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666B1 - 표면실장기의 부품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표면실장기의 부품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666B1
KR102148666B1 KR1020180076267A KR20180076267A KR102148666B1 KR 102148666 B1 KR102148666 B1 KR 102148666B1 KR 1020180076267 A KR1020180076267 A KR 1020180076267A KR 20180076267 A KR20180076267 A KR 20180076267A KR 102148666 B1 KR102148666 B1 KR 102148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moving
adhesive film
moving par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3462A (ko
Inventor
이희영
Original Assignee
(주)이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산전자 filed Critical (주)이산전자
Priority to KR1020180076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6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3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실장기의 부품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점착필름 위에 놓여진 부품을 떼어서 기판 위에 올려놓는 과정에서 점착필름과 부품이 만나는 경계면을 밀어서 부품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후 파지하는 표면실장기의 부품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필름 위에 놓여진 부품을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공기의 흡입 압력으로 부품을 고정함으로써 부품의 이탈이나 훼손을 막을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에 부품을 이동시켜 실장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표면실장기의 부품 이송장치{A TRANSFER DEVICE FOR PARTS IN SMT}
본 발명은 표면실장기의 부품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점착필름 위에 놓여진 부품을 떼어서 기판 위에 올려놓는 과정에서 점착필름과 부품이 만나는 경계면을 밀어서 부품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후 파지하는 표면실장기의 부품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산업 분야에 있어서, 각종 제품 및 부품의 소형화, 간략화, 고성능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각종 전기, 전자 부품의 물성치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회로 기판상에 정밀하게 장착시키는 방법이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인쇄회로기판의 기판 재질로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아미드 필름 등이 주로 사용되는 바, 이는 이들 필름의 열적, 전기적, 기계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재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막을 접착시킨 다음, 스크린(screen)인쇄 또는 드라이 필름 포토레지스터(dry film photoresister)를 사용하여 회로를 그리고, 도전성 금속막을 에칭한 후, 절연 및 회로 보호를 위하여 커버레이 필름을 입힘으로서 인쇄회로기판을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상에 콘덴서, 저항 등을 경박 단소화 시킨 적층 세라믹 칩 콘덴서(MLCC), 칩 저항기(Chip Register), 칩 탄탈 콘덴서 등과 같이 자동화 설비에 의해 표면실장이 가능한 SMD(Surface Mounting Devices)부품과 수삽(lead) 부품이 장착되게 된다.
종래에는 인쇄회로기판에 솔더 페이스트(Solder Paste)(Pb)를 인쇄하는 단계와, SMD 타입의 부품을 장착하는 단계와, 그 장착상태를 검사(육안으로 검사)하는 단계와, 리플로우 솔더링(REFLOW SOLDERING) 장비를 이용하여 열을 가하며 솔더링하는 단계와, 회로의 도통시험(In Circuit Test)단계와, 사람 또는 검사장비를 이용하여 부품 장착상태를 검사하는 단계로 되어 있다.
그런데, 점착성이 있는 필름 위에 부품을 고정하여 연속적으로 투입하고, 필름으로부터 부품을 파지하여 이송장치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부품을 필름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종래장치에서는 공기 흡입장치를 사용하여 부품을 들어올리거나, 지그 등으로 부품을 파지하여 이동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필름으로부터 떨어지지 않아서 이물질이 묻거나 부품 이동이 되지 않아서 불량품 생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KR 10-2006-0038417 A KR 10-2014-0100162 A KR 10-2015-0016486 A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점착필름 위에 부착된 부품의 주변 영역을 핀으로 눌러서 점착필름과 부품의 접촉이 부분적으로 해제되도록 하고, 공기흡입관의 압력으로 부품을 파지하여 실장장치 위에 올려놓도록 하는 표면실장기의 부품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점착필름(202) 위에 놓여진 부품(204)을 공기 흡입력으로 떼어서 기판(206) 위에 올려놓는 이송장치로서, 일측 말단에 이동모터(104)가 구비되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레일(102)과; 상기 이동레일(102)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하는 수평이동부(106)와; 상기 수평이동부(106)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이동부(106)와 함께 이동하는 제1결합부재(108)와; 상기 제1결합부재(108)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하는 수직이동부(110)와; 상기 수직이동부(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이동부(110)와 함께 이동하는 흡입부고정브라켓(112)과; 상기 흡입부고정브라켓(112)에 고정되며, 상기 부품(204)의 윗면에 접촉하면서 공기의 흡입력으로 상기 부품(204)을 파지하는 흡입부(114)와; 상기 흡입부(114)의 상측 말단에 연결되어 공기의 흡입력을 상기 흡입부(114)에 전달하는 공기흡입관(116)과; 상기 제1결합부재(108)에 연결되는 제2결합부재(118)와; 상기 제2결합부재(118)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브라켓(120)과; 상기 회전브라켓(12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브라켓(120)과 함께 왕복 회전운동을 하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핀이동부(122)와; 상기 핀이동부(122)의 측면에 설치된 핀고정브라켓(124)에 의해 고정되는 핀(126);을 포함하며, 상기 핀이동부(122)가 상기 점착필름(20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핀(126)의 말단부는 상기 점착필름(202)의 표면을 눌러서 상기 부품(204)의 밑면과 상기 점착필름(202)의 표면의 점착면적의 일부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126)의 말단부는 원통형 또는 직사각형이며, 상기 말단부의 단면적은 몸체의 단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126)의 말단부는 상기 부품(204)의 가장자리에 닿지 않으면서 가장 가까운 상기 점착필름(202)의 표면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필름 위에 놓여진 부품을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공기의 흡입 압력으로 부품을 고정함으로써 부품의 이탈이나 훼손을 막을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에 부품을 이동시켜 실장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이송장치의 정면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수평이동부가 부품이 있는 위치까지 수평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핀이동부가 사선으로 내려오면서 점착필름을 누르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핀과 점착필름이 만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흡입부가 부품을 흡입력으로 파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흡입부가 부품과 만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9는 수직이동부와 핀이동부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수평이동부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수직이동부가 기판이 있는 위치까지 내려오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실장기의 부품 이송장치"(이하, '이송장치'라 함)를 설명한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이송장치의 정면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송장치(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필름(202) 위에 부착된 부품(204)을 흡입력으로 파지한 후 수직 및 수평 이동을 하여 정해진 자리에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이송장치(100)에는 수직 및 수평 이동수단과, 공기흡입수단과, 점착필름(202)을 누르는 압력수단 등이 구비된다.
첨부된 도면에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100)가 도시되는데, 전원공급수단이나 부품공급수단, 유공압수단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지만 부품(204)의 공급 기능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부분이 아니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출원서에서는 부품(204)과 점착필름(202)을 직접적으로 누르거나 파지하는 부분을 위주로 하여 설명한다.
이송장치(100)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레일(102)이 구비된다. 이동레일(102)의 일측 말단에는 이동모터(104)가 구비된다. 이동모터(104)는 이동수단이 이동레일(102)을 따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체인이나 벨트, 기어 등의 구동수단을 사용하여 이동수단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동레일(102)에는 수평이동부(106)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수평이동부(106)에는 제1결합부재(108)가 측면으로 연결되는데, 제1결합부재(108)에는 수직이동부(110)가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요약하면, 이동레일(102)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부(106)에 제1결합부재(108)가 결합되며, 제1결합부재(108)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이동부(110)가 결합되므로, 본 발명의 이송장치(100)는 핀(126)을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자유로운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제1결합부재(108)와 수직이동부(110)는 별도의 모터(도면 미도시)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동이 가능하다. 수직방향 이동을 구동하는 모터는 제1결합부재(108) 또는 수직이동부(110)의 어느 한 쪽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수직이동부(110)의 일측에는 흡입부고정브라켓(112)이 설치된다. 흡입부고정브라켓(112)은 수직이동부(110)를 따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부품(204)을 흡입력으로 파지하기 위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14)가 고정된다. 흡입부(114)의 상측 말단에는 공기흡입관(116)의 일측 말단이 연결되며, 공기흡입관(116)의 타측 말단은 외부에 설치된 공기흡입장치(도면 미도시)에 연결된다. 공기흡입장치의 흡입에 따라 발생하는 음압이 흡입부(114)의 말단에 전달되고, 공기의 음압에 의해 부품(204)이 흡입부(114)의 하측 말단에 밀착될 수 있다.
공기흡입관(116)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휘거나 꺾이지 않도록 연성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부(114)는 한 개일 수도 있지만, 동시에 여러 개의 부품(204) 이동 작업을 위해 두 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흡입부(114)가 복수인 경우에 공기흡입관(116)도 이와 대응되도록 복수로 설치된다. 각각의 공기흡입관(116)에는 독립적으로 공기의 흡입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결합부재(108)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결합부재(118)가 연결된다. 제2결합부재(118)는 비교적 길게 제작되어 흡입부(114)와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합부재(118)는 수직이동부(110)와는 독립된 상태로 설치되는데, 제2결합부재(118)는 제1결합부재(108)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2결합부재(118)는 수평으로 비교적 길게 연장 형성되어 말단부가 흡입부(114)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제2결합부재(118)의 말단부에는 회전브라켓(120)이 설치되는데, 회전브라켓(120)은 모터의 동작에 의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운동을 한다. 회전브라켓(120)이 제2결합부재(118)에 결합되는 면에는 원주의 일부와 동일한 형상의 가이드홈(120a)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20a)의 내부에는 제2결합부재(118)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부가 삽입되며, 가이드홈(120a)의 형상과 동일한 원주를 따라 회전브라켓(120)이 회전운동을 하도록 안내한다.
회전브라켓(120)에는 핀이동부(122)가 결합되는데, 회전브라켓(120)의 회전 상태에 따라 핀이동부(122)의 기울어짐 각도가 변화된다.
핀이동부(122)의 측면에는 핀고정브라켓(124)이 설치되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핀(126)이 고정된다. 핀고정브라켓(124)은 비교적 길쭉한 형상의 핀(126)을 고정시켜 흔들리거나 방향이 틀어지지 않도록 잡아준다.
핀이동부(122)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핀(126)이 고정되는데, 핀이동부(122)가 회전브라켓(12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핀이동부(122)의 이동에 따라 핀(126)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회전브라켓(120)과 핀(126)은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핀(126)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핀이동부(122)의 슬라이딩 이동방향도 나란하게 구성한다. 따라서 회전브라켓(1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핀(126)이 지면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가 되며, 핀이동부(122)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핀(126)은 지면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만큼 기울어진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핀(126)은 점착필름(202)의 표면을 눌러서 부품(204)의 일부분이 점착필름(202)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한다. 부품(204)이 잘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핀(126)의 끝부분은 단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26)의 몸체는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원통형이거나 직사각형일 수 있으며, 점착필름(202)과 접촉하는 말단부는 상대적으로 더 뾰족하거나 납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의 몸체의 말단부를 가운데 길이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하여 단면의 모양이 반원형인 팁을 만들어서 핀(126)으로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단면의 모양이 반원형이거나 장방형이어서 납작한 평판으로 점착필름(202)의 표면을 누르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이송장치(100)을 이용하여 부품(204)을 점착필름(202)으로부터 분리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도 4는 수평이동부가 부품이 있는 위치까지 수평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핀이동부가 사선으로 내려오면서 점착필름을 누르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핀과 점착필름이 만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흡입부가 부품을 흡입력으로 파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흡입부가 부품과 만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9는 수직이동부와 핀이동부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수평이동부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수직이동부가 기판이 있는 위치까지 내려오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부(106)가 이동레일(102)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여 흡입부(114)가 이송 대상이 되는 부품(204)의 위쪽에 오도록 한다. 부품(204)은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필름(202)의 표면에 붙은 상태로 공급되는데, 컨베이어나 이송가이드 등에 의해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바람직하게는 흡입부(114) 말단의 노즐이 부품(204)의 가운데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복수의 흡입부(114)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점착필름(202)에도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부품(204)이 놓여진다. 이때에도 각각의 흡입부(114) 말단부 노즐이 각각의 부품(204)의 가운데에 오도록 위치를 설정한다.
수평이동부(106)의 위치는 제어부가 이동모터(104)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조절하며, 부품(204)의 위치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와 위치확인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수평이동부(106)의 이동에 따라 제2결합부재(118)와 핀이동부(122)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브라켓(120)이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한 후에 핀이동부(122)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핀(126)의 끝부분이 점착필름(202)의 표면에 닿게 된다. 핀(126)의 끝부분은 부품(204)의 가장자리에 닿지 않으면서 가장 가까운 곳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126)의 압력에 의해 점착필름(202)이 아래쪽으로 절곡되는데, 부품(204)은 비교적 단단한 재질이기 때문에 점착필름(202)과 함께 절곡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204)의 가장자리 부분의 밑면은 점착필름(202)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약간의 틈이 생긴다. 이로써 부품(204)을 점착필름(202)으로부터 떼어낼 준비가 이루어진다.
비교적 납작한 형태의 부품(204)의 밑면 전체가 점착필름(202)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수직방향 위쪽으로 부품(204)을 당겼을 때, 부드럽게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그러나 부품(204)과 점착필름(202)의 접착면의 일부가 떨어진 상태에서 위쪽으로 부품(204)을 당기면, 떨어져있는 부분부터 분리가 일어나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부품(204)이 분리된다.
다음으로 도 7과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이동부(110)를 아래로 내리면서 흡입부(114)가 함께 내려가도록 한다. 흡입부(114)는 끝부분의 노즐이 부품(204)의 표면에 닿을 때까지 내려가면서 부품(204)에 밀착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관(116)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부품(204)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수직이동부(110)를 위쪽으로 다시 올린다. 이에 따라 흡입부(114)의 끝부분에 밀착된 부품(204)이 함께 위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흡입부(114)의 이동과 함께 핀이동부(122)도 원래의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점착필름(202)과의 접촉을 해제한다. 점착필름(202)은 압력이 해제되면서 절곡된 부분이 원래의 상태로 펴지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부(106)는 부품(204)을 안착시킬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도 공기흡입관(116)을 통해서는 공기의 흡입이 계속해서 이루어지면서 부품(204)이 흡입부(114)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부(106)와 수직이동부(110)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움직여서 부품(204)을 기판(206) 위의 삽입홈(208)에 올려놓는다. 부품(204)을 안착시킬 삽입홈(208)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정밀 서보모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외에도 영상을 통해 위치를 확인하는 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
부품(204)을 삽입홈(208)에 올려놓으면 다음 공정을 통해 부품(204)의 고정 또는 다른 포장재에 삽입 등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부품(204)을 삽입홈(208)에 올려놓으면서 공기흡입관(116)의 흡입 동작은 종료하는데, 이로 인해 부품(204)이 흡입부(114)의 끝부분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수평이동부(106)와 수직이동부(110)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 후, 다음 동일한 작업을 위해 초기 위치로 이동하면서 한 주기의 동작이 마무리된다.
한편, 도 12는 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핀(126)은 단면이 정사각형 또는 원형인 몸체(126a)의 말단부(126b)를 중심축과 평행한 면을 따라 절개한 것으로서, 부품(204)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점착필름(202)을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해 말단부(126b)의 밑면에 테이퍼를 형성한다.
핀(126)의 형상은 도 12에 도시된 형상과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몸체(126a)의 단면의 모양이 타원형이거나 다른 모양의 다각형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이송장치(100)는 공기의 흡입력으로 부품(204)을 파지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이송장치 102 : 이동레일
104 : 이동모터 106 : 수평이동부
108 : 제1결합부재 110 : 수직이동부
112 : 흡입부고정브라켓 114 : 흡입부
116 : 공기흡입관 118 : 제2결합부재
120 : 회전브라켓 122 : 핀이동부
124 : 핀고정브라켓 126 : 핀
202 : 점착필름 204 : 부품
206 : 기판 208 : 삽입홈

Claims (3)

  1. 점착필름(202) 위에 놓여진 부품(204)을 공기 흡입력으로 떼어서 기판(206) 위에 올려놓는 이송장치로서,
    일측 말단에 이동모터(104)가 구비되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레일(102)과;
    상기 이동레일(102)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하는 수평이동부(106)와;
    상기 수평이동부(106)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이동부(106)와 함께 이동하는 제1결합부재(108)와;
    상기 제1결합부재(108)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하는 수직이동부(110)와;
    상기 수직이동부(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이동부(110)와 함께 이동하는 흡입부고정브라켓(112)과;
    상기 흡입부고정브라켓(112)에 고정되며, 상기 부품(204)의 윗면에 접촉하면서 공기의 흡입력으로 상기 부품(204)을 파지하는 흡입부(114)와;
    상기 흡입부(114)의 상측 말단에 연결되어 공기의 흡입력을 상기 흡입부(114)에 전달하는 공기흡입관(116)과;
    상기 제1결합부재(108)에 연결되는 제2결합부재(118)와;
    상기 제2결합부재(118)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브라켓(120)과;
    상기 회전브라켓(12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브라켓(120)과 함께 왕복 회전운동을 하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핀이동부(122)와;
    상기 핀이동부(122)의 측면에 설치된 핀고정브라켓(124)에 의해 고정되며, 말단부는 원통형 또는 직사각형이며, 상기 말단부의 단면적은 몸체의 단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핀(126);을 포함하며,
    상기 핀(126)의 원통형 또는 직사각형의 말단부는 가운데 길이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하여 단면의 모양이 반원형이거나 장방형의 평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핀이동부(122)가 상기 점착필름(20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핀(126)의 말단부는 상기 점착필름(202)의 표면을 눌러서 상기 부품(204)의 밑면과 상기 점착필름(202)의 표면의 점착면적의 일부를 이격시키며,
    상기 핀(126)의 말단부는 상기 부품(204)의 가장자리에 닿지 않으면서 가장 가까운 상기 점착필름(202)의 표면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부품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76267A 2018-07-02 2018-07-02 표면실장기의 부품 이송장치 KR102148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267A KR102148666B1 (ko) 2018-07-02 2018-07-02 표면실장기의 부품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267A KR102148666B1 (ko) 2018-07-02 2018-07-02 표면실장기의 부품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462A KR20200003462A (ko) 2020-01-10
KR102148666B1 true KR102148666B1 (ko) 2020-08-28

Family

ID=6915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267A KR102148666B1 (ko) 2018-07-02 2018-07-02 표면실장기의 부품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6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9150A (ja) * 2005-05-13 2006-11-24 Nec Corp 半導体チップの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半導体チップのピックアップ方法
JP2016219573A (ja) * 2015-05-19 2016-12-22 富士通株式会社 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9253A (ja) * 1990-11-14 1992-06-25 Toshiba Corp 半導体チップ吸着装置
KR20060038417A (ko) 2006-03-23 2006-05-03 (주) 래트론 표면실장형 압전부품 및 그 제조방법
JP6024200B2 (ja) 2012-05-18 2016-11-09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表面実装基板への電子部品実装方法
KR20140100162A (ko) 2013-02-05 2014-08-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검사장치를 구비하는 표면실장형 부품 캐리어 테이프 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9150A (ja) * 2005-05-13 2006-11-24 Nec Corp 半導体チップの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半導体チップのピックアップ方法
JP2016219573A (ja) * 2015-05-19 2016-12-22 富士通株式会社 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462A (ko)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5107A (en) Component lo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urface-mount printed circuit boards
US20040060666A1 (en) Electronic component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JP6010771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部品実装ライン
JP5302773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US20150097024A1 (en) Electrode forming device, electrode forming system and electrode forming method
KR102019298B1 (ko) 전사 방법 및 실장 방법
JP6796363B2 (ja) 部品実装機
JP3981259B2 (ja) 基板用支持治具
KR100853319B1 (ko) 표면 실장 장치의 다수의 인쇄회로기판 정렬 장치
KR102148666B1 (ko) 표면실장기의 부품 이송장치
JP4873093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H07214748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2019209405A (ja) フレキシブル回路接続方法、電子機器の生産方法、フレキシブル回路の移動装置
JP2002326177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6101934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部品実装ライン
JP2005123636A (ja) 基板用支持治具、並びに回路基板製造装置及び方法
WO2015029210A1 (ja) 部品実装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部品実装装置用プログラム
JP3191800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3303837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US20240064896A1 (en) Pcb pad for smt process
JP4962606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2881743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及び電子部品の実装方法、認識装置及び認識方法
JP3232820B2 (ja) アウターリードボンディング方法
JP2001119133A (ja) ソルダペースト印刷装置、ソルダペースト印刷方法、配線基板及び電気機器の製造方法
JPH07183695A (ja) コネクタの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