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649B1 -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 Google Patents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649B1
KR102150649B1 KR1020200042615A KR20200042615A KR102150649B1 KR 102150649 B1 KR102150649 B1 KR 102150649B1 KR 1020200042615 A KR1020200042615 A KR 1020200042615A KR 20200042615 A KR20200042615 A KR 20200042615A KR 102150649 B1 KR102150649 B1 KR 102150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s
work clothes
unit
sensor
ma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영
정병우
박창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4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2Distress signalling devices, e.g. rescue balloons

Landscapes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복 내부에 물이 차 오르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대응하여 장화부를 분리시키도록 형성되는 장화분리 모듈과, 작업복의 상반신에 부착되어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대응하여 조난신호를 발신하도록 형성되는 조난신호 발신 모듈과,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받아 상기 모듈들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MARINE WORKWEAR HAVING SAFETY FUNCTION}
본 발명은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위기 상황시 작업복 내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장화부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어로 인구의 노령화와 1인 조업선의 증가 및 작업 시 착용하는 해상작업복(장화작업복)으로 인한 사고가 지속되고 있어 이에 대한 예방 및 방지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어로 종사자의 대부분은 방수가 되어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방수 재질의 해상작업복(장화작업복)을 착용하고 어로에 종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상작업복은 바다에 빠질 경우 물이 작업복 내부로 침투하여 외부로 빠지지 않게 되어 순식간에 물속으로 가라앉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어로 인력의 노령화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1인 조업선 또한 증가하고 있어 해상작업복을 착용하고 조업 중이던 인원이 바다에 빠지면 신고하거나 도움을 줄 사람이 없고 언제 사고가 발생했는지 조차 짐작할 수 없어 수색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 작업자가 물에 빠졌을 경우 물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5387호(2019.09.25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3642호(2010.04.05. 공개)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작업복 내에 물이 차오르면 장화 부분이 자동적으로 이탈되어 작업자가 물의 무게에 의하여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작업복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작업자가 물에 빠졌을 때 자동으로 조난신호를 발신하여 구조세력의 신속한 출동을 유도할 수 있는 해상작업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업복 내부에 물이 차 오르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대응하여 장화부를 분리시키도록 형성되는 장화분리 모듈과, 작업복의 상반신에 부착되어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대응하여 조난신호를 발신하도록 형성되는 조난신호 발신 모듈과,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받아 상기 모듈들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작업복 하반신의 일정부분에 물이 잠겨 수압이 증가하는 것을 감지하는 수압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난신호 발신 모듈은 상기 수압감지센서가 수압을 감지하면 격발되어 공중으로 위치 표시 장치를 발사하도록 형성되는 CO2 실린더와, 상기 CO2 실린더가 격발되면 SOS 신호와 같은 조난 구조 신호 및/또는 경도와 위도와 같은 위치 표시를 발생시키는 통신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화분리 모듈은 상기 장화부에 일정량 이상 물이 차는 경우 상기 장화부를 작업복의 하반신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화분리 모듈은 상기 장화부와 상기 작업복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화분리 모듈은 상기 장화부와 상기 작업복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내부에 배치되는 발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화분리 모듈은 상기 순간적으로 폭발력을 생성시키도록 형성되는 격발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장화부에 부착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작업복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제2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열유닛은 상기 제1 센서에서 수압이 감지되는 경우 열을 가하여 상기 접착층을 녹이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격발유닛은 상기 제2 센서에서 수압이 감지되는 경우 폭약을 폭발시켜 상기 장화부를 분리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화부는 내측에 상기 발열유닛 및 격발유닛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방열층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일정 수압이 가해지면 해상작업복의 하반신의 일정 부분이 절단되어 작업자가 물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해상작업복의 상부에 실린더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해상에 추락할 경우 상반신에 부착되어 있는 실린더가 격발되어 공중으로 위치 표시 장치를 전개하여 익수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작업복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작업복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장화분리 모듈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장화분리 모듈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100)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작업복(100)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100)은 제어부(110)와, 센서부(120)와, 조난신호 발생 모듈(130)과, 장화분리 모듈(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작업복(100)은 일정 수압이 가해지면 작업복(100)의 하반신의 일정 부분이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즉, 방수 재질의 일체형 작업복(100) 하반신의 일정부분이 물에 잠겨 수압을 받게 되면 자동으로 장화부(151)가 절단되어 탈락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작업복(100)의 경우 평소에는 부력을 생성시키지만 작업복(100) 내부에 물이 차게 되면 오히려 작업자가 물속으로 가라앉을 위험이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작업자는 물에 빠졌을 때 작업복(100)을 벗어야 하나 바다에 빠진 긴급한 상황에서는 그럴 겨를이 없게 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작업복(100)의 상반신부에는 조난신호 발생 모듈(130)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난신호 발생 모듈(130)은 내부에 위치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포켓의 표면에는 CO2 실린더가 부착된다.
상기 CO2 실린더는 작업자가 해상에 추락할 경우 격발되어 위치 표시 장치를 공중으로 발사한다. 상기 위치 표시는 SOS 신호와 같은 조난 신호일 수 있고, 조난을 나타내는 신호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조난신호 발생 모듈(130)은 상기 CO2 실린더가 격발될 시 조난신호를 발신하는 통신유닛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유닛은 CO2 실린더 격발 시 복장 착용자가 해상에 추락한 것으로 간주하여 위치 등의 조난 신호 데이터를 발신하여 구조 세력의 신속한 출동을 유도한다. 상기 통신유닛이 발신하는 조난 신호는 경도와 위도와 같은 위치 표시일 수 있다. 실린더 격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구조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발신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작업복(100)의 하반신부(101)에는 장화분리 모듈(140)이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작업복(100)은 일정 수압이 가해지면 작업복(100)의 하반신의 일정 부분이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분리를 위해 복수의 센서와 발열유닛(142) 및 격발유닛(143)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작업복(100)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작업자가 해상에 추락한 경우 센서부(120)에서는 수압 또는 작업복(100) 내부 온도의 변화를 감시하여 조난신호 발생 모듈(130) 및 장화분리 모듈(140)을 활성화 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복(100)의 상반신부에는 조난신호 발생 모듈(130)이 장착되어 위치 표시 장치를 발사하고, 작업복(100)의 하반신부(101)에는 장화분리 모듈(140)이 장착되어 물이 차 오르는 장화를 탈락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제어부(11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센서부(120)에서 감지하는 온도나 압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받아 조난신호 발생 모듈(130)과 장화분리 모듈(14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장화분리 모듈(140)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는 장화분리 모듈(140)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장화분리 모듈(140)이 구동되는 방식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복(100) 하반신부(101)와 장화부(151)는 접착층(144)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접착층(144)은 비교적 낮은 열에 변성되는 접착제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접착층(144)의 내부에는 발열유닛(142)이 배치된다.
발열유닛(142)은 센서부(120)에서 감지한 온도 또는 압력 변화에 대응하여 활성화된다. 발열유닛(142)이 활성화되면 주변의 접착층(144)의 온도를 상승시켜 접착층(144)을 변성시킨다.
발열유닛(142)이 활성화되면 접착층(144)이 변성되어 장화부(151)와 하반신부(101) 사이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장화부(151)와 하반신부(101)가 분리되게 된다.
또한, 발열유닛(142)의 주변에는 열에 의하여 격발되는 격발유닛(143)이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긴급 상황에서 격발유닛(143)을 활성화시켜 장화부(151)가 바로 분리되게 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센서부(120)가 상하로 이격된 2개의 센서를 포함한다. 2개의 센서는 압력감지센서 또는 온도감지센서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센서(122)는 장화부(151)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2 센서(124)는 작업복(100) 하반신부(101)의 내측에 배치된다.
작업복(100) 안으로 물이 들어오게 되면 아래쪽부터 물이 차오르게 되기 때문에 초기에는 장화부(151)에 물이 차고 시간이 지나며 하반신부(101)를 넘어 상반신부까지 차오르게 된다. 물이 이렇게 차오르는 경우 작업복(100) 내부의 공기가 빠져 더 이상 부력을 갖지 못하게 되고 오히려 작업자가 물속으로 가라앉게 된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초기단계 대응 모드와 긴급상황 대응 모드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초기단계 대응 모드에서는 제어부(110)가 제1 센서(122)의 신호를 감지해 발열유닛(142)을 활성화시킨다.
발열유닛(142)이 활성화되어 접착층(144)의 온도가 순간적으로 올라가며 하반신부(101)와 장화부(151)를 연결하고 있는 접착력이 없어지게 된다.
긴급상황 모드에서는 제어부(110)가 제2 센서(124)의 신호를 감지해 격발유닛(143)을 활성화시킨다.
격발유닛(143)이 활성화되면 작은 폭발이 일어나 강제적으로 장화부(151)를 분리해 버린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긴급상황 모드에서 제어부(110)는 발열유닛(142)의 온도를 급히 상승시켜 격발유닛(143)의 발화점 이상의 온도를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는 격발유닛(143)이 발열유닛(142)의 양면에 부착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접착층(144)에 일정간격으로 박혀 있는 작은 알갱이 형태일 수도 있다.
작은 알갱이 형태의 격발유닛(143)들은 발열유닛(142)의 온도가 일정 이상 올라갈 경우 점화된다. 격발유닛(143)이 폭발되며 장화부(151)와 하반신부(101)가 강제 분리된다.
장화부(151)의 내측면에는 발열유닛(142)과 격발유닛(143)에서 발생하는 열과 압력에 견뎌내는 재질의 방열층(151a)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은 일정 수압이 가해지면 해상작업복의 하반신의 일정 부분이 절단되어 작업자가 물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해상작업복의 상부에 실린더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해상에 추락할 경우 상반신에 부착되어 있는 실린더가 격발되어 공중으로 위치 표시 장치를 전개하여 익수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등 종래 기술에 비해 진보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해상작업복 101 : 작업복 하반신부
110 : 제어부 120 : 센서부
122 : 제1 센서 124 : 제2 센서
130 : 조난신호 발신 모듈 140 : 장화분리 모듈
142 : 발열유닛 143 : 격발유닛
144 : 접착층 151 : 장화부
151a : 방열층

Claims (11)

  1. 작업복 내부에 물이 차 오르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대응하여 장화부를 분리시키도록 형성되는 장화분리 모듈;
    작업복의 상반신에 부착되어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대응하여 조난신호를 발신하도록 형성되는 조난신호 발신 모듈; 및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받아 상기 모듈들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작업복의 하반신의 일정부분에 물이 잠겨 수압이 증가하는 것을 감지하는 수압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난신호 발신 모듈은,
    상기 수압감지센서가 수압을 감지하면 격발되어 공중으로 위치 표시 장치를 발사하도록 형성되는 CO2 실린더; 및
    상기 CO2 실린더가 격발되면 조난 구조 신호를 발생시키는 통신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화분리 모듈은,
    상기 장화부에 일정량 이상 물이 차는 경우 상기 장화부를 작업복의 하반신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화분리 모듈은,
    상기 장화부와 상기 작업복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장화분리 모듈은,
    상기 장화부와 상기 작업복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내부에 배치되는 발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장화분리 모듈은,
    순간적으로 폭발력을 생성시키도록 형성되는 격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장화부에 부착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작업복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발열유닛은,
    상기 제1 센서에서 수압이 감지되는 경우 열을 가하여 상기 접착층을 녹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격발유닛은,
    상기 제2 센서에서 수압이 감지되는 경우 폭약을 폭발시켜 상기 장화부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장화부는,
    내측에 상기 발열유닛 및 격발유닛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방열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KR1020200042615A 2020-04-08 2020-04-08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KR102150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615A KR102150649B1 (ko) 2020-04-08 2020-04-08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615A KR102150649B1 (ko) 2020-04-08 2020-04-08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649B1 true KR102150649B1 (ko) 2020-09-03

Family

ID=72450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615A KR102150649B1 (ko) 2020-04-08 2020-04-08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315B1 (ko) 2021-03-16 2021-11-10 최일 수상 조난 대비 작업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642U (ko) 2008-09-26 2010-04-05 박방자 해상 작업복
KR20120129857A (ko) * 2012-11-10 2012-11-28 윤종식 구명대 탈부착용 방수복
KR101803814B1 (ko) * 2016-10-27 2017-12-01 대한민국 조난 위치 알림 장치
KR102025387B1 (ko) 2018-10-16 2019-09-25 대한민국 부력 작업복
KR102076999B1 (ko) * 2017-12-07 2020-04-07 박영찬 수상 슈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642U (ko) 2008-09-26 2010-04-05 박방자 해상 작업복
KR20120129857A (ko) * 2012-11-10 2012-11-28 윤종식 구명대 탈부착용 방수복
KR101803814B1 (ko) * 2016-10-27 2017-12-01 대한민국 조난 위치 알림 장치
KR102076999B1 (ko) * 2017-12-07 2020-04-07 박영찬 수상 슈트
KR102025387B1 (ko) 2018-10-16 2019-09-25 대한민국 부력 작업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315B1 (ko) 2021-03-16 2021-11-10 최일 수상 조난 대비 작업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35120B (zh) 用于检测水中人员的淹溺危险的方法和系统
US10692348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gainst swimming accidents, in particular for the early detection of drowning persons, and the like
EP2444321B1 (en) Device for locating aircraft involved in an accident
KR100951194B1 (ko) 조난자의 위치 정보 전송 기능을 갖는 구명용 목걸이 장치
US20150360759A1 (en) Safety Device and Inflating Apparatus Therefor
KR102150649B1 (ko) 안전기능이 강화된 해상작업복
JP5869035B2 (ja) 救命・救難装置付き浮き物体
US20130171894A1 (en) Safety Device and Inflating Apparatus Therefor
US20150314843A1 (en) Safety Device and Adapter Therefor
KR102322567B1 (ko) 스마트 안전구명조끼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WO2014110632A1 (en) Safety device
KR20170017270A (ko) 해상 구조용 조명 부이
KR200432410Y1 (ko) 구명조끼
KR102410574B1 (ko) 해상 조난자 위치 추적 장치
JP2012118721A (ja) 水泳プール用救命警報システム
KR101088425B1 (ko) 던짐줄용 던짐추 및 이 던짐추의 제작방법
WO2009131343A2 (ko) 구명 기능을 갖는 목걸이 장치
KR20190125552A (ko) 위치추적기능을 갖는 구명조끼
JP3995170B2 (ja) 海中観測係留系の係留状況監視装置
CN104574825A (zh) 水域定位报警器
JP2002282675A (ja) ガス発生装置、自動ガス発生装置、自動出力装置
JP6577276B2 (ja) 救命・救難装置付き浮き物体
KR102515189B1 (ko) 수상사고 또는 비상상황 시의 대상체 위치 추적장치 및 그 방법
US20060238357A1 (en) Man-portable and autonomous emit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man in sea
JPH0640377A (ja) 浮き袋付き救命用自動発光装置と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