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196B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9196B1 KR102149196B1 KR1020180164437A KR20180164437A KR102149196B1 KR 102149196 B1 KR102149196 B1 KR 102149196B1 KR 1020180164437 A KR1020180164437 A KR 1020180164437A KR 20180164437 A KR20180164437 A KR 20180164437A KR 102149196 B1 KR102149196 B1 KR 1021491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water
- sub
- indoor
- indoor unit
- water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실내기, 송풍기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유동되는 덕트, 온수를 공급하는 메인 온수배관, 메인 온수배관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에 대응되고, 메인 온수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대응되는 서브 온수배관으로 유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은, 덕트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기 사용료, 가스 사용료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실외기를 이용하는 난방 기능과 온수배관을 이용하는 난방 기능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 외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수배관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고 토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고, 공기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건물 또는 방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다.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압축기가 실외에 배치된 분리형과, 압축기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다.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로는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여 실내 외측에 설치하는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로는 직립으로 설치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또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한 종류로서, 복수개의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어컨이 있다.
시스템에어컨의 경우, 복수개의 실내기를 구비하여 실내를 공기조화하는 타입과, 덕트를 통해 각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타입이 있다.
각 실내공간에 각각의 실내기를 구비하는 타입의 경우, 실내의 각 부하에 대응하여 작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덕트를 통해 각 실내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타입의 경우, 비용이 비교적 저렴한 장점이 있는 반면, 실내부하에 정밀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난방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실외기에 구비된 압축기, 실내기에 구비된 열교환기 등을 이용하여 가열된 공기를 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한다. 한편, 전기 사용량을 줄이기 원하는 사용자의 경우,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 대신, 보일러 등에서 공급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난방을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으나,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덕트에 배치된 온수배관을 이용하여, 실내기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가열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실내기, 송풍기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유동되는 덕트, 온수를 공급하는 메인 온수배관, 메인 온수배관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에 대응되고, 메인 온수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대응되는 서브 온수배관으로 유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은, 덕트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공기조화기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신호가 온수 난방모드의 실행에 대한 신호인지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온수 난방모드의 실행에 대한 신호인 경우, 상기 실내기의 모드를 상기 온수 난방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팽창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실내기에 구비된 송풍기를 구동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실내기의 열교환기 등 냉매를 이용하는 열교환에 필요한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 온수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등 화석 연료의 가격이 저렴한 경우, 사용자는 저렴한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난방을 함으로써 전기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등을 이용하는 난방 기능과 온수배관을 이용하는 난방 기능을 모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복수의 난방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따른, 실내온도의 변화에 대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따른, 실내온도의 변화에 대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실외기(20), 실외기(20)와 연결되는 실내기(30), 덕트(50), 온수를 공급하는 메인 온수배관(70) 및 메인 온수배관(70)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실외기(20) 및 실내기(3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10), 및/또는 실내기(30)와 연결되는 리모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0)는, 예를 들면, 실외기(20) 및 실내기(30)와 연결될 수 있고, 실외기(20) 및 실내기(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10)는 복수의 실내기(30)에 연결되어, 실내기(30)에 대한 운전설정, 잠금설정, 스케줄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기(1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미도시)과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기(10)는,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명령을,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외기(20)는, 예를 들면,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 및/또는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20)는, 예를 들면, 복수의 센서(미도시), 밸브(미도시), 오일회수기(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0)는, 예를 들면, 구비되는 압축기를 통해 냉매를 압축시킬 수 있고, 실외 열교환기를 통해 냉매를 열교환하여 실내기(30)로 공급할 수 있다. 실외기(20)는, 예를 들면, 제어기(10) 또는 실내기(30)의 요구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구동되는 실내기(30)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실외기(20)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실외기(20)는, 예를 들면, 전원입력, 실외기의 마스터 설정, 주소설정 등을 위한 입력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실외기(20)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고, 공조 대상(210, 220, 230)으로 냉온 또는 열온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조 대상이 3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조 대상은 1개, 2개, 또는 4개 이상도 가능하다.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실내 열교환기(미도시), 실내팬(미도시), 및/또는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동작, 온도설정, 풍량, 풍향, 잠금 등의 운전설정을 위한 입력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동작, 온도설정, 풍량, 풍향, 잠금 등의 운전설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20) 및/또는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냉매가 팽창되도록 하는 팽창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팽창밸브는, 예를 들면, 전자식 팽창밸브(Electric Expansion Valve; EEV)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0) 및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외기(20) 및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제어기(10)와 별도의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제어기(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실외기(20)에 동작 정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동작 정지 신호를 수신한 실외기(20)는,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20)는, 제어기(10)로부터 동작 정지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덕트(50)를 통해, 공조 대상(210, 220, 230)으로 냉온 또는 열온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한편, 공조 대상(210, 220, 230)은 실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택에 공기 조화기(100)가 설치되는 경우, 거실, 제1룸 및 제2룸이 공조 대상(210, 220, 230)에 각각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실내기(30)부터 거실, 제1룸 및 제2룸까지 덕트(50)가 연결되고, 실내기(30)는 덕트(50)를 통해 거실, 제1룸 및 제2룸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덕트(50)는, 예를 들면, 실내기(30)와 연결되는 메인 덕트(51) 및 공조 대상(210, 220, 230)과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덕트(52a, 52b, 52c)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부(410, 420, 430)는, 예를 들면, 공조 대상(210, 220, 230)과 연결된 서브 덕트(52a, 52b, 52c)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댐퍼부(410)는 제1 공조 대상(210)이 연결된 서브 덕트(52a)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댐퍼부(420)는 제2 공조 대상(220)이 연결된 서브 덕트(52b)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댐퍼부(430)는 제3 공조 대상(230)이 연결된 서브 덕트(52c)에 배치될 수 있다. 댐퍼부(410, 420, 430)는, 예를 들면, 댐퍼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댐퍼는, 예를 들면, 덕트(5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차단 또는 소통시키는 일반적인 구조일 수 있다. 댐퍼는, 예를 들면, 모터에 의해 개도 또는 폐도될 수 있다. 댐퍼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댐퍼플레이트(미도시)가 설치되어, 덕트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소통시킬 수 있다. 댐퍼플레이트는, 예를 들면,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고, 댐퍼플레이트의 개폐도에 따라, 공기의 송풍량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댐퍼플레이트 및 댐퍼의 구조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댐퍼부(410, 420, 430)는, 예를 들면, 제어부(1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댐퍼부(410, 420, 430)는, 제어부(10)의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켜 댐퍼를 개도 또는 폐도할 수 있다.
리모컨(40)은, 예를 들면, 실내기(30)에 연결되어, 실내기(30)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리모컨(40)은, 예를 들면, 실내기(3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리모컨(40)은, 예를 들면, 숫자, 문자, 특수문자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모컨(40)은, 실내기(30)로 동작 모드에 대한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리모컨(40)을 통해 목표 온도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컨(40)은 목표 온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실내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30)는, 전송된 목표 온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실내기(30)에 포함된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30)는 수신된 목표 온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제어기(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리모컨(40)은, 예를 들면, 실내기(30)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모컨(40)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40)은 실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 감지부(미도시) 및/또는 실내에 재실자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한편, 리모컨(40)은, 예를 들면, 온도 감지부를 통해 감지한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를 실내기(30)에 전송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480) 및 재실자 감지부(490)는 공조 대상(210, 220, 230) 각각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재실자 감지부는, 예를 들면, 적외선(Infrared Radiation; IR) 센서 또는 초음파(Ultrasonic)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예를 들면, 열원(예: 실내에 있는 사람; 재실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재실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예를 들면, 초음파 신호가 물체(재실자)에 반사되어 돌아온 신호에 기초하여 재실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온수배관(70)은, 예를 들면, 온수를 공급하는 보일러(6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보일러(60)는, 예를 들면, 가스 보일러, 기름 보일러, 연탄 보일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온수배관(70)은,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과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은, 예를 들면, 덕트(50)의 내부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은, 예를 들면, 덕트(50)의 내부에서 코일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100)는, 메인 덕트(51)의 내부에 배치되는 서브 온수배관(71a)만 포함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덕트(52a, 52b, 52c)에 배치되는 서브 온수배관(71b, 71c, 71d)만 포함할 수도 있으며,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인 온수배관(70)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은, 예를 들면, 메인 온수배관(70)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 각각으로 유동되도록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는, 예를 들면, 수압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온수를 이동시키는 펌프(pump)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메인 온수배관(70)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이,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로부터 연결 상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온수배관(70)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의 연결 상태가 불량인 경우, 실내기(30)는 연결 상태의 불량에 대한 정보를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연결 상태의 불량에 대한 정보를 제어기(10) 및/또는 리모컨(4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 각각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는, 실내기(30)로부터 개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메인 온수배관(70)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으로 유동되도록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는, 실내기(30)로부터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메인 온수배관(70)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는, 예를 들면, 제어기(10)로부터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온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한 경우, 실내기(30)는 실내팬이 기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느리게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기 설정된 회전 속도는 제1 회전 속도, 기 설정된 속도보다 느린 회전 속도는 제2 회전 속도로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온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기 설정된 온도차이만큼 높은 경우, 실내기(30)는,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에 폐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기 설정된 온도차이만큼 낮은 경우, 실내기(30)는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에 개방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크게 실내기(30)와 실외기(20)로 구분될 수 있다.
실외기(20)는, 예를 들면,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b)와, 압축기(102b)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와, 실외측 열교환기(10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105a)과 실외팬(10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0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10)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8)와, 실내측 열교환기(108)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과 실내팬(10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측 열교환기(108)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는, 예를 들면,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실내기(30)는, S410 동작에서, 공기조화기(100)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제어기(10) 및/또는 리모컨(4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내기(30)는, S420 동작에서, 수신된 신호가 온수 난방모드의 실행에 대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온수 난방모드는, 예를 들면, 실내기(3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메인 온수배관(70)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를 난방시키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실내기(30)는, S430 동작에서, 수신된 신호가 온수 난방모드의 실행에 대한 신호가 아닌 경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된 신호가 냉방모드의 실행에 대한 신호인 경우, 실외기(20)로부터 공급되어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송풍기를 통해 토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된 신호가 난방모드의 실행에 대한 신호인 경우, 실외기(20)로부터 공급되어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송풍기를 통해 토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실내기(30)는, S440 동작에서, 수신된 신호가 온수 난방모드의 실행에 대한 신호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이 온수밸브부(80)를 통해 메인 온수배관(70)과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온수밸브부(8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30)는, S450 동작에서, 메인 온수배관(70)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의 연결 상태가 불량인 경우, 연결 상태의 불량에 대한 정보를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연결 상태의 불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장치(예: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연결 상태의 불량에 대한 정보를, 오디오 장치(예: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효과음 또는 경고음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연결 상태의 불량에 대한 정보를 리모컨(4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실내기(3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 모두가 메인 온수배관(70)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연결 상태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내기(30)는, S460 동작에서, 메인 온수배관(70)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이 온수밸브부(8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온수밸브부(80)에 개방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 중, 메인 온수배관(70)과 연결되어 있는 서브 온수배관에 대응하는 온수밸브에 개방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모드를 온수 냉방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온수 냉방모드인 경우, 송풍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송풍 기능은, 예를 들면, 실내기(30)에 구비된 열교환기를 이용한 열교환 없이, 송풍기만 구동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송풍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열교환기와 관련된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2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도록 하는, 팽창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30)는, 실외기(20)에 동작 정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방법이 실내기(3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기(1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S410 동작에서, 제어기(10)가 공기조화기(100)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S420 동작에서, 수신된 신호가 온수 난방모드의 실행에 대한 신호인지 여부를 제어기(10)가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S430 동작에서, 수신된 신호가 온수 난방모드의 실행에 대한 신호가 아닌 경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외기(20) 및/또는 실내기(30)가 수행하도록 제어기(10)가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S440 동작에서, 수신된 신호가 온수 난방모드의 실행에 대한 신호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이 온수밸브부(80)를 통해 메인 온수배관(70)과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제어기(10)가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S440 동작에서, 메인 온수배관(70)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의 연결 상태가 불량인 경우, 연결 상태의 불량에 대한 정보를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실내기(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S450 동작에서, 메인 온수배관(70)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이 온수밸브부(8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어기(10)가 `온수밸브부(80)에 개방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따른, 실내온도의 변화에 대한 그래프 및 팬과 온수 밸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t1 시점에, 온수 난방모드의 실행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제어기(10) 및/또는 리모컨(40)으로부터 온수 난방모드의 실행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모드를 온수 냉방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t2 시점에, 실내기(30)에 구비된 실내 송풍기(109)를 구동시킬 수 있다.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전동기(109b)를 구동하여 실내팬(109b)을 회전시킬 수 있다. 실내기(30)는, 예를 들면, 실내팬(109b)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송풍기(109)를 구동시키는 경우, 전동기(109b)의 운전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t2 시점부터 t'2 시점까지, 실내팬(109b)이 기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느린 제2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t'2 시점 이후부터 실내팬(109b)이 기 설정된 회전 속도인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t2 시점에,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온수밸브부(80)에 개방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온수 난방모드의 실행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는 t1 시점과, 송풍기(109) 및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가 제어되는 t2 시점은,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에 따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한 시점에, 실내팬(109b)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인 25℃에 도달한 t3 시점에, 실내팬(109b)을 제2 회전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기 설정된 온도차이만큼 높은 경우,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인 25℃ 보다 3℃ 높은 t4 시점에,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온수밸브부(80)에 폐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높은 상태에서 목표 온도에 재도달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인 25℃에 재도달한 t5 시점에,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온수밸브부(80)에 개방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기 설정된 온도차이 보다 낮은 경우, 실내팬(109b)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인 25℃ 보다 2℃ 낮은 t6 시점에, 실내팬(109b)을 제1 회전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실내 온도가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낮은 상태에서 목표 온도에 재도달한 경우, 실내팬(109b)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30)는,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인 25℃에 재도달한 t7 시점에, 실내팬(109b)을 제2 회전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온수 난방모드의 실행 종료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 t8 시점에,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를 폐쇄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온수 난방모드의 실행 종료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 t8 시점에, 실내 송풍기(109)의 동작을 정지할 수도 있고, t8 시점부터 일정 시간 경과된 t'8 시점에 실내 송풍기(109)의 동작을 정지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실외기(20), 실외기(20)와 연결되는 복수의 실내기(30a, 30b), 복수의 덕트(50a, 50b), 온수를 공급하는 메인 온수배관(70) 및 메인 온수배관(70)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 71e, 71f, 71g, 71h)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실외기(20) 및 복수의 실내기(30a, 30b)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10), 및/또는 복수의 실내기(30a, 30b)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리모컨(40a, 4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0)는, 예를 들면, 구비되는 압축기(미도시)를 통해 냉매를 압축시킬 수 있고, 실외 열교환기(미도시)를 통해 냉매를 열교환하여 복수의 실내기(30a, 30b)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실외기(20)는, 예를 들면, 제어기(10) 또는 실내기(30)의 요구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구동되는 실내기(30)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실외기(20)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실내기(30a, 30b)는, 예를 들면, 실외기(20)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고, 공조 대상(210, 220, 230, 240, 250, 260)으로 냉온 또는 열온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조 대상이 6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외기(20) 및 복수의 실내기(30a, 30b)는, 예를 들면,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외기(20) 및 복수의 실내기(30a, 30b)는, 예를 들면, 제어기(10)와 별도의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제어기(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실내기(30a, 30b)는, 실외기(30)에 동작 정지 신호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동작 정지 신호를 수신한 실외기(20)는,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20)는,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30a, 30b) 모두로부터 동작 정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동작을 정지할 수도 있다. 한편, 실외기(20)는, 제어기(10)로부터 동작 정지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복수의 실내기(30a, 30b)는, 예를 들면, 복수의 덕트(50a, 50b)를 통해, 공조 대상(210, 220, 230, 240, 250, 260)으로 냉온 또는 열온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한편, 공조 대상(210, 220, 230, 240, 250, 260)은 실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건물에 공기 조화기(100)가 설치되는 경우, 제1층에 위치하는 거실, 제1룸 및 제2룸이 공조 대상(210, 220, 230)에 각각 해당될 수 있고, 제2층에 위치하는 제3룸, 제4룸 및 제5룸이 공조대상(240, 250, 260)에 각각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제1 실내기(30a)부터 거실, 제1룸, 제2룸까지 제1 덕트(50a)가 연결되고, 제1 실내기(30a)는 제1 덕트(50a)를 통해 거실, 제1룸, 제2룸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내기(30b)부터 제3룸, 제4룸 및 제5룸까지 제2 덕트(50b)가 연결되고, 제2 실내기(30b)는 제2 덕트(50b)를 통해 제3룸, 제4룸 및 제5룸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1 덕트(50a)는, 예를 들면, 재1 실내기(30a)와 연결되는 제1 메인 덕트(51a) 및 공조 대상(210, 220, 230)과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덕트(52a, 52b, 52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덕트(50b)는, 예를 들면, 제2 실내기(30b)와 연결되는 제2 메인 덕트(51b) 및 공조 대상(240, 250, 260)과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덕트(52d, 52e, 52f)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부(410, 420, 430, 440, 450, 460)는, 예를 들면, 공조 대상(210, 220, 230, 240, 250, 260)과 연결된 서브 덕트(52a, 52b, 52c, 52d, 52e, 52f)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댐퍼부(410, 420, 430, 440, 450, 460)는, 예를 들면, 댐퍼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댐퍼부(410, 420, 430, 440, 450, 460)는, 예를 들면, 제어부(1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댐퍼부(410, 420, 430, 440, 450, 460)는, 제어부(10)의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켜 댐퍼를 개도 또는 폐도할 수 있다.
복수의 리모컨(40a, 40b)은, 예를 들면, 복수의 실내기(30a, 30b)에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30a, 30b)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리모컨(40a, 40b)은, 복수의 실내기(30a, 30b)로 동작 모드에 대한 제어명령을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리모컨(40a, 40b)은, 복수의 실내기(30a, 30b)로 서로 다른 동작 모드에 대한 제어명령을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리모컨(40a, 40b)은, 목표 온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복수의 실내기(30a, 30b)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온수배관(70)은, 예를 들면, 온수를 공급하는 보일러(60)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온수배관(70)은,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 71e, 71f, 71g, 71h)과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 71e, 71f, 71g, 71h)은, 예를 들면, 복수의 덕트(50a, 50b)의 내부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 71e, 71f, 71g, 71h)은, 예를 들면, 복수의 덕트(50a, 50b)의 내부에서 코일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온수배관(70)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 71e, 71f, 71g, 71h)은, 예를 들면, 메인 온수배관(70)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 71e, 71f, 71g, 71h) 각각으로 유동되도록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 80d, 80e, 80f, 80g, 80h)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 80d, 80e, 80f, 80g, 80h)는, 예를 들면, 수압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온수를 이동시키는 펌프(pump)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실내기(30a, 30b)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 80d, 80e, 80f, 80g, 80h)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실내기(30a, 30b)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 80d, 80e, 80f, 80g, 80h)로부터 연결 상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실내기(30a, 30b)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 80d, 80e, 80f, 80g, 80h)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복수의 실내기(30a, 30b)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 80d, 80e, 80f, 80g, 80h)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때, 복수의 실내기(30a, 30b)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 80d, 80e, 80f, 80g, 80h) 각각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 80d, 80e, 80f, 80g, 80h)는, 예를 들면, 제어기(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 80d, 80e, 80f, 80g, 80h)는, 예를 들면, 수신한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 80d, 80e, 80f, 80g, 80h)는, 복수의 실내기(30a, 30b)로부터 개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메인 온수배관(70)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 71e, 71f, 71g, 71h)으로 유동되도록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온수밸브(80a, 80b, 80c, 80c, 80d, 80e, 80f, 80g, 80h)는, 실내기(30)로부터 폐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메인 온수배관(70)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온수배관(71a, 71b, 71c, 71d, 71e, 71f, 71g, 71h)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폐쇄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제어기
20: 실외기
30: 실내기
40: 리모턴
50: 덕트
60: 보일러
70: 메인 온수배관
71a 내지 71d: 서브 온수배관
410 내지 430: 댐프부
20: 실외기
30: 실내기
40: 리모턴
50: 덕트
60: 보일러
70: 메인 온수배관
71a 내지 71d: 서브 온수배관
410 내지 430: 댐프부
Claims (14)
- 송풍기를 구비하는 실내기;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유동되는 메인 덕트;
상기 메인 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덕트에서 공급된 공기를 복수의 공간으로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서브 덕트;
온수를 공급하는 메인 온수배관;
상기 메인 온수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 덕트 및 상기 복수의 서브 덕트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온수배관; 및
상기 메인 온수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대응되는 서브 온수배관으로 유동시키는 복수의 온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온수배관은, 상기 메인 덕트 및 상기 복수의 서브 덕트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실내기는, 온수 난방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 온수배관 중 상기 메인 덕트에 대응하는 제1 서브 온수배관으로 온수가 흐르도록, 상기 복수의 온수밸브 중 상기 제1 서브 온수배관에 대응하는 제1 온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대한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온수밸브 중, 상기 제1 서브 온수배관을 제외한 나머지 서브 온수배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온수밸브의 개방 여부를 각각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열교환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온수 난방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열교환기와 관련된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송풍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난방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온수밸브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온수밸브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온수밸브 각각의 개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2항에 있어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구비하는 실외기; 및
상기 냉매가 팽창되도록 하는 팽창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온수 난방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팽창밸브가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실외기에 동작 정지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복수의 실내기와 연결된 경우, 상기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 모두로부터 동작 정지 신호를 수신하면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팽창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온수 난방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팽창밸브 중 상기 온수 난방모드로 설정된 실내기에 대응하는 팽창밸브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온수배관은, 코일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목표 온도와, 상기 복수의 온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의 실내 온도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온수밸브의 개방 여부를 각각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삭제
- 실내기,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는 메인 덕트, 상기 메인 덕트와 연결되어 공기를 복수의 공간으로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서브 덕트, 온수를 공급하는 메인 온수배관, 상기 메인 온수배관과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 온수배관, 복수의 온수밸브 및 냉매가 팽창되도록 하는 팽창밸브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신호가 온수 난방모드의 실행에 대한 신호인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온수 난방모드의 실행에 대한 신호인 경우, 상기 실내기를 상기 온수 난방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온수배관 중 상기 메인 덕트에 대응하는 제1 서브 온수배관으로 온수가 흐르도록, 상기 복수의 온수밸브 중 상기 제1 서브 온수배관에 대응하는 제1 온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대한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온수밸브 중, 상기 제1 서브 온수배관을 제외한 나머지 서브 온수배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온수밸브의 개방 여부를 각각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팽창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실내기에 구비된 송풍기를 구동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온수 난방모드의 실행에 대한 신호인 경우, 상기 복수의 온수밸브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온수밸브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온수밸브 각각의 개방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온수 난방모드의 실행에 대한 신호인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실외기의 동작을 정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와 연결된 실내기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실내기 중 상기 온수 난방모드로 설정된 실내기에 대응하는 팽창밸브를 폐쇄하는 동작; 및
상기 실외기가 상기 복수의 실내기 모두로부터 동작 정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실외기의 동작을 정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온수밸브의 개방 여부를 각각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목표 온도와,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복수의 온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의 실내 온도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온수밸브의 개방 여부를 각각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4437A KR102149196B1 (ko) | 2018-12-18 | 2018-12-18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4437A KR102149196B1 (ko) | 2018-12-18 | 2018-12-18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5591A KR20200075591A (ko) | 2020-06-26 |
KR102149196B1 true KR102149196B1 (ko) | 2020-08-28 |
Family
ID=7113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4437A KR102149196B1 (ko) | 2018-12-18 | 2018-12-18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919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22980B2 (ja) * | 1988-01-29 | 1996-08-07 | 三洋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13608A (ja) * | 1993-04-28 | 1994-11-08 | Sanyo Electric Co Ltd | 空気調和システム |
JP2823497B2 (ja) * | 1993-11-12 | 1998-11-11 | 三洋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 |
KR20130093454A (ko) * | 2012-02-14 | 2013-08-22 | 백원남 | 열부하를 이용한 단위세대 환기시스템 |
-
2018
- 2018-12-18 KR KR1020180164437A patent/KR1021491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22980B2 (ja) * | 1988-01-29 | 1996-08-07 | 三洋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5591A (ko) | 2020-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04777B2 (ja) | 空気調和装置 | |
JP6821687B2 (ja) | 空気調和システム | |
KR102262245B1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0860035B1 (ko) |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EP4184070A1 (en) | Ventilation system, integrated air-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CN101532706B (zh) | 空调及其控制方法 | |
KR100608685B1 (ko) | 유니터리 공기조화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 |
JP6234569B2 (ja) | 空気調和システム | |
KR102001933B1 (ko) |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102149196B1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CN113574326B (zh) | 装置评价系统和装置评价方法 | |
JPH0432634A (ja) | 空気調和機 | |
JP6856154B2 (ja) | 空気調和システム | |
CN113692515B (zh) | 空调系统 | |
KR20120019279A (ko) | 칠러를 위한 디멘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90837A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US20220107109A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KR20220081254A (ko) | 환기 시스템, 통합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JP2018036008A (ja) | 空気調和機 | |
KR101271588B1 (ko) | 공기열 멀티 항온항습기 | |
KR20110101371A (ko) | 공기조화시스템 및 제어방법 | |
KR101622973B1 (ko) |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 |
JP6740491B1 (ja) | 室外機、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 |
KR20110046043A (ko) |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주소 설정 방법 | |
JP2023504890A (ja) | 空気調和機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