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769B1 -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 - Google Patents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769B1
KR102149769B1 KR1020190003668A KR20190003668A KR102149769B1 KR 102149769 B1 KR102149769 B1 KR 102149769B1 KR 1020190003668 A KR1020190003668 A KR 1020190003668A KR 20190003668 A KR20190003668 A KR 20190003668A KR 102149769 B1 KR102149769 B1 KR 102149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electromagnet
pair
electromagnets
scis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7421A (ko
Inventor
권기형
Original Assignee
권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형 filed Critical 권기형
Priority to KR1020190003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7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87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20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미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머리카락을 자르거나 숱치기 또는 층내기에 사용하는 미용 가위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는, 개별적으로 높이가 설정되는 커팅 블레이드에 의해 커트 가위와 틴닝 가위를 번갈아가며 사용하지 않고도 한 번의 가위질로 앞머리를 커팅할 수 있으며, 한 번의 가위질로 앞머리 커팅 시에도 앞머리에 숱을 치거나 층을 낼 수 있다. 또한, 전자석의 자력 및 극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미용 가위의 커팅 블레이드 간의 편차를 조절하여 숙련된 스킬이 없더라도 의도된 헤어 스타일에 따라 숱을 치거나 층을 내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HAIR CUTTING SCISSORS WITH MULTIPLE BLADES WITH DEVIATIONS BY ELECTROMAGNET}
개시된 내용은 미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머리카락을 자르거나 숱치기 또는 층내기에 사용하는 미용 가위에 관한 것이다.
미용 가위는 헤어 커팅을 위해 디자인된 가위로서, 일반 가위보다 매우 날카로운 블레이드(절삭날)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미용 가위는 사용 목적에 따라 크게 커트 가위(Cutting Scissors) 및 틴닝 가위(Thinning Scissors)로 구분될 수 있다.
커트 가위(Cutting Scissors)는 기본적으로 머리카락을 자르기 위해 사용되는 가위로서, 머리카락을 일직선으로 자르기 위해 사용된다. 틴닝 가위(Thinning Scissors)는 일반적으로 숱 가위로 불리며, 지그재그의 형태로 된 블레이드(절삭날)를 가진다. 틴닝 가위는 헤어 커팅 시 이러한 지그재그 형태의 블레이드로 머리카락을 부분적으로 잘라 머리카락의 숱을 조절하거나 층을 내기 위해 사용된다.
미용 가위를 사용한 헤어 커팅 시에는 앞머리를 커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앞머리는 정면에 위치하므로 앞머리의 커팅과 스타일링이 인상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커트 가위로 앞머리를 자르게 되면 머리카락이 일직선으로 잘리게 되므로, 특정한 헤어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면 일반적으로는 커트 가위와 틴닝 가위를 번갈아가며 사용하게 된다. 특히, 앞머리를 커트 가위로 한 번에 자르게 되면 앞머리가 일직선으로 잘리게 되며, 숱을 치거나 층을 낼 수가 없어 의도된 헤어 스타일과 다른 스타일이 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미용사는 헤어 커팅 시 앞머리를 한 번에 커팅하지 못하고, 커트 가위와 틴닝 가위를 번갈아가며 사용하면서 조금씩 머리카락을 자르는 작업과 다듬는 작업을 반복해야만 한다. 따라서 미용사가 앞머리를 커팅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가위를 번갈아가며 사용해야 하며, 가위질의 횟수를 늘려야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모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미용사가 아닌 일반인이 미용실에 가지 않고 직접 앞머리를 커팅하는 경우, 앞머리를 자르기 위해서 많은 시행 착오를 거쳐야만 했다. 미용 가위, 특히 커트 가위와 틴닝 가위를 모두 사용하여 직접 앞머리를 커팅하는 경우에도 미용 가위 사용에 능숙하지 않아 의도했던 헤어 스타일을 연출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1819호 '미용가위'
커트 가위와 틴닝 가위를 번갈아가며 사용하지 않고도 한 번의 가위질로 앞머리에 숱을 치거나 층을 내면서 앞머리를 커팅할 수 있는,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미용 가위에 구비된 블레이드 간의 편차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미용 가위 사용에 능숙하지 않더라도 의도한 스타일에 따라 숱을 치거나 층을 내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를 '본 발명'이라 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는, 제1블레이드부에서 제2블레이드부와 마주하는 면에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제1커팅 블레이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전자석을 포함하는 제1전자석부; 제2블레이드부에서 제1블레이드부와 마주하는 면에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제2커팅 블레이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전자석을 포함하는 제2전자석부; 및 한 쌍의 제1전자석 및 상기 한 쌍의 제2전자석의 자력 및 극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는, 개별적으로 높이가 설정되는 커팅 블레이드에 의해 커트 가위와 틴닝 가위를 번갈아가며 사용하지 않고도 한 번의 가위질로 앞머리를 커팅할 수 있으며, 한 번의 가위질로 앞머리 커팅 시에도 앞머리에 숱을 치거나 층을 낼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는, 전자석의 자력 및 극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미용 가위의 커팅 블레이드 간의 편차를 조절하여 숙련된 스킬이 없더라도 의도된 헤어 스타일에 따라 숱을 치거나 층을 내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직접적으로 기재되지 않은 효과라고 하더라도, 개시된 내용에 의해 예상되거나 기대되는 효과는 발명의 효과에 기재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에서 제1블레이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에서 제어부가 한 쌍의 전자석을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에서 제1블레이드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에서 제1블레이드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에서 제2블레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의 제1블레이드부 및 제2블레이드부가 서로 인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발명의 설명에서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등이 조합된 구성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이들을 조합한 구성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10)는 제1그립부(300)와 연결된 제1블레이드부(100)와 제2그립부(400)와 연결된 제2블레이드부(200)가 서로 힌지 결합되어 회전한다. 제1그립부(300) 및 제2그립부(400)는 사용자가 미용 가위를 사용하기 위해 손가락을 파지하는 부분이다. 제1그립부(300) 및 제2그립부(400)의 움직임에 따라 그에 연결된 제1블레이드부(100) 및 제2블레이드부(200)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부(100) 및 제2블레이드부(200)는 서로 대응되는 구성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두께 방향으로 아래에 위치한 블레이드부를 제1블레이드부(100), 위에 위치한 블레이드부를 제2블레이드부(200)로 정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10)에서 제1블레이드부(100)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10)는 제1블레이드부(100) 및 제2블레이드부(200)의 일부가 일반적인 미용 가위와 달리 두께로 인한 높이가 있다. 이러한 높이는 후술하는 제1커팅 블레이드(120) 및 제2커팅 블레이드(220)가 두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10)는 제1전자석부(110), 제2전자석부(21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자석부(110)는 제1블레이드부(100)에서 제2블레이드부(200)와 마주하는 면에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제1커팅 블레이드(12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은 제1블레이드부(100)의 두께 방향에서 제1커팅 블레이드(12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따라서 제1커팅 블레이드(120)는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에서 발생하는 자력 및 극성에 따라 두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은 한 면에 하나의 극성이 발생하는 단극 전자석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은 제1커팅 블레이드(120)의 형상에 따라 직사각형 형태의 단극 전자석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제1커팅 블레이드(120)가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제1커팅 블레이드(120)는 제1블레이드부(100)에서 두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제1전자석부(110)에 독립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제1커팅 블레이드(120)는 일반적인 미용 가위의 블레이드처럼 길게 일체로 연장된 블레이드가 아니라, 일정한 길이를 가진다. 제1커팅 블레이드(120)는 마주하는 제2커팅 블레이드(220)와 맞물리면서 머리카락을 커팅한다. 제1커팅 블레이드(120)는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탄소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 제1커팅 블레이드(120)의 재질은 금속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비금속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1커팅 블레이드(120)가 금속 재질인 경우보다 무게가 가벼워져 미용 가위의 전체적인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제2전자석부(210)는 제2블레이드부(200)에서 제1블레이드부(100)와 마주하는 면에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제2커팅 블레이드(22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전자석(도 3의 211, 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전자석부(210)는 제1전자석부(110)에 대응되고, 한 쌍의 제2전자석(211, 213)은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에 대응되므로 구성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10)에서 제어부(500)가 한 쌍의 전자석을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 및 한 쌍의 제2전자석(211, 213)의 자력 및 극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그 입력에 따라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 및 한 쌍의 제2전자석(211, 213)의 자력 및 극성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 및 한 쌍의 제2전자석(211, 213)의 자력 및 극성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는 미용 가위에 구현된 버튼을 통해 제어부(500)에 입력될 수 있다. 또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서 제어부(500)에 액세스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어부(500)에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전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 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1커팅 블레이드(120) 또는 제2커팅 블레이드(220)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는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 또는 한 쌍의 제2전자석(211, 213)의 자력 및 극성 변화에 따라 이격된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 또는 한 쌍의 제2전자석(211, 213)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즉, 제1커팅 블레이드(120) 또는 제2커팅 블레이드(220)는 두께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블레이드부(100) 및 제2블레이드부(200)가 인접하면서 서로 마주한 제1커팅 블레이드(120) 및 제2커팅 블레이드(220)가 맞물리도록 높이 차를 제어할 수 있다. 제1커팅 블레이드(120) 및 제2커팅 블레이드(220)에 의해 머리카락을 커팅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커팅 블레이드의 면이 서로 맞물려야 한다. 제어부(500)는 서로 마주한 제1커팅 블레이드(120) 및 제2커팅 블레이드(220)에 의해 머리카락을 커팅할 수 있도록 제1커팅 블레이드(120) 및 제2커팅 블레이드(220)의 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게 높이 차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서로 마주한 제1커팅 블레이드(120)의 면 및 제2커팅 블레이드(220)의 면의 높이 차이가 커팅 블레이드의 두께만큼 차이 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10)에서 제1블레이드부(10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전자석부(110) 및 제2전자석부(210)는 가이드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17)는 이격된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 또는 한 쌍의 제2전자석(211, 213)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서 제1커팅 블레이드(120) 또는 제2커팅 블레이드(2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제1커팅 블레이드(120) 또는 제2커팅 블레이드(220)가 두께 방향을 따라 움직일 때 그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커팅 블레이드(120) 또는 제2커팅 블레이드(220)가 머리카락을 커팅하기 위해서는 두께 방향을 따라 수평을 유지하면서 움직여야 한다. 수평이 유지되지 않으면 제1커팅 블레이드(120) 및 제2커팅 블레이드(220)가 제대로 맞물릴 수 없기 때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커팅 블레이드(120)의 길이 방향의 면이 제1전자석부(110)의 수용 공간(115)에 형성된 가이드부(117)에 의해 지지되면서 두께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된다.
제1커팅 블레이드(120) 또는 제2커팅 블레이드(220)는 수용 공간을 따라 움직이면서 가이드부에 의해 수평이 유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커팅 블레이드(120) 또는 제2커팅 블레이드(220)는 적어도 일측에 가이드부에 대응하여 피팅 되도록 형성되는 피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팅 블레이드(120) 또는 제2커팅 블레이드(220)의 피팅부는 가이드부에 피팅 되도록 형성되며, 가이드부에 의해 지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커팅 블레이드(120)는 피팅부(121)가 가이드부(117)에 대응하여 결합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동시에 제1커팅 블레이드(120)의 길이 방향의 면이 제1전자석부(110)의 수용 공간(115)에 형성된 가이드부(117)에 의해 지지되면서 두께 방향으로도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된다. 도 4의 (a)에 나타난 실시예와 같이, 제1커팅 블레이드(120)의 길이 방향의 면(제1커팅 블레이드(120)와 제1블레이드부(100)가 맞닿는 면)에는 별도의 피팅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도 4의 (b)에 나타난 실시예와 같이, 제1커팅 블레이드(120)의 길이 방향의 면에도 별도의 피팅부(123)가 형성된다면 제1커팅 블레이드(120)가 두께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더욱 안정적으로 수평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수용 공간(115)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17)와 제1커팅 블레이드(120)에 돌출 형성되는 피팅부(121)를 나타냈으나, 가이드부(117)와 피팅부(121)는 도 4에 나타낸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커팅 블레이드(120)의 일측이 돌출 형성되지 않더라도, 한 쌍의 제1전자석 사이에 제1커팅 블레이드(120)를 관통하여 그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구성 또한 가이드부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커팅 블레이드(120)를 관통할 수 있도록 제1커팅 블레이드(120)에 형성되는 관통홀 또한 피팅부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커팅 블레이드(120) 또는 제2커팅 블레이드(220)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는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 또는 한 쌍의 제2전자석(211, 213)의 자력 및 극성 변화에 의해 수용 공간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움직일 수 있다.
제어부(500)는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 또는 한 쌍의 제2전자석(211, 213)끼리의 극성이 동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커팅 블레이드(120) 및 제2커팅 블레이드(220)는 마주하는 한 쌍의 전자석의 자력 및 극성에 따라 두께 방향으로 움직인다. 제1커팅 블레이드(120) 및 제2커팅 블레이드(220)를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전자석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한 쌍의 전자석에서 서로 같은 극성이 발생하여 서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은 제1커팅 블레이드(120)를 마주하는 면에 모두 N극이 발생하며,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 각각에서 제1커팅 블레이드(120)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이때, 제어부(500)는 한 쌍의 전자석 중 어느 한 전자석의 자력이 강해지도록 제어하여 제1커팅 블레이드(120) 및 제2커팅 블레이드(220)를 두께 방향을 따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제1전자석부(110) 및 제2전자석부(210)는 제1블레이드부(100) 및 제2블레이드부(200)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블레이드부에 복수의 전자석부가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 및 한 쌍의 제2전자석(211, 213)의 자력 및 극성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부에 전자석부가 많이 위치할수록 전자석부에 수용되는 커팅 블레이드가 많아지며, 이에 따라 머리카락을 커팅하는 영역이 증가하게 된다. 즉, 커팅 블레이드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더욱 촘촘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10)에서 제1블레이드부(100)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500)는 각각의 제1전자석부(110) 및 제2전자석부(210)의 제1커팅 블레이드(120) 및 제2커팅 블레이드(220)에 의해 커팅되는 높이가 다르도록 편차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제1전자석부(110)에서 제1커팅 블레이드(120)가 위치한 높이는 서로 다르다. 즉, 제어부(500)는 각각의 제1전자석부(110)에서 제1커팅 블레이드(120)가 위치한 높이가 다르도록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의 자력 및 극성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각각의 제1전자석부(110)에서 제1커팅 블레이드(120)가 위치한 높이가 서로 다르다면, 서로 다른 높이의 제1커팅 블레이드(120)로 인해 머리카락이 서로 다른 높이로 커팅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를 사용하면 커트 가위와 틴닝 가위를 번갈아가며 사용하지 않고도 한 번의 가위질로 앞머리를 커팅할 수 있다. 특히, 한 번의 가위질로 앞머리 커팅 시에도 앞머리에 숱을 치거나 층을 낼 수 있게 된다.
제어부(500)는 각각의 제1전자석부(110) 및 제2전자석부(210)에서 발생하는 상기 편차의 합이 0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준 높이(H)와 제1전자석부(110)의 제1커팅 블레이드(120)의 높이 차이는 편차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편차로 인해 커팅 시 머리카락이 연속된 일자로 커팅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편차가 무작위적으로 발생한다면, 의도했던 스타일링을 표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500)는 편차의 합이 0이 되도록 제어하여 평균적으로는 기준 높이(H)로 머리카락이 커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두께 방향으로 기준 높이(H)보다 제1커팅 블레이드(120)의 높이가 높다면 + 부호를, 낮다면 - 부호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부호는 반대가 되도록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즉, 제어부(500)는 아래의 수학식 1이 만족되도록 각각의 제1전자석부(110)와 제2전자석부(210)를 제어한다.
Figure 112019003568321-pat00001
여기서, n은 제1전자석부(110) 또는 제2전자석부(210) 개수이며, n>1 이다.
수학적으로 제어부(500)는 편차의 평균 0이며 일정한 표준편차 내에서 편차가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편차의 평균이 0이며 일정한 표준편차 내에서 편차가 형성되도록 정규분포를 따르게 제어할 수 있으나, 정규분포 모형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준편차를 다르게 입력함으로써 편차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 제어할 수 있으며, 커팅 시 숱을 치거나 층을 내는 정도를 의도하는 스타일링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10)에서 제2블레이드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블레이드부(100) 및 제2블레이드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굴곡부는 제1블레이드부(100) 및 제2블레이드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일측이 두께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도 6은 굴곡부(230)가 제2블레이드부(200)에 포함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굴곡부(230)가 제2블레이드부(200)에 포함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굴곡부(230)는 제1굴곡부(231)와 제2굴곡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굴곡부(231)는 힌지 결합된 제1블레이드부(100) 및 제2블레이드부(200)의 일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즉, 제1블레이드부(100)와 제2블레이드부(200)가 힌지 결합되면서도 각각의 커팅 블레이드가 위치한 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두께 방향에서 블레이드부의 일측이 휘어져 제1굴곡부(231)가 형성된다.
일반적인 미용 가위는 힌지 결합된 블레이드부 간의 높이 차가 있으며, 이러한 높이 차가 유지된 상태로 블레이드부가 서로 맞물리면서 머리카락을 커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10)는 제1블레이드부(100)와 제2블레이드부(200)의 커팅 블레이드가 위치한 면이 제1굴곡부(231)로 인해 서로 마주하게 되고, 각각의 커팅 블레이드가 서로 맞물리면서 머리카락을 커팅한다.
제2굴곡부(233)는 제1블레이드부(100) 및 제2블레이드부(200)가 힌지 결합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제1전자석부(110)의 제1커팅 블레이드(120) 및 제2전자석부(210)의 제2커팅 블레이드(220)가 서로 일정한 면적 내에서 맞물리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즉, 폭 방향에서 블레이드부의 일측이 휘어져 제2굴곡부(233)가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10)의 제1블레이드부(100) 및 제2블레이드부(200)가 서로 인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인 미용 가위의 블레이드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힌지축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블레이드면은 다른 블레이드면과 가장 먼저 겹쳐지게 된다. 그러나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10)는 제2굴곡부(233)가 형성됨으로써 힌지축을 기준으로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부가 회전하더라도 힌지축과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제1전자석부(110)의 제1커팅 블레이드(120) 및 제2전자석부(210)의 제2커팅 블레이드(220)가 서로 일정한 면적 내에서만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전자석으로 인한 자력에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제1커팅 블레이드(120) 및 제2커팅 블레이드(220)가 맞물리면서 머리카락을 커팅할 수 있다.
더욱이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과 한 쌍의 제2전자석(211, 213)끼리의 극성이 서로 동일한 경우, 제1블레이드부(100)와 제2블레이드부(200)가 인접하면 서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굴곡부(233)는 제1전자석부(110)의 제1커팅 블레이드(120) 및 제2전자석부(210)의 제2커팅 블레이드(220)가 일정한 면적 내에서 맞물리도록 하여 제1블레이드부(100)와 제2블레이드부(200)가 다른 전자석부의 전자석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굴곡부(230)는 제1블레이드부(100) 또는 제2블레이드부(2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도 제1커팅 블레이드(120) 및 제2커팅 블레이드(220)의 일면이 서로 마주하며 일정한 면적 내에서 맞물리게 된다. 도 6은 굴곡부(230)가 제2블레이드부(200)에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굴곡부(230)는 제1블레이드부(100) 및 제2블레이드부(200)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부(100) 또는 제2블레이드부(200)는 배터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는 제1블레이드부(100) 또는 제2블레이드부(200)의 일측에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 및 한 쌍의 제2전자석(211, 213)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부는 제1블레이드부(100) 또는 제2블레이드부(200)의 일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용되는 블레이드부에 위치한 한 쌍의 전자석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부(100) 또는 제2블레이드부(200)는 자기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센서는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 및 한 쌍의 제2전자석(211, 213)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10)는 제어부(500)에서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 및 한 쌍의 제2전자석(211, 213)의 자력 및 극성을 제어하여 커팅 블레이드의 편차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 및 한 쌍의 제2전자석(211, 213)에서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자력 및 극성이 발생하고 있는지 센싱할 필요가 있다. 자기 센서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전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변화를 센싱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하나의 전자석부마다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전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면 자기 센서가 배치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제1그립부(300) 및 제2그립부(400)에 손가락을 파지하고, 손가락을 움직이면서 각각의 그립부에 연결된 블레이드부를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500)는 한 쌍의 제1전자석(111, 113) 및 한 쌍의 제2전자석(211, 213)의 자력 및 극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서로 마주한 제1커팅 블레이드(120) 및 제2커팅 블레이드(220)가 맞물리도록 높이 차를 제어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500)는 편차의 합이 0이 되도록 복수의 제1커팅 블레이드(120) 및 제2커팅 블레이드(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1커팅 블레이드(120)와 제2커팅 블레이드(220)가 서로 맞물리면서 머리카락이 커팅되며, 이때 편차로 인해 한 번의 가위질만으로도 머리카락에 숱을 내거나 층을 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부(500)를 통해 커팅 블레이드의 편차를 조절하여 숙련된 스킬이 없더라도 의도된 헤어 스타일에 따라 숱을 치거나 층을 내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발명의 설명에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 분야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H: 기준 높이
Hn: 편차
10: 미용 가위
100: 제1블레이드부
110: 제1전자석부
111, 113: 제1전자석
115: 수용 공간
117: 가이드부
120: 제1커팅 블레이드
121: 피팅부
123: 피팅부
300: 제1그립부
200: 제2블레이드부
210: 제2전자석부
211, 213: 제2전자석
220: 제2커팅 블레이드
230: 굴곡부
231: 제1굴곡부
233: 제2굴곡부
400: 제2그립부
500: 제어부

Claims (10)

  1. 제1그립부와 연결된 제1블레이드부와 제2그립부와 연결된 제2블레이드부가 서로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미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부에서 상기 제2블레이드부와 마주하는 면에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제1커팅 블레이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전자석을 포함하는 제1전자석부;
    상기 제2블레이드부에서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마주하는 면에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제2커팅 블레이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전자석을 포함하는 제2전자석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전자석 및 상기 한 쌍의 제2전자석의 자력 및 극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팅 블레이드 또는 상기 제2커팅 블레이드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한 쌍의 제1전자석 또는 상기 한 쌍의 제2전자석의 자력 및 극성 변화에 따라 이격된 상기 한 쌍의 제1전자석 또는 상기 한 쌍의 제2전자석 사이에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가 인접하면서 서로 마주한 상기 제1커팅 블레이드 및 상기 제2커팅 블레이드가 맞물리도록 높이 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석부 및 상기 제2전자석부는,
    상기 이격된 한 쌍의 제1전자석 또는 상기 한 쌍의 제2전자석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서 상기 제1커팅 블레이드 또는 상기 제2커팅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팅 블레이드 또는 상기 제2커팅 블레이드는,
    상기 수용 공간을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수평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커팅 블레이드 또는 상기 제2커팅 블레이드는,
    적어도 일측에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하여 피팅 되도록 형성되는 피팅부를 포함하는,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제1전자석 또는 상기 한 쌍의 제2전자석끼리의 극성이 동일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석부 및 상기 제2전자석부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제1전자석 및 상기 한 쌍의 제2전자석의 자력 및 극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제1전자석부 및 제2전자석부의 제1커팅 블레이드 및 제2커팅 블레이드에 의해 커팅되는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편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부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일측이 두께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힌지 결합된 상기 제1블레이드부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의 일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제1굴곡부; 및
    상기 제1블레이드부 및 상기 제2블레이드부가 힌지 결합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제1전자석부의 제1커팅 블레이드 및 제2전자석부의 제2커팅 블레이드가 서로 일정한 면적 내에서 맞물리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제2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부 또는 상기 제2블레이드부는,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제1전자석 및 상기 한 쌍의 제2전자석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
KR1020190003668A 2019-01-11 2019-01-11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 KR102149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668A KR102149769B1 (ko) 2019-01-11 2019-01-11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668A KR102149769B1 (ko) 2019-01-11 2019-01-11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421A KR20200087421A (ko) 2020-07-21
KR102149769B1 true KR102149769B1 (ko) 2020-08-31

Family

ID=7183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668A KR102149769B1 (ko) 2019-01-11 2019-01-11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7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739B1 (ko) 1999-03-11 2007-05-15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제어대상물의 온도에 의해 제어되는 자기부상장치
CN201249456Y (zh) 2008-09-30 2009-06-03 杭州电子科技大学 磁力剪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4887U (ko) * 1975-04-23 1976-10-30
JPS5864271U (ja) * 1981-10-23 1983-04-30 古澤 英樹 はさみ
JP2820600B2 (ja) * 1993-09-17 1998-11-05 株式会社シゲル工業 理容鋏
KR20170081819A (ko) 2016-01-05 2017-07-13 김은영 미용가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739B1 (ko) 1999-03-11 2007-05-15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제어대상물의 온도에 의해 제어되는 자기부상장치
CN201249456Y (zh) 2008-09-30 2009-06-03 杭州电子科技大学 磁力剪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421A (ko)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131B1 (ko) 조절가능한 블레이드 각도를 가진 모듈식 안전 면도기
US8176637B2 (en) Hair clipper
US9969093B2 (en) Dry shaver
US10011029B2 (en) Clipper comb having a holdable extension
US8914980B2 (en) Razor
US8671576B1 (en) Divisible head razor device
JP6009565B2 (ja) カットガイドを有するヘアトリマー
KR102149769B1 (ko) 전자석으로 편차가 설정되는 다중 블레이드를 구비한 미용 가위
CN110171021A (zh) 用于毛发切割器具的梳子
US20220184829A1 (en) Hair cutting device
JP2003117266A (ja) 整髪用鋏組合せ構造
EP3914428B1 (en) Double-sided comb for a hair-cutting device
US10889017B2 (en) Safety razor and handle therefor
EP2926959B1 (en) Hair clipper, head unit of the same, and movable blade of the same
US6141877A (en) Notched single-edged thinning scissors
JPWO2013150589A1 (ja) 頭髪測定具
EP2627211B1 (en) A comb
US2025972A (en) Motor driven hair cutter
US20160250761A1 (en) Razor
US1891303A (en) Barber's comb
KR200215524Y1 (ko) 미용가위
KR200464026Y1 (ko) 미용가위
JP4504676B2 (ja) ヘアカッター
JP2006346181A (ja) ヘアカット用カミソリ
JP5848420B2 (ja) 頭髪測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