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070B1 - 원격 관리가 가능한 커피머신 - Google Patents

원격 관리가 가능한 커피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070B1
KR102147070B1 KR1020180055170A KR20180055170A KR102147070B1 KR 102147070 B1 KR102147070 B1 KR 102147070B1 KR 1020180055170 A KR1020180055170 A KR 1020180055170A KR 20180055170 A KR20180055170 A KR 20180055170A KR 102147070 B1 KR102147070 B1 KR 102147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control device
menu
information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713A (ko
Inventor
강덕원
김철호
이종현
이병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구전자
이종현
이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구전자, 이종현, 이병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구전자
Priority to KR1020180055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07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Abstract

원격 관리가 가능한 커피머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피머신은, 사용자에 의해 메뉴가 입력되고 작동정보 및 설정정보를 표시하는 터치패널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서버로부터 장치의 설정정보를 수신해서 이를 설정하고 작동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주제어장치와, 주제어장치에서 받은 제어신호를 이용해서 내부 장치를 제어하는 머신제어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관리가 가능한 커피머신{REMOTE MANAGEABLE COFFEE MACHINE}
본 발명은 네트워크와 연결된 서버에 의해서 원격 관리될 수 있는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커피를 제조하는 커피머신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커피머신은 커피원두를 분쇄한 후 고온 및 고압의 물을 이용해서 가압한 후 커피액을 추출하여 커피음료를 제작한다. 이와 같은 커피머신은 커피에 대한 수요 증가에 힘입어 커피 전문 매장 및 편의점은 물론 일반 가정에도 널리 보급되고 있다.
종래의 커피머신은 장치 각각이 개별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장치의 관리가 어렵고 커피맛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커피머신은 관리자가 각각의 커피머신을 개별적으로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커피머신마다 레시피(recipe)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커피맛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커피머신은 레시피를 변경하거나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하는 경우에도, 각 장비별로 변경 및 업데이트를 실행해야 하는데, 이는 커피머신 관리의 비용 및 시간 상승을 유발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6577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서버에 의해서 원격에서 관리될 수 있는 커피머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피머신은, 사용자에 의해 메뉴가 입력되고 작동정보 및 설정정보를 표시하는 터치패널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서버로부터 장치의 설정정보를 수신해서 이를 설정하고 작동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주제어장치와, 주제어장치에서 받은 제어신호를 이용해서 내부 장치를 제어하는 머신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머신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동정보는 판매량, 전원 온오프 상태, 에러 발생 여부, 최신 메뉴 설정 데이터, 잔존 원료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정보는 메뉴, 레시피, 작동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정보는 메뉴 배경화면 및 스크린 세이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메뉴가 입력되고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터치모듈부와, 주제어장치와 통신하는 패널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주제어장치는, 터치패널 및 머신제어장치와 통신하는 내부통신부와,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서버와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서버연결부와, 저장매체가 삽입될 수 있는 메모리 삽입부와, 설정정보를 입력 받아서 터치패널 및 머신제어장치를 설정하고 작동정보를 생성해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삽입부를 통해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커피머신의 작동정보를 저장매체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서버에 의해서 원격으로 관리될 수 있어서 관리에 대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커피머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에서 메뉴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에서 관리자 모드 입력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에서 장치 설정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에서 기간별 판매 정산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에서 각 음료별 레시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에서 에러 발생 이력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에서 장치 작동을 위한 설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에서 장치를 초기화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에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적용 가능한 배경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에서 터치패널의 스크린 세이버 설정을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100)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커피머신(100)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100)은 사용자가 터치패널(110)을 이용한 선택에 의해서 커피를 추출한 후 노즐(104)을 통해서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한다. 커피머신(100)의 전면에는, 메뉴가 표시되고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서 메뉴가 선택되며 장치의 작동정보 및 설정정보가 표시되는 터치패널(11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커피머신(100)의 전면에서 터치패널(110)의 하부에는 생성된 커피음료가 배출되는 노즐(104)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커피머신(100)의 상면에는 로스팅된 원두가 저장되는 원두통(102)이 구비되어 있다.
커피머신(100)의 내부에는 펌프(도시하지 않음), 히터(도시하지 않음), 밸브(도시하지 않음), 모터(도시하지 않음), 센서(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내부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내부 장치들은 주제어장치(120)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은 머신제어장치(140)에 의해서 제어된다.
터치패널(110)은 터치모듈부(112), 패널통신부(114), LCD표시부(116)를 포함한다.
터치모듈부(112)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서 메뉴 선택과 같은 정보를 입력 받고, 커피머신(100)의 작동정보 및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전송된 설정정보를 표시한다. 터치모듈부(112)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되는 작동정보는 판매량, 전원 온오프 상태, 에러 발생 여부, 최신 메뉴 설정 데이터, 잔존 원료량 및 현재 레시피를 포함한다. 또한, 터치모듈부(112)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되는 설정정보는 메뉴, 레시피, 작동조건(예를 들면, 물의 온도, 커피 추출시 원료 투입량 등)을 포함한다.
특히, 터치모듈부(112)는 커피머신(100)에서 제조 가능한 메뉴(예를 들면, 아메리카노, 에스프레소, 카페라떼 등)을 사진을 통해서 표시함으로써 메뉴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도 4 참조). 또한, 터치모듈부(112)는 커피 추출 이외의 시간에는 스크린 세이버를 표시함으로써 시인성 및 심미감을 높인다.
패널통신부(114)는 터치패널(110)과 주제어장치(120)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한다. 즉, 터치패널(110)을 통해서 입력된 메뉴 선택 정보 및 각종 설정 정보는 주제어장치(120)에 전달되고, 주제어장치(120)에서 전송된 작동정보 및 설정정보는 터치패널(110)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된다.
LCD 표시부(116)는 터치패널(110)에서 각종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이다.
주제어장치(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커피머신(100)의 설정정보를 입력 받아서 내부 장치(펌프, 모터, 센서, 밸브, 히터 등)를 제어하고 작동정보를 생성해서 서버에 전송한다. 주제어장치(120)는 제어부(122), 내부통신부(124), 저장부(126), 서버연결부(128) 및 메모리삽입부(130)를 포함한다.
내부통신부(124)는 주제어장치(120)와 터치패널(110) 및 머신제어장치(140) 사이의 통신을 담당한다. 내부통신부(124)는 범용 동기 및 비동기형 송수신기(USART)에 해당할 수 있다.
저장부(126)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로부터 전송된 설정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부(126)는 저장매체를 통해서 입력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6)는 커피머신(100)의 작동에 대한 정보 중에서 전체 및 메뉴별 판매량 그리고 에러(error)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26)는 서버 주소(서버 아이피), 커피머신(100)의 식별정보(머신 아이피(IP), 설치 시간 및 위치, 모델명, 장치 고유 번호 등)를 저장한다.
서버연결부(128)는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에 의해서 주제어장치(120)와 원격에 위치하는 서버를 연결한다. 주제어장치(120)와 서버는 인터넷망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삽입부(130)는 USB 메모리 스틱 또는 SD 카드 등과 같은 이동식 저장매체(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저장매체에 저장된 업데이트 정보 등은 저장부(126) 및 제어부(122)에 전달되어 각종 정보 및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커피머신(100)의 작동정보 및 설정정보는 메모리삽입부(130)를 통해서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서버로부터 설정정보를 입력 받아서 터치패널(110) 및 내부장치(펌프, 히터, 밸브 등)를 설정하고, 커피머신(100)의 작동정보를 생성해서 서버에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22)는 서버에서 전송된 설정정보가 커피머신(100)에 설정되도록 한다. 서버에서 전송되는 설정정보는 메뉴의 종류, 메뉴별 레시피(현재 및 미래의 레시피 포함), 커피머신 작동 조건(물온도, 물의 량, 원료 투입량, 컵 사용 여부 등), 터치패널(110)의 배경화면 및 스크린 세이버 등이 있다.
제어부(122)는 터치패널(110)을 통해서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머신제어장치(140)를 통해서 선택된 메뉴가 자동으로 제조되도록 내부 장치들을 제어하고, 터치패널(110)을 통해서 음료 제조 과정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머신제어장치(140)는 제어부(122)의 제어신호를 통해서 커피머신(100)의 내부 장치에 해당하는 펌프, 히터, 밸브, 모터 및 센서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1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100)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커피머신(100)과 서버와의 연결을 위해서 네트워크가 설정된다. 즉, 사용자는 터치패널(110)을 통해서 관리자 서버를 선택(예를 들면, Korea 또는 Indomaret 중에서 어느 하나)할 수 있다. 괸리 서버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버에 대응하는 서버 아이피(IP), 제품 아이피, 게이트웨이 등이 표시된다. 또한, 커피머신(100)이 온(on) 상태가 되면 펌핑 커피 보일러(pumping coffee boiler), 온수 가열(heating water), 브루어 초기화(initializing brewer), 브루어 세정(rinsing brewer), 믹서 세정(rinsing mixer)이 초기화 된다.
커피머신(100)의 네트워크 설정을 완료한 후 장치가 설치되는 지역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커피머신(100)이 설치되는 지역 정보는 커피머신(100)에 미리 저장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커피머신(100)의 터치패널(110)을 통해서 입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100)에서 메뉴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메뉴 화면의 상부에는 현재 에러 발생 여부, 네트워크 연결 상태 표시, 물 없음 표시, 슬러지 포화 여부, 브루어 설치 여부, 보일러 온도 표시 등과 같은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메뉴 화면의 상부에 표시된 상기와 같은 장비 작동 정보를 이용해서 커피머신의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메뉴 화면에는 커피머신(100)에서 제공 또는 판매되는 메뉴가 그림과 함께 제공된다. 도 4에는 커피머신에서 제공되는 메뉴로서 아메리카노, 에스프레소, 소프트 아메리카노, 초콜렛, 초코 밀크, 카페라떼 등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메뉴 화면은 두 페이지 이상 준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100)에서 관리자 모드 입력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화면이 표시되고, 아래 버튼을 눌러서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사용자 또는 관리자 화면으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커피머신(100)의 초기화, 시간 및 날짜 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커피머신(100)의 모든 기능을 커피머신(100)에서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100)에서 장치 설정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설정 화면을 통해서 판매량 정산 확인(도 7 참조), 과거, 현재 및 미래의 레시피 확인(도 8 참조), 에러 발생 이력 확인(도 9 참조), 커피머신(100) 작동 조건 확인(도 10 참조), 커피머신(100) 초기화 실행(도 11 참조), 패스워드 재설정, 설정된 배경화면(wall paper) 확인(도 12 참조), 설정된 스크린 세이버 확인(도 13 참조), 날짜 및 시간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화면의 하단에는 제품 설치 지역(도 6에서는 경기도/동구), 서버에서 인식 가능한 제품 아이디, 마지막으로 설정값을 내려 받아서 적용한 시점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100)에서 기간별 판매 정산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터치패널(110)을 통해서 기간별 판매량이 정산되어 표시될 수 있다. 판매량을 산정하는 기간은 일간, 주간, 월간 등으로 조정할 수 있다. 기간별 판매량 정산은 저장부(126)에 저장된 각 메뉴별 판매량을 제어부(122)가 입력된 기간별로 정산해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2)는 판매량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100)에서 각 메뉴별 레시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커피머신(100)에 설정된 각 메뉴별 과거 및 현재의 레시피가 터치패널(110)을 통해서 표시된다. 또한, 터치패널(110)을 통해서 향후(예를 들면, 내일 또는 1주일 후)에 적용될 레시피가 표시될 수 있다. 미래의 레시피가 적용되는 시점을 서버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다. 커피머신(100)에 설정된 레시피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것으로, 저장부(126)에 저장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100)에서 에러 발생 이력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터치패널(110)을 통해서 해당 커피머신(100)에서 발생한 오류 정보가 발생 시간별로 표시될 수 있다. 에러 발생 이력은 제어부(122)에 의해서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100)에서 장치 작동을 위한 설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서버로부터 전송된 커피머신(100)의 설정정보가 터치패널(110)을 통해서 표시된다. 설정정보는 공급되는 커피의 온도(95℃로 예시됨), 슬러지 배출 알림 시간(커피 50회 추출 후로 설정됨), 컵센서 작동 여부, 터치패널의 LED 색상 및 밝기 등이 표시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100)에서 장치를 초기화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커피머신(100)을 초기화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초기화 화면에는 브루어 초기화(initialize brewer), 브루어 세척(clean brewer), 전체 믹스 세척(clean all mix), 유량계 에러 해제(reset water empty), 슬러지 초기화(clean sludge)를 위한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브루어 초기화는 브루어 에러 발생에 의해 재조립 후 해당 버튼으로 초기화를 실행하는 것이다. 전체 믹스 세척은 커피머신(100)의 유지 보수를 위해서 전체 믹스통을 세척하는 것이다. 유량계 에러 해제는 물 부족 오류 발생시 물을 다시 보충한 후 해당 오류를 해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슬러지 초기화는 설정된 수량 이상 판매되어 슬러지 비움 경고가 발생한 경우 해당 버튼으로 그 경고를 해제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에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적용 가능한 배경화면(wallpaper)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현재 설정되어 있는 배경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배경화면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된 것으로 두 개 이상이 설정되어 일정 시간마다 배경화면이 변경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100)에서 터치패널(110)의 스크린 세이버 설정을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적용된 스크린 세이버 화면 및 그 설정값을 확인할 수 있다. 스크린 세이버 설정값은 디스플레이 시간(display time)과, 스크린 세이버가 다수 개인 경우 기간(duration)을 설정해서 해당 스크린 세이버가 디스플레이 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설정 화면을 통해서 커피머신(100)이 설치된 장소의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고, 시간대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달력과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은 다수 대가 원격에 위치하는 하나의 서버와 연결되어서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커피머신
110: 터치패널 112: 터치모듈부
114: 패널통신부 116: LCD 표시부
120: 주제어장치 122: 제어부
124: 내부통신부 126: 저장부
128: 서버연결부 130: 메모리삽입부
140: 머신제어장치

Claims (7)

  1. 사용자에 의해 메뉴가 입력되고 작동정보 및 설정정보를 표시하는 터치패널;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서버로부터 장치의 설정정보를 수신해서 이를 설정하고 상기 작동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주제어장치;
    상기 주제어장치에서 받은 제어신호를 이용해서 내부 장치를 제어하는 머신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터치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모듈부는 제조 가능한 메뉴를 사진을 통해서 표시하고 스크린 세이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터치패널 및 머신제어장치와 통신하는 내부통신부와,
    상기 설정정보를 저장하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저장하며, 전체 및 메뉴별 판매량 그리고 에러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서버주소, 식별정보, 설치 시간 및 위치, 모델명, 장치 고유 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서버와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서버연결부와,
    상기 설정정보를 입력 받아서 상기 터치패널 및 상기 머신제어장치를 설정하고 상기 작동정보를 생성해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는 제어부와,
    이동식 저장매체와 연결될 수 있고, 저장매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상기 설정정보가 설정되도록 하며, 상기 서버에서 전송되는 상기 설정정보는 메뉴의 종류, 메뉴별 레시피, 작동조건, 상기 터치패널의 배경화면 및 스크린 세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서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머신제어장치를 통해서 선택된 메뉴가 자동으로 제조되도록 상기 내부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서 음료 제조 과정을 표시하는 커피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정보는 판매량, 전원 온오프 상태, 에러 발생 여부, 최신 메뉴 설정 데이터, 잔존 원료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메뉴가 입력되고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터치모듈부와, 상기 주제어장치와 통신하는 패널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장치는 저장매체가 삽입될 수 있는 메모리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삽입부를 통해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작동정보를 저장매체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KR1020180055170A 2018-05-15 2018-05-15 원격 관리가 가능한 커피머신 KR102147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170A KR102147070B1 (ko) 2018-05-15 2018-05-15 원격 관리가 가능한 커피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170A KR102147070B1 (ko) 2018-05-15 2018-05-15 원격 관리가 가능한 커피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713A KR20190130713A (ko) 2019-11-25
KR102147070B1 true KR102147070B1 (ko) 2020-08-24

Family

ID=6873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170A KR102147070B1 (ko) 2018-05-15 2018-05-15 원격 관리가 가능한 커피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0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536B1 (ko) * 2007-09-11 2011-10-14 정택규 계량수단이 구비된 전기믹서기와 이를 이용한 쥬스 제조방법
JP2013512701A (ja) * 2009-12-02 2013-04-18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遠隔サービス機能をサポートする飲料調製マシン
KR101595472B1 (ko) * 2015-06-22 2016-02-19 (주)미스터커피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장치의 운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5770A (ko) 2011-11-29 2013-06-20 주식회사 그린빈에스텍 원두커피머신 및 원두커피머신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536B1 (ko) * 2007-09-11 2011-10-14 정택규 계량수단이 구비된 전기믹서기와 이를 이용한 쥬스 제조방법
JP2013512701A (ja) * 2009-12-02 2013-04-18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遠隔サービス機能をサポートする飲料調製マシン
KR101595472B1 (ko) * 2015-06-22 2016-02-19 (주)미스터커피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장치의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713A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5000B1 (en) Coffee brewer and a corresponding network-based method and apparatus
CN102481067B (zh) 用于网络的饮料机
AU2008250486B2 (en) Beverage production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beverage production module
EP3275346A1 (en)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personalized beverage preparation
AU2010326826B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omprising a card reading arrangement
KR20120092166A (ko) 원격 서비스 기능을 지원하는 음료 제조 기계
CN101218611A (zh) 热饮料自动机的操纵装置
CN102481068A (zh) 网络中的饮料机
KR102147070B1 (ko) 원격 관리가 가능한 커피머신
US20220346591A1 (en) Smart bever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8701386B (zh) 用于对饮料机的显示器进行远程编程的方法
TW201633976A (zh) 點餐機自動傳輸飲料沖泡裝置
US20210316982A1 (en) Machine and method to select and dispense beverages
KR102029260B1 (ko) 커피머신 관리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