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132Y1 -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 - Google Patents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132Y1
KR200484132Y1 KR2020160001502U KR20160001502U KR200484132Y1 KR 200484132 Y1 KR200484132 Y1 KR 200484132Y1 KR 2020160001502 U KR2020160001502 U KR 2020160001502U KR 20160001502 U KR20160001502 U KR 20160001502U KR 200484132 Y1 KR200484132 Y1 KR 200484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ign
traffic
opening
l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자
Original Assignee
(주)고려진공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려진공안전 filed Critical (주)고려진공안전
Priority to KR2020160001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본 고안은 경과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교통 표지판에 경광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경광 LED가 배치된 경과 모듈을 결합시켜 구성함으로써, 교통 표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교통 안전 물품 제작을 위한 비용, 시간 및 노력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고안인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전면에 교통 표시 정보가 표시되고,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표지판, 상기 표지판의 후면에 부착되되,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경광용 LED의 광을 방사시키는 경광 모듈, 상기 표지판의 후면과 지주봉을 결합 고정하는 결합 수단, 상기 지주봉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경광용 LED에 공급할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 공급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a traffic sing device having warning function}
본 고안은 경과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교통 표지판에 경광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경광 LED가 배치된 경광 모듈을 결합시켜 구성함으로써, 교통 표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교통 안전 물품 제작을 위한 비용, 시간 및 노력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교통안전표지는 도로교통에 관한 주의·규제·지시를 나타내는 표지와 표시로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문자와 도형적인 기호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교통안전표지는 그 내용을 운전자와 보행자가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시인성(視認性, Visibility)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교통안전표지의 내용은 야간, 악천후 시에도 시인성의 확보를 위하여 차량, 가로등 등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물질이나 빛에 형광하는 형광물질에 의하여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야간, 악천후 시에 원거리에서는 교통안전표지의 내용을 정확하게 식별하기 매우 곤란하고, 특히 야간에는 교통안전표지에 빛이 비치지 않으면 그 내용을 알 수 없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야간, 악천후 시에 운전자의 가시거리가 짧아지고, 또한 운전자가 교통안전표지를 정확하게 식별하지 못할 경우 운전자의 안전운행에 지장이 초래되어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최근 자동차의 증가로 교통사고가 매년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각 기관에서는 사고의 위험도로와 운전자에게 전방의 상황을 인지시킬 수 없는 도로 등에 반사시트를 이용한 표지판을 설치하기도 하며, 또한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하여 적색과 청색의 빛을 이용하여 경광등을 설치하기도 한다.
이러한 노력은 운전자의 안전과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이행되고 있으며, 정부의 각 기관에서는 더욱 효과적으로 도로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를 운전하다 보면 도로 주변에 경찰차량의 상징인 경광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는 사고의 위험이 있는 곳에서 속도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지만 너무 오래전부터 설치되어 왔기 때문에 속도를 줄이는 운전자가 극소수이고, 교통 표지판과는 별개로 제작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교통 안전 물품 제작에 따른 비용이 필요 이상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를 운전하다 보면 도로 주변에 특정 교통 표시 정보를 보여주는 교통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교통 표지판 역시 사고 위험이 많은 곳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 교통 표지판은 주간에는 운전자에게 정보 전달이 가능하지만 야간에는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기에는 역부족일 수밖에 없다. 또한, 이 교통 표지판 역시 경광등과는 별개로 제작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교통 안전 물품 제작에 따른 비용이 필요 이상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338호(2006. 03. 07. 공고, 고안의 명칭 :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교통안전표지장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기존의 교통 표지판에 경광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경광 LED가 배치된 경광 모듈을 결합시켜 구성함으로써, 교통 표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교통 안전 물품 제작을 위한 비용, 시간 및 노력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고안인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전면에 교통 표시 정보가 표시되고,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표지판, 상기 표지판의 후면에 부착되되,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경광용 LED의 광을 방사시키는 경광 모듈, 상기 표지판의 후면과 지주봉을 결합 고정하는 결합 수단, 상기 지주봉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경광용 LED에 공급할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 공급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경광 모듈은 개방된 일면에 해당하는 개방면을 구비하는 육면체 형상의 수용 함체와 상기 수용 함체의 수용 공간 내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경광용 LED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용 함체는 상기 개방면이 상기 개구부와 통할 수 있도록 상기 표지판의 후면에 접촉 결합되고, 상기 경광용 LED는 상기 수용 함체의 개방면을 향하여 배치되되 상기 개방면을 통과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공급 모듈은 상기 지주봉 상단에 안착되는 컨트롤러 박스와 상기 컨트롤러 박스의 상측에 배치되는 태양전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컨트롤러 박스는 내부에 컨트롤러와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수집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한 후 상기 배터리에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상기 복수개의 경광용 LED에 공급되어 경광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고안인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교통 표지판에 경광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경광 LED가 배치된 경과 모듈을 결합시켜 구성하기 때문에, 교통 표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교통 안전 물품 제작을 위한 비용, 시간 및 노력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경광등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교통 표지판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의 후면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를 구성하는 경광 모듈의 결합 및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를 구성하는 결합 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를 구성하는 컨트롤러 박스에 전력선이 연결되는 일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고안인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의 정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의 후면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100)는 표지판(10), 경광 모듈(30), 결합 수단(50) 및 태양광 공급 모듈(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100)는 전면에 교통 표시 정보가 표시되고,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표지판, 상기 표지판의 후면에 부착되되,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경광용 LED의 광을 방사시키는 경광 모듈, 상기 표지판의 후면과 지주봉을 결합 고정하는 결합 수단, 상기 지주봉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경광용 LED에 공급할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 공급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지판(10)은 전면에 교통 표시 정보가 표시되고, 상측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표지판(10)은 일반적인 교통 표지판과 동일하게 전면에 교통 표시 정보가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표지판(10)은 기존의 교통 표지판과 달리 상측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1)는 상기 경광 모듈(30)을 구성하는 복수의 경광용 LED(31)에서 출사되는 광이 전방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부(11)는 상기 복수의 경광용 LED(31)가 상기 표지판(10)의 전면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측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경광용 LED(31)에서 방사되는 광이 전면측으로 출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경광 모듈(30)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경광용 LED(31)가 상기 개구부(11)를 통과하여 상기 표지판(10)의 전면측으로 돌출되면 외관상 좋지 않고, 상기 복수의 경광용 LED(31)의 손상 및 파손 염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경광용 LED(31)는 상기 표지판(10)의 전면측으로 돌출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후면측에 배치되되, 경광용 광을 전방으로 출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경광 모듈(30)이 부착되는 상기 표지판(10)의 대응되는 상측에 상기 개구부(11)가 형성된다.
상기 표지판(10)은 알루미늄 등 가벼운 금속 재질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에 부착되는 고휘도 반사지 및 상기 고휘도 반사지 상에 부착되어 교통 정보를 구성하는 정보 표시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교통 정보를 구성하는 정 보 표시지는 반사지로 구성될 수도 있고, 반사 기능이 없는 표시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표지판(10)의 후면 상측에는 상기 경광 모듈(30)이 부착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광 모듈(30)은 상기 개구부(11)가 형성되는 상기 표지판(10)의 상측 후면부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부(11)를 통하여 경광용 LED(31)의 광을 방사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경광 모듈(30)은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부착되되, 상기 개구부(11)를 통하여 상기 경광용 LED(31)의 광을 방사시킨다. 따라서 상기 경광 모듈(30)은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경광용 LED(31)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로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부착형성된다.
도 5의 (a)는 상기 경광 모듈(30)의 평면도이고, 도 5의 (b)는 상기 경광 모듈(3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100)를 구성하는 상기 경광 모듈(30)은 개방면(33a)을 구비하는 육면체 형상의 수용 함체(33)와 상기 수용 함체(33)의 수용 공간 내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경광용 LED(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 함체(33)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개방된 일면에 해당하는 개방면(33a)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수용 함체(33)는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져서 그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상기 복수개의 경광용 LED(31)가 장착된다.
상기 수용 함체(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부착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부착 결합되는 상기 수용 함체(33)는 상기 개방면(33a)이 상기 표지판(10)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11)와 통할 수 있도록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접촉 결합된다.
상기 수용 함체(33)의 내부 수용 공간에 장착되는 상기 복수개의 경광용 LED(31)에 방사되는 광이 상기 표지판(10)의 전면측(전방측)으로 출사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함체(33)는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부착되되, 상기 개방면(33a)과 상기 표지판(10)에 형성된 개구부(11)가 통할 수 있도록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접촉 결합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접촉 결합되는 상기 수용 함체(33)의 수용 공간에는 상기 복수의 경광용 LED(31)가 장착된다. 이 경광용 LED(31)는 광이 상기 표지판(10)의 전면측(전방측)을 향하여 방사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함체(10)의 개방면(33a)을 향하여 배치된다.
다만, 상기 경광용 LED(31)는 상기 표지판(10)의 전면측으로 광을 출사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되, 상기 개방면(33a)을 통과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경광용 LED(31)는 그 상단이 상기 개방면(33a)을 통과하지 않도록 상기 육면체 형상의 수용 함체(10)의 내부 수용 공간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접촉 결합되는 상기 수용 함체(10) 내부에 장착되는 상기 경광용 LED(31)의 상단은 당연히 상기 표지판(10)의 전면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표지판(10)의 전면측으로 광을 방사한다.
결국, 상기 경광용 LED(31)는 상기 표지판(10)의 전면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경광용 LED(31)는 표지판(10)의 외관을 떨어뜨리지 않고, 또한 파손 또는 손상의 염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형태로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경광용 광을 방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경광 모듈(30)은 개방된 일면에 해당하는 개방면(33a)을 구비하는 육면체 형상의 수용 함체(33)와 상기 수용 함체(33)의 수용 공간 내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경광용 LED(3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용 함체(33)는 상기 개방면(33a)이 상기 개구부(11)와 통할 수 있도록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접촉 결합되고, 상기 경광용 LED(31)는 상기 수용 함체(33)의 개방면(33a)을 향하여 배치되되 상기 개방면(33a)을 통과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 경광 모듈(3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인 구성상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경광 모듈(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수용 함체(33), 상기 수용 함체(33)의 내부 바닥면에 얇게 형성되는 베이스 절연층(35), 상기 베이스 절연층(35) 상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36), 상기 인쇄회로기판(36)에 마운팅된 복수개의 경광용 LED(31), 상기 복수개의 경광용 LED(31) 각각에 씌워진 상태로 상기 인쇄회로기판(36)에 안착되는 확산렌즈 캡(37) 및 상기 수용 함체(33)의 수용 공간에 충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36), 확산렌즈 캡(37)을 고정하는 방수/고정 절연층(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 함체(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개방면(33a)을 구비하는 육면체 형상이되, 상기 개방면(33a)의 각 모서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펼쳐져서 연장 형성되는 4개의 접합 날개부(33b)를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접합 날개부(33b)는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접촉된 상태로 결합된다. 다만 상기 각각의 접합 날개부(33b)는 상기 표지판(10)이 중량 및 제조 비용 등을 고려하여 얇은 두께로 형성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볼트 체결에 의하여 상기 표지판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납땜에 의하여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접촉 결합된다.
상기 수용 함체(33)의 내부 수용 공간 바닥면에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 절연층(35)은 상기 수용 함체(33)의 내부 바닥면에 얇게 채워지는 에폭시 등의 절연 물질이 경화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절연층(35)은 상기 수용 함체(33)와 인쇄회로기판(36)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상기 베이스 절연층(35) 상에는 상기 복수개의 경광용 LED(31)가 마운팅되어 고정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36)이 배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6)은 하드한 인쇄회로기판일 수도 있고, 연성인쇄회로기판일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인쇄회로기판(36)에는 상기 경광용 LED(31)에 공급할 전력을 배터리로부터 공급받기 위하여 전력 수급 케이블이 연결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6)에 연결된 상기 전력 수급 케이블은 상기 수용 함체(33)의 측면에 형성된 인입홀(미도시)을 통하여 상기 태양광 공급 모듈(70)을 구성하는 컨트롤러 박스에 연결된다.
상기 전력 수급 케이블은 상기 복수개의 경광용 LED(31)를 구성하는 발광색의 종류 개수만큼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경광용 LED(31)가 적색과 청색용 LED로 구성된다면 상기 전력 수급 케이블은 두개로 구성되고, 적색, 청색 및 백색용 LED로 구성된다면 3개로 구성된다.
상기 청색 및 적색 또는 청색, 적색 및 백색용 LED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경광용 LED(31)는 상호 교차 또는 순서대로 발광되도록 제어되어 경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경광용 LED(31) 각각에 씌워진 상태로 상기 인쇄회로기판(35)에 안착되는 확산렌즈 캡(37)은 일단 상기 경광용 LED(31)에서 방사되는 광을 확산시켜서 상기 표지판(10)의 전면측(전방층)으로 방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상기 확산렌즈 캡(37)은 상기 각각의 경광용 LED(31)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경광용 LED(31)를 보호할 수 있고, 특히 상기 방수/고정 절연층(38)을 형성하는 에폭시 수지가 충진되고 경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경광용 LED(31)가 밀리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경광용 LED(31)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렌즈 캡(37)은 그 하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36)에 안착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방수/고정 절연층(38)을 형성하는 에폭시 수지가 충진되고 경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6)을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방수/고정 절연층(38)은 상기 확산렌즈 캡(37)이 상기 경광용 LED(31)를 감싸고 상기 인쇄회로기판(36)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함체(33)에 에폭시가 충진된 후 경화되어 형성된다. 상기 에폭시가 충진되는 과정에서 상기 확산렌즈 캡(37)은 작업자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에폭시의 충진 및 경화 과정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6)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경광용 LED(31) 역시 밀리거나 힘을 받지 않아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경광 모듈(30)이 후면에 결합된 상기 표지판(10)은 지주봉(90)에 결합된 상태로 도로 측면 또는 중앙에 설치된다. 즉, 상기 지주봉(90)은 상기 표지판(10)의 후면과 결합된 상태로 지면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100)는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상기 지주봉(90)을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 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 수단(50)은 상기 표지판(10)의 후면과 상기 지주봉(90)을 결합 고정한다.
상기 결합 수단(5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부착되어 돌출 형성되는 돌출 장착부(51)와 상기 돌출 장착부(51)와 사이에 상기 지주봉(90)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돌출 장착부(51)에 체결되는 체결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돌출 장착부(51)는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부착되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표지판(10)의 상하 방향으로 가로 질러 결합되는 상기 지주봉(90)은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바로 부착 결합되는 것이 더 안정적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경광 모듈(30)이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경광 모듈(30)의 간섭에 따라 상기 표지판의 상하 방향으로 가로질러 결합되는 상기 지주봉(90)은 상기 표지판의 후면에 바로 부착 결합될 수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는 후방쪽으로 돌출되는 상기 돌출 장착부(5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 장착부(51)는 상기 표지판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거리에 해당하는 상기 경광 모듈(30)의 돌출 거리 이상의 돌출 거리를 가지도록 상기 표지판의 후면에서 돌출된 상태로 결합된다. 결국, 상기 지주봉(90)은 상기 돌출 장착부(51)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경광 모듈(30)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상기 돌출 장착부(51)의 끝단에는 선단을 따라 길게 슬라이딩 홈(51a)이 형성된다. 상기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홈(51a)은 후술할 슬라이딩 볼트(53a)가 측방향으로 끼워져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돌출 장착부(51)는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되, 상기 지주봉(90)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 장착부(51)에는 상기 지주봉(90)이 관통하여 개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53)가 결합된다. 즉, 상기 체결부(53)는 상기 지주봉(90)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돌출 장착부(51)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주봉(90)이 상기 결합 수단(50)에 의하여 상기 표지판(10) 후면에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53)는 상기 돌출 장착부(51)의 끝 선단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홈(51a)의 측부를 통해 머리 부분이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장착될 수 있는 한 쌍의 슬라이딩 볼트(53a)와, 상기 지주봉(90)에 접촉되는 반원 형상의 굴곡부(53b')와 상기 굴곡부(53b')의 양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되 상기 슬라이딩 볼트(53a)의 몸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이 구비되는 수평부(53b")로 구성되는 조임 매개체(53b) 및 상기 슬라이딩 볼트(53a)의 몸체에 끼워진 상태로 조여져서 상기 개재된 지주봉(90)이 상기 돌출 장착부(51)와 상기 조임 매개체(53b) 사이에서 강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임 너트(5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결합 수단(50)은 상기 표지판(10)의 상하 방향으로 두군데에 형성되어, 상기 표지판이 상기 지주봉(90)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광 모듈(30)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개의 경광용 LED(31)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에 의하여 동작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 공급 모듈(70)에서 생성한 태양광 발전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태양광 공급 모듈(70)은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고, 이 생성한 전력을 상기 경광용 LED(31)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태양광 공급 모듈(70)은 상기 지주봉(90)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경광용 LED(31)에 공급할 전력을 생성한다. 이를 위한 상기 태양광 공급 모듈(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봉(90) 상단에 안착되는 컨트롤러 박스(71)와 상기 컨트롤러 박스(71)의 상측에 배치되는 태양전지판(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 박스(71)는 상기 지주봉(90) 상단에 장착되되, 안정적이고 직사광선과 눈 또는 비를 피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봉(90) 상단에는 지지판(91)이 수평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91) 상에 상기 컨트롤러 박스(71)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 박스(71)는 직사광선 등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태양전지판(73)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태양전지판(73)은 일단이 상기 지지판(91)에 지지되고, 하부면이 상기 컨트롤러 박스(71)에 지지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 박스(71)는 상기 태양전지판(73)에 의하여 직사 광선 등을 피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태양전지판(73)은 태양 고도에 대응하여 사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지지판(91) 상에 안착 배치되는 상기 컨트롤러 박스(71)는 그 내부에 컨트롤러와 배터리를 구비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태양전지판(73)에서 수집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한 후 상기 배터리에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상기 복수개의 경광용 LED(31)에 공급되어 경광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컨트롤러 박스(71)는 내부에 컨트롤러와 배터리를 구비하되, 기본적으로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수집한 태양광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에너지를 상기 배터리에 전력으로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경광용 LED(31)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특히,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경광용 LED(31)가 청색, 적색 LED로 구성되거나 또는 청색, 적색 및 백색 LED로 구성될 때, 상기 복수의 경광용 LED(31)가 소정의 발광 패턴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각각의 LED가 교차 또는 순차적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 박스(71)는 상기 태양전지판(73)에서 생성한 전력을 상기 경광용 LED(31)에 공급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 박스(7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 박스(71)는 상기 태양전지판(73)에 연결되는 하나의 셀 연결 케이블(71a)과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경광용 LED에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전력 수급 케이블(71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력 수급 케이블(71b)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경광용 LED(31)가 청색 및 백색의 LED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 LED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두개로 구성되고, 추가적으로 백색의 LED가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세개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전력 수급 케이블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경광용 LED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되, 소정의 발광 패턴을 가질 수 있도록 교차 또는 순차 또는 발광 순서가 동일 또는 불일치될 수 있도록 제어되어 발광된다. 이를 통하여 경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표지판 11 : 개구부
30 : 경광 모듈 31 : 경광용 LED
33 :수용 함체 33a : 수용 함체의 개방면
33b : 접합 날개부 50 : 결합 수단
51 : 돌출 장착부 51a : 슬라이딩 홈
53 : 체결부 53a : 슬라이딩 볼트
53b : 조임 매개체 53b' : 굴곡부
53b” : 수평부 53c : 조임 너트
70 : 태양광 공급 모듈 71 : 컨트롤러 박스
71a : 셀 연결 케이블 71b : 전력 수급 케이블
73 : 태양전지판 90 : 지주봉
91 : 지지판 100 : 경과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

Claims (3)

  1. 전면에 교통 표시 정보가 표시되고, 상측에 개구부(11)가 형성되는 표지판(10),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부착되되, 상기 개구부(11)를 통하여 경광용 LED(31)의 광을 방사시키는 경광 모듈(30), 상기 표지판(10)의 후면과 지주봉(90)을 결합 고정하는 결합 수단(50), 상기 지주봉(90)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경광용 LED(31)에 공급할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광 공급 모듈(7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경광 모듈(30)은 개방된 일면에 해당하는 개방면(33a)이 상기 개구부(11)와 통할 수 있도록 상기 표지판(10)의 후면에 접촉 결합되는 육면체 형상의 수용 함체(33), 상기 수용 함체(33)의 내부 바닥면에 얇게 형성되는 베이스 절연층(35), 상기 베이스 절연층(35) 상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36), 상기 인쇄회로기판(36)에 마운팅된 복수개의 경광용 LED(31), 상기 복수개의 경광용 LED(31) 각각에 씌워진 상태로 상기 인쇄회로기판(36)에 안착되는 확산렌즈 캡(37) 및 상기 수용 함체(33)의 수용 공간에 충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36), 확산렌즈 캡(37)을 고정하는 방수/고정 절연층(38)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광용 LED(31)는 상기 수용 함체(33)의 개방면(33a)을 향하여 배치되되 상기 개방면(33a)을 통과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공급 모듈은 상기 지주봉 상단에 안착되는 컨트롤러 박스와 상기 컨트롤러 박스의 상측에 배치되는 태양전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컨트롤러 박스는 내부에 컨트롤러와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수집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한 후 상기 배터리에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상기 복수개의 경광용 LED에 공급되어 경광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
KR2020160001502U 2016-03-21 2016-03-21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 KR200484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502U KR200484132Y1 (ko) 2016-03-21 2016-03-21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502U KR200484132Y1 (ko) 2016-03-21 2016-03-21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132Y1 true KR200484132Y1 (ko) 2017-08-03

Family

ID=6062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502U KR200484132Y1 (ko) 2016-03-21 2016-03-21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13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9567A (zh) * 2018-10-19 2019-02-15 钱辉 一种具有警示功能的园艺护栏
CN110310583A (zh) * 2019-06-18 2019-10-08 湖南湘旭交安光电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道路交通标志牌
KR102314756B1 (ko) * 2021-02-15 2021-10-19 장현실 방수성능이 개선된 도로 액체 분사 시스템
KR102314754B1 (ko) * 2020-07-14 2021-10-19 장현실 분사장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쿨링클린로드 시스템 및 공법
KR102411892B1 (ko) * 2022-05-04 2022-06-22 박영근 도로교통 표지판
CN115305847A (zh) * 2022-09-02 2022-11-08 徐州柏通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基于新能源的环保交通标志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338A (ko) 2002-07-23 2004-01-31 정용석 차용 차단막 및 이를 이용한 종이컵
KR100977879B1 (ko) * 2009-05-14 2010-08-25 주식회사 해성이엠씨 자전거 도로 표지판
KR101291704B1 (ko) * 2011-08-22 2013-07-31 조남일 엘이디 도로 표지판
KR20160012595A (ko) * 2014-07-24 2016-02-03 이유미 도로용 표지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338A (ko) 2002-07-23 2004-01-31 정용석 차용 차단막 및 이를 이용한 종이컵
KR100977879B1 (ko) * 2009-05-14 2010-08-25 주식회사 해성이엠씨 자전거 도로 표지판
KR101291704B1 (ko) * 2011-08-22 2013-07-31 조남일 엘이디 도로 표지판
KR20160012595A (ko) * 2014-07-24 2016-02-03 이유미 도로용 표지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9567A (zh) * 2018-10-19 2019-02-15 钱辉 一种具有警示功能的园艺护栏
CN110310583A (zh) * 2019-06-18 2019-10-08 湖南湘旭交安光电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道路交通标志牌
KR102314754B1 (ko) * 2020-07-14 2021-10-19 장현실 분사장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쿨링클린로드 시스템 및 공법
KR102314756B1 (ko) * 2021-02-15 2021-10-19 장현실 방수성능이 개선된 도로 액체 분사 시스템
KR102411892B1 (ko) * 2022-05-04 2022-06-22 박영근 도로교통 표지판
CN115305847A (zh) * 2022-09-02 2022-11-08 徐州柏通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基于新能源的环保交通标志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132Y1 (ko) 경광 기능을 구비한 교통 표지 장치
KR101255678B1 (ko) 도로명 및 도로안내 표지판용 엘이디 조명기구
CN209657733U (zh) 自发光透雾标志牌
KR101402335B1 (ko) 도로의 원점거리 표시장치
KR20080088703A (ko) 전후면 발광식 입체문자채널 간판
KR101291704B1 (ko) 엘이디 도로 표지판
KR101734413B1 (ko) 교통안전표지장치
JP6083811B2 (ja) 案内表示板
KR20140054835A (ko) El 도로 교통안전 표지판
KR20120103190A (ko) 반사판을 이용한 도로 표시 장치
KR101082853B1 (ko) 조명형 도로표지판
JP2009270259A (ja) 視線誘導標
KR200410338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교통안전표지장치
JP2013079498A (ja) 逆光対策道路標識板
JP2011214361A (ja) 発光機能付き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
KR20120001121U (ko) 도로경계석에 장착되는 led 표지장치
KR101246663B1 (ko) 발광 블럭
KR20120113512A (ko)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50826A (ko) 이엘시트지를 이용한 도로 표지판
KR20060020586A (ko) 방호울타리용 발광장치 구조
KR20150107380A (ko) 그린에너지를 이용한 표지판시설물
JP6101413B2 (ja) 道路標識装置
CN210886988U (zh) 一种发光反光交通标识牌
KR102638118B1 (ko) 내부 조명식 도로표지판
KR102644885B1 (ko) 친환경 발광형 led 도로표지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