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384B1 - 호닝툴 - Google Patents

호닝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384B1
KR102150384B1 KR1020200015113A KR20200015113A KR102150384B1 KR 102150384 B1 KR102150384 B1 KR 102150384B1 KR 1020200015113 A KR1020200015113 A KR 1020200015113A KR 20200015113 A KR20200015113 A KR 20200015113A KR 102150384 B1 KR102150384 B1 KR 102150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shaft
operating
hous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식
탁상목
김범석
Original Assignee
신재식
탁상목
김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식, 탁상목, 김범석 filed Critical 신재식
Priority to KR1020200015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3/00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33/02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designed for working internal surfaces of revolution, e.g. of cylindrical or conical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3/00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33/08Ho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3/00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33/10Accessories
    • B24B33/105Honing spindles; Devices for expanding the ho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닝툴에 관한 것으로서, 피가공물 내면을 가공하는 연마수단; 및 상기 연마수단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연마수단을 전후진 및 회전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마수단은 중공형상으로 일 측 끝단에 상기 작동수단과 결합되는 나선 결합부가 형성되고 외면 둘레에는 내부의 작동공간과 연통되는 장착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연마 하우징; 상기 연마 하우징의 작동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시 전후진 작동되며,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간격조절부가 형성되는 연마 작동축; 상기 연마 하우징의 장착공간에 설치되면서 연마 작동축의 간격조절부와 밀착되며, 상기 연마 작동축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외부로 돌출 또는 내부로 함몰되는 연마숫돌 조절구; 및 상기 연마숫돌 조절구에 결합되고, 상기 연마 작동축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피가공물의 내면을 연마하는 연마숫돌;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호닝툴은 호닝 작업 시 가공물의 내경 차이에 따라 직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및 연마석 교체가 용이하며 가공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호닝툴{HONING TOOL}
본 발명은 호닝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하고자하는 피대상물에 따라 공구의 직경을 손쉽게 조절하여 가공할 수 있도록 한 호닝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닝(honing)은 숫돌로 공작물을 가볍게 문질러 정밀다듬질을 하는 기계가공법을 말하는 것으로, 보통 원통내면(圓筒內面)의 다듬질법으로 발달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외면(外面) 호닝·평면 호닝도 실시되고 있다.
또한, 상기 호닝에서 연마하는 숫돌(연마재, 주로 다이아몬드, 지석))은 긴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숫돌은 원통형 형상의 호닝 헤드에 부착되는데, 상기 호닝헤드는 둘레를 따라 상기 숫돌이 설치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호닝헤드의 숫돌이 고정되고, 상기 호닝 헤드가 회전하면, 상기 숫돌에 의해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 호닝툴은 호닝시 숫돌, 즉 연마석의 거칠기에 따라 가공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가공대상의 요구조건에 맞게 가공하여야 하며, 가공 중 가공정도, 즉 거칠기를 변경해야 할 경우 연마석을 교체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연마석 교체 후 가공조건에 맞도록 치수를 다시 조정하거나 고정력을 재조정하거나 하는 등 연마석을 다시 드레싱(dressing) 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어 왔다.
특히, 이러한 드레싱 작업은 경우에 따라 작업시간을 지연시키고, 드레싱이 부정확할 경우 가공정밀도(조도, 치수 등)가 크게 떨어져 가공품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647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58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호닝 작업 시 가공물의 내경 차이에 따라 직경을 조절할 수 있는 호닝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닝툴은 피가공물 내면을 가공하는 연마수단; 및 상기 연마수단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연마수단을 전후진 및 회전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마수단은 중공형상으로 일 측 끝단에 상기 작동수단과 결합되는 나선 결합부가 형성되고 외면 둘레에는 내부의 작동공간과 연통되는 장착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연마 하우징; 상기 연마 하우징의 작동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시 전후진 작동되며,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간격조절부가 형성되는 연마 작동축; 상기 연마 하우징의 장착공간에 설치되면서 연마 작동축의 간격조절부와 밀착되며, 상기 연마 작동축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외부로 돌출 또는 내부로 함몰되는 연마숫돌 조절구; 및 상기 연마숫돌 조절구에 결합되고, 상기 연마 작동축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피가공물의 내면을 연마하는 연마숫돌;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마 하우징을 구성하는 작동공간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마 작동축은 축부, 상기 축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나선 결합부, 상기 축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끝단 지지부 및 상기 축부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간격조절부로 형성되고, 상기 연마숫돌 조절구는 연마 작동축을 감싸도록 작동축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축 지지홈의 반대측에는 연마숫돌이 장착되는 연마숫돌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부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연마 작동축의 작동시 간격조절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과 평면이 구비된 홈 형상의 지름 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마 작동축의 끝단 지지부와 간격조절부는 작동공간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작동공간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부 또는 좌측에 " ↖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 또는 우측에 " ↗ "방향으로 엇갈리게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지름 조절부는 상부 또는 좌측에 " ↖ "방향으로 경사면과 이 형성되고, 하부 또는 우측에 " ↗ "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수단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단에 연마 하우징의 나선 결합부와 결합되는 나선 결합부가 형성되는 연결 하우징,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양단에 상기 연마 작동축의 나선 결합부와 작동부와 결합되는 나선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마수단과 인접한 부분에 스프링 지지부가 결합되는 연결 축, 상기 연결 축의 스프링 지지부에 일 단이 지지되고 타 단이 연마 작동축의 연마 하우징의 끝단에 지지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연결부; 및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단에 연결 하우징의 나선 결합부와 결합되는 나선 결합부가 형성되고 도중에 손잡이 장착공이 형성되는 작동 하우징, 상기 작동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 단이 상기 연결 축에 결합되며 도중에는 손잡이 장착공이 형성되는 작동 축, 상기 하우징의 손잡이 장착공과 작동 축의 손잡이 작동공에 장착되는 작동 손잡이로 구성되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호닝툴은 호닝 작업 시 가공물의 내경 차이에 따라 직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및 연마석 교체가 용이하며 가공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닝툴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닝툴을 나타낸 일부 분리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닝툴을 구성하는 연마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닝툴을 구성하는 연마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호닝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닝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닝툴을 나타낸 일부 분리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닝툴을 구성하는 연마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닝툴을 구성하는 연마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인 호닝툴(100)은 연마수단(200)과 작동수단(300)으로 대별된다.
즉, 상기 호닝툴(100)은 피가공물 내면을 가공하는 연마수단(200)과 상기 연마수단(20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연마수단(200)을 전후진 및 회전작동시키는 작동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마수단(200)은 연마 하우징(210), 연마 작동축(220), 연마숫돌 조절구(230), 연마숫돌(240)을 포함한다.
상기 연마 하우징(2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 하우징(210)은 중공형상으로 일 측 끝단에 상기 작동수단(300)과 결합되는 나선 결합부(211)가 형성되고 외면 둘레에는 내부의 작동공간(212)과 연통되는 장착공간(21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즉, 상기 연마 하우징(210)은 피가공물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는 연마 작동축(220)의 장착 및 작동을 위한 작동공간(212)이 형성되고, 외면 둘레에는 피가공물의 가공을 위한 연마숫돌 조절구(230)와 연마숫돌(240)이 장착되는 장착공간(213)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마 하우징(210)을 구성하는 작동공간(212)의 단면 형상은 작동수단(300)의 작동시 연마숫돌 조절구(230)와 연마숫돌(240)에 전달되는 힘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작동공간(212)의 단면 형상은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연마 하우징(210)을 구성하는 장착공간(213)은 작동수단(300)의 작동시 내면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양측에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연마 작동축(220)은 연마 하우징(210)의 내부에 장착된다.
즉, 상기 연마 작동축(220)은 연마 하우징(210)의 작동공간(212)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수단(300)의 작동시 전후진 왕복운동 및 회전작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 작동축(22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축부(221)와 상기 축부(221)의 일단에 형성되는 나선 결합부(222)와 상기 축부(221)의 타단에 형성되는 끝단 지지부(223) 및 상기 축부(221)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간격조절부(224)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마 작동축(220)은 연마 하우징(210)의 작동공간(212)에서 원활하게 전후진 작동하면서도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끝단 지지부(223)와 간격조절부(224)가 작동공간(212)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작동공간(212)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224)는 연마 하우징(210)의 장착공간(213)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작동수단(300)을 통한 힘의 전달시 연마숫돌 조절구(230)와 연마숫돌(240)의 지름 변화를 위하여 경사면(224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부(224)는 장착공간(213)과 대응되게 연마 작동축(220)의 상하 또는 좌우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작동수단(300)의 작동시 힘의 불균형을 방지하면서도 균일하게 피가공물의 내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경사면(224a)이 엇갈리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간격조절부(224)는 연마 작동축(220)의 상부 또는 좌측과 하부 또는 우측에 돌출형성되면서 경사면(224a)이 " ↗ "방향과 " ↖ "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마숫돌 조절구(230)는 연마 하우징(210) 및 연마 작동축(220)에 배치된다.
즉, 상기 연마숫돌 조절구(230)는 연마 하우징(210)의 장착공간(213)에 설치되면서 연마 작동축(220)의 간격조절부(222)와 결합되고, 상기 연마 작동축(220)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어, 피가공물의 내면을 가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숫돌 조절구(230)는 연마 작동축(220)을 감싸도록 작동축 지지홈(231)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축 지지홈(231)의 반대측에는 연마숫돌(240)이 장착되는 연마숫돌 장착홈(232)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부(222)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연마 작동축(220)의 작동시 간격조절부(22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234)과 평면(235)이 구비된 홈 형상의 지름 조절부(23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축 지지홈(231)의 형상은 도시된 " ㄱ" 자 형상 이외에도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지름 조절부(233)는 상기 작동수단(300)의 작동시 힘의 불균형을 방지하면서도 균일하게 피가공물의 내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경사면(234)이 엇갈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지름 조절부(233)는 상기 간격조절부(233)와 마찬가지로 상부 또는 좌측과 하부 또는 우측에 돌출형성되면서 경사면(224a)이 " ↗ "방향과 " ↖ "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이다.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지름 조절부(233)는 연마 작동축(220)의 작동에 따른 전진 작동시 간격조절부(224)의 경사면(224a)과 밀착된 경사면(234)이 외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마숫돌 조절구(230)와 결합된 연마숫돌(240)을 피가공물의 내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 연마숫돌(240)은 연마숫돌 조절구(23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숫돌(240)은 연마 작동축(220)의 전후진 작동시 연마숫돌 조절구(230)와 연동작동하여 피가공물의 내면을 가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마숫돌(240)과 연마숫돌 조절구(230)는 접착제 또는 끼움 결합구조 또는 삽입구조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하여 결합된다.
상기 작동수단(300)은 연결부(320)와 작동부(3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작동수단(300)은 연마수단(200)의 후방에 연결부(320)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320)의 후방에는 상기 연마수단(200)을 전후진 작동시키는 작동부(34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20)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단에 연마 하우징(210)의 나선 결합부(211)와 결합되는 나선 결합부(322)가 형성되는 연결 하우징(321), 상기 연결 하우징(3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양단에 상기 연마 작동축(220)의 나선 결합부(222)와 작동부(340)와 결합되는 나선 결합부(324)가 형성되며, 상기 연마수단(200)과 인접한 부분에는 스프링 지지부(325)가 결합되는 연결 축(323), 상기 연결 축(323)의 스프링 지지부(325)에 일 단이 지지되고 타 단이 연마 작동축(220)의 나선 결합부(222)에 형성된 연마 하우징(210)의 끝단에 지지되는 스프링(326)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320)는 연결 하우징(321)이 연마 하우징(210)과 나선 결합부(211, 322)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연결 축(323)은 연마 작동축(220)과 나선 결합부(222, 324)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연마수단(220)과 연결부(320)의 사이에는 스프링(326)이 장착되어, 상기 작동부(340)의 작동시 연결 축(323)과 연마 작동축(220)은 연동작동되고 상기 스프링(326)은 연결 축(323)과 연마 작동축(220)을 신속하게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작동부(340)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단에 연결 하우징(321)의 나선 결합부(322)와 결합되는 나선 결합부(342)가 형성되고 도중에 손잡이 장착공(343)이 형성되는 작동 하우징(341), 상기 작동 하우징(341)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 단이 상기 연결 축(323)에 결합되며 도중에는 손잡이 장착공(345)이 형성되는 작동 축(344), 상기 작동 하우징(341)의 손잡이 장착공(343)과 작동 축(344)의 손잡이 작동공(345)에 장착되는 작동 손잡이(346)로 구성된다.
즉, 상기 작동부(340)는 작동 하우징(341)이 연결 하우징(321)과 나선 결합부(322, 342)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작동 축(344)은 연결 축(323)과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 장착공(343, 346)에는 작동 손잡이(346)가 장착되어, 상기 작동 손잡이(346)의 전후 작동에 따라 작동 축(344), 연결 축(323), 연마 작동축(220)을 연동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340)의 후방에는 연마수단(200)과 작동수단(30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회전수단(400)이 장착되되, 상기 회전수단(400)은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여기서, 상기 회전수단(400)은 회전작동을 위한 회전모터(420)와 상기 회전모터(420)와 작동부(340)를 연결하는 조인트(4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수단(400)은 회전모터(420)의 회전력을 조인트(440)를 거쳐 작동수단(300) 및 연마수단(20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모터(420)와 작동수단(300)을 연결하는 조인트(440)는 작동수단(300)과 연마수단(200)의 각도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호닝툴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공형상으로 일 측 끝단에 상기 작동수단(300)과 결합되는 나선 결합부(211)가 형성되고 외면 둘레에는 내부의 작동공간(212)과 연통되는 장착공간(213)이 양측에 형성되는 연마 하우징(210),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축부(221)와 상기 축부(221)의 일단에 형성되는 나선 결합부(222)와 상기 축부(221)의 타단에 형성되는 끝단 지지부(223) 및 상기 축부(221)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경사면(224a)이 구비된 간격조절부(224)로 형성되는 연마 작동축(220), 연마 작동축(220)을 감싸도록 작동축 지지홈(231)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축 지지홈(231)의 반대측에는 연마숫돌(240)이 장착되는 연마숫돌 장착홈(232)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부(222)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연마 작동축(220)의 작동시 간격조절부(22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234)과 평면(235)이 구비된 홈 형상의 지름 조절부(233)가 형성되는 연마숫돌 조절구(230), 상기 연마숫돌 조절구(230)의 외부에 장착되는 연마숫돌(240)로 이루어지는 연마수단(20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마수단(200)의 후방에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단에 연마 하우징(210)의 나선 결합부(211)와 결합되는 나선 결합부(322)가 형성되는 연결 하우징(321), 상기 연결 하우징(3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양단에 상기 연마 작동축(220)의 나선 결합부(222)와 작동부(340)와 결합되는 나선 결합부(324)가 형성되며, 상기 연마수단(200)과 인접한 부분에는 스프링 지지부(325)가 결합되는 연결 축(323), 상기 연결 축(323)의 스프링 지지부(325)에 일 단이 지지되고 타 단이 연마 작동축(220)의 나선 결합부(222)에 형성된 연마 하우징(210)의 끝단에 지지되는 스프링(326)으로 구성되는 연결부(320)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단에 연결 하우징(321)의 나선 결합부(322)와 결합되는 나선 결합부(342)가 형성되고 도중에 손잡이 장착공(343)이 형성되는 작동 하우징(341), 상기 작동 하우징(341)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 단이 상기 연결 축(323)에 결합되며 도중에는 손잡이 장착공(345)이 형성되는 작동 축(344), 상기 작동 하우징(341)의 손잡이 장착공(343)과 작동 축(344)의 손잡이 작동공(345)에 장착되는 작동 손잡이(346)로 이루어지는 작동부(340)로 구성된 작동수단(300)을 장착하면 호닝툴(1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호닝툴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호닝툴(100)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내면을 가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호닝툴(100)을 구성하는 연마수단(200)의 연마 하우징(210)을 피가공물의 내부에 삽입한 후 상기 작동수단(300)를 구성하는 작동부(340)의 작동 손잡이(346)를 피가공물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작동 손잡이(346)와 결합된 작동 축(344)은 연결 축(323)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연결 축(323)은 연마 작동축(2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연마숫돌(240)은 간격조절부(224)의 경사면(224a)와 연동작동하는 연마숫돌 조절구(230)의 지름 조절부(233)에 의하여 외부로 이동하면서 피가공물의 내면과 밀착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마숫돌(240)과 피가공물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마숫돌(240)은 작동수단(300)의 전후 왕복운동에 따라 연동작동하는 작동부(340)와 연결부(320) 및 연마 작동축(220)을 통해 피가공물의 내면을 가공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호닝툴 200 : 연마수단
210 : 연마 하우징 211 : 나선 결합부
212 : 작동공간 213 : 장착공간
220 : 연마 작동축 221 : 축부
222 : 나선 결합부 223 : 끝단 지지부
224 : 간격조절부 224a : 경사면
230 : 연마숫돌 조절구 231 : 작동축 지지홈
232 : 연마숫돌 장착홈 233 : 지름 조절부
234 : 경사면 235 : 평면
240 : 연마숫돌 300 : 작동수단
320 : 연결부 321 : 연결 하우징
322 : 나선 결합부 323 : 연결 축
324 : 나선 결합부 325 : 스프링 지지부
326 : 스프링 340 : 작동부
341 : 작동 하우징 342 : 나선 결합부
343 : 손잡이 장착공 344 : 작동 축
345 : 손잡이 장착공 346 : 작동 손잡이

Claims (5)

  1. 피가공물 내면을 가공하는 연마수단과, 상기 연마수단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연마수단을 전후진 및 회전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연마수단은,
    중공형상으로 일 측 끝단에 상기 작동수단과 결합되는 나선 결합부가 형성되고 외면 둘레에는 내부의 작동공간과 연통되는 장착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연마 하우징; 상기 연마 하우징의 작동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시 전후진 작동되며,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간격조절부가 형성되는 연마 작동축; 상기 연마 하우징의 장착공간에 설치되면서 연마 작동축의 간격조절부와 밀착되며, 상기 연마 작동축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외부로 돌출 또는 내부로 함몰되는 연마숫돌 조절구; 및 상기 연마숫돌 조절구에 결합되고, 상기 연마 작동축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피가공물의 내면을 연마하는 연마숫돌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수단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단에 연마 하우징의 나선 결합부와 결합되는 나선 결합부가 형성되는 연결 하우징,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에는 상기 연마 작동축의 나선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마수단과 인접한 부분에 스프링 지지부가 결합되는 연결 축, 상기 연결 축의 스프링 지지부에 일 단이 지지되고 타 단이 연마 작동축의 연마 하우징의 끝단에 지지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연결부; 및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단에 연결 하우징의 나선 결합부와 결합되는 나선 결합부가 형성되고 도중에 손잡이 장착공이 형성되는 작동 하우징, 상기 작동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 단이 상기 연결 축에 결합되며 도중에는 손잡이 장착공이 형성되는 작동 축, 상기 하우징의 손잡이 장착공과 작동 축의 손잡이 작동공에 장착되는 작동 손잡이로 구성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닝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마 하우징을 구성하는 작동공간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마 작동축은 축부, 상기 축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나선 결합부, 상기 축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끝단 지지부 및 상기 축부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간격조절부로 형성되고,
    상기 연마숫돌 조절구는 연마 작동축을 감싸도록 작동축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축 지지홈의 반대측에는 연마숫돌이 장착되는 연마숫돌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부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연마 작동축의 작동시 간격조절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과 평면이 구비된 홈 형상의 지름 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닝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마 작동축의 끝단 지지부와 간격조절부는 작동공간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작동공간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닝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연마 작동축의 상부 또는 좌측에 " ↖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마 작동축의 하부 또는 우측에 " ↗ "방향으로 엇갈리게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지름 조절부는,
    상부 또는 좌측에 " ↖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 또는 우측에 " ↗ "방향으로 엇갈리게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닝툴.
  5. 삭제
KR1020200015113A 2020-02-07 2020-02-07 호닝툴 KR102150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113A KR102150384B1 (ko) 2020-02-07 2020-02-07 호닝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113A KR102150384B1 (ko) 2020-02-07 2020-02-07 호닝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384B1 true KR102150384B1 (ko) 2020-09-01

Family

ID=7245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113A KR102150384B1 (ko) 2020-02-07 2020-02-07 호닝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3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325A (ko) 2020-10-26 2022-05-03 오엠피주식회사 호닝 가공 장치
KR102711474B1 (ko) * 2023-10-19 2024-09-27 주식회사 영테크 비틀림 상쇄용 플로팅조인트를 갖춘 호닝머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872Y1 (ko) * 2005-02-16 2005-04-25 정해봉 금속관 내경 연마장치
JP4223934B2 (ja) * 2003-12-05 2009-02-12 株式会社アトライズイナケン ホーニング加工ヘッド
KR20090130624A (ko) * 2008-06-16 2009-12-24 정철 호닝툴
KR20110064772A (ko) 2009-12-09 2011-06-15 최진관 호닝툴
KR101625844B1 (ko) 2015-07-27 2016-06-01 (주)제이에이치테크 미세조절이 가능한 호닝 툴
US9427839B2 (en) * 2014-08-27 2016-08-30 Siemens Energy, Inc. Lapping tool
KR20170091651A (ko) * 2014-12-05 2017-08-09 어플라이드 나노 서페이시스 스웨덴 에이비 기계화학적 컨디셔닝 도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3934B2 (ja) * 2003-12-05 2009-02-12 株式会社アトライズイナケン ホーニング加工ヘッド
KR200382872Y1 (ko) * 2005-02-16 2005-04-25 정해봉 금속관 내경 연마장치
KR20090130624A (ko) * 2008-06-16 2009-12-24 정철 호닝툴
KR20110064772A (ko) 2009-12-09 2011-06-15 최진관 호닝툴
US9427839B2 (en) * 2014-08-27 2016-08-30 Siemens Energy, Inc. Lapping tool
KR20170091651A (ko) * 2014-12-05 2017-08-09 어플라이드 나노 서페이시스 스웨덴 에이비 기계화학적 컨디셔닝 도구
KR101625844B1 (ko) 2015-07-27 2016-06-01 (주)제이에이치테크 미세조절이 가능한 호닝 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325A (ko) 2020-10-26 2022-05-03 오엠피주식회사 호닝 가공 장치
KR102711474B1 (ko) * 2023-10-19 2024-09-27 주식회사 영테크 비틀림 상쇄용 플로팅조인트를 갖춘 호닝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0384B1 (ko) 호닝툴
KR101011911B1 (ko) 브러시형 숫돌의 제조 방법, 브러시형 숫돌, 및 연마기용 브러시
JP5285416B2 (ja) 内歯車研削盤及び樽形ねじ状工具のドレッシング方法
CN102256745B (zh) 用于研磨以及类似操作的手持机器
JP3975073B2 (ja) 研磨機用ブラシ
JP4215877B2 (ja) 工作具
JP3194648U (ja) 回転誘導ホルダ
KR102519622B1 (ko) 지그용 연삭 호닝 툴
KR102104249B1 (ko) 고효율 사각파이프 폴리싱장치
JP2007168048A (ja) 無段変速機用部品のテーパ面の加工方法
JP4223934B2 (ja) ホーニング加工ヘッド
JP2879048B2 (ja) 小径管の内面研磨装置および研磨治具
JP3579306B2 (ja) 突起付円筒体の外周面加工方法及びその加工装置
KR101634156B1 (ko) 전동식 네일 연마기
JP7166190B2 (ja) ホーニングツールを用いた加工方法及びホーニングツール
JP4339502B2 (ja) ワーク外周面の鏡面研磨装置
RU2223168C2 (ru) Патрон паркетно-шлифовальной машины
JP6897999B2 (ja) 軸体支持具および工具
KR102668410B1 (ko) 다이아몬드 공구
TW202218810A (zh) 自動擠膏拋光刀把
KR100901451B1 (ko) 표면연마 머신의 플랩휠 결합구조
JP6528722B2 (ja) ホーニング加工具
JP2020151825A (ja) ベーン溝の研削装置及び研削方法
JP6443595B1 (ja) ワークピース支持装置、加工装置、加工方法、軸受の製造方法、車両の製造方法、および機械装置の製造方法
JP2000198060A (ja) 砲身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