이(310)는 원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수직이동손잡이(310)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부개폐마개(312)가 상부공간부(211)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공(211-2)을 차단하고, 상기 수직이동손잡이(3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부개폐마개(311)는 배출구(211-1)를 개방한다.
상기 상태에서 상부공간부(211)에 저장된 액상 물질만을 용기로부터 따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캡 구조는 정량조절부의 설치 구조가 복복잡하여 제조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특히 정량을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수직이동손잡이(310)를 조작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7605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이나 작동 행위 없이도 용기의 입구를 아래 방향으로 기울이거나 거꾸로 드는 것만으로 용기 내의 액상 물질이 일정량만 배출되도록 하는 캡 구조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출량 조절부의 구조 및 동작이 간단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능한 용기용 캡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은, 용기의 입구부를 밀봉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중심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 길이의 봉형의 중공체와,
상기 중공체 내에서 상,하 자유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블록 뭉치와,
상기 중공체의 일측 끝단에 구성되어 상기 블록 뭉치가 그 중공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함과 동시에 상기 블록 뭉치에 의하여 상기 일측 중공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그 중공체 일단에 구성되는 단턱부와, 상기 중공체의 타측에 구성되어 상기 블록 뭉치가 그 중공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봉형의 중공체는 상기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는 용기의 목 내면에 밀착되게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중공체의 길이는 5~10cm 길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단턱부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되는 파단형 밀봉막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블록 뭉치는 상기 지지체와 접촉되는 쪽이 유선형으로 구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중공체의 중공부 내면과 소정의 틈새를 유지하고 마찰을 줄이기 위한 적어도 한쌍 이상의 스트라이프형 돌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블록 뭉치는 플라스틱 또는 목재로 구성되고, 중앙 선단에 금속 또는 스톤으로 이루어진 코어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블록 뭉치가 상기 중공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체는 상기 블록 뭉치의 상,하 이동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고정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은, 봉형의 중공체 내에서 상,하 자유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블록 뭉치와, 상기 중공체의 일측 끝단에 구성되어 상기 블록 뭉치가 그 중공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함과 동시에 상기 블록 뭉치에 의하여 상기 일측 중공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그 중공체 일단에 구성되는 단턱부와, 상기 중공체의 타측에 구성되어 상기 블록 뭉치가 그 중공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함으로써, 용기를 기울이는 것만으로 용기 내의 액상 물질이 일정량만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액상 물질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캡의 구조 및 동작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의 입체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이 병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이 병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이 개방된 상태를 나태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종래 정량조절 캡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의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의 구조 및 작용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5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체부(510), 본체부에 연장되어 구성되는 봉형의 중공체(520), 봉형의 중공체 내에 구성되는 블록 뭉치(530)를 구비한다. 본체부(510)는 중앙 상단에 구성되는 개구부(511)를 사용자가 파단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파단형 밀봉막(512)이 구성된다. 파단형 밀봉막(512)은 손잡이(513)을 잡아당기면 도 2와 같이 개구부(51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이탈되는 구조의 공지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본체부(510)의 상측에는 외부 뚜껑(515)이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된다. 본체부(510)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용기(600)의 입구부를 밀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본체부(510)의 내면이 용기의 입구부에 접촉되도록 억지끼움되어 결합되거나 내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용기(600)의 목 부분과 나합되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또, 봉형의 중공체(520)는 상기 본체부(510) 중심축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 설치된다. 봉형의 중공체(520)의 외경은 용기(600)의 개구부(601)로부터 잘록하게 연장된 목(602)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구성되어 용기의 목(602) 내면에 밀착되게 끼워진다. 봉형의 중공체(520) 길이는 용기의 사이즈, 액상 물질의 배출 조절 용량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으나 5~10cm 길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체의 일측 끝단에는 단턱부(521)가 구성되고, 중공체의 타측에는 지지체(522)가 그 중공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봉형의 중공체(520) 내에 구성되는 블록 뭉치(530)는 봉형의 중공체로 부터 지지체(522)를 분리한 후 그 중공체 내에 끼우고 다시 지지체(222)를 봉형의 중공체(520)에 고정하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봉형의 중공체(520) 내에 결합된 블록 뭉치(530)는 봉형의 중공체의 상,하가 바뀌더라도 중공체 내에서 외력이 없이 자유낙하 또는 자유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봉형의 중공체(520) 내에 블록 뭉치(530)가 결합되면 봉형의 중공체(520)에 구성되는 단턱부(521)는 상기 블록 뭉치(530)가 그 중공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함과 동시에 상기 블록 뭉치(530)에 의하여 상기 양쪽 단턱부 영역에 형성된 중공 개구부가 임시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봉형의 중공체(520)에 결합되는 지지체(522)는 블록 뭉치(530)가 그 중공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블록 뭉치(530)를 지지하는 지지체(522)는 도 2에 예시된 구조와 같이 봉형의 중공체(520) 하단에 일자형 핀 구조를 억지끼움하거나 나사결합하여 고정하여도 되고, 도 6과 같이 액상 물질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원형 테두리에 빗살 및 손잡이를 고정한 구조로 구성하고 봉형의 중공체(520)의 중공부 내면에 억지끼움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체(522)는 블록 뭉치(530)의 이동 행정 길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제조 기술자가 적절히 위치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블록 뭉치(530)의 이동 행정 길이가 길면 용기 내의 액상 물질의 배출량이 많아지고, 이동 행정 길이가 짧으면 용기 내의 액상 물질의 배출량이 적어진다.
상기와 같이 봉형의 중공체 내에 끼워져 결합되는 블록 뭉치(530)는 상기 지지체(522)와 접촉되는 쪽이 유선형의 팽이 모양으로 구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중공체(520)의 중공부 내면과 소정의 틈새를 유지하고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다수의 스트라이프형 돌기(531)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된다. 상기 블록 뭉치(530)는 플라스틱 또는 목재로 구성할 수 있고, 중앙 선단에 금속 또는 스톤으로 이루어진 코어(532)가 결합되어 있다. 블록 뭉치(530)의 선단을 평탄하게 구성하고 중앙 선단에 상대적으로 블록 뭉치의 몸체보다 중량이 무거운 코어(532)를 결합하는 것은 블록 뭉치(530)의 선단이 봉형의 중공체(520)의 단턱부(521)에 걸렸을 때 그 단턱부와 블록 뭉치(530)의 밀착성을 높여 양쪽 단턱부 영역에 형성된 중공체의 개구부 쪽으로 용기(600) 내의 액상 물질이 누수되는 되는 것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지지체(522)와 접촉되는 쪽을 유선형의 팽이 모양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용기(600)를 기울였을 때 액상 물질이 용기(600)로부터 중공체(520)의 중공부로 원활하게 흘러들어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500)은, 용기(600)의 입구부를 밀봉하는 본체부(510)와, 상기 본체부 중심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 길이의 봉형의 중공체(520)와, 상기 중공체 내에서 상,하 자유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블록 뭉치(530)와, 상기 중공체의 일측 끝단에 구성되어 상기 블록 뭉치(530)가 그 중공체(52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함과 동시에 상기 블록 뭉치(530)에 의하여 상기 일측 중공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그 중공체(520) 일단에 구성되는 단턱부(521)와, 상기 중공체(520)의 타측에 구성되어 상기 블록 뭉치(530)가 그 중공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체(522)를 구비하고, 상기 봉형의 중공체(520)는 상기 용기(600)의 입구부(601)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는 용기의 목(602) 내면에 밀착되게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500)의 동작은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과 같이 파단형 밀봉막(512)를 제거하고 외부 뚜껑(515)을 개방한 후 용기(600)를 기울이면 블록 뭉치(530)와 용기 내에 있는 액상 물질(610)이 동시에 중공체(520)의 중공부를 따라 흘러 내려온다. 흘러 내려오는 액상 물질은 블록 뭉치(530)가 단턱부(521)에 접촉되어 중공체의 중공부를 차폐할 때까지 용기(600)로부터 배출된 후, 도 8과 같이 블록 뭉치(530)가 단턱부(521)에 접촉되어 중공체의 중공부를 차폐하면 액상 물질의 배출이 중지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500)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예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500: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
510: 본체부
511,601: 개구부
512: 밀봉막
513: 손잡이
515: 외부 뚜껑
520: 중공체
521: 단턱부
522: 지지체
530: 블록 뭉치
531: 스트라이프형 돌기
532: 코어
600: 용기
610: 액상 물질

Claims (6)

  1. 용기의 입구부를 밀봉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중심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 길이의 봉형의 중공체와,
    상기 중공체 내에서 상,하 자유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블록 뭉치와,
    상기 중공체의 일측 끝단에 구성되어 상기 블록 뭉치가 그 중공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함과 동시에 상기 블록 뭉치에 의하여 상기 중공체의 중공부 일측을 차폐할 수 있도록 그 중공체 일단에 구성되는 단턱부와, 상기 중공체의 타측에 구성되어 상기 블록 뭉치가 그 중공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봉형의 중공체는 상기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는 용기의 목 내면에 밀착되게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블록 뭉치가 상기 중공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체는 상기 블록 뭉치의 상,하 이동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고정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체의 길이는 5~10cm 길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되는 파단형 밀봉막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뭉치는 상기 지지체와 접촉되는 쪽이 유선형으로 구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중공체의 중공부 내면과 소정의 틈새를 유지하고 마찰을 줄이기 위한 적어도 한쌍 이상의 스트라이프형 돌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뭉치는 플라스틱 또는 목재로 구성되고, 중앙 선단에 금속 또는 스톤으로 이루어진 코어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
  6. 삭제
KR1020190008760A 2019-01-23 2019-01-23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 KR102150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760A KR102150786B1 (ko) 2019-01-23 2019-01-23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760A KR102150786B1 (ko) 2019-01-23 2019-01-23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678A KR20200091678A (ko) 2020-07-31
KR102150786B1 true KR102150786B1 (ko) 2020-10-26

Family

ID=7183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760A KR102150786B1 (ko) 2019-01-23 2019-01-23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7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1110A (ja) * 1999-03-30 2000-10-10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体定量注出機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1408A (ja) * 1994-09-27 1996-04-09 Techno House:Kk 粘性流体の縦置型定型容器
JP4164147B2 (ja) * 1998-03-31 2008-10-08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液切れ性に優れた注出口付き樹脂キャップ
KR20100010733U (ko) * 2009-04-23 2010-11-02 임호 액상 내용물의 정량 배출 구조
KR101876052B1 (ko) 2016-08-31 2018-08-02 신승아 정량조절 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1110A (ja) * 1999-03-30 2000-10-10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体定量注出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678A (ko)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189B1 (ko) 액상 내용물을 방울 형태로 배출시키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JP4679142B2 (ja) ロック可能な分配ヘッド
JP6203633B2 (ja) 二重容器
EP3015020A1 (en) Extrusion type cosmetic container
US11464315B2 (en) Dropping pipette-type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pressing button having adjustable descending distance
JPH0245057A (ja) 投薬部品を備えた流体容器
EP3318507A1 (en) Liquid cosmetics case
MX2015004754A (es) Tapon dosificador multiflujo.
KR102150786B1 (ko) 용기 내의 액체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
JP2019119452A (ja) 注出キャップ
EP0374339B1 (en) Actuator for a liquid-applicator
US4330072A (en) Dispenser with side spout for flowable material
JP6219088B2 (ja) 注出容器
JP2005517601A (ja) スクイーズスプレー装置
JP5179990B2 (ja) 注出栓
CN111591581A (zh) 可变倾倒流量装置
KR101260924B1 (ko) 화장품 용기용 정량배출 마개
KR101385944B1 (ko) 내용물 배출용 에어리스 펌프의 사이드 버튼
JP5515259B2 (ja) コック式注出口栓
JP3211858U (ja) 逆止弁及び当該逆止弁を有する容器
GB2284202A (en) Spray type valved dispenser cap
JP2001165037A (ja) 容器備え付け分配装置
JP2003252390A (ja) 注出容器
JP2016539867A (ja) 容器に適用されるように構成された流体を分配するための装置及び関連した分配システム
JP5448386B2 (ja) 注出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