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211B1 -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211B1
KR102148211B1 KR1020190061611A KR20190061611A KR102148211B1 KR 102148211 B1 KR102148211 B1 KR 102148211B1 KR 1020190061611 A KR1020190061611 A KR 1020190061611A KR 20190061611 A KR20190061611 A KR 20190061611A KR 102148211 B1 KR102148211 B1 KR 102148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ent
packaging case
side portion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7133A (ko
Inventor
황기찬
Original Assignee
황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찬 filed Critical 황기찬
Priority to KR1020190061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2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7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 B65D5/3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 B65D5/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combined with a slot provided in an adjacent side wall
    • B65D5/3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combined with a slot provided in an adjacent side wall the tongue being folded over after being intoduced in the sl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케이스는, 절개 및 절곡되어 제품을 포장하는 케이스를 형성하는 포장용 케이스에 있어서, 일부에 제1홈이 형성되는 제1측면부, 상기 제1측면부와 마주보며, 일부에 제2홈이 형성되는 제2측면부, 일부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날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부재는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3측면부 및 일부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날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날개부재는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제3측면부와 마주보는 제4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Packaging case}
본 발명은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날개부재가 형성되어 별도의 접착제 없이 포장용 케이스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패키징(packaging)할 수 있는 포장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 및 상품을 판매 유통하는 과정에서 상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이재 또는 플라스틱재 상자를 이용하여 상품을 포장한다.
이때, 종래의 경우 포장용 상자는 판재를 일정형태로 절첩선이 형성되어, 상자를 절첩하여 이용하도록 제작되어, 사용자가 재단된 판재를 절첩하여 상자를 만든 뒤, 내부에 상품을 위치시키고,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상자를 차폐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접착방식은, 일측이 접착된 상태로, 절첩선을 따라 절첩하여 박스를 조립하여, 상단부를 차폐하기 위하여 접착테이프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끼움방식은 상자의 개방면을 끼움방식을 이용하여 차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반복적인 개방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박스의 적치 방향에 따라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서 박스의 개방면이 개방되도록 하는 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차폐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9153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없이 내용물을 패키징 할 수 있는 포장용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외력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포장용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장용 케이스는, 절개 및 절곡되어 제품을 포장하는 케이스를 형성하는 포장용 케이스에 있어서, 일부에 제1홈이 형성되는 제1측면부, 상기 제1측면부와 마주보며, 일부에 제2홈이 형성되는 제2측면부, 일부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날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부재는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3측면부 및 일부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날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날개부재는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제3측면부와 마주보는 제4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측면부는, 절곡되어 상기 포장용 케이스의 겉면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1베이스부재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칭을 이루는 제1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홈은, 상기 제1벽부재의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는 제1중앙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홈은, 상기 제1베이스부재와 상기 제1벽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절곡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는 제1단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단부홈은, 양단부가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홈은, 절곡되어 상기 제1홈과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측면부는, 절곡되어 상기 포장용 케이스의 겉면을 형성하는 제3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3베이스부재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칭을 이루는 제3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날개부재는, 상기 제3벽부재의 일부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날개부재는, 상기 제3벽부재의 일부에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절곡부재 및 상기 제1절곡부재의 일부에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간섭되게 구비되는 제1간섭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간섭부재는, 상기 제1절곡부재의 양측에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간섭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측면부는, 절곡되어 상기 포장용 케이스의 겉면을 형성하는 제4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4베이스부재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칭을 이루는 제4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날개부재는, 상기 제4벽부재의 일부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날개부재는, 상기 제4벽부재의 외곽부에 구비되는 제2절곡부재 및 상기 제2절곡부재에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간섭되게 구비되는 제2간섭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측면부는, 일부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재는, 절곡되어 제1측면부의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장용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패키징 하는데 있어 별도의 접착제가 불필요하므로 편리하고 신속한 내용물의 패키징이 가능하다.
둘째, 패키징 된 케이스의 분해가 어려워 내용물에 대한 안정한 보호를 담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용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포장용 케이스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포장용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포장용 케이스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포장용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용 케이스의 전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포장용 케이스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특성 상, 후술할 각 구성은 일부 또는 전부가 대칭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별한 언급을 제외하고는 각 구성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개 및 절곡되어 제품을 포장하는 케이스(10)를 형성하는 포장용 케이스(10)에 있어서, 제1측면부(100), 제2측면부(200), 제3측면부(300) 및 제4측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부(100), 상기 제2측면부(200), 상기 제3측면부(300) 및 상기 제4측면부(400)는 본 발명의 포장용 케이스(10)가 조립되어 박스(box) 모양을 형성할 때 외벽을 이루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포장용 케이스(10)의 조립이 완성되는 경우, 상기 제1측면부(100), 상기 제2측면부(200) 및 상기 제4측면부(400)의 일부와 상기 제3측면부(300) 전체가 중첩 또는/및 절첩되어 6면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측면부(100)는, 일부에 제1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부(200)는, 상기 제1측면부(100)와 마주보며, 일부에 제2홈(2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측면부(300)는, 일부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날개부재(35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부재(350)는 상기 제1홈(150) 및 상기 제2홈(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측면부(400)는, 일부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날개부재(450)가 형성되고, 상기 제2날개부재(450)는 상기 제1홈(150) 및 상기 제2홈(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제3측면부(300)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포장용 케이스(10)는 제1측면부(100) 및 제2측면부(200)는 각각 제1홈(150) 및 제2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150) 및 상기 제2홈(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3측면부(300) 및 제4측면부(400)에 각각 형성되는 제1날개부재(350) 및 제2날개부재(4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측면부(100)는 제1베이스부재(110) 및 제1벽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부재(110)는, 절곡되어 상기 포장용 케이스(10)의 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벽부재(130)는, 상기 제1베이스부재(110)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칭을 이루는 구성일 수 있다.
이 때, 제1홈(150)은, 제1중앙홈(170) 및/또는 제1단부홈(1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중앙홈(170)은, 제1벽부재(13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다만, 제1중앙홈(170)은 반드시 상기 제1벽부재(130)의 중앙부에만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후술할 제2날개부재(450)가 형성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부홈(190)은, 제1베이스부재(110)와 상기 제1벽부재(130)에 의해 형성되는 절곡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제1단부홈(190)은 상기 제1벽부재(130)가 상기 제1베이스부재(110)로부터 절곡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제1날개부재(350)가 결합되어 본 발명의 포장용 케이스(10)의 내측면에 돌출되는 정도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제품에 미치는 영향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측면부(200)는, 상기 제1측면부(1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측면부(200)는, 제1측면부(100)의 제1베이스부재(110) 및 제1벽부재(130)에 대응되는 제2베이스부재(210) 및 제2벽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홈(250)은 제1홈(150)의 제1중앙홈(170) 및 제1단부홈(190)에 대응되는 제2중앙홈(270) 및 제2단부홈(29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홈(250)은, 절곡되어 상기 제1홈(150)과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중앙홈(270)은 상기 제2날개부재(450)가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구비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상기 제2홈(250)이 상기 제1홈(150)과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이는, 제품 즉 내용물의 모양, 특성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제1단부홈(190) 및 제2단부홈(2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너비가 제1날개부재(350)가 절곡되는 두께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중앙홈(170) 및 제2중앙홈(2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너비가 제2날개부재(450)가 절곡되는 두께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상기 제1날개부재(350) 및 상기 제2날개부재(450)는 상기 제1홈(150) 및 상기 제2홈(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이며,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측면부(300)는, 제3베이스부재(310) 및 제3벽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베이스부재(310)는, 절곡되어 상기 포장용 케이스(10)의 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벽부재(330)는, 상기 제3베이스부재(310)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칭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날개부재(350)는, 상기 제3벽부재(330)의 일부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절곡부재(370) 및 제1간섭부재(3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절곡부재(370)는, 제3벽부재(330)의 일부에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간섭부재(390)는, 제1절곡부재(370)의 일부에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홈(150) 및 제2홈(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간섭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절곡부재(370) 및 제1간섭부재(390)는 절곡된 상태로 제1단부홈(190) 및 상기 제2단부홈(2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제1날개부재(350)가 삽입된 후 본 발명의 포장용 케이스(10)의 재질 특성 상, 즉시 제1간섭부재(390)는 절곡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에 의해 일정 부분 펴지게 되어 제1날개부재(350)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저항을 갖게 되어 조립이 완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간섭효과를 통해 외력에 대한 저항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간섭부재(390)는, 상기 제1절곡부재(370)의 양측에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절곡부재(370)는, 적어도 일부가 테이퍼 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절곡부재(370)가 결합되는 제1홈(150) 및 제2홈(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양단부가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단부홈(190) 및 제2단부홈(2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양단부가 제1중앙홈(170) 및 제2중앙홈(270)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단부홈(190) 및 상기 제2단부홈(290)이 테이퍼지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제1절곡부재(370)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본 발명의 포장용 케이스를 조립하는데 있어 제1절곡부재(370)를 접을 필요없이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의 특성 상 제1절곡부재(370)의 테이퍼 진 부분이 제1단부홈(190) 및 제2단부홈(290)의 테이퍼 진 부분에 맞물려 자연스럽게 삽입되어 조립이 될 수 있다.
제4측면부(400)는, 제4베이스부재(410) 및 제4벽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베이스부재(410)는, 절곡되어 제3베이스부재(310)와 마주하며 포장용 케이스(10)의 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4벽부재(430)는, 제4베이스부재(410)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칭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날개부재(450)는, 상기 제4벽부재(430)의 일부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절곡부재(470) 및 제2간섭부재(4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절곡부재(470)는, 제4벽부재(430)의 외곽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간섭부재(490)는, 제2절곡부재(470)에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홈(150) 및 제2홈(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간섭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절곡부재(470) 및 제2간섭부재(490)는 절곡된 상태로 제1중앙홈(170) 및 상기 제2중앙홈(2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제2날개부재(450)가 삽입된 후 본 발명의 포장용 케이스(10)의 재질 특성 상, 즉시 제2간섭부재(490)는 절곡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에 의해 어느정도 펴지게 되어 제2날개부재(450)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저항을 갖게 되어 조립이 완성될 수 있다.
또한, 제4측면부(400)는, 일부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500)를 포함할 수 잇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재(500)는, 절곡되어 제1측면부(100)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장부재(500)는 제1측면부(100)와 제3측면부(300) 사이의 공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포장용 케이스
100: 제1측면부 110: 제1베이스부재
130: 제1벽부재 150: 제1홈
170: 제1중앙홈 190: 제1단부홈
200: 제2측면부 210: 제2베이스부재
230: 제2벽부재 250: 제2홈
270: 제2중앙홈 290: 제2단부홈
300: 제3측면부 310: 제3베이스부재
330: 제3벽부재 350: 제1날개부재
370: 제1절곡부재 390: 제1간섭부재
400: 제4측면부 410: 제4베이스부재
430: 제4벽부재 450: 제2날개부재
470: 제2절곡부재 490: 제2간섭부재
500: 연장부재

Claims (13)

  1. 절개 및 절곡되어 제품을 포장하는 케이스를 형성하는 포장용 케이스에 있어서,
    일부에 제1홈이 형성되는 제1측면부;
    상기 제1측면부와 마주보며, 일부에 제2홈이 형성되는 제2측면부;
    일부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날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부재는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3측면부; 및
    일부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날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날개부재는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며, 상기 제3측면부와 마주보는 제4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측면부는 절곡되어 상기 포장용 케이스의 겉면을 형성하는 제3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3베이스부재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칭을 이루는 제3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부재는 상기 제3벽부재의 일부에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절곡부재 및 상기 제1절곡부재의 일부에 테이퍼가 형성되며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제1간섭부재를 포함하는 포장용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는,
    절곡되어 상기 포장용 케이스의 겉면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1베이스부재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칭을 이루는 제1벽부재;
    를 포함하는 포장용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은,
    상기 제1벽부재의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는 제1중앙홈;
    을 포함하는 포장용 케이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은,
    상기 제1베이스부재와 상기 제1벽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절곡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는 제1단부홈;
    을 포함하는 포장용 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홈은, 양단부가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홈과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케이스.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부재는,
    상기 제3벽부재의 일부에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절곡부재; 및
    상기 제1절곡부재의 일부에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간섭되게 구비되는 제1간섭부재;
    를 포함하는 포장용 케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섭부재는, 상기 제1절곡부재의 양측에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케이스.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측면부는,
    절곡되어 상기 포장용 케이스의 겉면을 형성하는 제4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4베이스부재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칭을 이루는 제4벽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날개부재는,
    상기 제4벽부재의 일부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케이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날개부재는,
    상기 제4벽부재의 외곽부에 구비되는 제2절곡부재; 및
    상기 제2절곡부재에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간섭되게 구비되는 제2간섭부재;
    를 포함하는 포장용 케이스.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측면부는,
    일부가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재는, 절곡되어 제1측면부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케이스.
KR1020190061611A 2019-05-27 2019-05-27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KR102148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611A KR102148211B1 (ko) 2019-05-27 2019-05-27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611A KR102148211B1 (ko) 2019-05-27 2019-05-27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133A KR20190067133A (ko) 2019-06-14
KR102148211B1 true KR102148211B1 (ko) 2020-08-26

Family

ID=66846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611A KR102148211B1 (ko) 2019-05-27 2019-05-27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673B1 (ko) * 2019-07-09 2022-02-07 황기찬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KR102305422B1 (ko) * 2020-11-30 2021-09-27 황기찬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929Y1 (ko) * 1999-07-23 2000-02-15 주식회사산성 수박용 포장상자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907A (ko) * 2000-09-27 2002-04-03 구자홍 포장용 종이상자
KR101813224B1 (ko) 2017-07-18 2018-01-30 황규찬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929Y1 (ko) * 1999-07-23 2000-02-15 주식회사산성 수박용 포장상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133A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211B1 (ko)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KR102501820B1 (ko)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KR20190104097A (ko) 간섭 현상에 의해 결합되는 포장용 케이스
KR102358673B1 (ko)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JP5643573B2 (ja) 封筒の封緘構造
KR20190088928A (ko)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KR101373757B1 (ko) 싸바리 포장상자 제조방법
JP6912286B2 (ja) ロック構造および包装箱
KR102366485B1 (ko) 조립식 배송용 박스
JP6110149B2 (ja) 包装箱
KR20210000496A (ko)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JP3211958U (ja) 包装材
JP2003054641A (ja) 固定緩衝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梱包装置
KR102627225B1 (ko) 포장박스
KR102019553B1 (ko) 포장용 박스
JP3162468U (ja) 組立式紙器
KR102261792B1 (ko) 완충기능이 구비된 포장용 케이스
JP2010013180A (ja) 簡易型ダンボール梱包箱
KR102080718B1 (ko) 슬라이드형 디스플레이 포장박스
WO2016135912A1 (ja) パッケージ及び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6918410B2 (ja) ダンボール梱包材
JP6589739B2 (ja) 梱包材
KR101558326B1 (ko) 포장용 상자
KR101707665B1 (ko) 포장용 박스
KR20230093627A (ko) 포장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