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314B1 -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314B1
KR102147314B1 KR1020170176422A KR20170176422A KR102147314B1 KR 102147314 B1 KR102147314 B1 KR 102147314B1 KR 1020170176422 A KR1020170176422 A KR 1020170176422A KR 20170176422 A KR20170176422 A KR 20170176422A KR 102147314 B1 KR102147314 B1 KR 102147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mplate
unit
exhibi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802A (ko
Inventor
유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아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아이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아이비
Priority to KR1020170176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3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관람객 참여형 전시물 컨텐츠를 운영할 수 있어서, 관람객의 전시물 관람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자단말기에서 생성 또는 수정되는 템플릿정보가 서버에 저장되고, 서버에 저장된 템플릿정보가 전시단말기에 전송되어 활용됨으로써, 전시단말기에 사용되는 템플릿의 유지, 보수, 업데이트, 변경 등이 매우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SYSTEM FOR EXHIBITION CONTENTS MANAGEMENT}
본 발명은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시관, 미술관, 박람회 등에서 전시되어 있는 전시물을 관람하기 위해서는 설명서나 카탈로그와 같은 안내물을 소지하고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면서 관람을 하였다.
그러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휴대하고 해당 전시물에 대한 아이디를 입력하면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보여주는 방식이 상용화되었다.
한편,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시물 및 안내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시물의 안내도 이루어지고 있는바, 이는 관람객이 입장 시에 무선 통신이 가능한 안내기를 대여하고 해당 전시물 앞에 위치하면 전시물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RFID 등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안내기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정보를 선택 습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무선 휴대 단말기가 인지한 특정 전시물의 식별 정보를 전시 안내 센터의 서버가 수신하여 해당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무선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전시 이용 시스템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 안내기는, 서버와의 송수신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전시물 각각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할 뿐 관람객이 안내기로부터 전시장 전반의 실시간 상황을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일부의 전시물에는 관람객이 몰리지만 다른 전시물에는 관람객이 거의 없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관람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대형 전시장의 대부분은 공공기관에서 운영 관리하는데, 안내시스템을 설치한 이후 원활한 유지 관리가 되지 않아 기간이 경과하면서 낙후된 안내시스템으로 전락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안내되는 전시물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 컨텐츠의 운영관리에 있어서 종래 휴대용 안내기는 전시 행사 때마다 안내 컨텐츠의 저장 및 삭제를 반복하여야 하므로, 각 전시관마다 각각의 안내 컨텐츠를 독립적으로 보유하여 개선, 가공, 신규 정보 추가 등의 안내 자료의 지속적인 업그레이드 관리를 할 수 없게 되며, 각 전시관들은 동일한 내용의 안내 컨텐츠를 만들기 위해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전시 행사 때마다 안내 컨텐츠를 저장하는 안내기 운영에 있어서 기술 및 환경의 빠른 변화로 불과 1~2년 정도만 경과하더라도 기능과 디자인 및 편리성이 크게 낙후되어 새로운 모델의 안내기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04234호 '전시물 관람 스케줄링 및 컨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관람객 참여형 전시물 컨텐츠를 운영할 수 있어서, 관람객의 전시물 관람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관리자단말기에서 생성 또는 수정되는 템플릿정보가 서버에 저장되고, 서버에 저장된 템플릿정보가 전시단말기에 전송되어 활용됨으로써, 전시단말기에 사용되는 템플릿의 유지, 보수, 업데이트, 변경 등이 매우 쉬운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템플릿정보(TI)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관리자단말기;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상기 템플릿정보(TI)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템플릿정보(TI)를 전송받는 통신부와, 관람객단말기 또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정보(CI)를 상기 템플릿정보(TI)에 매핑하는 매핑부와, 상기 컨텐츠정보(CI)가 상기 템플릿정보(TI)에 매핑된 매핑템플릿정보(MT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시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영상정보를 입력받는 촬영부와, 소리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부와, 텍스트정보를 입력받는 키보드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시단말기는, 상기 매핑템플릿정보(MTI)의 생성량을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생성량정보(GI)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이용현황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전시단말기로부터 상기 매핑템플릿정보(MTI)를 전송받고, 매핑템플릿정보(MTI)를 인쇄물로 출력하는 출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관람객 참여형 전시물 컨텐츠를 운영할 수 있어서, 관람객의 전시물 관람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자단말기에서 생성 또는 수정되는 템플릿정보가 서버에 저장되고, 서버에 저장된 템플릿정보가 전시단말기에 전송되어 활용됨으로써, 전시단말기에 사용되는 템플릿의 유지, 보수, 업데이트, 변경 등이 매우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입력부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이용현황산출부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입력부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이용현황산출부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은, 템플릿정보(TI)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관리자단말기(101); 관리자단말기(101)로부터 템플릿정보(TI)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서버(103); 및 서버(103)로부터 템플릿정보(TI)를 전송받는 통신부(105)와, 관람객단말기(107) 또는 입력부(109)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정보(CI)를 템플릿정보(TI)에 매핑하는 매핑부(111)와, 컨텐츠정보(TI)가 템플릿정보(TI)에 매핑된 매핑템플릿정보(MT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3)를 포함하는 전시단말기(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관리자단말기(101)는 템플릿정보(TI)를 생성 또는 수정한다.
이러한 관리자단말기(101)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는데, 관리자단말기(101)가 복수개로 제공되는 경우, 각 관리자단말기(101)는 각각 템플릿정보(TI)를 생성하고 수정한다.
물론, 관리자단말기(101)는 외부 서버로부터 템플릿정보를 입력받고, 이 템플릿정보를 수정, 변형하여 템플릿정보(TI)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서버(103)는 관리자단말기(101)로부터 템플릿정보(TI)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이를 위해 서버(103)는 템플릿정보(TI)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매체를 가질 수도 있으며, 서버(103)는 관리자단말기(101)로부터 전송되는 템플릿정보(TI)를 시간별, 이름별, 용량별 등으로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물론, 서버(103)는, 저장된 템플릿정보(TI)의 검색 기능을 관리자단말기(101)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전시단말기(115)는 서버(103)로부터 템플릿정보(TI)를 전송받는 통신부(105)를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05)는 유선통신모듈 또는 무선통신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전시단말기(115)는 관람객단말기(107) 또는 입력부(109)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정보(CI)를 템플릿정보(TI)에 매핑하는 매핑부(111)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매핑부(111)는 관람객단말기(107) 또는 전시단말기(115)에 구비된 입력부(109)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정보(CI)를, 템플릿정보(TI)에 의해 구현되는 템플릿이미지의 기설정된 영역에 매핑하여, 컨텐츠정보(CI)가 템플릿정보(TI)에 의해 구현되는 템플릿이미지에 표시되도록 한다.
물론, 매핑부(111)는 컨텐츠정보(CI)를 표준화하여 템플릿이미지의 기설정된 영역에 매핑한다.
이러한 매핑부(111)의 기능에 의해, 관리자는 다양한 컨텐츠정보(CI)를 표준화된 양식으로 템플릿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입력부(109)는 일예로, 영상정보를 입력받는 촬영부(201)와, 소리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부(203)와, 텍스트정보를 입력받는 키보드입력부(20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술한 영상정보, 소리정보, 텍스트정보 등은 컨텐츠정보(CI)에 포함된다.
또한, 입력부(109)는,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13)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부(207)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시단말기(115)는 컨텐츠정보(CI)가 템플릿정보(TI)에 매핑된 매핑템플릿정보(MT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3)를 포함한다.
일예로, 디스플레이부(113)는 LED패널, LCD패널 등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13)에 매핑템플릿정보(MTI)가 표시됨으로써, 관람객은 자신들이 입력한 컨텐츠정보(CI)가 표시된 매핑템플릿정보(MTI)를 시각적으로 관람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관람객의 흥미가 더욱 유발되고, 전시물의 전시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한편, 전시단말기(115)는, 매핑템플릿정보(MTI)의 생성량을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생성량정보(GI)를 통신부(105)를 통해 서버(103)로 전송하는 이용현황산출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용현황산출부(117)는 시간대별로 매핑템플릿정보(MTI)의 생성량을 산출하고, 이를 그래픽화하여 생성량정보(GI)를 생성한 후, 통신부(105)를 통해 서버(1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전시단말기(115)에 이용현황산출부(117)가 포함됨으로써, 관리자는 관람객들의 전시물 이용 빈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템플릿정보(TI)의 업데이트 시기, 변경 시기 등을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은, 전시단말기(115)로부터 매핑템플릿정보(MTI)를 전송받고, 매핑템플릿정보(MTI)를 인쇄물로 출력하는 출력기(119)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기(119)는 레이저프린터 등으로 제공되는데, 이처럼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에 출력기(119)가 포함됨으로써, 관람객은 자신의 컨텐츠정보(CI)가 표현된 매핑템플릿정보(MTI)를 인쇄물(출력물)로 소지할 수 있게 되어, 관람객의 전시물 관람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관람객 참여형 전시물 컨텐츠를 운영할 수 있어서, 관람객의 전시물 관람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관리자단말기에서 생성 또는 수정되는 템플릿정보가 서버에 저장되고, 서버에 저장된 템플릿정보가 전시단말기에 전송되어 활용됨으로써, 전시단말기에 사용되는 템플릿의 유지, 보수, 업데이트, 변경 등이 매우 쉬워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
101 : 관리자단말기
103 : 서버
105 : 통신부
107 : 관람객단말기
109 : 입력부
111 : 매핑부
113 : 디스플레이부
115 : 전시단말기
117 : 이용현황산출부
119 : 출력기
201 : 촬영부
203 : 마이크부
205 : 키보드입력부
207 : 터치스크린부

Claims (5)

  1. 템플릿정보(TI)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관리자단말기;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상기 템플릿정보(TI)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템플릿정보(TI)를 전송받는 통신부와, 관람객단말기 또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정보(CI)를 상기 템플릿정보(TI)에 매핑하는 매핑부와, 상기 컨텐츠정보(CI)가 상기 템플릿정보(TI)에 매핑된 매핑템플릿정보(MT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시단말기; 및
    상기 전시단말기로부터 관람객 자신의 상기 컨텐츠정보(CI)가 표현된 상기 매핑템플릿정보(MTI)를 전송받고, 상기 관람객 자신의 상기 컨텐츠정보(CI)가 표현된 상기 매핑템플릿정보(MTI)를 인쇄물로 출력하는 출력기;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정보(CI)는 영상정보, 소리정보 및 텍스트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영상정보를 입력받는 촬영부와, 상기 소리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부와, 상기 텍스트정보를 입력받는 키보드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매핑부는,
    상기 컨텐츠정보(CI)를 상기 템플릿정보(TI)에 의해 구현되는 템플릿이미지의 기설정된 영역에 매핑하여, 상기 컨텐츠정보(CI)가 상기 템플릿이미지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매핑템플릿정보(MTI)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관람객 자신들이 입력한 상기 컨텐츠정보(CI)가 표시된 상기 템플릿이미지를 상기 관람객에게 제공하고,
    상기 전시단말기는,
    시간대별로 상기 매핑템플릿정보(MTI)의 생성량을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생성량정보(GI)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이용현황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76422A 2017-12-20 2017-12-20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 KR102147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422A KR102147314B1 (ko) 2017-12-20 2017-12-20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422A KR102147314B1 (ko) 2017-12-20 2017-12-20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802A KR20190074802A (ko) 2019-06-28
KR102147314B1 true KR102147314B1 (ko) 2020-08-25

Family

ID=6706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422A KR102147314B1 (ko) 2017-12-20 2017-12-20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7107A (zh) * 2019-10-28 2020-02-18 广州奇川展览有限公司 展厅主题一键切换方法、装置
KR102355925B1 (ko) * 2019-12-23 2022-01-27 주식회사 해브어바이트 컨텐츠 전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445B1 (ko) * 2004-09-14 2007-01-25 이승현 전시시설물에 대한 정보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03736B1 (ko) * 2005-01-25 2007-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전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04234A (ko) 2009-07-07 2011-01-13 김홍일 전시물 관람 스케줄링 및 컨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20070814A (ko) * 2010-12-22 2012-07-02 (주)에이엔티홀딩스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08417B1 (ko) * 2015-05-29 2017-02-27 (주)소셜네트워크 컨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컨텐츠 관리 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802A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505451A (ja) データ通信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触知性マンマシンインターフェース
US20180129551A1 (en) Digital sign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47314B1 (ko) 전시물 컨텐츠 운영 시스템
KR20130094092A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전자적 학생 출결 체크 및 관리 시스템
JP2016148720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制御方法
US20140372907A1 (en) Gesture-based construction project collaboration system
US20160118016A1 (en) Portable digital sign system
KR102056727B1 (ko) 영상광고가 가능한 영상보안장치를 이용한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CN104463419A (zh) 课堂中实现多维评价数据记录的方法
JP2015075975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EP1327238A1 (en) Adaptive presentation system
JP6088758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Bigand Representing loyalist paramilitary heritage in non-museum exhibitions–aims, practices and challenges
KR101337041B1 (ko) 키오스크 제어 시스템
CN105830051A (zh) 跨多个设备显示活动
CN112749235A (zh) 解析分类结果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399063B1 (ko) 관람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제공 서버, 단말
KR20070032513A (ko) 무선 리모콘 제어 전광판 시스템
KR20160002099A (ko) 파노라마 영상이 포함된 실내정보 기반 식당 예약시스템
JP6312045B2 (ja) 情報出力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Vermeulen et al. Understanding complex environments with the feedforward torch
Jaiswal et al. Smart Classroom Automation
Sianos Early days for the differentiation policy framework in Ontario
KR200454853Y1 (ko) 다목적 단말장치
KR101513219B1 (ko) 소장품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