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574B1 -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 - Google Patents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574B1
KR102147574B1 KR1020180097156A KR20180097156A KR102147574B1 KR 102147574 B1 KR102147574 B1 KR 102147574B1 KR 1020180097156 A KR1020180097156 A KR 1020180097156A KR 20180097156 A KR20180097156 A KR 20180097156A KR 102147574 B1 KR102147574 B1 KR 102147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inding
ring
buried case
antifree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621A (ko
Inventor
이슬이
Original Assignee
이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슬이 filed Critical 이슬이
Priority to KR1020180097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5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 E03B9/027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with features preventing frost dam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asket Seal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가 개방 형성되며, 하부에는 중앙에서 이격되어 관통되는 배수구를 갖는 매립케이스와, 상기 매립케이스의 하부 중앙에 내측이 상하로 관통되어 고정 구비되며, 상하부가 각각 연장되고, 외측 하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됨과 아울러 수도관과 연결되는 결속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부 내측에는 상향 경사지게 내입되는 오링안착부가 형성되고, 오링안착부의 상부에는 이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지지턱이 형성되며, 스프링지지턱과 이격된 상부 내측에는 내입되어 나사산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에 걸림턱을 갖는 결속부가 형성되는 결속구와, 상기 결속구의 내측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원통형의 오링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오링이탈방지부의 상부에는 돌출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오링이탈방지부 외측 중앙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오링홈이 형성되고, 상부에서 이격된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차단구와, 상기 결속구의 내측에 장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하부는 결속구의 스프링지지턱에 안착되고, 상부는 차단구의 걸림돌기 하부에 닿도록 구비되는 스프링과, 상기 차단구의 오링홈에 안착됨과 아울러 상부가 결속구의 오링안착부에 안착되는 오링과, 상기 매립케이스의 내측 상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내측에는 하향 경사지게 관통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매립케이스의 상부에 안착되는 연장부를 갖는 경사구와, 상기 경사구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내측에는 상하로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내측돌기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구의 경사부에 대응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돌기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개방 형성되는 개방부를 갖는 조임구와, 상기 조임구의 상부에 내측이 관통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구비되는 누름구와, 상기 누름구 한 쌍의 사이에 내측이 관통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누수방지패킹과, 상기 매립케이스의 외측 상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나사산에 의해 매립케이스와 체결 구비되고, 상부에는 관통되는 덮개공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서로 이격되어 장공형상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덮개돌기를 갖는 덮개와, 상기 덮개와 수직되게 관통 결합되며, 하부가 결속구의 결속부에 결합되는 부동전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Nonfreezing valve have easily change ability}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동전의 파손 시에 지반을 굴착하지 않고 용이하게 부동전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동전은 주택 등의 건물 마당이나 정원, 공원 등 실외에 설치되며, 수도 사용 후 밸브를 잠그면 관 속에 잔류되어 있던 물이 퇴수공을 통해 땅속으로 자동 배출됨으로서 동절기에 동파가 예방되게 한 수도밸브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부동전을 수도배관에 연결 시공할 때는, 통상 시공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를 1m∼15m 내외의 깊이로 굴토한 뒤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 부동전의 퇴수공 주위에는 모래나 자갈 등을 깔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이 위에 복토한 뒤 최종적으로 콘크리트 몰탈로서 깔끔하게 마무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로는 수도관의 하단에 밸브박스가 연결되고, 개폐밸브와 밸브손잡이가 연결된 밸브회전축이 수도관 내부에 설치된 공지의 부동전에 있어서, 수도관 하단에 연결된 밸브박스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송수관 연결구를 형성해 연장송수관을 결합하여 연결하거나 혹은 송수관에 직접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9823호에서와 같이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파손된 부동전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부동전이 고정된 지면을 굴착하여 수도관에서 부동전을 분해한 뒤 새로운 부동전으로 교체 시공해야 하며, 이때 앞서 설명했던 시공순서대로 재시공 설치해야 함으로서 매우 번거롭고 불편했음은 물론 인력과 시간의 과다소요로 교체비용이 처음 시공할 때보다도 훨씬 더 많이 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98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부동전의 손상시 지반을 굴착하지 않고 용이하게 부동전을 교체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가 개방 형성되며, 하부에는 중앙에서 이격되어 관통되는 배수구를 갖는 매립케이스와, 상기 매립케이스의 하부 중앙에 내측이 상하로 관통되어 고정 구비되며, 상하부가 각각 연장되고, 외측 하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됨과 아울러 수도관과 연결되는 결속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부 내측에는 상향 경사지게 내입되는 오링안착부가 형성되고, 오링안착부의 상부에는 이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지지턱이 형성되며, 스프링지지턱과 이격된 상부 내측에는 내입되어 나사산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에 걸림턱을 갖는 결속부가 형성되는 결속구와, 상기 결속구의 내측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원통형의 오링이탈방지부가 형성되고, 오링이탈방지부의 상부에는 돌출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오링이탈방지부 외측 중앙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오링홈이 형성되고, 상부에서 이격된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차단구와, 상기 결속구의 내측에 장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하부는 결속구의 스프링지지턱에 안착되고, 상부는 차단구의 걸림돌기 하부에 닿도록 구비되는 스프링과, 상기 차단구의 오링홈에 안착됨과 아울러 상부가 결속구의 오링안착부에 안착되는 오링과, 상기 매립케이스의 내측 상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내측에는 하향 경사지게 관통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매립케이스의 상부에 안착되는 연장부를 갖는 경사구와, 상기 경사구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내측에는 상하로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내측돌기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구의 경사부에 대응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돌기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개방 형성되는 개방부를 갖는 조임구와, 상기 조임구의 상부에 내측이 관통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구비되는 누름구와, 상기 누름구 한 쌍의 사이에 내측이 관통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누수방지패킹과, 상기 매립케이스의 외측 상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나사산에 의해 매립케이스와 체결 구비되고, 상부에는 관통되는 덮개공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서로 이격되어 장공형상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덮개돌기를 갖는 덮개와, 상기 덮개와 수직되게 관통 결합되며, 하부가 결속구의 결속부에 결합되는 부동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은 부동전의 손상 시에 지면을 굴착하지 않고 용이하게 부동전을 교체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동전의 교체 시에도 물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의 분해단면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의 개략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단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임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은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가 개방 형성되며, 하부에는 중앙에서 이격되어 관통되는 배수구(10)를 갖는 매립케이스(12)와, 상기 매립케이스(12)의 하부 중앙에 내측이 상하로 관통되어 고정 구비되며, 상하부가 각각 연장되고, 외측 하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됨과 아울러 수도관과 연결되는 결속나사산(14)이 형성되며, 하부 내측에는 상향 경사지게 내입되는 오링안착부(16)가 형성되고, 오링안착부(16)의 상부에는 이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지지턱(18)이 형성되며, 스프링지지턱(18)과 이격된 상부 내측에는 내입되어 나사산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에 걸림턱(20)을 갖는 결속부(22)가 형성되는 결속구(24)와, 상기 결속구(24)의 내측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원통형의 오링이탈방지부(26)가 형성되고, 오링이탈방지부(26)의 상부에는 돌출되는 지지부(28)가 형성되며, 오링이탈방지부(26) 외측 중앙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오링홈(30)이 형성되고, 상부에서 이격된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턱(20)에 걸림되는 걸림돌기(32)를 갖는 차단구(34)와, 상기 결속구(24)의 내측에 장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하부는 결속구(24)의 스프링지지턱(18)에 안착되고, 상부는 차단구(34)의 걸림돌기(32) 하부에 닿도록 구비되는 스프링(36)과, 상기 차단구(34)의 오링홈(30)에 안착됨과 아울러 상부가 결속구(24)의 오링안착부(16)에 안착되는 오링(38)과, 상기 매립케이스(12)의 내측 상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내측에는 하향 경사지게 관통되는 경사부(40)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매립케이스(12)의 상부에 안착되는 연장부(42)를 갖는 경사구(44)와, 상기 경사구(44)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내측에는 상하로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내측돌기(46)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구(44)의 경사부(40)에 대응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돌기(48)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개방 형성되는 개방부(50)를 갖는 조임구(52)와, 상기 조임구(52)의 상부에 내측이 관통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구비되는 누름구(54)와, 상기 누름구(54) 한 쌍의 사이에 내측이 관통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누수방지패킹(56)과, 상기 매립케이스(12)의 외측 상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나사산에 의해 매립케이스(12)와 체결 구비되고, 상부에는 관통되는 덮개공(58)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서로 이격되어 장공형상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덮개돌기(60)를 갖는 덮개(62)와, 상기 덮개(62)와 수직되게 관통 결합되며, 하부가 결속구(24)의 결속부(22)에 결합되는 부동전(64)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가 개방 형성되며, 하부에는 중앙에서 이격되어 관통되는 배수구(10)를 갖는 매립케이스(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매립케이스(12)는 원통형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며, 외주연에는 매립케이스(12)가 지중에 매립될 시에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76)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구(10)는 후술되는 통상적인 부동전(64)에서 배출되는 잉여수를 지중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한 개 또는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매립케이스(12)의 하부 중앙에 내측이 상하로 관통되어 고정 구비되며, 상하부가 각각 연장되고, 외측 하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됨과 아울러 수도관과 연결되는 결속나사산(14)이 형성되며, 하부 내측에는 상향 경사지게 내입되는 오링안착부(16)가 형성되고, 오링안착부(16)의 상부에는 이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지지턱(18)이 형성되며, 스프링지지턱(18)과 이격된 상부 내측에는 내입되어 나사산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에 걸림턱(20)을 갖는 결속부(22)가 형성되는 결속구(2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속구(24)는 지하에 매설되는 미도시된 수도관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으며,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속구(24)가 수도관과 연결될 시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결속나사산(14)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결속구패킹홈(66)이 형성됨과 아울러 결속구패킹홈(66)에는 합성수지재의 결속구패킹(68)이 안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결속구(24)의 내측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원통형의 오링이탈방지부(26)가 형성되고, 오링이탈방지부(26)의 상부에는 돌출되는 지지부(28)가 형성되며, 오링이탈방지부(26) 외측 중앙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오링홈(30)이 형성되고, 상부에서 이격된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턱(20)에 걸림되는 걸림돌기(32)를 갖는 차단구(3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차단구(34)는 수도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차단 또는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후술되는 스프링(36) 및 오링(38)이 결합됨으로써,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차단함과 아울러 부동전(64)이 결합될 시에는 차단구(34)에 형성되는 오링이탈방지부(26)가 결속구(24)의 하부로 이동되어 수도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구(34)의 걸림돌기(32) 상부에는 내측이 관통된 원판형의 걸림돌기손상방지구(70)가 구비되는 것이며,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걸림돌기손상방지구(70)는 후술되는 부동전(64)이 결속구(24)에 결합될 시에 마찰에 의해 걸림돌기(3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결속구(24)의 내측에 장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하부는 결속구(24)의 스프링지지턱(18)에 안착되고, 상부는 차단구(34)의 걸림돌기(32) 하부에 닿도록 스프링(3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36)으로 인해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원활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차단구(34)의 오링홈(30)에 안착됨과 아울러 상부가 결속구(24)의 오링안착부(16)에 안착되는 오링(38)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오링(38)은 차단구(34)의 오링홈(30)에 안착되어 차단구(34)가 결속구(2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결속구(24)의 내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매립케이스(12)의 내측 상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내측에는 하향 경사지게 관통되는 경사부(40)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매립케이스(12)의 상부에 안착되는 연장부(42)를 갖는 경사구(4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경사구(44)는 후술되는 조임구(52)가 경사구(44)의 경사부(40)를 따라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부동전(64)의 외주연을 압박하여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매립케이스(12)의 상부와 경사구(44)의 연장부(42) 사이에는 내측이 관통된 원판 형상의 케이스오링(72)이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경사구(44)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내측에는 상하로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내측돌기(46)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구(44)의 경사부(40)에 대응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돌기(48)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개방 형성되는 개방부(50)를 갖는 조임구(5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임구(52)에는 개방부(50)가 형성됨으로써, 조임구(52)의 내경에 비해 외경이 크게 형성되는 부동전(64)이 조임구(52)의 내측에 끼움될 수 있는 것이며, 다수개의 내측돌기(46)로 인해 부동전(64)의 외주연을 효과적으로 압박하여 부동전(6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임구(52)에 형성되는 외측돌기(48)는 경사구(44)에 형성되는 경사부(40)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며, 조임구(52)는 경사부(40)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부동전(64)을 압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임구(52)의 상부에는 내측이 관통된 원판형의 누름구(54) 한 쌍이 구비됨과 아울러 누름구(54) 한 쌍의 사이에는 내측이 관통된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누수방지패킹(5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누름구(54)는 후술되는 덮개(62)를 매립케이스(12)에 결합할 시에 조임구(52)를 효과적으로 눌러주기 위해 구비되는 것임과 아울러 한 쌍의 누름구(54) 사이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누수방지패킹(56)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매립케이스(12)의 외측 상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나사산에 의해 매립케이스(12)와 체결 구비되고, 상부에는 관통되는 덮개공(58)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서로 이격되어 장공형상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덮개돌기(60)를 갖는 덮개(6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덮개(62)에 형성되는 덮개돌기(60)는 사용자가 덮개(62)를 용이하게 파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덮개(62)를 매립케이스(12)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덮개(62)와 수직되게 관통 결합되며, 하부가 결속구(24)의 결속부(22)에 결합되는 부동전(6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부동전(64)은 통상적인 부동전(64)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매립케이스(12)의 내측과 부동전(64) 사이에는 발포수지재의 보온재(74)가 구비되어 사용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은 부동전(64)의 손상 시에 지면을 굴착하지 않고 용이하게 부동전(64)을 교체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동전(64)의 교체 시에도 물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10 : 배수구 12 : 매립케이스
14 : 결속나사산 16 : 오링안착부
18 : 스프링지지턱 20 : 걸림턱
22 : 결속부 24 : 결속구
26 : 오링이탈방지부 28 : 지지부
30 : 오링홈 32 : 걸림돌기
34 : 차단구 36 : 스프링
38 : 오링 40 : 경사부
42 : 연장부 44 : 경사구
46 : 내측돌기 48 : 외측돌기
50 : 개방부 52 : 조임구
54 : 누름구 56 : 누수방지패킹
58 : 덮개공 60 : 덮개돌기
62 : 덮개 64 : 부동전
66 : 결속구패킹홈 68 : 결속구패킹
70 : 걸림돌기손상방지구 72 : 케이스오링
74 : 보온재 76 : 고정돌기

Claims (5)

  1.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가 개방 형성되며, 하부에는 중앙에서 이격되어 관통되는 배수구(10)를 갖는 매립케이스(12);
    상기 매립케이스(12)의 하부 중앙에 내측이 상하로 관통되어 고정 구비되며, 상하부가 각각 연장되고, 외측 하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됨과 아울러 수도관과 연결되는 결속나사산(14)이 형성되며, 하부 내측에는 상향 경사지게 내입되는 오링안착부(16)가 형성되고, 오링안착부(16)의 상부에는 이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지지턱(18)이 형성되며, 스프링지지턱(18)과 이격된 상부 내측에는 내입되어 나사산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에 걸림턱(20)을 갖는 결속부(22)가 형성되는 결속구(24);
    상기 결속구(24)의 내측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원통형의 오링이탈방지부(26)가 형성되고, 오링이탈방지부(26)의 상부에는 돌출되는 지지부(28)가 형성되며, 오링이탈방지부(26) 외측 중앙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오링홈(30)이 형성되고, 상부에서 이격된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턱(20)에 걸림되는 걸림돌기(32)를 갖는 차단구(34);
    상기 결속구(24)의 내측에 장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하부는 결속구(24)의 스프링지지턱(18)에 안착되고, 상부는 차단구(34)의 걸림돌기(32) 하부에 닿도록 구비되는 스프링(36);
    상기 차단구(34)의 오링홈(30)에 안착됨과 아울러 상부가 결속구(24)의 오링안착부(16)에 안착되는 오링(38);
    상기 매립케이스(12)의 내측 상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내측에는 하향 경사지게 관통되는 경사부(40)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매립케이스(12)의 상부에 안착되는 연장부(42)를 갖는 경사구(44);
    상기 경사구(44)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내측에는 상하로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내측돌기(46)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구(44)의 경사부(40)에 대응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돌기(48)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개방 형성되는 개방부(50)를 갖는 조임구(52);
    상기 조임구(52)의 상부에 내측이 관통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구비되는 누름구(54);
    상기 누름구(54) 한 쌍의 사이에 내측이 관통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누수방지패킹(56);
    상기 매립케이스(12)의 외측 상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나사산에 의해 매립케이스(12)와 체결 구비되고, 상부에는 관통되는 덮개공(58)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서로 이격되어 장공형상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덮개돌기(60)를 갖는 덮개(62);
    상기 덮개(62)와 수직되게 관통 결합되며, 하부가 결속구(24)의 결속부(22)에 결합되는 부동전(6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24)의 결속나사산(14)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결속구패킹홈(66)이 형성됨과 아울러 결속구패킹홈(66)에는 합성수지재의 결속구패킹(68)이 안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구(34)의 걸림돌기(32) 상부에는 내측이 관통된 원판형의 걸림돌기손상방지구(7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케이스(12)의 상부와 경사구(44)의 연장부(42) 사이에는 내측이 관통된 원판 형상의 케이스오링(72)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케이스(12)의 내측과 부동전(64) 사이에는 발포수지재의 보온재(74)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
KR1020180097156A 2018-08-21 2018-08-21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 KR102147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156A KR102147574B1 (ko) 2018-08-21 2018-08-21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156A KR102147574B1 (ko) 2018-08-21 2018-08-21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621A KR20200021621A (ko) 2020-03-02
KR102147574B1 true KR102147574B1 (ko) 2020-08-24

Family

ID=6980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156A KR102147574B1 (ko) 2018-08-21 2018-08-21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5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049B1 (ko) 2003-07-03 2006-12-15 채석대 부동전
KR100831834B1 (ko) 2007-03-16 2008-05-28 김하용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101165182B1 (ko) 2011-11-15 2012-07-11 정진 부동전 겸용 수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823Y1 (ko) 1999-08-23 2000-02-15 강석원 상수도용 부동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049B1 (ko) 2003-07-03 2006-12-15 채석대 부동전
KR100831834B1 (ko) 2007-03-16 2008-05-28 김하용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101165182B1 (ko) 2011-11-15 2012-07-11 정진 부동전 겸용 수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621A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8785A (en) Drain assembly for a lavatory basin
US4232846A (en) Base for poles
US8413689B1 (en) Storm drainage conduit plug with a sealing band
US9091076B2 (en) Toilet flange template apparatus
KR102147574B1 (ko) 교체가 용이한 부동전
KR101371030B1 (ko) 맨홀용 속 뚜껑
CA2839144C (en) Drain box assembly for a convertible splash pad/ice rink structure
JP5019684B2 (ja) 床下配管構造
KR102126193B1 (ko) 누전방지 정보통신 케이블 맨홀
KR101161814B1 (ko) 가로등 기초
US20180238031A1 (en) Dual size valve base
KR102097991B1 (ko)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용 결속관체의 밀폐 결합구조
US9506258B2 (en) Toilet flange template apparatus
US20040177553A1 (en) Plant container with selectively sealable drainage hole
KR101570379B1 (ko) 상수도용 부동전
US7950702B1 (en) Receptacle for a gate drop rod
JP2019218722A (ja) マンホールの止水構造
KR20080081811A (ko)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20140002180U (ko) 이탈 방지 장치가 구비된 맨홀 조립체
JP3042092U (ja) 暗渠排水用バルブ
FR2882076A1 (fr) Revetement pour toiture plate ou inclinee de batiment
TWM561098U (zh) 具調整裝置的道路埋入體
JPH0128139Y2 (ko)
CN213390257U (zh) 一种减压井的高密封性封井结构
KR20110106481A (ko) 상수도용 부동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