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411B1 - 발광형 표지판 - Google Patents

발광형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411B1
KR102147411B1 KR1020190072035A KR20190072035A KR102147411B1 KR 102147411 B1 KR102147411 B1 KR 102147411B1 KR 1020190072035 A KR1020190072035 A KR 1020190072035A KR 20190072035 A KR20190072035 A KR 20190072035A KR 102147411 B1 KR102147411 B1 KR 102147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guide
pin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김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영 filed Critical 김주영
Priority to KR1020190072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형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표지보드와, 이 도로표지보드에 결합되며 도로정보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비되되 도로정보를 발광하여 안내하는 발광안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발광안내모듈에 구비되는 투광패널의 전면에는 도로정보의 형상을 타공하여 부착하는 제2 도광판을 구비하고, 배면에는 도로정보의 형상에 맞도록 부착하는 제1 도광판을 구비하여 빛의 휘도를 향상시켜 인식율을 높이는 발광형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광형 표지판{SELF LIGHT-EMITTING ROAD SIGN BOARD}
본 발명은 발광형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표지보드와, 이 도로표지보드에 결합되며 도로정보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비되되 도로정보를 발광하여 안내하는 발광안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발광안내모듈에 구비되는 투광패널의 전면에는 도로정보의 형상을 타공하여 부착하는 제2 도광판을 구비하고, 배면에는 도로정보의 형상에 맞도록 부착하는 제1 도광판을 구비하여 빛의 휘도를 향상시켜 인식율을 높이는 발광형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내도로, 국도, 고속도로 등의 모든 도로에는 운전자들에게 진행방향을 인지시키도록 하는 도로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복잡한 시내도로의 교차로 등에 많이 설치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목적지까지 편리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도로표지판 및 안내표지판은 운전자에게 목적지를 안내하고 또한 교통안전을 위하여 도로에 표시하는 각종 표지판으로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보조표지등 법령에 의해 구체적 형태와 규격이 정해져 오고 있으며, 차량이 다니는 도로 뿐만 아니라 인도에도 설치되어 보행자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인식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표지판은 철판 등으로 형성된 판재 위에 재귀반사가 이루어지는 반사지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자동차로부터의 빛을 반사시켜 운전자 등에게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하지만, 안개 발생시 대기압에 따른 표지판의 이슬 맺힘 현상시, 우천시, 야간시 등에는 반사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반사지를 이용하는 도로 표지판은 운전자에게 충분한 안전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고 그에 따라 사고 위험이 증가된다.
나아가 반사지의 반사 수명이 예상 수명보다 짧아져서 반사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사고의 위험이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반사지는 자외선에 노출됨으로써 내구성이 저하되어 반사 성능이 현저히 떨어진다.
따라서 자체적으로 빛을 발광시켜 운전자에게 도로 정보를 보다 손쉽게 알려주는 표지판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04631호 "태양열을 이용한 발광표지판"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도로교통표지판(4) 혹은 광고간판(6)의 배면 상단에 설치되며, 태양집열판(1)과 광전환변환부와 보조충전부로 구성되는 태양전지(2);상기 태양전지(2)에 빛감지 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는 스위치(3)를 개재하여 전선으로 연결되는 발광램프(5);상기 발광램프(5)를 지지 연결하기위한 몰딩(10); 상기 발광램프(5)를 끼우기 위해 램프홀을 천공한 도로교통표지판(4) 혹은 광고간판(6); 상기 발광램프(5)를 끼운 후 도로교통표지판(4) 혹은 광고간판(6)과 볼트 너트 등 고정수단(20)으로 고정되는 케이스(11);로 구성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빛을 발광하기 위한 전력을 태양열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기술을 특징으로, 단순히 발광램프를 통하여 빛을 조사함에 따라 빛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데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며, 도로표지판에 사용 시, 발광램프의 수명이 다하면 작업자는 도로표지판 전체를 분해하여 발광램프를 교체해야하는 등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934624호 "자체 발광형 도로 표지판 및 그의 제조방법"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도로표지보드; 상기 도로표지보드 상에 부착되어 운전자에게 도로 정보를 제공해 주는 반사시트지; 상기 반사시트지의 형태에 맞춰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 상기 관통홀에 고정되는 다수의 광화이버; 상기 광화이버를 상기 관통홀에 고정시키는 광화이버 고정부; 다수의 광화이버를 하나로 결속하는 광화이버 결속부; 광화이버에 발광을 위한 빛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LED; 상기 하나 이상의 LED가 고정 장착되는 LED 고정부; 상기 LED에 발광을 위한 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LED 고정부에 탈착가능한 LED용 전선; 상기 LED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상기 광화이버 결속부에 결속된 다수의 광화이버에 전달해 주는 광연결부; 및 상기 LED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체 발광형 도로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앞선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LED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도로표지판 전체를 분해하여 교체해야 하며, LED의 휘도 향상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053548호 "LED 면발광체를 이용한 부분보수 도로표지판"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기존 도로표지판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부분적으로 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LED 면발광체를 이용한 부분보수 도로표지판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도로표지판을 부분적으로 보수하여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 또한 LED 면발광체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은 적용되지 않음으로서, 야간, 안개, 폭우 등의 기상환경 악화 시 운전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도로정보를 안내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판형의 도로표지보드와, 이 도로표지보드에 탈착 결합되되, 도로정보를 빛을 발광시켜 운전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발광안내모듈을 포함하되, 투광패널의 전후면에 제1 및 제2 도광판을 더 구비하여 빛의 휘도를 향상시켜 운전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도로정보를 안내할 수 있는 발광형 표지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도광판은 도로정보에 해당하는 표지에 맞는 형상을 갖도록 하고, 제2 도광판은 도로정보의 형상을 제외한 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하여 휘도를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형 표지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안내모듈이 도로정보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유지보수를 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발광안내모듈만 탈착시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형 표지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기존에 설치된 비발광형 표지판의 전면부에 상기 발광안내모듈을 결합함으로서 비발광형 표지판을 발광형 표지판으로 변경할 수 있는 발광형 표지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은
장착부를 구비한 도로표지보드; 및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며 도로정보에 따라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발광안내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안내모듈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투광패널,
상기 투광패널의 측면에 구비된 광원,
상기 투광패널 배면에 구비되고, 교통정보에 해당하는 표지에 맞는 형상을 갖는 제1 도광판,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은
판형의 도로표지보드와, 도로정보에 따라 개별적으로 탈착 결합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발광안내모듈 및 발광안내모듈에서 발광되는 빛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제1 도광판 및 제2 도광판을 구비하여 휘도를 향상시킴으로서 운전자의 도로정보 인식율을 향상시키며, 특히 폭우, 안개, 폭설 등의 기상조건이 악화되더라도 운전자가 도로정보를 손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광판을 투광패널 후면에 부착되는 제1 도광판과, 투광패널 전면에 부착되는 제2 도광판으로 구성하되, 상기 제2 도광판은 안내하고자 하는 도로정보의 형상을 제외한 부분에 부착시키고, 제1 도광판은 안내하고자 하는 도로정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부착하여 휘도를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발광안내모듈이 도로정보에 따라 개별적으로 구비됨에 따라 유지보수 시에는 각각의 발광안내모듈만 도로표지보드로부터 탈착시켜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발광안내모듈을 기존에 설치된 도로표지보드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비발광형 도로표지보드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휘도가 향상된 발광형 표지판으로 변형이 가능하여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의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의 발광안내모듈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안내모듈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의 도광판의 실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B)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표지보드(10)와, 이 도로표지보드(10)에 구비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발광안내모듈(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도로표지보드(10)는 판형의 부재로서, 도로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도로정보(I)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로표지보드(10)에 발광안내모듈(20)을 개별적으로 탈착할 수 있도록 결합함으로서 유지 보수시에 발광안내모듈(20)만 따로 분리하여 보수 또는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도로표지보드(10)에는 발광안내모듈(20)이 설치되기 위한 장착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착부(11)의 개수는 안내하고자 하는 정보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장착부(11)에 발광안내모듈(20)이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장착부(11) 및 발광안내모듈(20)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도로표지보드(10)에는 안내하고자 하는 정보에 따른 장착부(11)가 형성되고, 이 장차굽(11)에 발광안내모듈(2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광안내모듈(20)에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31)와, 발광된 빛을 전면으로 조사하는 투광패널(33)이 더 구비되어 있다.
먼저 발광안내모듈(20)은 상기 도로표지보드(10)의 장착부(11)에 구비되는 제1 실시예와, 기존의 도로표지보드(10), 즉 비발광형 표지보드에 결합되는 제2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발광안내모듈(20)은 상기 도로표지보드(10)의 장착부(11)에 구비되는데,
상기 발광안내모듈(2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발광안내모듈(20)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성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은 배면 제1채널과, 전면 제2채널과, 제1채널에 결합되는 백보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1채널은 백보드가 결합되는 제1-1베이스핀과, 이 제1-1베이스핀 단부에 구비된 제1-1사이드핀과, 제1-1베이스핀 내측에 구비된 제1-2사이드핀과, 제1-2사이핀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투광패널을 지지하는 제1-2베이스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채널은 제1채널 전면에 결합되고, 전면에 배열되고 투광판의 전면을 지지하는 제2베이스핀, 이 제2 베이스핀 단부에 구비되고 제1-1 사이드핀 내측에 접촉하는 제2-1사이드핀과, 제2 베이스핀 내측에 구비되고 제1-2사이드핀의 내측에 접촉하는 제2-2사이드핀 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채널(21)은 상기 발광안내모듈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 채널(21)들 사이로 투광패널(33)이 구비되어 광원이 조사되게 되며, 상기 제1 채널(21)들 사이에는 후술하는 투광패널(33)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별도의 알루미늄 재질의 백보드(25)가 용접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제1 채널(21)은 발광안내모듈(20)에 구비되되, 상하 서로 거울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 중 하나의 제1 채널(21)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채널(21)은 상기 발광안내모듈(20)에 구비되는 제1-1 베이스핀(211)과, 상기 제1-1 베이스핀(211)으로부터 후단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1-1 사이드핀(212)과, 상기 제1-1 사이드핀(212)보다 하부방향에 이격부(215)를 형성하여 돌출 구비되는 제1-2 사이드핀(213)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러한 형상은 도 2의 단면형상을 기준으로 F 형상과 유사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F-type의 제1 채널(21)라 명명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1-2 사이드핀(213)에는 투광패널(33)을 지지하기 위한 제1-2 베이스핀(217)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제1-2 베이스핀(217)에 배면, 즉 투광패널(33)의 단부와 제1-2 사이드핀(213) 사이에 발광부재(31)가 구비되어 투광패널(33)의 측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투광패널(33)이 결합된 후, 이 투광패널(33)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채널(21)에는 제2 채널(23)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채널(23)은 1채널 전면에 결합되고, 전면에 배열되고 투광판의 전면을 지지하는 제2 베이스핀, 이 제2 베이스핀 단부에 구비되고 제1-1 사이드핀 내측에 접촉하는 제2-1 사이드핀과, 제2 베이스핀 내측에 구비되고 제1-2 사이드핀의 내측에 접촉하는 제2- 2사이드핀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2-1 사이드핀(231)이 이격부(215)에 끼움결합되고, 제2-2 사이드핀(233)이 제1-2 사이드핀(213)에 밀착되어 흔들림을 방지하며, 상기 제2 베이스핀(237)이 투광패널(33)의 후단을 지지함에 따라 투광패널(33)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발광안내모듈(20)의 제2 실시예는 기존에 설치된 비발광형 표지보드(10')의 전면부에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의 함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함체가 상기 비발광형 표지보드(10')의 전면에 볼트로 체결됨에 따라 비발광형 표지판(B)을 발광형 표지판(B)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함체 내부에는 앞서 언급한 제1 채널(21)이 형성되어 투광패널(33) 및 발광부재(31)가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으며, 이 함체는 상기 비발광형 표지보드(10')의 전면부에 볼트 체결 가능한 바디(27)와, 상기 바디(27) 전면에 구비되어 안내하고자 하는 도로정보(I)가 형성된 덮개(28)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덮개(28)가 상기 바디(27)에 맞물려 결합함으로서 하나의 함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28)와 바디(27)는 상호간에 또 다른 볼트 등으로 체결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함체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중량을 가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덮고는 안내하고자 하는 도로정보(I)에 따라 홀이 형성된 형상으로, 투광패널(33)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홀을 통하여 투광패널(33) 전면으로 조사됨에 따라 운전자가 도로정보(I)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즉, 덮개(28)가 상기 도로표지보드(10)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이 전면부가 운전자가 인식하는 부분을 말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투광패널(33)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휘도를 향상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정보(I)의 인식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시트로 구성된 제1 및 제2 도광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광판은 상기 투광패널(33)의 후면(배면)에 구비되는 제1 도광판(43)과, 투광패널(33)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2 도광판(4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도광판(43)은 안내하고자 하는 도로정보(I)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성하여, 투광패널(33)에서 후면으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어 전면으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 도광판(41)은 안내하고자 하는 도로정보(I)의 형상을 제외한 부분, 즉 안내하고자 하는 도로정보(I)의 형상과 동일한 공백부(411)를 형성하여 투광패널(33) 전면에 부착됨에 따라 빛이 공백부(411)로 집중되어 조사될 수 있도록 하여 빛의 로스를 방지함에 따라 빛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2 도광판(41)에는 반사시트로 이루어지는 재귀반사부(S)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재귀반사부(S)에도 공백부와 동일하게 도로정보의 형상과 동일한 타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도광판(제1 도광판과 제2 도광판을 모두 지칭하는 것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광판이라 하도록 한다.)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도광판은 베이스필름(45)과, 이 베이스필름(45) 표면에 반복 이격 형성된 도광패턴(47)들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필름(45)은 특히 반사필름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반사필름은 광원(발광부재(31))에서 조사된 빛을 도광판으로 효과적으로 반사하고, 발광장치의 이면보호필름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광판 중 제2 도광판(41)은 빛의 투과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반사필름의 역할을 수행하는 베이스필름(45)이 투광패널(33)에 부착됨에 따라 반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광판(43)은 후술하는 도장패턴이 투광패널(33)의 후단에 접착됨에 따라 베이스필름(45)에 의해 반사된 빛이 상기 도장패턴을 통과하여 도로정보(I)의 형상으로 발산됨에 따라 휘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보다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휘도강화부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휘도강화부는 도로표지보드의 해당 도로정보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재귀반사성 부재 또는 이종 도광패턴 부재(색상 또는 도광패턴 또는 이둘 모두가 다른 것을 말한다.)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휘도강화부는 도로정보를 나타내는 각 기호, 문양의 중앙에 재귀반사성부재 또는 이종 도광패턴 부재를 부착함으로서 형성되는 테두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도로정보의 중심부는 제1 도광판에 의해 반사된 빛과 투광채널을 통해 조사된 빛이 상기 부재(재귀반사성부재, 이종 도광패턴부재)에 의해 가려져 좀더 어둡고, 테두리부분은 상기 빛의 가려짐이 없어 더 밝게 조사됨에 따라 도로정보가 강조되는 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보다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투광채널이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발광안내모듈 전면에는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커버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커버에는 상기 도로정보에 따른 타공이 형성되어 투광채널의 빛이 나올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는 프레임에 볼트 등으로 결합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 때 재귀반사부(시트)는 상기 커버 내측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상기 발광안내모듈은 상기 도로표지보드에 보다 손쉽게 체결되기 위하여 슬라이딩 결합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도로표지보드 후면에는 장착공 상부와 하부에 슬라이딩 레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베이스필름(45) 또는 반사필름은 작업성을 위하여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는 것이 좋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 PC) 재질로 구성 될 수 있다.
상기 각 패턴은 점착제가 혼합된 발광잉크를 인쇄하여 형성되며, 점착제로 인하여 베이스필름(45)의 패턴형성 면이 점착성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도광패턴(47)을 위한 발광잉크 조성물의 발광성분은 통상의 도광판의 것, 예를 들어 산화티타늄이나 글라스 등의 세라믹 입자를 통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공지 기술 문헌으로는 특허공개 제10-2012-0049688호(공개일자 2012년05월17일) [광확산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패널]이 있다.
또 상기 점착 성분을 가진 아크릴(acrylic) 또는 실리콘(silicone)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기타 우레탄계, 폴리합성수지, 우레탄 비닐계 합성수지 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도 있으며, 액상 또는 페이스트 형태로 인쇄되어 겔(gel)형태로 경화될 수 있는 성질을 갖고, 공지의 'Post it'™(포스트잇)과 같이 반복하여 점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연 경화성 또는 UV 경화 특성을 가져, 도광판과 투광패널(33)의 결합상태의 안정성이 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베이스필름(45), 특히 반사필름에 발광잉크로 패턴을 인쇄하는 방식은 실용신안등록 제20-0451991호(등록일자 2011년01월18일) [빛 유도패턴이 구비된 반사시트 제조장치]에 제시된 바와 같이, 롤타입 인쇄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패턴의 정밀성 확보를 위하여 스크린 인쇄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도광패턴(47)은 격자형(L1,L2)이거나 도트형(D1,D2,D3)일 수 있다.
상기 패턴들은 광원이 조사되는 방향, 즉 전면부에서 멀수록 밀도가 증가하여 발광부재(31)의 빛이 고른 휘도를 보이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러한 특성은 도트형 도광패턴(47)의 경우 더 바람직하며, 저밀도부(Dℓ)에서 고밀도부(Dh)로 밀도가 점증(GRADATION)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한데,
제1도트형(D1)에서는 단위면적당 패턴요소의 수를 차츰 증가시키는 방식을 취하고 있고,
제2 및 제3 도트형(D2,D3)에서는 각 패턴요소의 개별 크기를 차츰 증가시키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제1 및 제3 도트형(D1,D3)은 일단(전면부)에 저밀도부(Dℓ)가 위치하고, 타단에 고밀도부(Dh)가 위치한 형태이며, 제2도트형(D2)은 양단에 저밀도부(Dℓ)가 위치하고, 중앙에 고밀도부(Dh)가 위치한 형태이다.
이에 비하여, 격자형 도광패턴(47)은 상기 각 패턴이 사각형 패턴윤곽(471) 내에 밀집된 복수의 패턴요소들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두 격자형 도광패턴(47)의 각 패턴요소는 모두 삼각형 또는 유사 삼각형(모서리가 둥글게 변형된)을 갖는다.
상기 제1격자형 도광패턴(471)은 모서리부(471a)와 변(邊)부(471b)를 구성하는 것이 상호 분리된 형태의 패턴요소를 갖고, 상기 모서리부(471a)는 사각형 패턴윤곽(471)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고 삼각형의 어느 한 꼭지점이 모서리부(471a)의 꼭지점과 상응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격자형 도광패턴(471)은 2개의 패턴요소가 모여 하나의 변(邊)부(471b)를 구성하고, 상기 변(邊)부(471b)는 각 패턴요소의 밑변끼리 닿지 않도록 평행하게 모인 마름모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름모의 형상으로 구성된 변(邊)부(21b)는 사각형 패턴윤곽(471) 내에 복수 개 구비된다. 상기 변(邊)부(471b)는 각 패턴요소의 변 길이에 따라 정사각형의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변(邊)부(471b)는 사각형 패턴윤곽(471) 내에 4개가 구비되고, 각 변(邊)부(471b)는 시계방향 기준으로 12시와 6시 방향(세로방향) 및 3시와 9시 방향(가로방향)의 변(邊)부(471b)는 각각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가로방향에 놓여진 2개의 변(邊)부(471b)는 같은 형태이고, 세로방향에 놓여진 2개의 변(邊)부(471b)도 같은 형태이지만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형태는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제1격자형 도광패턴(471)과는 달리, 상기 제2격자형 도광패턴(473)은 하나의 패턴요소에서 일부는 모서리부(473a)를 담당하고, 나머지 일부는 변(邊)부(473b)를 담당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격자형 도광패턴(47)은 각 격자형 도광패턴(47)을 갖는 도광판을 적용한 결과 광원이 일측에만 구비되어도, 그리고 패턴요소들의 밀도가 증감 없이 전체적으로 균일하여도 투광패널(33) 전체에 결쳐 휘도가 균일하고 고품질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나아가 이러한 사각형 패턴윤곽(20L)을 갖는 도광판은 경사진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휘도 품질이 더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에는 백보드가 용접하여 결합되는 바, 용접공정을 제외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F)을 더 도입하여 제작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우선, 상기 백보드의 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결합돌기(F10)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결합돌기(F10)가 내삽될 수 있는 결합홈(F20)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때 상기 결합돌기(F10)와 결합홈(F20)에 고정수단(F)을 구비하여 이들을 상호 견고하게 고정하는 바, 이 때 상기 고정수단(F)은 백보드를 따라 비연속적으로 구비되게 된다.
다시 상기 결합돌기(F10)에는 한 쌍의 결합부재(F3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결합부재(F30)는 헤드부(F31)와 다리부(F3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헤드부(F31)는 상기 결합돌기(F10) 내에 위치하고, 다리부(F33)가 상기 결합돌기(F1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재(F30)는 종래에 흔히 사용되는 케이블타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상기 다리부(F33)의 단부에는 뾰족부(F33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관통홀(F21)에 보다 손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상기 결합홈(F20)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6의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 전후(전방을 우측으로 한다.)를 나누어 설명하면,
상기 제1-1 베이스핀에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F30)가 내삽될 수 있는 관통홀(F21)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결합홈(F20)의 전방에 다리부(F33)가 인입될 수 있는 진입부(F211)가 형성되고, 진입부(F211)와 연통되는 관통홀(F21)이 구비되며, 이 관통홀(F21)의 끝단, 즉 배출부(F213)는 상기 결합홈(F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는 구조로, 상기 관통홀(F21)의 형상이 곡선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관통홀(F21)은 두 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부의 관통홀(F21)의 배출부(F213)는 결합홈(F20)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하부의 결합홀의 배출부(F213)는 결합홈(F2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결합부재(F3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다리부(F33)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돌기(F10)가 결합홈(F20)에 내삽되면, 상기 다리부(F33)가 진입부(F211)로 삽입되어 관통홀(F21)을 통과하여 배출부(F213)로 나오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결합돌기(F10)에는 상기 헤드부(F31)가 구비된 위치에 대응하는 수직방향의 삽입홀(F12)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F30)의 다리부(F33)가 상기 삽입홀(F12)로 삽입되어 헤드부(F31)에 끼워질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상부의 결합부재(F30)의 다리부(F33)는 상부방향에서 삽입홀(F12)에 삽입되고, 하부의 결합부재(F30)의 다리부(F33)는 하부방향의 삽입홀(F12)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헤드부(F31)와 다리부(F33)의 결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헤드부(F31)에는 상기 다리부(F33)가 끼워질 수 있는 스토핑홀(F311)이 형성되고, 이 스토핑홀(F311)을 침범하는 탄성돌기(F312)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다리부(F33)에는 비대칭톱니부(F333)가 형성되는데, 상기 비대칭톱니부(F333)는 사선부(F3331)와 직선부(F3332)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핑홀(F311)을 관통함에 따라 상기 탄성돌기(F312)가 상기 비대칭톱니부(F333)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사선부(F3331)에 의해 다리부(F33)는 진입되는 일방향으로는 결합이 용이하나, 직선부(F3332)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F10)가 걸려 상기 다리부(F33)가 후퇴하지 못하도록 하여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백보드와 제1-1 베이스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는 바, 본 발명은 접착부재(F40)를 더 도입하여 이를 보완하고 있다.
먼저 상기 접착부재(F40)는 비닐, 얇은필름으로 이루어진 외피와 이 외피 내부에 충진되는 접착용액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피가 터지면 상기 접착용액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착부재(F40)는 상기 결합홈(F20)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 때 별도의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가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돌기(F10)의 전방에는 뾰족하게 돌출된 뾰족핀부(F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F20)에는 상기 뾰족핀부(F11)에 대응하는 안착홈(F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착홈(F23) 위치에 상기 접착부재(F40)가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F10)를 결합홈(F20)에 내삽시키면, 상기 뾰족핀부(F11)가 상기 접착부재(F40)의 외피를 터트리게되고, 외피가 터져 접착부재(F40)가 흘러나와, 상기 결합돌기(F10)와 결합홈(F20) 사이의 면으로 스며들어 이들을 상호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발광형 표지판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 : 발광형 표지판 10 : 도로표지보드
11 : 장착부 20 : 발광안내모듈
21 : 제1 채널 211 : 제1-1 베이스핀
212 : 제1-1 사이드핀 213 : 제1-2 사이드핀
215 : 이격부 217 : 제1-2 베이스핀
23 : 제2 채널 231 : 제2-1 사이드핀
233 : 제2-2 사이드핀
27 : 바디 28 : 덮개
31 : 발광부재
33 : 투광채널 40 : 도광판
41 : 제2 도광판 411 : 공백부
43 : 제1 도광판 45 : 베이스필름
47 : 도광패턴

Claims (4)

  1. 장착부(11)를 구비한 도로표지보드(10); 및
    상기 장착부(11)에 구비되며 도로정보에 따라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발광안내모듈(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안내모듈(20)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투광패널(33),
    상기 투광패널(33)의 측면에 구비된 광원(31),
    상기 투광패널(33) 배면에 구비되고, 교통정보에 해당하는 표지에 맞는 형상을 갖는 제1 도광판(43),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투광패널(33)의 전면에 구비되고, 교통정보에 해당하는 공백부(411)를 갖는 제2 도광판(41)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도광판(43)이 투광패널(33) 배면으로 조사된 빛을 투광패널(33) 전면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제2 도광판(41)이 상기 투광패널(33)의 공백부(411)가 아닌 위치에서 발산된 빛이 전면으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공백부(411)로 빛이 집중되어 조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도광판(43)과 제2 도광판(41) 모두는
    베이스필름(45)과, 상기 베이스필름(45) 표면에 반복 이격 형성된 도광패턴(4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도광패턴은 점착제가 혼합된 발광잉크를 인쇄하여 형성되어 점착성을 갖고,
    상기 각 도광패턴은 모서리부(471a)와 변부(471b)를 구성하는 밀집된 복수의 패턴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요소의 모서리부(471a)는 사각형 패턴윤곽(471)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고, 삼각형의 어느 한 꼭지점이 모서리부(471a)의 꼭지점과 상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패턴요소의 변부(471b)는 사각형 패턴윤곽(471)내에 4개가 구비되고, 각 변부(471b)는 시계방향 기준으로 12시와 6시 방향 및 3시와 9시 방향은 각각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은 배면 제1 채널(21)과, 전면 제2 채널(23)과, 제1 채널(21)에 결합되는 백보드(25)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채널(21)은 백보드(25)가 결합되는 제1-1 베이스핀(211)과, 이 제1-1 베이스핀(211) 단부에 구비된 제1-1 사이드핀(212)과, 제1-1 베이스핀(211) 내측에 구비된 제1-2 사이드핀(213)과, 제1-2 사이드핀(213)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투광패널(33)을 지지하는 제1-2 베이스핀(217)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채널(23)은 제1 채널(21) 전면에 배열되고 투광패널(33)의 전면을 지지하는 제2 베이스핀(237), 이 제2 베이스핀(237) 단부에 구비되고 제1-1 사이드핀(212) 내측에 접촉하는 제2-1 사이드핀(231)과, 제2 베이스핀(237) 내측에 구비되고 제1-2 사이드핀(213)의 내측에 접촉하는 제2-2 사이드핀(233)으로 구성되고,

    상기 백보드 단부에는 결합돌기(F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1 베이스핀(211)에는 상기 결합돌기(F10)가 내삽되는 결합홈(F20)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F10)에는 헤드부(F31)와 다리부(F33)로 이루어진 한 쌍의 결합부재(F30)와, 상기 결합홈(F20)에는 전방에 상기 다리부(F33)가 인입되는 진입부(F211)와, 이 진입부(F211)와 연통되며 상기 결합홈(F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배출부(F213)가 형성되는 관통홀(F21)을 포함하는 고정수단(F)이 더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F10)가 상기 결합홈(F20)에 인입되면, 상기 결합부재(F30)의 다리부(F33)가 상기 진입부(F211)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부(F213)로 나와 상기 결합부재(F30)의 헤드부(F31)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결합돌기(F10)를 결합홈(F20)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패널(33)의 전면에는 교통정보를 제외한 부분에 구비되는 재귀반사부(S)가 더 구비되고,
    상기 도로표지보드(10)의 도로정보 테두리에 구비되어 시인성을 높이는 휘도강화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F31)에는
    상기 다리부(F33)가 끼워질 수 있도록 스토핑홀(F311)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홀(F311)을 침범하는 탄성돌기(F312)가 구비되며,
    상기 다리부(F33)에는 사선부(F3331)와 직선부(F3332)가 반복 형성된 비대칭톱니부(F333)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돌기(F312)가 상기 비대칭톱니부(F333)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F20)의 전면에는
    접착용액이 충진된 외피로 이루어지는 접착부재(F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기(F10)의 전방에는 상기 외피를 절개하는 뾰족핀부(F1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
KR1020190072035A 2019-06-18 2019-06-18 발광형 표지판 KR102147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035A KR102147411B1 (ko) 2019-06-18 2019-06-18 발광형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035A KR102147411B1 (ko) 2019-06-18 2019-06-18 발광형 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411B1 true KR102147411B1 (ko) 2020-08-24

Family

ID=7223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035A KR102147411B1 (ko) 2019-06-18 2019-06-18 발광형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4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892B1 (ko) * 2022-05-04 2022-06-22 박영근 도로교통 표지판
WO2023043134A1 (ko) * 2021-09-16 2023-03-23 이지그룹 주식회사 발광시트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지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260Y1 (ko) * 2004-03-08 2004-06-26 서정영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볼라드
KR101032516B1 (ko) * 2010-08-17 2011-05-04 주식회사 명신전자 엘이디 표지판
KR101629914B1 (ko) * 2015-02-02 2016-06-14 주식회사 비바아트 국부 발광형 도로 표지판 장치
KR20160104116A (ko) * 2015-02-25 2016-09-05 기동안전(주) 수밀성이 향상되고 조립이 용이한 교통표지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260Y1 (ko) * 2004-03-08 2004-06-26 서정영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볼라드
KR101032516B1 (ko) * 2010-08-17 2011-05-04 주식회사 명신전자 엘이디 표지판
KR101629914B1 (ko) * 2015-02-02 2016-06-14 주식회사 비바아트 국부 발광형 도로 표지판 장치
KR20160104116A (ko) * 2015-02-25 2016-09-05 기동안전(주) 수밀성이 향상되고 조립이 용이한 교통표지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134A1 (ko) * 2021-09-16 2023-03-23 이지그룹 주식회사 발광시트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지판
US11934000B2 (en) 2021-09-16 2024-03-19 Ez Group Inc. Light emitting sheet and road sign using same
KR102411892B1 (ko) * 2022-05-04 2022-06-22 박영근 도로교통 표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914B1 (ko) 국부 발광형 도로 표지판 장치
KR102147411B1 (ko) 발광형 표지판
KR200484132Y1 (ko)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
KR101404775B1 (ko) 착탈식 광 교통 표지판용 결합장치 및 그 결합장치를 이용한 착탈식 광 교통 표지판 설치방법
KR101799459B1 (ko) 탈거와 부착이 가능한 광섬유 표지판 제조방법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454336Y1 (ko) 도로용 발광다이오드 표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KR101471389B1 (ko) 표지판의 면광원 장치
KR20170086868A (ko) 광섬유 표지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5103B1 (ko) 투과판, 이를 포함하는 교통표지판 및 이 교통표지판의 제조 방법
KR101300923B1 (ko) Led 표지판이 설치된 도로경계석
KR101082853B1 (ko) 조명형 도로표지판
KR101404774B1 (ko) 착탈식 광 교통 표지판
KR101111070B1 (ko) 조명 간판
KR200365432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교통안전표지장치
KR101247038B1 (ko) 간판용 입체 문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32516B1 (ko) 엘이디 표지판
KR20060123887A (ko) 일체형 발광 표지판
KR100769589B1 (ko) 주야 변환용 다중 광고판
KR102580020B1 (ko) 차양수단을 구비한 교통표지판
KR102638118B1 (ko) 내부 조명식 도로표지판
KR102577218B1 (ko) 교통표지판
DE202012004930U1 (de) Ein Verkehrsschild oder eine Reklametafel mit einem rückfokussierendem und helligkeitsverstärkenden Effekt
KR100251397B1 (ko) 측광도료를 이용한 발광시트지 및 제조방법
KR102161645B1 (ko) 박형 및 절전형 led 도로교통 안내판
KR101417640B1 (ko) 엘이디를 이용한 도로교통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