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225B1 -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225B1
KR102150225B1 KR1020200016821A KR20200016821A KR102150225B1 KR 102150225 B1 KR102150225 B1 KR 102150225B1 KR 1020200016821 A KR1020200016821 A KR 1020200016821A KR 20200016821 A KR20200016821 A KR 20200016821A KR 102150225 B1 KR102150225 B1 KR 10215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uid supply
tubular
valve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재
Original Assignee
신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재 filed Critical 신승재
Priority to KR1020200016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조작 노브의 간단한 동작으로 둘 이상의 공급관에 선택적으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관 모두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키며, 심플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어 제작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공급로를 가지며, 상기 유체 공급로와 직교하고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의 유체 토수관이 형성되는 관형의 장치 바디; 일측부는 상기 장치 바디 내에 구비되고, 타측부는 상기 장치 바디의 일단으로 노출되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일측부에서 상기 유체 토수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비연통되게 구성되어 상기 유체 공급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복수의 유체 토수관 중 적어도 하나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배출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개폐 밸브 부재; 상기 개폐 밸브 부재의 타측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전 노브 부재; 상기 관형 유체 토수관에 구비되는 관형의 플러그 부재; 및 상기 플러그 부재와 상기 개폐 밸브 부재의 일측부 사이에 구비되는 시트 패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 {FULID SUPPLYING DEVICE HAVING MULTI OUTLET}
본 발명은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조작 노브의 간단한 동작으로 둘 이상의 공급관에 선택적으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관 모두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키며, 심플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어 제작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첨단 기술이 발달하지 않은 산업화 초기 세대에는 사람들은 수돗물을 직접 마시거나, 수돗물로 세면 또는 샤워를 하거나, 수돗물을 이용하여 식자재를 씻었으나, 다양한 첨단 기술의 발전과 함께 수돗물을 미세한 여과막을 이용하여 부유 입자를 흡착하고, 활성탄을 충전하여 유기 물질을 흡착하며, 이온 교환 수지에 통과시켜 오염 물질을 이온화하여 저감하고,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하는 등 두 개 이상의 방식을 접목하여 정수 처리 하여 물을 깨끗하게 걸러 정화하는 정수기나, 수돗물에 들어 있는 칼슘, 마그네슘 등과 같은 양이온을 제거하여 광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물로 만드는 연수기나, 수돗물을 이용해서 채소나 과일, 곡물류 따위에 묻은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식재료 세척기 등이 개발되면서, 정수기, 연수기, 식재료 세척기에 수돗물의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장치 또한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이러한 유체 공급 장치에는 다방향으로 유로를 전환하여 공급할 수 있는 유로 전환 밸브가 다양한 장치와 산업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772698호(문헌 1)에서는 냉동사이클에 이용되는 다방향 전환 밸브를 개시하고 있다. 문헌 1의 다방향 전환 밸브는 밸브 본체에 복수 개의 유출 포트가 마련되고 서보 모터나 스태핑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에 의해 유체가 유출되는 포트가 결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헌 1과 같은 유형의 밸브는 금속 재료를 절삭하여 정밀하게 가공하고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여러가지 실링 부재가 사용되지만, 그 제조에 상당한 비용이 든다.
한편, 유체를 다방향으로 전환하여 배분하여야 하는 장치의 일례로서 세탁기가 있다. 세탁기에서 세탁수를 공급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세탁조의 복수의 위치에 세탁수가 직접 공급되기도 하고 세제나 섬유 유연제 등이 수용된 박스 등을 통하여 공급되기도 한다.
통상의 세탁기에서는 상수도와 같은 세탁수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필요에 따라 세탁조, 세제 박스, 섬유유연제 박스로 공급하는 데 있어서, 각각의 공급처에 연결되는 유로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마련하여 두고 세탁기의 세탁 모드에 따라 각각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서 밸브들을 개폐함으로써 세탁수의 공급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세탁수가 공급되는 유로마다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세탁기의 제조원가를 높이는 요인으로 되었다.
세탁기에 적용되는 다양향 유로 전환 밸브를 개시하는 것으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223561호(문헌 2)에 개시된 세탁기용 세제 디스펜서 장치가 있다.
문헌 2의 장치에는 세제 투입 부재가 마련되고 세제 투입 부재에는 각각의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투입홈이 격벽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세제 투입 부재의 각 세제 투입홈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데, 급수 가이드 부재에는 각각의 세제 투입홈에 세탁수를 낙하시켜 공급하는 복수 개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급수 가이드 부재의 유로들 중에서 선택된 유로에 세탁수를 배분하는 유로 전환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유로 전환 부재는 모터가 다수의 기어들을 구동하고 최종의 기어에는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노즐이 부착되어 있고, 이 노즐은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그 회전된 위치의 하부에 배치되는 유로에 세탁수를 낙하시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문헌 2의 장치의 구성에 따르면, 하나의 세탁수 공급원으로부터 복수 개의 유로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데 있어서 각 유로마다 밸브를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모터로 구동되는 유로 전환 부재에 의해 유로를 전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최근에 시판되는 세탁기는 그 작동 모드에 따라 세탁수가 세탁조와 복수의 세제 박스 중에서 어느 한 곳에만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세탁조의 복수의 위치에 세탁수가 동시에 공급되기도 하고 세제 박스중에서도 3개 이상의 세제 박스에 동시에 세탁수가 공급되기도 하며, 세탁조와 세제 박스에 동시에 세탁수가 공급되기도 한다.
또한, 드럼식 세탁기나 건조 기능을 갖춘 세탁기에서는 주로는 세탁조에 낙하 방식에 의해 세탁수를 공급하지만 세탁수를 세탁조에 분사하거나 분무하는 동작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문헌 2의 장치는 하나의 노즐을 회전시켜서 유로를 전환하는 구성상, 복수 개의 유로에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없으므로 동시에 복수의 위치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방식의 세탁기에는 적용될 수 없는 구조상의 한계를 갖는다.
또한, 세탁조에 세탁수를 분사 또는 분무하기 위해서는 세탁수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져야 하지만, 문헌 2의 장치는 노즐로로부터 유로에, 그리고 유로에서 세제 투입홈으로 세탁수를 낙하시키는 방식에 의해 공급하고 노즐과 유로 및 세제 투입홈이 수밀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상수도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같이 약간의 수압을 가지는 세탁수 조차 배분할 수 없다는 구조상의 한계를 갖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72698(2017.08.2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23561(2013.01.1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99783(2017.11.21. 공공)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89155(2007.12.2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013561(2017.11.21.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일 조작 노브의 간단한 동작으로 둘 이상의 공급관에 선택적으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관 모두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키며, 심플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어 제작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유체 공급로를 가지며, 상기 유체 공급로와 직교하고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의 유체 토수관이 형성되는 관형의 장치 바디; 일측부는 상기 장치 바디 내에 구비되고, 타측부는 상기 장치 바디의 일단으로 노출되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일측부에서 상기 유체 토수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비연통되게 구성되어 상기 유체 공급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복수의 유체 토수관 중 적어도 하나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배출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개폐 밸브 부재; 상기 개폐 밸브 부재의 타측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전 노브 부재; 상기 관형 유체 토수관에 구비되는 관형의 플러그 부재; 및 상기 플러그 부재와 상기 개폐 밸브 부재의 일측부 사이에 구비되는 시트 패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 바디는 소정 직경을 갖고 형성되는 관형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직교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관형 유체 토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관형 유체 토수관는 90°의 이격 거리를 갖고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 밸브 부재는 관형 바디부; 상기 관형 바디부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부; 및 상기 관형 바디부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체 공급로와 동일 선상으로 유로가 형성되며,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유체 연통구가 형성되는 볼 스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 스템부는 상기 유체 공급로와 동일 선상으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복수의 유체 연통구가 형성되는 볼 형태의 구형 바디; 및 상기 구형 바디의 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연통구는 상기 구형 바디의 둘레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유체 토수관의 이격 간격에 상응하는 간격을 갖고 형성되며, 상기 볼 스템부와 볼 스템부 간의 연결부에 상기 구형 바디의 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노브 부재는 사각형의 바디를 갖고 형성되며, 노출면에 상기 개폐 밸브 부재의 회전에 따라 그 개폐 밸브 부재의 유체 연통구가 상기 장치 바디의 유체 토수관과 선택적으로 연통 및 연통차단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개폐 표시부가 마킹되어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 부재는 관형체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 패킹 부재는 신축성있는 재질의 관형체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시트 패킹 부재의 내벽에 형성되는 링형의 끼움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결합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둘 이상의 공급관에 선택적으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관 모두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단순하면서도 정밀한 동작으로 유체 공급을 제어할 수 있어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심플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어 제작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바디 부재를 측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바디 부재를 평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바디 부재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바디 부재를 정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바디 부재를 정면에서 바라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개폐 밸브 부재를 측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개폐 밸브 부재를 측면에서 바라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플러그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시트 패킹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의 동작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2방향 유체공급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의 동작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일측(우측) 방향 유체공급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의 동작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타측(좌측) 방향 유체공급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의 동작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2방향 유체차단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 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바디 부재를 측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바디 부재를 평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바디 부재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바디 부재를 정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바디 부재를 정면에서 바라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개폐 밸브 부재를 측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개폐 밸브 부재를 측면에서 바라 본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플러그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시트 패킹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의 동작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5는 2방향 유체공급 동작 상태이고, 도 16는 일측(우측) 방향 유체공급 동작 상태이고, 도 17은 타측(좌측) 방향 유체공급 동작 상태이며, 도 18은 2방향 유체차단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정면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는, 도 1 내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장치 바디(100); 개폐 밸브 부재(200); 플러그 부재(400); 및 시트 패킹 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는, 도 1 내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의 유체 공급로(111)를 가지며, 상기 유체 공급로(111)와 직교하고 일정 간격을 갖는 관형 유체 토수관(120)이 복수 형성되어 구성되는 관형의 장치 바디(100); 일측부는 상기 장치 바디(100)에 구비되고, 타측부는 상기 장치 바디(100)의 일단으로 노출되며, 일정 회전 각도에 따라 일측부가 상기 유체 토수관(120)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비연통되어 상기 장치 바디(10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복수의 유체 토수관(120) 중 적어도 하나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배출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개폐 밸브 부재(200);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의 타측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전 노브 부재(rotation knob memeber)(300); 상기 관형 유체 토수관(120)에 구비되는 관형의 플러그 부재(plug member)(400); 및 상기 플러그 부재(400)와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의 일측부 사이에 구비되는 시트 패킹 부재(seat packing member)(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치 바디(100)는, 도 5 내지 도 9에 자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의 유체 공급로(111)를 갖도록 소정 직경을 갖고 형성되는 바디부(110), 및 상기 바디부(110)와 직교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110)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관형 유체 토수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부(110)는 타단부 내연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턱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112)의 모서리부는 모따기 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112)의 수평 방향 단턱면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개폐 밸브 부재(200)의 구형 바디(233)에 형성되는 플랜지부(234)의 가장자리가 수평방향으로 면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관형 유체 토수관(120)는 90°의 이격 거리를 갖고 상기 바디부(110)에 연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형 유체 토수관(120)의 내벽은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직경이 축소되는 둘 이상의 단차부(121, 122)를 갖고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차부(121, 122)의 단차 모서리부(단차 끝단부)는 모따기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플러그 부재(400)의 외면은 상기 관형 유체 토수관(120)의 단차부(121, 122)에 상응하는 형태로 단차지는 단차부(411, 412)를 갖고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는 일측부가 상기 장치 바디(100)에 구비되고, 타측부는 상기 장치 바디(100)의 일단으로 노출되며, 그 노출된 타측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전 노브 부재(200)의 회전으로 회전하여 그 회전 각도에 따라 일측부에서 상기 유체 토수관(120)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비연통되어 상기 장치 바디(10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복수의 유체 토수관(120) 중 적어도 하나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배출 차단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는 도 10 내지 도 12에 자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관형 바디부(210)와, 상기 관형 바디부(210)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부(220), 및 상기 관형 바디부(210)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체 공급로(111)와 동일 선상으로 유로(231)가 형성되며,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유체 연통구(232)가 형성되는 볼 스템부(ball stem portion)(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형 바디부(210)의 타측부의 단부에는 회전 노브 부재(300)가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관형 바디부(210)의 타측부의 단부 외연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키 돌출부(211)가 형성되고, 이 키 돌출부(211)는 회전 노브 부재(300)의 내연에 형성되는 키 결합홈과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형 바디부(210)의 타측부의 단부와 회전 노브 부재(300) 간은 클리커 결합(clicker coupling)으로 결합 고정되게 된다. 여기에서, 클리커 결합이라 함은 상기 관형 바디부(210)의 타측부의 단부에 탈락방지되며 탄성지지되는 결합구(212)의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회전 노브 부재(300)의 내연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상기 결합구(212)가 결합되어 관형 바디부(210)의 타측부의 단부와 회전 노브 부재(300) 간이 간단히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관형 바디부(210)의 외연에는 오링(213)이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214)이 형성된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는 2개의 오링홈(214)이 형성되고, 그 오링홈(214)에 오링(213)이 안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상기 볼 스템부(230)는 상기 유체 공급로(111)와 동일 선상으로 유로(23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231)와 연통되는 복수의 유체 연통구(232)가 형성되는 볼 형태의 구형 바디(233), 및 상기 구형 바디(233)의 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2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형 바디(233)에 형성되는 유체 연통구(232)는 그 구형 바디(233)의 둘레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장치 바디(100)의 바디부(110)의 유체 토수관(120)의 이격 간격에 상응하는 간격을 갖고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체 연통구(232)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90°의 이격 거리를 갖고 상기 바디부(110)에 연통 형성되는 유체 토수관(120)과 상응하게 90°의 이격 거리를 갖고 구형 바디(233)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234)는 상기 관형 바디부(210)와 볼 스템부(230) 간의 연결부에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 노브 부재(300)는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의 타측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그 개폐 밸브 부재(200)가 회전 구동되게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노브 부재(3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의 바디를 갖고 형성되며, 외면(노출면)에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그 개폐 밸브 부재(200)의 유체 연통구(232)가 상기 장치 바디(100)의 유체 토수관(120)과 선택적으로 연통 및 연통차단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개폐 표시부(310)가 마킹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전 노브 부재(300)의 사각형의 바디는 각 변들이 양단으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 표시부(3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 토수관(120)의 중심축을 연장하는 연장 선상으로 개폐(ON/OFF)에 대한 문구 및/또는 화살표 등 기호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 노브 부재(300)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회전 노브 부재(300) 대신에 전기전자적으로 제어되는 구동 모터의 샤프트를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의 타단부에 결합시켜서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을 통해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가 회전 동작되도록 하여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의 유체 연통구(232)가 상기 장치 바디(100)의 유체 토수관(120)과 선택적으로 연통 및 연통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플러그 부재(4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시트 패킹 부재(500)를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유체 토수관(120)에 결합되는 유체 공급관으로 유체가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토수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플러그 부재(400)는 관형체로 형성되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 외면은 상기 관형 유체 토수관(120)의 내벽에 형성되는 둘 이상의 단차부(121, 122)와 상응하는 형태로 단차지는 단차부(411, 412)를 갖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부재(400)는 하단부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신축성 재질의 시트 패킹 부재(500)에 형성되는 끼움 결합홈(510)에 끼움 결합되도록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끼움 결합 돌기(420)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 결합 돌기(420)는 링형의 결합 돌출 돌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시트 패킹 부재(500)는 상기 플러그 부재(400)와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의 일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의 볼 스템부(230)와 상기 장치 바디(100)의 유체 토수관(120) 간을 기밀하게 패킹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시트 패킹 부재(500)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관형체로 형성되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벽에는 상기 플러그 부재(400)의 끼움 결합 돌기(420)가 끼움 결합되게 이루어지는 끼움 결합홈(510)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 결합홈(510)은 상기 끼움 결합 돌기(420)의 형상에 상응하게, 즉 링형의 홈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노브 부재(300)를 회전시켜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의 두 유체 연통구(232) 각각이 상기 장치 바디(100)의 유체 토수관(120) 각각과 연통되도록 하면, 상기 장치 바디(100)로 공급되는 유체는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의 유체 연통구(232) 각각을 통해 장치 바디(100)의 유체 토수관(120) 모두로 유체가 토수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5의 상태에서 상기 회전 노브 부재(300)를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의 일측 유체 연통구(232)는 상기 장치 바디(100)의 일측 유체 토수관(도면에서 오른쪽)와 연통되고,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의 타측 유체 연통구(232)는 상기 장치 바디(100)의 타측 유체 토수관(도면에서 왼쪽)와 연통차단하게 되면, 상기 장치 바디(100)로 공급되는 유체는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의 일측 유체 연통구(232)만을 통해 상기 장치 바디(100)의 일측 유체 토수관(120)로 토수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5의 상태에서 상기 회전 노브 부재(300)를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의 타측 유체 연통구(232)는 상기 장치 바디(100)의 타측 유체 토수관(도면에서 왼쪽)와 연통되고,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의 일측 유체 연통구(232)는 상기 장치 바디(100)의 일측 유체 토수관(도면에서 오른쪽)와 연통차단하게 되면, 상기 장치 바디(100)로 공급되는 유체는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의 타측 유체 연통구(232)만을 통해 상기 장치 바디(100)의 타측 유체 토수관(120)로 토수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5의 상태에서 상기 회전 노브 부재(3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경방향으로 180°회전시켜 상기 개폐 밸브 부재(200)의 유체 연통구(232) 모두가 상기 장치 바디(100)의 유체 토수관(120) 모두와 연통차단하게 되면, 상기 장치 바디(100)로 공급되는 유체는 상기 장치 바디(100)의 유체 토수관(120) 모두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에 의하면, 둘 이상의 공급관에 선택적으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관 모두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순하면서도 정밀한 동작으로 유체 공급을 제어할 수 있어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심플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어 제작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장치 바디
110: 바디부
111: 유체 공급로
112: 단턱부
120: 유체 토수관
121, 122: 단차부
200: 개폐 밸브 부재
210: 관형 바디부
211: 키 돌출부
212: 결합구
213: 오링
214: 오링홈
220: 격벽부
230: 볼 스템부
231: 유로
232: 유체 연통구
233: 구형 바디
234: 플랜지부
300: 회전 노브 부재
310: 개폐 표시부
400: 플러그 부재
411, 412: 단차부
420: 끼움 결합 돌기
500: 시트 패킹 부재
510: 끼움 결합홈

Claims (6)

  1. 유체 공급로를 가지며, 상기 유체 공급로와 직교하고 일정 간격을 갖는 복수의 유체 토수관이 형성되는 관형의 장치 바디;
    일측부는 상기 장치 바디 내에 구비되고, 타측부는 상기 장치 바디의 일단으로 노출되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일측부에서 상기 유체 토수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비연통되게 구성되어 상기 유체 공급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복수의 유체 토수관 중 적어도 하나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배출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개폐 밸브 부재;
    상기 개폐 밸브 부재의 타측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전 노브 부재;
    상기 관형 유체 토수관에 구비되는 관형의 플러그 부재; 및
    상기 플러그 부재와 상기 개폐 밸브 부재의 일측부 사이에 구비되는 시트 패킹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밸브 부재는, 관형 바디부와, 상기 관형 바디부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부, 및 상기 관형 바디부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체 공급로와 동일 선상으로 유로가 형성되며,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유체 연통구가 형성되는 볼 스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 스템부는, 상기 유체 공급로와 동일 선상으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복수의 유체 연통구가 형성되는 볼 형태의 구형 바디, 및 상기 구형 바디의 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바디는 소정 직경을 갖고 형성되는 관형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직교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관형 유체 토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관형 유체 토수관는 90°의 이격 거리를 갖고 2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연통구는 상기 구형 바디의 둘레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유체 토수관의 이격 간격에 상응하는 간격을 갖고 형성되며,
    상기 볼 스템부와 볼 스템부 간의 연결부에 상기 구형 바디의 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노브 부재는 사각형의 바디를 갖고 형성되며, 노출면에 상기 개폐 밸브 부재의 회전에 따라 그 개폐 밸브 부재의 유체 연통구가 상기 장치 바디의 유체 토수관과 선택적으로 연통 및 연통차단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개폐 표시부가 마킹되어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 부재는 관형체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 패킹 부재는 신축성있는 재질의 관형체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시트 패킹 부재의 내벽에 형성되는 링형의 끼움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결합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
KR1020200016821A 2020-02-12 2020-02-12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 KR102150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821A KR102150225B1 (ko) 2020-02-12 2020-02-12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821A KR102150225B1 (ko) 2020-02-12 2020-02-12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225B1 true KR102150225B1 (ko) 2020-08-31

Family

ID=72234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821A KR102150225B1 (ko) 2020-02-12 2020-02-12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2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155B1 (ko) 2007-05-30 2007-12-28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수전금구용 수로전환장치
KR20110134564A (ko) * 2010-06-09 2011-12-15 주식회사 조이포라이프 다이버터형 앵글밸브
KR101223561B1 (ko) 2011-07-26 2013-01-17 주식회사 에스 씨디 세탁기용 세제 디스펜서 장치
KR20140103586A (ko) * 2013-02-18 2014-08-27 (주)로커스 공기조화기용 서비스 밸브 어셈블리
KR101772698B1 (ko) 2010-04-05 2017-08-29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다방향 전환 밸브
KR101799783B1 (ko) 2016-05-31 2017-11-2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체를 복수 개의 유로로 선택적으로 배분하는 유로 전환 밸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155B1 (ko) 2007-05-30 2007-12-28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수전금구용 수로전환장치
KR101772698B1 (ko) 2010-04-05 2017-08-29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다방향 전환 밸브
KR20110134564A (ko) * 2010-06-09 2011-12-15 주식회사 조이포라이프 다이버터형 앵글밸브
KR101223561B1 (ko) 2011-07-26 2013-01-17 주식회사 에스 씨디 세탁기용 세제 디스펜서 장치
KR20140103586A (ko) * 2013-02-18 2014-08-27 (주)로커스 공기조화기용 서비스 밸브 어셈블리
KR101799783B1 (ko) 2016-05-31 2017-11-2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체를 복수 개의 유로로 선택적으로 배분하는 유로 전환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1005A (en) Rotary disk control valve for a water conditioning system
JP2002054201A (ja) 外部浄水器付き混合水栓
EP0598590B1 (en) Faucet diverter valve
US8888998B2 (en) Bypass valve for water filter system
CN107795711A (zh) 水处理系统
KR102150225B1 (ko) 멀티 토수구형 유체 공급 장치
WO2003016225A1 (en) Venturi feeder bypass and control
TW202223269A (zh) 用於流體處理設備之控制閥總成
EP2917419B1 (en) Faucet handle with valve cartridge parallel to mounting surface
KR102507948B1 (ko) 유로전환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KR20170135282A (ko) 유체를 복수 개의 유로로 선택적으로 배분하는 유로 전환 밸브
JP3161974B2 (ja) アンダーシンク型浄水器用水栓
KR101589208B1 (ko) 선택적으로 필터수 적용이 가능한 다방향 수도 꼭지
KR101881365B1 (ko) 유체를 복수 개의 유로로 선택적으로 배분하는 유로 전환 밸브
US3307581A (en) Control valve for water softeners
CA2504328A1 (en) Bypass valve
US2739119A (en) Flow control valves
JP3635417B2 (ja) 処理水シャワー付切り替え弁装置
JP4500041B2 (ja) 複合水栓及び浄水装置
JP2017197923A (ja) 局部洗浄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便器装置
JP2003028323A (ja) 四方切換え弁及び四方切換え弁を備えた給水管洗浄システム
KR200314646Y1 (ko) 연수기용 원수 절환 장치
JP2004205031A (ja) 浄水器および切換弁
JP3033944B2 (ja) コック
KR200274150Y1 (ko) 배출방향 조정이 가능한 콕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