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983B1 - 연결대 꼬임 방지용 슈벨 - Google Patents

연결대 꼬임 방지용 슈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983B1
KR102147983B1 KR1020180172097A KR20180172097A KR102147983B1 KR 102147983 B1 KR102147983 B1 KR 102147983B1 KR 1020180172097 A KR1020180172097 A KR 1020180172097A KR 20180172097 A KR20180172097 A KR 20180172097A KR 102147983 B1 KR102147983 B1 KR 102147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present
main body
r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004A (ko
Inventor
이효철
Original Assignee
(주) 코엘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엘코 filed Critical (주) 코엘코
Priority to KR1020180172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9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8Fastenings for securing ends of driving-cables to one another, the fastenings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diameter as the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돌라, 엘리베이트, 호이스트 등이 승하강 작동할 때, 연결대가 360˚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꼬임을 방지하고 안전한 작동이 이루어지는 연결대 꼬임 방지용 슈벨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고, 하단부에는 개방구가 형성되는 종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와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 1연결대가 연결되는 고리부; 및 상기 본체의 하단부를 횡으로 가로지르며 결합되어 제 2연결대가 연결되는 가로걸림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측에 연결된 연결대가 꼬일 염려가 없어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제작단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연결대 꼬임 방지용 슈벨{SWIVEL}
본 발명은 연결대 꼬임 방지용 슈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곤돌라, 엘리베이트, 호이스트 등이 승하강 작동할 때, 연결대가 360˚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꼬임을 방지하고 안전한 작동이 이루어지는 연결대 꼬임 방지용 슈벨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곤돌라, 엘리베이터, 호이스트 등에 연결되는 쇠사슬, 와이어 등은 승하강 작동 시 비틀림(twist) 힘을 받게 되어 쇠사슬, 와이어가 스스로 꼬일 염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슈벨(swivel)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일예로, 등록실용신안 20-0461770호의 슈벨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회전축(20)에 의해 고리부재(30)가 지지블록(10)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지지블록(10)은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블록(11,12)을 포함하며, 회전축(20)은 제1 및 제2 블록(1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스러스트 베어링(40)에 의해 지지되므로, 회전축(20)과 고리부재(30)가 더욱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양측의 고리부재(30)에 연결되는 와이어(1)가 회전을 하여도, 회전축(20)과 결합된 고리부재(30)가 제1 및 제2 블록(11,12)과의 사이에서 자유회전하며, 와이어(1)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슈벨은 그 구조가 너무 복잡하고 많은 부품으로 인해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제작단가가 높아져 소비자에게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17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서, 연결된 연결대가 꼬일 염려가 없는 것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간편하여 단가가 절감되도록 하는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고, 하단부에는 개방구가 형성되는 종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와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 1연결대가 연결되는 고리부; 및 상기 본체의 하단부를 횡으로 가로지르며 결합되어 제 2연결대가 연결되는 가로걸림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리부는, 상기 제 1연결대를 걸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리와, 외주연에 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관통공에 걸리도록 확장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의 중도부에는 너트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걸림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로걸림대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관통 형성되는 제 1,2체결공을 가로지르며 체결되는 체결대와, 상기 체결대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볼트머리부와, 상기 체결대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대의 타측 끝단에는 끼움핀이 끼워지기 위한 끼움홈이 더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측에 연결된 쇠사슬, 와이어 등의 연결대가 꼬일 염려가 없어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제작단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슈벨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벨의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벨의 분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벨의 측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벨에 연결대가 연결된 상태의 사용 상태 단면 예시도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슈벨(100)은 크게 본체(110)와 고리부(120) 및 가로걸림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0)는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단부에는 관통공(111)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개방구(112)가 형성되어 대략 종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리부(120)는 쇠사슬, 와이어 등으로 되는 제 1연결대(W1)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삼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거나 원형 등으로 되는 고리(121)가 마련되고, 고리(121)의 일측에는 지지대(122)가 소정의 길이로 본체(100)의 관통공(111)에 삽입 가능한 두께로 연설된다. 그리고 지지대(122)의 외주연에는 너트(124)가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가 형성된다. 지지대(122)의 상단부에는 지지대(122)의 두께보다 더 넓은 폭으로 확장대(123)가 형성되어 본체(110)의 관통공(111)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대(122)의 중도부에는 걸림턱(125)이 형성되어 너트(124)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너트(124)와 본체(110)의 상단 사이에 소정의 폭으로 이격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너트(124)가 본체(110)의 상단에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리부(120)가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로걸림대(130)는 마찬가지로 쇠사슬, 와이어 등으로 되는 제 2연결대(W2)가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10)의 측면에 횡으로 가로지르며 결합된다. 이를 위해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 1,2체결공(113)(114)에 끼워지는 체결대(131)와 체결대(131)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볼트머리부(132) 및 체결대(131)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너트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대(131)의 타측 끝단에는 결합된 고정너트부(13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끼움홈(134)을 형성하고, 끼움홈(134)에는 끼움핀(135)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연결대 꼬임 방지용 슈벨(100)을 이용하여 제 1,2연결대(W1)(W2)를 연결함으로써 제 1,2연결대(W1)(W2)가 작동 시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리부(120)의 고리(121)에 제 1연결대(W1)를 연결하고, 고리부(120)의 지지대(122)를 본체(110)의 관통공(111)을 통해 삽입시킨다. 고리부(120)는 확장부(123)에 의해 관통공(111)에 걸리는 상태가 되어 더 이상 삽입이 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개방구(112)를 통해 너트(124)를 삽입하여 지지대(122)에 견고히 나사결합시킨다. 너트(124)는 고리부(120)의 걸림턱(125)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이 되며, 너트(124)와 본체(110)의 상단부와의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간격이 형성되게 되고, 고리부(120)의 확장부(123)와 본체(110)의 상단부와의 사이에도 유격간격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가로걸림대(130)의 체결대(131)를 본체(110)의 제 1체결공(113)에 삽입 후, 제 2연결대(W2)를 본체(110)의 개방구(112)를 통해 삽입하여 가로걸림대(130)의 체결대(131)에 연결시키고, 다시 가로걸림대(130)의 체결대(131)는 본체(110)의 제 2체결공(114) 측으로 삽입시켜 결합시킨다. 체결대(131)의 끝단에는 고정너트부(133)를 견고히 나사 결합시켜 고정하고, 체결대(131)의 끼움홈(134)에는 끼움핀(135)을 끼워 혹여라도 고정너트부(133)가 분리될 수 있는 염려를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의 슈벨(100)은 제 2연결대(W2)가 가로걸림대(130)에 걸린 상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동, 회전이 가능하고, 제 1연결대(W1)는 360°회전을 하여도 고리부(120)가 제 1연결대(W1)와 함께 본체(110)의 상부 관통공(111)에서 자유 회전하게 되므로 제 1연결대(W1)가 꼬일 염려가 없게 된다.
100 : 슈벨110 : 본체
111 : 관통공112 : 개방구
120 : 고리부121 : 고리
122 : 지지대123 : 확장부
124 : 너트125 : 걸림턱
130 : 가로걸림대131 : 체결대
132 : 볼트머리부133 : 고정너트부
134 : 끼움홈135 : 끼움핀

Claims (5)

  1.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고, 하단부에는 개방구가 형성되는 종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와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 1연결대가 연결되는 고리부; 및
    상기 본체의 하단부를 횡으로 가로지르며 결합되어 제 2연결대가 연결되는 가로걸림대;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는,
    상기 제 1연결대를 걸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리와, 외주연에 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관통공에 걸리도록 확장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중도부에는 너트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걸림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대 꼬임 방지용 슈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걸림대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관통 형성되는 제 1,2체결공을 가로지르며 체결되는 체결대와, 상기 체결대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볼트머리부와, 상기 체결대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대 꼬임 방지용 슈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대의 타측 끝단에는 끼움핀이 끼워지기 위한 끼움홈이 더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대 꼬임 방지용 슈벨.
  4. 삭제
  5. 삭제
KR1020180172097A 2018-12-28 2018-12-28 연결대 꼬임 방지용 슈벨 KR102147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097A KR102147983B1 (ko) 2018-12-28 2018-12-28 연결대 꼬임 방지용 슈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097A KR102147983B1 (ko) 2018-12-28 2018-12-28 연결대 꼬임 방지용 슈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004A KR20200082004A (ko) 2020-07-08
KR102147983B1 true KR102147983B1 (ko) 2020-08-25

Family

ID=7160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097A KR102147983B1 (ko) 2018-12-28 2018-12-28 연결대 꼬임 방지용 슈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9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768Y1 (ko) * 2000-06-01 2000-11-15 화성계전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소음 방지용 체인 가이드
KR101128422B1 (ko) 2010-07-12 2012-03-27 주식회사 신화엔지니어링 무대장치의 흔들림 방지용 턴버클
KR200461770Y1 (ko) 2012-04-23 2012-08-06 남해인 꼬임 방지용 슈벨
CN207795987U (zh) 2018-01-31 2018-08-31 青岛东鑫五金索具有限公司 一种精品钢材制旋转卸扣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768Y1 (ko) * 2000-06-01 2000-11-15 화성계전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소음 방지용 체인 가이드
KR101128422B1 (ko) 2010-07-12 2012-03-27 주식회사 신화엔지니어링 무대장치의 흔들림 방지용 턴버클
KR200461770Y1 (ko) 2012-04-23 2012-08-06 남해인 꼬임 방지용 슈벨
CN207795987U (zh) 2018-01-31 2018-08-31 青岛东鑫五金索具有限公司 一种精品钢材制旋转卸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004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983B1 (ko) 연결대 꼬임 방지용 슈벨
CN206927497U (zh) 一种吊钩钢丝绳防脱装置
CN109896412A (zh) 一种安全稳定的木材吊装转运设备
CN103950841A (zh) 特高压输电线路酒杯型铁塔曲臂外侧横担辅助吊装装置
CN105384054B (zh) 一种钢筋笼吊具
CN214828343U (zh) 一种可调式模具平衡吊装工装
KR102024621B1 (ko) 크레인 후크
CN210763919U (zh) 吊装装置
JP3225269U (ja) 吊りピース
CN204569140U (zh) 一种风机塔筒竖立起吊索具
CN208561425U (zh) 一种防旋转耐用钢丝绳挂钩
CN209352424U (zh) 一种预埋小吊环群吊装预制构件
CN209098021U (zh) 节能型预制件用单底座开放式三角起吊装置
CN211846845U (zh) 一种稳定型工字钢吊具
CN209098022U (zh) 节能型预制件用双底座封闭式三角起吊装置
CN208017258U (zh) 一种快速原地垂直升降床围栏
CN105735654B (zh) 一种大跨提升构件的旋转提升安装施工方法及装置
CN207903740U (zh) 一种链条吊索的羊角连接件
JP4482738B2 (ja) 足場ユニット用玉掛吊具
CN105299140A (zh) 工字形绳扣器
CN205222442U (zh) 一种钢筋笼吊具
CN218201748U (zh) 轻钢龙骨墙板专用吊具
CN105621298B (zh) 杂物吊
CN215107531U (zh) 一种烟囱内部施工安全装置
CN212712464U (zh) 一种起重吊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