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252B1 -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7252B1 KR102147252B1 KR1020180060475A KR20180060475A KR102147252B1 KR 102147252 B1 KR102147252 B1 KR 102147252B1 KR 1020180060475 A KR1020180060475 A KR 1020180060475A KR 20180060475 A KR20180060475 A KR 20180060475A KR 102147252 B1 KR102147252 B1 KR 1021472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knob
- adjustment unit
- photographing apparatus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04N5/2252—
-
- H04N5/225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내부에 피검체가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피검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 노브를 포함하는 렌즈;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 노브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 노브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부; 상기 링크부와 힌지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링크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렌즈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조절부와 렌즈 노브에 결합된 상기 링크부를 통해 상기 렌즈 조절부의 직선 운동을 상기 렌즈 노브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촬영 장치와 달리 사용자에게 렌즈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이지(Stage) 또는 카메라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렌즈를 직접 조정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촬영 장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렌즈 조절부 조작만으로 촬영 대상의 확대/축소 내지 렌즈의 초점, 조리개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자 영상은 피검체 내의 세포 수준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나 생체의 조절 기전 등을 피검체를 희생시키지 않고 관찰할 수 있게 하는 영상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분자영상은 생체 내 유전자의 이입, 내인성 유전자의 발현, 체내로 투여된 세포의 경로추적, 세포 간 신호전달, 세포 사멸, 종양의 진행, 혈관의 신생 및 세포 내 단백질간의 상호작용 등을 관찰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새로운 식품 또는 약품 등을 개발할 때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구체적으로, 실험용 쥐 등과 같은 소형 실험용 동물에 개발하려는 식품 또는 약품을 투입시킨 후, 식품 또는 약품에 따른 실험용 동물의 체내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분자 영상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저렴한 비용으로도 빠르게 분자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X선과 같은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실험용 동물의 영상화가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주로 광학계 영상 시스템(Optical Imaging System)을 이용하여 분자 영상을 획득하고 있다.
다만, 광학계 영상 시스템으로 분자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실험용 동물을 확대 또는 축소하거나, 초점의 위치 내지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조리개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종래에는 피검체를 확대하기 위해서 도 1과 같이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카메라 또는 실험용 동물이 놓여지는 스테이지(Stage)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곤 하였는데, 상기 방법은 피검체의 높이 차이에 의해 렌즈의 미세 초점 조절이 어렵고, 렌즈 조작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분자 영상을 신속하게 획득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렌즈를 조절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가 장치 외부로 돌출된 렌즈를 직접 조작하는 방법도 있었으나, 상기 방법의 경우 렌즈가 장치 외부에 부착되어 있어 이동 및 사용 중에 렌즈가 손상될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제안된 분자 영상 촬영 장치들은 렌즈 조작이 불편하거나 렌즈가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분자 영상 촬영 과정에서 렌즈 손상 없이 사용자가 보다 쉽고, 빠르게 렌즈를 조작할 수 있는 새로운 촬영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카메라 또는 스테이지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장치 외부에 노출된 렌즈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 사용자가 촬영 장치 외부에 노출된 렌즈 조절부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실험용 동물과 같은 피검체를 확대, 축소하거나, 렌즈의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촬영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분자 영상 촬영 장치들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내부에 피검체가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피검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 노브를 포함하는 렌즈;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 노브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 노브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부; 상기 링크부와 힌지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링크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렌즈 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조절부와 렌즈 노브에 결합된 상기 링크부를 통해 상기 렌즈 조절부의 직선 운동을 상기 렌즈 노브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피검체 촬영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는 상기 카메라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렌즈는 초점을 조절하는 제1 렌즈 노브; 조리개를 조절하는 제2 렌즈 노브; 및 피검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제3 렌즈 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렌즈 노브를 미세 조정하는 제1 미세 조절 노브; 상기 제2 렌즈 노브를 미세 조정하는 제2 미세 조절 노브; 및 상기 제3 렌즈 노브를 미세 조정하는 제3 미세 조절 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촬영 장치는 상기 제1 렌즈 노브에 결합되는 제1 링크부; 상기 제2 렌즈 노브에 결합되는 제2 링크부; 및 상기 제3 렌즈 노브에 결합되는 제3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링크부는, 상기 렌즈 노브와 결합되는 링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렌즈 조절부에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 및 일단이 상기 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링크부재에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렌즈 조절부는 상기 제1 링크부재와 결합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렌즈 조절부의 수평 운동을 제1 링크부재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 조절부의 수평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링크부재가 회전 운동하게 되고, 상기 제1 링크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링크부재도 회전하여 상기 링부를 회전시키며, 상기 링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렌즈 노브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촬영 장치는 상기 지지판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부재는 렌즈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렌즈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단면에는 상기 렌즈가 삽입되는 렌즈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렌즈 삽입홀의 내측면에는 외부 광원을 차단하는 차폐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폐부재의 단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는 촬영 장치 외부에 돌출된 렌즈를 직접 조작하거나,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카메라 내지 스테이지의 높이를 조절하지 않고도 피검체를 확대/ 축소하거나 또는 초점 내지 조리개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렌즈의 손상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 도중에 실시간으로 렌즈를 조절할 수 있어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종래에 비해 정밀한 분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때,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카메라 또는 스테이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케이스를 제거하여, 렌즈와 링크부, 렌즈 조절부 사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고정 부재에 의해 렌즈가 고정된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렌즈조작부 조작에 따른 렌즈의 구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렌즈 삽입홀에 형성된 차폐부재에 대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케이스를 제거하여, 렌즈와 링크부, 렌즈 조절부 사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고정 부재에 의해 렌즈가 고정된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렌즈조작부 조작에 따른 렌즈의 구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렌즈 삽입홀에 형성된 차폐부재에 대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한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촬영 장치의 렌즈 조작 방식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 본다.
도 1은 종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때,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카메라 또는 스테이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새로운 약품 또는 식품을 개발 시, 실험용 쥐와 같은 피검체에 약품을 투입시키거나, 식품을 먹인 후 CCD 카메라를 통해 피검체 체내의 변화를 촬영(분자 영상)하고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약품 또는 식품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촬영 과정에서 보다 정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피검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거나 또는 초점, 조리개 등을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종래에는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도 1 (a)와 같이 카메라(10)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반대로 반대로 도 1 (b)와 같이 피검체가 놓여지는 스테이지(Stage, 20)의 높이를 조절하여 피검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촬영 장치 외부에 노출된 렌즈를 직접 조작하여 초점 또는 조리개를 조절하곤 하였다.
다만, 종래와 같이 렌즈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카메라 또는 스테이지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시간이 소요되어 신속한 촬영이 어려울 뿐 아니라, 촬영을 멈추고 렌즈를 조작해야 해서 렌즈를 미세하게 조절하기 어려웠고, 결과적으로 촬영 영상의 정밀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동 모터를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촬영 장치 외부에 노출된 렌즈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촬영 장치 외주면에 위치한 렌즈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피검체의 확대/축소는 물론, 초점, 조리개까지 조절할 수 있는 촬영 장치를 제공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하우징을 제거하여 렌즈와 링크부, 렌즈 조절부 사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100)는 내부에 피검체가 위치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며, 피검체를 촬영하는 카메라(200); 상기 카메라(200)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 노브(410)를 포함하는 렌즈(40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 노브(410)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 노브(410)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부(500); 상기 링크부(500)와 힌지 결합되는 고정부(600); 및 상기 하우징(110)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링크부(500)의 일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렌즈 조절부(700); 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조절부(700)와 상기 렌즈 노브(410)에 각기 결합된 상기 링크부(50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렌즈 조절부(700)의 직선(수평) 운동을 상기 렌즈 노브(41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렌즈 조절부(700)를 수평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만으로 확대/축소, 초점 조절 및 조리개 조절 등의 렌즈 조작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촬영 장치(100)의 구성 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도록 한다.
상기 촬영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은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10) 내부에 촬영 대상인 피검체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과 카메라(200), 렌즈(400), 링크부(500), 고정부(600) 등의 구성 요소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분되지 않은 채 배치될 수 도 있으나,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내부에 케이스(110a)가 배치되어 별도의 촬영 공간을 마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110a) 내부에는 피검체가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10a) 외부 즉, 케이스(110a) 상단에는 카메라(200), 렌즈(400) 등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일면에는 고정판(710)이 형성되어, 렌즈 조절부(700)가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하우징(110) 내부에 별도의 케이스(110a)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600) 내지 후술할 지지판(300)을 지지하는 지지대(120) 등은 하우징(110)의 상단면 또는 측면에 결합되어 지지판(300), 링크부(500) 등을 고정될 수 있으나,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하우징(110) 내부에 별도의 케이스(110a)가 마련된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600)와 지지대(120)는 케이스(110a) 상단면에 부착되어 지지판(300), 링크부(500) 등을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하우징(110) 내부에 별도의 케이스(110a)가 없는 경우에는 구성 요소의 배치 형태에 제약이 없으므로, 이하에서는 구성 요소의 배치에 제약이 생기는 하우징(110) 내부에 케이스(110a)가 배치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하우징(110) 내부 또는 케이스(110a) 상단 영역에 위치한 카메라(200)는 렌즈(400)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하우징(110) 또는 케이스(110a)에 내부에 위치한 실험용 쥐와 같은 피검체를 촬영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촬영 장치(100)에서는 높은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CMOS 이미지 센서(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CMOS 이미지 센서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200)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200)는 종래에 분자 영상 촬영에 주로 사용되던 디지털 카메라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일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카메라(200)와 렌즈(400) 사이에는 지지판(300)이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판(300)은 상기 카메라(200)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카메라(200) 및 렌즈(4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지지판(300)는 하우징(110)의 상단면 또는 측면에 결합된 복수 개의 지지대(120) 내지 하우징(110) 내부에 케이스(110a)가 있는 경우에는 케이스(110a) 상단에 배치된 복수 개의 지지대(120)를 통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300)에는 렌즈(4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홀을 형성되어 카메라(200)뿐 아니라, 렌즈(400)까지도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400)는 지지판(30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지지판(300) 상단에 위치한 카메라(200)에 결합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카메라(20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렌즈(400)의 상단부가 지지판(3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300)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310)가 위치하여 상단부가 지지판(300)에 고정된 렌즈(400)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는데, 고정부재(310)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이 때,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고정 부재에 의해 렌즈가 고정된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300) 하단에 위치한 상기 고정부재(310) 는 렌즈(4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311)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311)는 렌즈(400) 상단부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어 렌즈(400)가 촬영 도중에 좌, 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촬영 영상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다.
하나의 고정부재(310)만으로도 렌즈(400)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고정부재(310)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400)의 움직임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나아가 두 개 이상의 고정부재(310)를 이용하여 렌즈(400)를 고정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상기 렌즈(400)는 상기 카메라(200)와 결합되어 피검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을 맺혀주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렌즈(400)는 촬영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렌즈 노브(410)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노브(410)는 렌즈(400)의 초점 또는 조리개를 조절할 수 있거나, 촬영 대상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때에는 초점, 조리개, 촬영 대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해 사용자가 촬영 장치 내부를 개방한 후, 렌즈 노브(410)를 직접 조작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의 촬영 장치는 상기 렌즈 노브(410)를 링크부(500)와 결합되고, 상기 링크부(500)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 노출된 렌즈 조절부(700)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렌즈 조절부(700)를 조작하면 렌즈 조절부(700)와 결합된 링크부(500)를 통해 상기 렌즈 조절부(700)에 가해진 외력이 렌즈 노브(410)에 전달되게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종래의 촬영 장치들과 달리 사용자가 렌즈 노브(410)를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렌즈 노브(410)를 구동시켜 초점 또는 조리개를 조절하거나, 촬영 대상을 확대/축소시킬 수 있게끔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기 렌즈(400)는 렌즈(400)의 ⅰ) 초점을 조절하는 제1 렌즈 노브, ⅱ) 조리개를 조절하는 제2 렌즈 노브, ⅲ) 촬영 대상(피검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제3 렌즈 노브를 포함하고,
ⅰ) 상기 제1 렌즈 노브는 제1 링크부를 통해 제1 렌즈 조절부와 연결시키고, ⅱ) 상기 제2 렌즈 노브는 제2 링크부를 통해 제2 렌즈 조절부와 연결시키며, ⅲ) 상기 제3 렌즈 노브는 제3 링크부를 통해 제3 렌즈 조절부와 연결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제1 렌즈 조절부, 제2 렌즈 조절부, 제3 렌즈 조절부를 수평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ⅰ) 렌즈의 초점을 조절할 수도 있고, ⅱ) 렌즈 조리개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ⅲ) 촬영 대상을 확대 / 축소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렌즈(400)가 3개의 렌즈 노브로 구성되고, 가각의 렌즈 노브와 렌즈 조절부를 연결시키기 위해 3개의 링크부를 구비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여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렌즈 노브와 링크부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다시 한 번 참조하여 본 발명의 촬영 장치의 핵심이 되는 링크부(5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상기 링크부(500)는 렌즈 노브(410)와 렌즈 조절부(700)와 결합되어 렌즈 조절부(700)에 가해지는 외력을 렌즈 노브(4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촬영 장치(100)는 종래의 촬영 장치와 달리 렌즈 조절부(700)를 통해 렌즈 노브(410)를 간접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렌즈 조절부(700)에 가해지는 외력을 렌즈 노브(410)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링크부(500)는 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노브(410)에 형성된 결합홈(531)에 나사(532) 결합되어, 렌즈 노브(410)와 함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원형 띠 형상의 링부(530), ⅱ) 일단이 상기 케이스(110a)의 상단면에 위치한 고정부(600)(상기 고정부(600)는 하우징(110) 내에 케이스(110a)가 없는 경우에는 하우징(110)의 상단면 또는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렌즈 조절부(700)와 결합되어, 렌즈 조절부(700)의 수평 이동에 따라 고정부(600)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링크부재(510) 및 ⅲ) 일단이 상기 링부(530)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링크부재(510)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링크부재(51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제2 링크부재(52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렌즈 조절부(700)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위치한 고정판(71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710)에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ㅡ”자 형상) 이동홈(711)이 형성되어, 상기 렌즈 조절부(700)는 상기 이동홈(711)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직선(수평)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조절부(700)는 브라켓(7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720)을 통해 상기 제1 링크부재(510)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브라켓(72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렌즈 조절부(700)의 수평 운동을 제1 링크부재(510)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촬영 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노브(410)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미세 조절 노브(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세 조절 노브(730)는 상기 렌즈 조절부(700)와 마찬가지로 고정판(710)에 고정되며 하우징(110)에 노출되지 않는 끝단에는 피니언 기어가 결합된다.
또한, 제1 링크부재(510)의 끝단(렌즈 조절부와 결합되는 부분) 영역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미세 조절 노브(730)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Pinion Gear)에 대응되는 랙 기어(Rack gear, 740)가 부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미세 조절 노브(73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미세 조절 노브(730)의 피니언 기어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제1 링크부재(510)에 결합된 랙 기어(740)가 직선(수평) 운동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렌즈 조절부(700)와 마찬가지로 제1 링크부재(510)가 고정부(120)를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렌즈 조절부(700)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좌,우로 조작하다보니 변위량을 제어하기 어려워 렌즈 노브(410)의 미세 조절이 어려워 초점, 노리개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회전을 통해 링크부(500)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 미세 조절 노브(730)를 더 포함함으로써, 렌즈(400)를 보다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촬영 장치(100)는 실시예에 따라 제1 렌즈 노브를 미세 조절하는 제1 미세 조절 노브, 제2 렌즈 노브를 미세 조절하는 제2 미세 조절 노브 및 제3 렌즈 노브를 미세 조절하는 제3 미세 조절 노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렌즈 조절부, 제2 렌즈 조절부, 제3 렌즈 조절부 외에도 제1 미세 조절 노브, 제2 미세 조절 노브, 제3 미세 조절 노브를 조작하여 렌즈(400)의 초점, 노리개, 촬영 대상의 확대/축소 정도를 보다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 때, 미세 조절 노브(730)의 끝단에 피니언 기어가 결합되고, 제1 링크부재(510)에는 랙 기어(740)가 결합되어 미세 조절 노브(730)의 회전을 제1 링크부재(510)의 회전으로 전환시킨다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미세 조절 노브(730)의 회전을 제1 링크부재(510)의 회전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면 다른 결합 방식을 채택하더라도 무관하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렌즈 조절부(700)의 조작에 따른 링크부(500), 렌즈 노브(410)의 구동 과정을 정리해보면 하기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렌즈조작부 조작에 따른 렌즈의 구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 (a)와 같이 렌즈 조절부(700)가 고정판(710)의 우측 편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렌즈 조절부(700)를 조작하여 도 7 (b)와 같이 고정판(710)의 좌측면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면, 일단이 고정부(12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렌즈 조절부(700)의 브라켓(720)에 결합된 제1 링크부재(510)는 상단에서 봤을 때 고정부(120)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 링크부재(5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일단이 상기 제1 링크부재(510)에 결합된 제2 링크부재(520) 또한 상기 제1 링크부재(510)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 링크부재(5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링크부재(520)와 결합된 링부(530)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렌즈 조절부(700)가 고정판(710)의 좌측 편에서 우측 변으로 수평 이동되는 경우에는 렌즈 조절부(700)의 수평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링크부재(510)가 고정부(120)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 링크부재(510)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링크부재(520)도 함께 회전하여, 상기 링부(530)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렌즈 조절부(7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링부(53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링부(530)와 나사(532)로 결합된 렌즈 노브(410)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ⅰ) 렌즈 조절부(700) 조작을 통해 초점을 조절하는 렌즈 노브(410)를 회전시킨 경우에는 렌즈(400)의 초점이 맺히는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고, ⅱ) 조리개를 조절하는 렌즈 노브(410)를 회전시킨 경우에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ⅲ) 촬영 대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렌즈 노브(410)를 회전시킨 경우에는 기존에 비해 피검체를 확대하거나 축소된 상태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촬영 장치(100)는 제1 링크부재(510), 제2 링크부재(520), 링부(530)로 구성된 링크부(500)를 통해 렌즈 조절부(700) 조작만으로도 렌즈 노브(410)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촬영 장치와 차별성을 갖고, 아울러 렌즈 조절부(700)를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할 때보다 세밀하게 렌즈 노브(410)를 조작할 수 있어, 피검체 촬영 영상의 정밀성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도면 상에는 상기 렌즈 노브(410)와 링부(530)가 나사(532)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렌즈 노브(410)와 링부(530)를 결합할 수만 있다면 다른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무관하다.
마지막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촬영 영상의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 배치된 차폐부재(8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렌즈 삽입홀에 형성된 차폐부재에 대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촬영 장치(100)는 카메라(200), 렌즈(400) 등을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110)을 구비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는 ⅰ)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고, 밀폐된 공간 내에는 촬영 대상이 되는 피검체가 놓여지는 스테이지(Stage), 빛을 조사하는 광원 등이 위치할 수 있는 케이스(110a)가 배치될 수 있으며 ⅱ) 케이스(110a) 외부 상단 공간에는 카메라(200), 렌즈(400), 링크부(5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촬영 장치(100)는 렌즈 조절부(700)를 통한 렌즈 노브(410) 조작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발명이므로, 이하에서는 밀폐된 케이스(110a)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하우징(110) 내부에 케이스(110a)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110a)의 상단면에는 렌즈(400)보다 직경이 큰 원형의 렌즈 삽입홀(800)이 형성되어, 상기 렌즈(400)는 상기 렌즈 삽입홀(800)을 통해 케이스(110a) 내부로 삽입되어 케이스(110a) 내부에 놓여진 피검체를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렌즈 삽입홀(800)의 내측면에는 케이스(110a)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광원을 차단하여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는 차폐부재(81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부재(810)는 앞선 도 3과 같이 케이스(110a) 상단 영역에 위치한 하우징(110), 케이스(110a) 등과 함께 외부 광원을 차폐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의 촬영 장치(100)는 하우징(110), 케이스(110a) 등을 통해 일차적으로 외부 광원의 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하우징(110), 케이스(110a) 등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외부 광원을 차폐부재(810)를 통해 이차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카메라(200)를 통한 영상 획득 과정에서 외부 광원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촬영 영상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폐부재(810)는 렌즈 삽입홀(800)의 내주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도 8과 같이 차폐부재(810)의 끝단이 렌즈 삽입홀(800)에 삽입된 렌즈(400)의 외주면과 맞닿아 외부 광원이 밀폐된 촬영 공간(110a)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차단함으로써, 외부 광원을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폐부재(810)는 일 실시예로 도 8과 같이 단면이 산(810a)과 골(810b)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차폐부재(810)의 산(810a) 부분이 렌즈(400)의 외주면에 맞닿으면서 외부 광원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차폐부재(810)의 단면이 산(810a)과 골(810b)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일부 외부 광원이 렌즈 삽입홀(800) 내로 유입되더라도 산(810a)와 골(810b) 사이의 공간에 갇히도록 하여, 외부 광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차폐부재(810)의 돌출된 형상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시예에 따라 차폐부재(810)의 단면이 “∩"자 형상이거나 요철 구조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 광원을 차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렌즈 조절부 조작만으로도 렌즈의 초점, 조리개 조절은 물론, 촬영 대상을 확대, 축소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렌즈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 장치(100) 내부를 개방하거나, 촬영 장치(100) 외부에 돌출된 렌즈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렌즈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종래와 달리 촬영을 중단하지 않고도 렌즈 조작을 할 수 있어 사용자는 보다 섬세하게 렌즈의 상태를 조작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촬영 영상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촬영 장치
110 : 하우징
110a : 케이스
120 : 지지대
200 : 카메라
300 : 지지판
310 : 고정부재
311 : 돌출부
400 : 렌즈
410 : 렌즈 노브
500 : 링크부
510 : 제1 링크부재
520 : 제2 링크부재
530 : 링부
531 : 결합홈
532 : 나사
600 : 고정부
700 : 렌즈 조절부
710 : 고정판
711 : 이동홈
720 : 브라켓
730 : 미세 조절 노브
740 : 랙 기어
800 : 렌즈 삽입홀
810 : 차폐부재
810a : 산
810b : 골
110 : 하우징
110a : 케이스
120 : 지지대
200 : 카메라
300 : 지지판
310 : 고정부재
311 : 돌출부
400 : 렌즈
410 : 렌즈 노브
500 : 링크부
510 : 제1 링크부재
520 : 제2 링크부재
530 : 링부
531 : 결합홈
532 : 나사
600 : 고정부
700 : 렌즈 조절부
710 : 고정판
711 : 이동홈
720 : 브라켓
730 : 미세 조절 노브
740 : 랙 기어
800 : 렌즈 삽입홀
810 : 차폐부재
810a : 산
810b : 골
Claims (14)
- 내부에 피검체가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피검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 노브를 포함하는 렌즈;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 노브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 노브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부;
상기 링크부와 힌지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링크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렌즈 조절부;
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조절부와 렌즈 노브에 결합된 상기 링크부를 통해 상기 렌즈 조절부의 직선 운동을 상기 렌즈 노브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피검체 촬영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 상기 카메라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판; 그리고 상기 렌즈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단면에는 상기 렌즈가 삽입되는 렌즈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초점을 조절하는 제1 렌즈 노브;
조리개를 조절하는 제2 렌즈 노브; 및
피검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제3 렌즈 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노브를 미세 조정하는 제1 미세 조절 노브;
상기 제2 렌즈 노브를 미세 조정하는 제2 미세 조절 노브; 및
상기 제3 렌즈 노브를 미세 조정하는 제3 미세 조절 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노브에 결합되는 제1 링크부;
상기 제2 렌즈 노브에 결합되는 제2 링크부; 및
상기 제3 렌즈 노브에 결합되는 제3 링크부;를 포함하는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렌즈 노브와 결합되는 링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렌즈 조절부에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 및
일단이 상기 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링크부재에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조절부는 상기 제1 링크부재와 결합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렌즈 조절부의 수평 운동을 제1 링크부재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조절부의 수평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링크부재가 회전 운동하게 되고, 상기 제1 링크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링크부재도 회전하여 상기 링부를 회전시키며, 상기 링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렌즈 노브가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렌즈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렌즈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
를 더 포함하는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삽입홀의 내측면에는 외부 광원을 차단하는 차폐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의 단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0475A KR102147252B1 (ko) | 2018-05-28 | 2018-05-28 |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
US16/424,133 US10663836B2 (en) | 2018-05-28 | 2019-05-28 |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lens adjustment pa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0475A KR102147252B1 (ko) | 2018-05-28 | 2018-05-28 |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5247A KR20190135247A (ko) | 2019-12-06 |
KR102147252B1 true KR102147252B1 (ko) | 2020-08-25 |
Family
ID=6861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0475A KR102147252B1 (ko) | 2018-05-28 | 2018-05-28 |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663836B2 (ko) |
KR (1) | KR10214725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492167A (zh) * | 2020-11-30 | 2021-03-12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9834B1 (ko) * | 2016-01-27 | 2016-05-11 | (주)아세아항측 | 암실 초분광 리니어 스캐닝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96591A (en) * | 1877-10-30 | Improvement in photographic cameras | ||
US2326542A (en) * | 1941-02-12 | 1943-08-10 | Jur Amsco Corp De | Photographic enlarger |
US2312562A (en) * | 1941-04-11 | 1943-03-02 | Dejur Amsco Corp | Photographic apparatus |
US2388394A (en) * | 1944-05-17 | 1945-11-06 | Burke & James Inc | Photographic device and appurtenance for reproduction purposes |
US3677636A (en) * | 1969-12-12 | 1972-07-18 | Leo Stein | Transportable photographic enlarger |
US4281343A (en) * | 1980-04-28 | 1981-07-28 | George Monteiro | Underwater video camera housing |
US4515468A (en) * | 1983-03-25 | 1985-05-07 | Phase One Products, Corp. | Combined photographic enlarger and print developing tray |
DE59409921D1 (de) * | 1994-09-15 | 2001-11-29 | Gretag Imaging Ag | Fotografisches Kopiergerät |
JP4017946B2 (ja) * | 2002-09-02 | 2007-12-05 | 株式会社エルモ社 | 監視カメラ装置 |
KR20050090803A (ko) * | 2004-03-10 | 2005-09-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캠코더의 광학필터 절환 장치 |
KR100728017B1 (ko) | 2005-12-09 | 2007-06-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광픽업 장치 |
US20100208360A1 (en) * | 2009-02-18 | 2010-08-19 | Huang Kuo Hsiu | Waterproof and externally modulated zoom structure |
KR20110058496A (ko) | 2009-11-26 | 2011-06-01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소형의 실험용 동물의 촬영을 위한 엑스선 검사 장치 |
WO2019183230A1 (en) * | 2018-03-20 | 2019-09-26 | Sheltered Wings, Inc. D/B/A Vortex Optics | Viewing optic with a base having a light module |
-
2018
- 2018-05-28 KR KR1020180060475A patent/KR10214725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5-28 US US16/424,133 patent/US1066383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9834B1 (ko) * | 2016-01-27 | 2016-05-11 | (주)아세아항측 | 암실 초분광 리니어 스캐닝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90361320A1 (en) | 2019-11-28 |
US10663836B2 (en) | 2020-05-26 |
KR20190135247A (ko) | 2019-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99279B2 (ja) | 拡大用アタッチメント | |
JP5415973B2 (ja) | 撮像装置、内視鏡システム及び撮像装置の作動方法 | |
JP2012083708A (ja) | レンズ鏡筒 | |
US6434331B1 (en) | Lens barrel | |
JP2017116814A (ja) | カメラモジュール、撮像装置及び通信装置 | |
US8353595B2 (en) | Fundus camera | |
US8077403B2 (en) | Lens barrel | |
US20110158621A1 (en) | Lens barrel | |
KR20110133482A (ko) | 센서 시스템 및 디지털 카메라 | |
JP5906467B2 (ja) | レンズ鏡筒 | |
JP4191501B2 (ja) | 携帯情報端末装置 | |
KR102147252B1 (ko) | 렌즈 조절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 | |
JP2020144166A (ja) | 観察撮像装置 | |
TW200424743A (en) | Digital camera | |
JP5592027B2 (ja) | 撮像装置 | |
JP2012083711A (ja) | レンズ鏡筒 | |
JP2004258312A (ja) | ディジタルカメラ | |
JP6270370B2 (ja) |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 |
JP2008046200A (ja) |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 |
JP3601905B2 (ja) | 固定焦点超小型カメラ | |
KR102196791B1 (ko) | 초점면의 조절이 가능한 이미지 획득 장치 | |
JP2019020536A (ja) | 撮像装置 | |
JP5882627B2 (ja) | レンズ鏡筒 | |
JP2011107571A (ja) |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 |
JP2005037548A (ja) | 撮影レンズ装置及びカメ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