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455B1 -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 - Google Patents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455B1
KR102148455B1 KR1020180062038A KR20180062038A KR102148455B1 KR 102148455 B1 KR102148455 B1 KR 102148455B1 KR 1020180062038 A KR1020180062038 A KR 1020180062038A KR 20180062038 A KR20180062038 A KR 20180062038A KR 102148455 B1 KR102148455 B1 KR 102148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outlet
sealing
pipe devic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388A (ko
Inventor
정현호
정해창
Original Assignee
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2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45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2Public or like main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4Domestic or like local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8Joints tightened by eccentrics or rotatable c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 제1실링부재를 외부로 돌출시켜 구비하되, 배출구에 호스를 연결할 때 제1실링부재를 연결구의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구비하여 송수관장치에서 물이 호스 쪽으로 배출될 때 물의 압력으로 제1실링부재를 연결구의 내주면에 밀착시켜서 배출구와 연결구 사이를 실링하고 상기 배출구의 외주부와 연결구의 내주 사이에 베어링을 구비하여 연결구를 배출구의 외주부에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송수관장치의 주변 사방으로 물을 공급할 때 호스가 꼬이는 것과 호스가 송수관장치의 바디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물을 멀리까지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 {A water pipe device having a flow path structure}
본 발명은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수관장치에 대해 호스를 회전시켜서 사방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송수관장치에 호스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수관장치는 지하수로나 상수도에 연결되어 지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지상으로 일부 노출된 상태로 지하에 매설된 장치이다. 이러한 송수관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건물의 옥외나 보도의 지상에 설치되는 소화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송수관장치는 소화전 외에도 공원이나 놀이터 등과 같이 넓은 장소에 구비하고 호스를 연결한 후에 사용자가 공원이나 놀이터의 식물이나 잔디 등으로 물을 쉽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송수관장치는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나 지하수로에 연결되고 지상에 일정높이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내부에 물이 흐르는 수로를 구비하는 바디와, 바디의 수로를 개폐하는 밸브와, 밸브에 연결되고 바디를 관통하여 바디의 외측에 설치되는 조작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의 상부에는 물이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마련된다. 배출구는 물을 배출하는 것으로, 물이 곧바로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물을 먼 거리까지 공급할 수 없어 별도의 호스를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즉, 배출구에 호스의 일단부에 마련된 연결구를 결합하여 분리하지 않도록 임시 고정한 후에 호스의 타단부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물을 멀리까지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송수관장치의 배출구에 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배출구의 외주에 연결구를 끼워 완전히 고정 즉, 배출구에 대해 연결구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배출구에 대해 호스의 연결구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송수관장치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돌아다니면서 호스로 물을 공급할 때 호스가 송수관장치의 바디를 감아 호스의 길이가 짧아져 멀리까지 물을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4-0004509(2014.07.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송수관장치의 배출구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면서 배출구와 호스가 연결된 부분에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수관장치의 바디 단부에 마련된 배출구에 호스의 단부에 구비한 연결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로서,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 제1실링부재를 외부로 돌출시켜 구비하되, 배출구에 호스를 연결할 때 제1실링부재를 연결구의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구비하여 송수관장치에서 물이 호스 쪽으로 배출될 때 물의 압력으로 제1실링부재를 연결구의 내주면에 밀착시켜서 배출구와 연결구 사이를 실링하고 상기 배출구의 외주부와 연결구의 내주 사이에 베어링을 구비하여 연결구를 배출구의 외주부에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실링부재는 원통형으로 배출구의 내주면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연장시켜 형성하고, 고정부에서 단부 쪽으로 내경을 작아지도록 형성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실링부에는, 물의 배출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접힘부를 형성하여 배출구에서 물이 배출될 때 상기 접힘부가 펼쳐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링돌기가 연결부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내주에는 상기 실링돌기가 끼워져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링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구의 단부에 배출구에 끼워지도록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단턱부를 가지는 끼움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에는 배출구의 단부에 밀착되어 단턱부와 배출구 단부 사이를 실링하는 제2실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홈부의 내주면에는 배출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실링을 위한 제3실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의 외주에 결합되는 연결구를 배출구에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시키되, 배출구에서 연결구를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록킹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록킹유닛은, 양단부를 관통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구의 외측에 끼워져 유동되도록 결합되며, 배출구에 록킹되면서 연결구가 배출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구 고정부재와, 배출구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록킹홈과, 연결구 고정부재의 외주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록킹홈에 끼워져 연결구 고정부재를 록킹시키는 록킹레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록킹레버는, 연결구 고정부재의 외주부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에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록킹레버를 회전시킬 때 록킹홈에 꽉 끼워져서 연결구 고정부재를 배출구에 유동하지 않게 고정하는 록킹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수관장치의 바디 상단에 마련된 배출구에 호스의 연결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되, 배출구와 연결구 사이에 실링을 이룸으로써, 송수관장치의 주변 사방으로 물을 공급할 때 호스가 꼬이는 것과 호스가 송수관장치의 바디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물을 멀리까지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도 1의 송수관 장치에서 제1실링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와 도 2c는 도 2a의 제1실링부재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도 1의 A부 상세도,
도 4는 도 1의 송수관장치의 제2실링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B부 상세도.
도 6은 도 1의 C부 상세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관장치에 호스를 연결하기 전과 연결 후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송수관 장치에서 제1실링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와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송수관 장치의 제2실링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B부 상세도이며, 도 6은 도 1의 C부 상세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수관장치에 호스를 연결하기 전과 연결 후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수관장치(50)는, 일부가 지면 위로 일정높이 노출되면서 나머지 일부가 지하에 매설된다. 이 송수관장치(50)는 지하에 매설된 부분이 지하수로나 상수도에 연결된다. 이로써, 송수관장치(50)는 지하수로나 상수도로부터 물을 지상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송수관장치(50)는 파이프 형상의 바디(52)와, 바디(52) 내에 설치되는 밸브(미도시)와, 바디(52)를 관통하여 밸브에 연결되는 작동핸들(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52)는 파이프 형상의 부재가 수직으로 세워져서 지상으로 일정높이로 돌출되고, 지하로 일정 깊이로 매설되어 지하수로나 상수도에 연결된다. 바디(52)는 내측에 지하수나 상수도의 물이 흐르는 수로를 구비한다. 지상으로 노출되는 바디(52)의 상단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00)를 구비한다. 바디(52)는 내측에 수로를 막거나 개방하기 위한 밸브(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52)는 외주부에 사용자가 조작하여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핸들(54)을 구비할 수 있다. 작동핸들(54)은 바디(52)를 관통하여 밸브에 연결되어 밸브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밸브와 작동핸들(54)은 이미 공개된 공지된 기술로서 그의 구조 및 작동관계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송수관장치(50)는 배출구(100)에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별도의 호스(60)를 연결하여 지상으로 물을 공급한다. 배출구(100)에 호스(60)를 연결할 때에는 배출구(100)에서 호스(60)가 이탈되지 않고 단단히 연결하기 위하여 경질로 형성된 연결구(200)를 사용한다. 이 연결구(200)는 배출구(100)에 연결되는 호스(60)의 단부에 완전히 고정한 상태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관장치는 배출구(100)에 호스(60)를 연결하여 송수관장치(50)로부터 사방으로 이동하면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호스(60)의 연결구(200)가 배출구(100)에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장치는, 배출구(100)의 내주면에 제1실링부재(110)를 고정하되 일부를 외부로 돌출시켜 구비한다. 이후에, 호스(60)의 연결구(200)를 배출구(100)에 연결하면, 제1실링부재(110)의 일부가 연결구(200)의 내측으로 끼워진다. 이로써, 상기 송수관장치는 물이 배출구에서 호스로 배출될 때, 연결구(200)의 내측에 끼워진 제1실링부재(110)의 일부가 연결구(200)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배출구(100)와 연결구(200) 사이를 실링하게 된다.
배출구(100)는 그 외주면에 다수의 볼로 이루어진 베어링(120)을 구비한다. 베어링(120)은 배출구(100)의 외주면에 결합된 연결구(200)가 회전될 때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구(200)의 내주면에는 베어링(120)에 대응하는 가이드홈(201)이 형성되어 연결구(200)가 회전할 때 상하로 유동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연결구(200)를 배출구(100)의 외주면에 결합하면 배출구(100)의 베어링(120)은 연결구(200)의 가이드홈(201)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연결구(200)는 배출구(100)의 외주면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베어링(120)은 배출구(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홈부(101)에 끼워지는 다수의 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볼은 배출구(100)의 외주면에 결합브래킷(미도시)으로 결합됨으로써 홈부(10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다수의 볼과 홈부(101) 사이에는 탄성체(121)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체(121)는 연결구(200)가 배출구(100)의 외주에 끼워질 때 다수의 볼이 홈부(101)의 내측으로 들어간 후에 가이드홈(101)에 위치된 후에 다수의 볼을 밀어 내어 가이드홈(101)에 걸리도록 한다.
제1실링부재(110)는 도 2a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배출구(10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11)와, 고정부(111)에서 연장 형성되고 배출구(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되 연결구(200)의 내측에 끼워지고, 물의 배출시 연결구(20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실링부(11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실링부(112)는 물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내경이 작아지도록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실링부(112)는 연결구(200)를 향하는 개구된 부분의 내경을 배출구(100) 쪽의 개구된 부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한다.
실링부(112)에는 물의 배출 방향으로 접힌 적어도 2개 이상의 접힘부(113)를 구비한다. 이로써, 배출구(100)에서 연결구(200) 쪽으로 물이 배출될 때, 실링부(112)의 연결구(200) 쪽 개구된 부분이 벌어져 실링부(112)의 외주면이 연결구(200)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배출구(100)와 연결구(200) 사이를 실링한다.
이때, 접힘부(113)는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서 연결구(200)의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접힘부(113)는 평단면을 살펴볼 때 대략 삼각 형상, 반원 형상, 11자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실링부재(110)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링돌기(112a)가 연결구(200)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연결구(200)의 내주면에는 실링돌기(112a)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링홈(210)을 원주 방향으로 형성한다. 즉, 제1실링부재(110)의 실링돌기(112a)가 연결구(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실링홈(21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출구(100)와 연결구(200) 사이의 실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링돌기(112a)는 실링부(112)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되, 외주면에 대해 직각을 이룬다. 실링홈(210)은 경사지도록 형성하되, 입구가 배출구(100) 쪽을 향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실링홈(210)을 경사로 형성함으로써, 물이 배출될 때 실링부(112)의 개구부가 확장되어 실링부(112)의 실링돌기(112a)가 실링홈(210)의 내주면에 신속하게 접촉됨으로써 실링을 신속하게 이루도록 한다. 즉, 실링부(112)의 외주면이 연결구(200)의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되기 전에 실링돌기(112a)를 실링홈(210)의 내벽에 밀착시켜서 실링을 수행함으로써, 배출구(100)와 연결구(200) 사이의 실링을 더욱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연결구(200)는 내측 단부에 배출구(100)가 끼워질 때 연결구(200)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이상으로 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출구(100)의 단부가 걸리는 단턱부(203)를 구비한다. 이 단턱부(203)는 연결구(200)의 끝에서 일정 깊이에 형성하되, 연결구(200)의 내측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는 끼움홈부(202)에 의해 형성된다.
연결구(200)의 내측에 끼움홈부(202)가 형성됨에 따라 연결구(200)의 외주부에는 걸림턱부(206)를 구비하게 된다.
연결구(200)의 단턱부(203)에는 배출구(100)의 단부에 밀착되어 단턱부(203)와 배출구(100)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제2실링부재(220)를 구비한다.
제2실링부재(220)는 단턱부(203)에 형성된 결합홈(204)에 끼워져 고정된다. 제2실링부재(220)의 두께는 결합홈(204)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구(200)가 배출구(100)의 단부에 끼워졌을 때 결합홈(204)에 고정된 제2실링부재(220)가 배출구(100)의 단부에 밀착되면서 배출구(100)와 연결구(200) 사이의 실링을 수행한다.
제2실링부재(220)는 링형상으로 형성하되, 단면을 'ㄷ'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 제2실링부재(220)는 도면에서 상부와 하부를 날개부(221)라 할 때, 상부의 날개부(221)는 결합홈(204)의 바닥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이루고, 하부의 날개부(221)는 결합홈(204)의 위쪽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어 배출구(100)의 단부에 밀착된 상태를 이룬다.
제2실링부재(220)의 하부 날개부(221)는 도 1에서 배출구(100) 쪽으로 하향되는 경사로 형성함으로써 하부 날개부(221)의 끝이 배출구(100)의 단부에 먼저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실링부재(220)의 하부 날개부(221)는 상부 날개부(221)보다 얇게 형성함으로써, 결합홈(204)에 고정되는 상부 날개부(221)는 변형되지 않고, 하부 날개부(221)는 쉽게 변형되면서 배출구(100)에 단부에 완전히 밀착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연결구(200)의 끼움홈부(202) 내주면에는 배출구(10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실링을 위한 제3실링부재(230)를 구비한다.
제3실링부재(230)는 그 단면이 대략 'X'형상으로 4개의 둥근 돌출부가 형성된 쿼드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는 배출구(100)에 끼워진 연결구(200)를 배출구(100)에 록킹시키되 연결구(200)를 배출구(1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록킹유닛(300)을 더 포함한다.
록킹유닛(300)은 연결구(200)의 외주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출구(100)에 록킹되는 연결구 고정부재(310)와, 배출구(100)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하는 록킹홈(320)과, 연결구 고정부재(310)의 외주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록킹홈(320)에 대해 연결구 고정부재(310)를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레버(3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연결구 고정부재(310)는 양단부를 관통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하고, 연결구(200)의 외주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연결구 고정부재(310)는 연결구(200)의 외주부에 끼워져 결합되되 연결구(200)의 걸림턱부(206)에 걸리도록 구성하여 연결구(2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구 고정부재(310)와 연결구(200)의 걸림턱부(206) 사이 및 연결구 고정부재(310)의 내측면과 연결구(200)의 외주면 사이에 베어링을 각각 마련하여 연결구 고정부재(310)의 내측에서 연결구(200)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연결구 고정부재(310)와 연결구(200)의 걸림턱부(206) 사이에는 트러스트 롤러 베어링을 구비하고, 연결구 고정부재(310)의 내측면과 연결구(200) 외주면 사이에는 레이디얼 볼베어링을 마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연결구 고정부재(310)는 연결구(200)에 결합하기 위해서 상부 고정부재와 하부 고정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부 고정부재는 캡 형상으로 하부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연결구(200)의 외주에 끼워진다. 상부 고정부재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플랜지가 절곡 형성된다.
하부 고정부재는 상하부가 관통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고정부재는 상부가 연결구(200)의 외주에 끼워지고 상부 고정부재의 하부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단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하부 고정부재의 하부는 배출구(100)의 외주에 밀착된 상태로 끼워져 후술하는 록킹레버(300)에 의해 배출구(100)의 외주에 고정된다. 즉, 하부 고정부재는 연결구(200)의 외주에 끼워지는 상부의 내경이 배출구(100)의 외주에 끼워지는 하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연결구 고정부재(310)는 상부 고정부재를 연결구(200)에 끼워 결합 한 후에 하부 고정부재로 연결구(200)의 단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부 고정부재의 플랜지와 하부 고정부재의 플랜지를 서로 맞대어 놓는다. 이후에, 서로 맞대어진 플랜지들을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함으로써, 연결구 고정부재(310)를 연결구(200)에 고정하게 된다.
록킹홈(320)은 배출구(100)의 외주면에 형성하되, 배출구(100)에 끼워진 연결구(200)의 단부에서 일정거리 이격시켜서 형성한다.
록킹레버(330)는 연결구(200)의 외주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의해 록킹홈(320)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연결구 고정부재(310)를 배출구(100)에 록킹시키거나 록킹을 해제한다.
록킹레버(330)는 연결구 고정부재(310)의 외주부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331)를 구비한다. 이 록킹레버(330)의 힌지부(331)에는 힌지부(331)를 중심으로 록킹레버(330)를 회전시킬 때 록킹홈(320)에 꽉 끼워져서 연결구 고정부재(310)를 배출구(100)에 유동하지 않게 고정하는 록킹돌기(332)를 구비한다. 록킹돌기(332)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한다.
먼저, 도 6에서와 같이, 록킹레버(330)가 배출구(100)의 외주면에 대해 직교되는 상태에 있을 때 록킹레버(330)의 힌지부(331)의 중심에서 배출구(100)의 록킹홈(320)의 바닥까지의 거리를 L이라 하고, 상기 L 하고 직교되는 부분의 록킹돌기(332)의 반경을 R이라 할 때, R > L 을 만족하도록 구성한다.
즉, 록킹레버(330)의 힌지부(331) 중심에서 배출구(100)를 향해 수평선을 그을 때 힌지부(331) 중심에서 배출구(100) 바닥까지의 거리를 L 이라 하고, 힌지부(331)의 중심에서 상기 수평선에 대해 하측으로 직각을 이루는 선에서 록킹돌기(332)의 반경 R은 록킹돌기(332)의 반경 중 제일 큰 반경으로 형성할 수 있다.
록킹레버(330)는 연결구 고정부재(310)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비하되, 2개로 구성할 경우에 180도 간격으로 배치하여 구성한다.
록킹유닛(300)은 배출구(100)에 대해 연결구 고정부재(31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록킹레버(330)를 바디(52)와 같이 지면에 대해 수직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킨 후에 배출구(100)의 외주부에 임시 고정하는 고정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수단은 배출구(100)의 외주부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록킹레버(330)의 단부에 힌지 고정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돌기의 외주부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고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장치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송수관장치(5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호스(60)의 연결구(200)를 송수관장치의 바디(52)에 구비되는 배출구(100)에 연결하여야 한다. 그리고 연결구(200)의 단부에는 록킹유닛(300)이 결합된 상태에 있어야 한다. 즉, 송수관장치(50)와 호스(60)를 사용하기 전에 호스(60)의 연결구(200)에 록킹유닛(300)을 결합해야 한다.
이후에, 록킹유닛(300)이 결합된 연결구(200)를 바디(52)의 배출구(100)의 외주에 끼운다. 이때, 배출구(200)의 베어링(120)이 연결구(200)의 가이드홈(201)에 딸깍하고 걸린 상태가 될 때까지 연결구(200)를 배출구(100)에 끼운다.
그러면, 배출구(100)에 결합되어 있는 제1실링부재(110)는 연결구(200)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가 되고, 연결구(200)의 단턱부(203)에 마련된 제2실링부재(220)는 배출구(100)의 단부에 완전히 밀착된다. 이와 동시에 연결구(200)의 내주면에 마련된 제3실링부재(230)는 배출구(20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후에, 연결구 고정부재(310)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록킹레버(330)를 작동시켜 연결구(200)를 배출구(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연결구(200)의 고정작업을 완료한다.
50: 송수관장치
52: 바디 54: 작동핸들
100: 배출구
101: 홈부
110: 제1실링부재
111: 고정부 112: 실링부
112a: 실링돌기 113: 접힘부
120: 베어링 121: 탄성체
200: 연결구
201: 가이드홈 202: 끼움홈부
203: 단턱부 204: 결합홈
206: 걸림턱부
210: 실링홈
220: 제2실링부재 221: 날개부
221a: 상측 날개부 221b: 하측 날개부
230: 제3실링부재
300: 록킹유닛
310: 연결구 고정부재 311: 볼부재
320: 록킹홈 330: 록킹레버
331: 힌지부 332: 록킹돌기

Claims (8)

  1. 송수관장치의 바디 단부에 마련된 배출구에 호스의 단부에 마련된 연결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로서,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 제1실링부재를 외부로 돌출시켜 구비하되, 배출구에 호스를 연결할 때 제1실링부재를 연결구의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구비하되,
    물이 송수관장치에서 호스 쪽으로 배출될 때 물의 압력으로 제1실링부재를 연결구의 내주면에 밀착시켜서 배출구와 연결구 사이를 실링하고,
    상기 배출구의 외주부와 연결구의 내주 사이에 베어링을 구비하여 연결구를 배출구의 외주부에서 회전하도록 구성하되;
    제1실링부재는,
    원통형으로 배출구의 내주면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연장시켜 형성하고, 고정부에서 단부 쪽으로 내경을 작아지도록 형성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실링부에는, 물의 배출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접힘부를 형성하여 배출구에서 물이 배출될 때 상기 접힘부가 펼쳐지도록 구성하고;
    실링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링돌기가 연결구의 내주면을 향해 직각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의 내주에는 상기 실링돌기가 끼워져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링홈이 입구가 배출구 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연결구의 단부에 배출구에 끼워지도록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단턱부를 가지는 끼움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에는 배출구의 단부에 밀착되어 단턱부와 배출구 단부 사이를 실링하는 제2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부의 내주면에는 배출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실링을 위한 제3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배출구의 외주에 결합되는 연결구를 배출구에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시키되, 배출구에서 연결구를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록킹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록킹유닛은,
    양단부를 관통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구의 외측에 끼워져 유동되도록 결합되며, 배출구에 록킹되면서 연결구가 배출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구 고정부재;
    배출구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록킹홈;
    연결구 고정부재의 외주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록킹홈에 끼워져 연결구 고정부재를 록킹시키는 록킹레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록킹레버는,
    연결구 고정부재의 외주부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에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록킹레버를 회전시킬 때 록킹홈에 꽉 끼워져서 연결구 고정부재를 배출구에 유동하지 않게 고정하는 록킹돌기를 구비하는,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
KR1020180062038A 2018-05-30 2018-05-30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 KR102148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038A KR102148455B1 (ko) 2018-05-30 2018-05-30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038A KR102148455B1 (ko) 2018-05-30 2018-05-30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388A KR20190136388A (ko) 2019-12-10
KR102148455B1 true KR102148455B1 (ko) 2020-08-26

Family

ID=6900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038A KR102148455B1 (ko) 2018-05-30 2018-05-30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4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129B1 (ko) * 2021-07-21 2022-08-16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배관 연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383B1 (ko) * 2009-06-18 2010-02-26 주식회사 유명 합성수지관의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855Y1 (ko) * 1992-04-07 1994-08-26 김홍선 꼬임 방지용 호스 연결구
KR101192921B1 (ko) * 2010-04-19 2012-10-18 주식회사 케이씨씨 노즐 커플링
KR20140004509U (ko) 2014-06-03 2014-07-30 서한호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383B1 (ko) * 2009-06-18 2010-02-26 주식회사 유명 합성수지관의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388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502961A (ja) 既存の引込み管を交換用引込み管に交換するための方法及び既存の流体運搬用管を交換用管に交換するのに使用するシール
US10857066B2 (en) Water spraying device for above ground pool
US20130032746A1 (en) Gasket structure for floor drain valves
KR102148455B1 (ko) 유로 회전구조를 갖는 송수관 장치
US5862625A (en) Expandable-portable trellis systems with hydro application
KR20070013180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1509645B1 (ko) 수전 연결기구 및 이를 갖는 수전 연결기구 어셈블리
US20060049273A1 (en) Flush cap with shut-off for sprinker head
CN209538299U (zh) 一种具有阻流结构的消防栓
JP6259614B2 (ja) 建物用排水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管継手
KR100917952B1 (ko) 이종 관경을 가지는 관을 접속하는 편심 연결구
KR100912107B1 (ko) 다기능 제수밸브
JPH11248070A (ja) 排水管継手
KR200304839Y1 (ko) 관붙이 앵글밸브
KR100735064B1 (ko) 물돌리기용 지수장치
KR100698889B1 (ko) 상수도 맨홀 누수방지 시설
KR101729735B1 (ko) 차집관거 물돌리기 공법용 수위상승장치
CN205314183U (zh) 防臭弯头
KR100972144B1 (ko) 회전식 소화전
KR0120950Y1 (ko) 수도관 동파방지용 배수밸브
KR102154428B1 (ko)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CN102588628A (zh) 一种阀芯组件及采用该阀芯组件的阀门
US20210079678A1 (en) Pool Safety Device
KR200438490Y1 (ko) 세면기 배수 밸브 장치
KR101894015B1 (ko) 지하수 관정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