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260B1 - 커피머신 관리서버 - Google Patents

커피머신 관리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260B1
KR102029260B1 KR1020180055173A KR20180055173A KR102029260B1 KR 102029260 B1 KR102029260 B1 KR 102029260B1 KR 1020180055173 A KR1020180055173 A KR 1020180055173A KR 20180055173 A KR20180055173 A KR 20180055173A KR 102029260 B1 KR102029260 B1 KR 102029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machine
coffee
machine
master data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덕원
이종현
이병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구전자
이종현
이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구전자, 이종현, 이병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구전자
Priority to KR1020180055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커피머신 관리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 개의 커피머신을 관리하고, 커피머신의 작동조건을 설정하는 시스템설정부와, 커피머신의 마스터데이터를 관리하고 설정하는 마스터데이터 관리부와, 커피머신의 작동상태를 수신하고 이를 관리하는 머신정보 관리부와, 다수의 커피머신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부와, 작동조건, 마스터데이터 및 작동상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피머신 관리서버{MANAGEMENT SERVER FOR COFFEE MACHINE}
본 발명은 다수의 커피머신을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는 관리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커피를 제조하는 커피머신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커피머신은 커피원두를 분쇄한 후 고온 및 고압의 물을 이용해서 가압한 후 커피액을 추출하여 커피음료를 제작한다. 이와 같은 커피머신은 커피에 대한 수요 증가에 힘입어 커피 전문 매장 및 편의점은 물론 일반 가정에도 널리 보급되고 있다.
종래의 커피머신은 장치 각각이 개별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장치의 관리가 어렵고 커피맛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커피머신은 관리자가 각각의 커피머신을 직접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커피머신마다 레시피(recipe)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커피맛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커피머신은 레시피를 변경하거나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하는 경우에도, 각 장비별로 변경 및 업데이트를 실행해야 하는데, 이는 커피머신 관리의 비용 및 시간 상승을 유발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6577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커피머신을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는 관리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 개의 커피머신을 관리하고, 커피머신의 작동조건을 설정하는 시스템설정부와, 커피머신의 마스터데이터를 관리하고 설정하는 마스터데이터 관리부와, 커피머신의 작동상태를 수신하고 이를 관리하는 머신정보 관리부와, 다수의 커피머신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부와, 작동조건, 마스터데이터 및 작동상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설정부는, 커피머신의 물온도, 컵센서 사용여부, 슬러지 카운터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설정부는, 커피머신의 관리자 승인, 배경화면, 스크린세이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
마스터데이터 관리부는, 커피머신의 식별정보, 메뉴, 레시피 및 원료투입량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데이터 관리부는, 커피머신의 레시피 배포 및 버전을 관리할 수 있다.
커피머신의 식별정보는 각각의 커피머신의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아이디(id), 아이피 주소(ip address), 설치 장소, 맥어드레스(mac address) 및 모델명을 포함할 수 있다.
머신정보 관리부는, 커피머신의 식별정보, 작동여부, 판매량 및 원료상태에 대한 정보를 각각의 커피머신에서 수신한 후 이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커피머신을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는 관리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와 다수 대의 커피머신이 연결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의 메인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에서 시스템설정부의 커피머신 작동조건을 설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에서 시스템설정부의 커피머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관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에서 마스터데이터 관리부의 커피머신 코드 등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에서 마스터데이터 관리부의 메뉴데이터 등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에서 마스터데이터 관리부의 레시피 버전 등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에서 마스터데이터 관리부의 메뉴 코드 관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에서 마스터데이터 관리부의 레시피 원료 관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에서 마스터데이터 관리부의 레시피 버전 등록 상태 관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에서 머신정보 관리부가 수신한 커피머신의 식별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에서 머신정보 관리부가 수신한 커피머신의 작동 여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에서 머신정보 관리부가 수신한 커피머신의 판매량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에서 머신정보 관리부가 수신한 커피머신의 원료 잔존량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00)와 다수 대의 커피머신(130)이 연결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는 다수 대의 커피머신(130)과 이격되어 원격에서 커피머신(130)들을 관리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는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된 다수 대의 커피머신(130)의 작동정보를 수신하고 원격에서 그 작동조건 및 작동상태를 관리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는 웹(web) 기반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실시간으로 다수 개의 커피머신(130)들의 운영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작동조건을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커피머신(130)들은 각각 상이한 곳에 위치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는 이와 같이 특정 지역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커피머신(130)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는 하나의 도시 또는 지역에 분포하는 다수 개의 커피머신들을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국가 또는 다수 개의 국가에 위치하는 커피머신들을 관리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는, 커피머신의 작동조건을 설정하는 시스템설정부(110)와, 커피머신(130)의 마스터데이터(master data)를 관리하고 등록하는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와, 커피머신(130)의 작동상태를 수신하고 이를 관리하는 머신정보 관리부(114)와, 다수 개의 커피머신(1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는 작동조건, 마스터데이터 및 작동상태를 저장하는 저장부(118)와, 시스템설정부(110),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 머신정보 관리부(114), 통신부(120)의 작동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제어부(116)를 포함한다.
시스템설정부(110)는 커피머신(130)들의 작동조건을 설정한다. 커피머신(130)의 작동조건은 커피머신의 물온도, 컵센서 사용여부, 슬러지 카운터 설정, 커피머신의 관리자 승인, 배경화면(wall paper), 스크린세이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설정부(110)에 의해서 설정된 작동조건에 대한 정보는 네트워크(130)에 의해 연결된 다수의 커피머신(130)에 전달 및 저장된 후 커피머신(130)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커피머신(130)에 설정된다.
시스템설정부(110)는 작동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커피머신(130)의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설정부(110)는 하나의 도시에 위치한 커피머신(130) 중에서 특정 구역에 위치한 커피머신만의 작동조건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시스템설정부(110)는 커피머신(130)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물 온도는 커피머신(130)에서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에 해당한다.
컵센서 사용여부는 사용자 컵을 이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를 활성화 하는 것으로, 사용자 컵이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머신 내부의 컵(1회용 컵)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사용자 컵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머신 내부의 컵을 공급할 수 있다.
슬러지 카운터는 커피를 몇 회 추출 후 슬러지 제거를 위한 작동을 수행할지를 설정하는 것이다. 커피액을 추출하면 슬러지가 발생하고 그 슬러지는 슬러지 보관함에 보관된다. 그리고 슬러지가 일정 횟수만큼 축적되면 슬러지 보관함이 더 이상 슬러지를 수용할 수 없기 때문에, 커피 추출 횟수를 카운트 해서 슬러지 제거가 필요한 시점에 알림을 할 수 있다.
관리자 승인은 커피머신 관리서버(100) 및 커피머신(130)에 접근해서 그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관리자에 대한 승인 및 관리범위를 설정하는 것이다.
배경화면은 커피머신(130)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또한, 스크린 세이버는 커피머신(130)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가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하지 않는 경우 표시된다. 배경화면 및 스크린세이버는 시스템설정부(110)에 의해서 커피머신(130)에 설정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은 커피머신(130)의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시스템설정부(1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정 및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는 커피머신(130)의 마스터데이터(master data)의 생성, 변경 및 이력을 관리한다. 커피머신(130)에 적용되는 마스터데이터는 커피머신의 식별정보, 메뉴, 레시피 및 각 레시피별 원료투입량을 포함한다.
커피머신(130)의 식별정보는 커피머신 각각의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아이디(id), 아이피 주소(ip address), 설치장소, 맥어드레스(mac address) 및 모델명 등을 포함한다.
메뉴는 커피머신(130)을 통해서 공급하는 음료의 종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아메리카노, 에스프레소, 카페라떼 등이 이에 해당한다.
레시피는 상기 메뉴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원료(커피원두, 설탕, 우유 등)의 개별 투입량에 해당한다. 각 국가나 지역마다 동일한 메뉴에 대해서 선호하는 레시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해서 레시피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는 레시피의 설정 및 변경은 물론 레시피 배포 시기 및 범위 그리고 레시피 버전 및 변경 이력을 관리할 수도 있다.
머신정보 관리부(114)는 각각의 커피머신의 식별정보, 작동여부, 판매량, 원료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관리한다. 머신정보 관리부(114)는 커피머신의 상기와 같은 머신정보를 전송받고 저장하며, 사용자가 요청하는 경우 이를 가공해서 디스플레이하거나 다운로드 할 수 있게 한다.
커피머신의 식별정보는 각각의 커피머신의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아이디(id), 아이피 주소(ip address), 설치 장소, 맥어드레스(mac address) 및 모델명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여부는 커피머신의 전원 온오프 여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원료상태를 커피머신에서 사용되는 개별 원료의 잔존량에 대한 정보에 해당한다.
저장부(118)는 커피머신의 작동조건, 마스터데이터 및 작동상태를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시스템설정부(110),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 머신정보 관리부(114) 및 제어부(116)에 전달한다.
통신부(120)는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와 다수의 커피머신(13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한다.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와 커피머신(130)은 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데이터 송수신의 정보 보안을 위한 관리 수단 및 송수신 오류를 각 커피머신(130)별로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제어부(116)는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의 전체적인 동작 및 기능을 관리한다. 특히, 제어부(116)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시스템설정부(110),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 머신정보 관리부(114), 저장부(118) 및 통신부(120)의 작동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그 처리 과정 및 결과를 디스플레이(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가 커피머신(130)의 작동조건, 마스터데이터 및 머신정보 설정 및 관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의 메인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의 메인화면에는 원격에 위치하는 모든 커피머신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커피머신에 대한 정보는 설치 지역(Region), 지점명(Branch), 머신의 모델명, 전원 온오프 여부, 에러 발생 여부, 원료(Material) 부족 여부, 머신 설치 여부 및 일자, 설정된 레시피 버전, 판매 정보 등을 포함한다.
메인화면에는 커피머신을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설정부(System Configuration), 마스터데이터 관리부(Master data registration) 및 머신정보 관리부(Report Management 및 Send/receive data)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된다. 관리자는 메인화면에 표시된 시스템설정부, 마스터데이터 관리부 및 머신정보 관리부를 활성화 해서 원하는 항목에 대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에서 시스템설정부(110)의 커피머신 작동조건을 설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메인화면을 통해서 시스템설정부(110)를 활성화하면 각 커피머신(130)의 작동조건 즉, 물온도, 컵센서 사용 여부, 커피머신의 조명 색상 및 밝기, 스크린 세이버 디스플레이 시간 및 지속 시간, 배경화면 이미지 선택, 슬러지 카운트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관리자는 해당 커피머신의 상기와 같은 작동조건을 설정한 후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에서 시스템설정부(110)의 커피머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관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시스템설정부(110)는 커피머신의 터치패널(도시하지 않음)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원격에서 커피머신에 다운로드 및 설정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커피머신의 터치패널에 설정되어 사용자의 메뉴 선택, 배경화면 및 스크린 세이버 화면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업데이트 되는 경우 시스템설정부(110)는 이를 각 커피머신에 전송하여 다운로드 및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시스템설정부(1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히스토리를 도 5의 표와 같이 관리할 수 있다.
시스템설정부(110)는 커피머신의 작동조건 설정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관리 이외에서 서버 관리자를 관리할 수 있다. 서버 관리자는 서버에 접근해서 커피머신의 설정을 조회 및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등급을 설정해서 조회 및 설정 권한의 제한을 둘 수 있다. 또한, 시스템설정부(110)는 커피머신의 배경화면 및 스크린 세이버를 설정 및 관리할 수 있다. 배경화면 및 스크린 세이버는 각 커피머신에 전송되어 저장되고, 시스템설정부(110)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되는 시간 및 업데이트 되는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에서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의 커피머신 코드 등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에 의해 관리되는 모든 커피머신(130)은 설치 지역 및 지점명이 입력되고 고유의 모델번호 및 식별번호 등을 갖는다.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는 관리자가 모든 커피머신의 설치정보 및 식별정보를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에서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의 메뉴데이터 등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커피머신(130)이 제조해서 제공할 수 있는 메뉴는 아메리카노, 에스프레소, 소프트 아메리카노(Soft Americano), 초콜렛, 초코 밀크, 카레라떼 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메뉴에 대한 가격, 물의 양, 원료 투입량에 대한 세부 정보가 저장된다. 커피머신이 제조할 수 있는 메뉴의 종류 및 개수는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에서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의 레시피 버전 등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커피머신 제조사 등에서 제공하는 업데이트된 레시피의 버전(version) 및 세부 정보가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에 저장되고,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는 업데이트된 레시피가 커피머신에 저장 및 설정되도록 한다. 또한, 마스터데이트 관리부는 커피머신에 설정된 레시피의 버전 및 설치 이력 등을 조회활 수 있다.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에서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의 메뉴 코드 관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커피머신의 판매 대기 화면에서 표시되는 메뉴 아이콘의 디자인 및 화면 배치 구조가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에 의해서 커피머신에 설정될 수 있다. 메뉴 아이콘은 소비자가 메뉴에 대한 정보를 쉽게 인식하고 주문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커피머신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메뉴 아메리카노는 커피머신 디스플레이의 최상부 좌측에 배치되고 투명 유리컵에 크레마(crema) 또는 우유 거품이 포함되지 않은 커피 음료 색상으로만 표시될 수 있다. 물론, 각 메뉴의 그래픽 디자인 및 디스플레이에서의 배치 구조는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에 의해서 변경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에서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의 레시피 원료 관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는 레시피 원료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각 원료통의 원료 최대 수용량과 초당 불출되는 원료량(gram)을 정의하는 기능으로 원료의 잔량을 확인하고 품절을 경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에서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의 레시피 버전 등록 상태 관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레시피 버전 등록(도 8 참조)에 의해서 등록된 하나 이상의 레시피 버전은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에 의해서 원하는 지역에 위치하는 커피머신에 배포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지역에 위치하는 커피머신은 관리자가 설정한 일자에 배포된 레시피가 적용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면, 마스터데이터 관리부(112)는 신규 버전의 레시피가 제주도 지역에 위치하는 커피머신들에만 설정일로부터 일주일 이후에 모두 적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에서 머신정보 관리부(114)가 수신한 커피머신의 식별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머신정보 관리부(114)가 현재 설치되어 관리되는 모든 커피머신의 식별정보가 파악되어 표시될 수 있다. 머신정보 관리부(114)에 의해 표시되는 커피머신의 식별정보는 커피머신의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아이디(id), 설치 지역(region), 지점명(branch), 스토어(store), 모델명, 아이피 주소(ip address), 맥어드레스, 설치 일자 및 등록일자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정보 관리부(114)는 등록된 모든 커피머신을 검색 조건에 따라서 정렬한 후 이를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또는 데이터 파일로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에서 머신정보 관리부(114)가 수신한 커피머신의 작동 여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머신정보 관리부(114)는 커피머신들의 전원 온오프(on/off) 여부를 파악해서 이를 날짜 별로 정렬한 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머신정보 관리부(114)는 검색 조건을 만족한 커피머신의 일자 별 작동 여부를 산정해서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고 데이터 파일로 변환해서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에서 머신정보 관리부(114)가 수신한 커피머신의 판매량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머신정보 관리부(114)는 커피머신의 기간 별 판매량 및 매출액에 대한 데이터를 받아서 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머신정보 관리부(114)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커피머신 각각의 판매량 및 매출액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고 이를 데이터 파일로 변환해서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 관리서버(100)에서 머신정보 관리부(114)가 수신한 커피머신의 원료 잔존량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머신정보 관리부(114)는 각각의 커피머신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원료의 잔존량을 파악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머신정보 관리부(114)는 각 커피머신에서 잔존 원료량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하는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커피머신의 원료 잔존량은 초기 원료 투입량에서 매회 메뉴를 제조할 때 투입되는 원료량을 차감함으로써 머신정보 관리부(114)에 의해서 산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커피머신 관리서버
110: 시스템설정부
112: 마스터데이터 관리부
114: 머신정보 관리부
116: 제어부
118: 저장부
120: 통신부
130: 커피머신

Claims (7)

  1.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 개의 커피머신을 관리하는 커피머신 관리서버로서,
    커피머신의 작동조건을 설정하는 시스템설정부;
    커피머신의 마스터데이터를 관리하고 설정하는 마스터데이터 관리부;
    커피머신의 작동상태를 수신하고 이를 관리하는 머신정보 관리부;
    다수의 커피머신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작동조건, 마스터데이터 및 작동상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설정부는, 지역별/지점별 다수의 커피머신의 물온도, 컵센서 사용여부, 슬러지 카운터, 커피머신의 관리자 승인, 배경화면, 스크린세이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정하며,
    상기 마스터데이터 관리부는, 지역별/지점별 커피머신의 식별정보, 메뉴, 레시피 및 원료투입량을 설정하고,
    상기 마스터데이터 관리부는 지역별/지점별 레시피의 배포 지역 및 배포 시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터데이터 관리부는 지역별/지점별 업데이트된 레시피가 커피머신에 저장 및 설정되도록 하고, 커피머신에 설정된 레시피의 버전 및 설치 이력을 조회할 수 있고,
    상기 마스터데이터 관리부는 지역별/지점별 커피머신의 판매 대기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 아이콘의 디자인 및 화면 배치구조를 설정할 수 있는 커피머신 관리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커피머신의 상기 식별정보는 각각의 커피머신의 아이피 주소(ip address), 설치 장소 및 모델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관리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정보 관리부는, 커피머신의 식별정보, 작동여부, 판매량 및 원료상태에 대한 정보를 각각의 커피머신에서 수신한 후 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관리서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55173A 2018-05-15 2018-05-15 커피머신 관리서버 KR102029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173A KR102029260B1 (ko) 2018-05-15 2018-05-15 커피머신 관리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173A KR102029260B1 (ko) 2018-05-15 2018-05-15 커피머신 관리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260B1 true KR102029260B1 (ko) 2019-10-08

Family

ID=6820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173A KR102029260B1 (ko) 2018-05-15 2018-05-15 커피머신 관리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2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846A (ko) * 2008-11-11 2010-05-2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원격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1770A (ko) * 2010-05-03 2011-11-09 (주)지모드 자판기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65770A (ko) 2011-11-29 2013-06-20 주식회사 그린빈에스텍 원두커피머신 및 원두커피머신 관리방법
KR20160134284A (ko) * 2015-05-15 2016-11-23 박규영 스마트 캡슐커피 자판기
KR20160149662A (ko) * 2015-06-19 2016-12-28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IoT 기반의 스마트 커피 자판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846A (ko) * 2008-11-11 2010-05-2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원격 자동판매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1770A (ko) * 2010-05-03 2011-11-09 (주)지모드 자판기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65770A (ko) 2011-11-29 2013-06-20 주식회사 그린빈에스텍 원두커피머신 및 원두커피머신 관리방법
KR20160134284A (ko) * 2015-05-15 2016-11-23 박규영 스마트 캡슐커피 자판기
KR20160149662A (ko) * 2015-06-19 2016-12-28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IoT 기반의 스마트 커피 자판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81291B (zh) 具有虚拟购物功能的饮料制备机
JP5768057B2 (ja) タッチメニュー機能を備える飲料調製マシン
JP5809161B2 (ja) 遠隔サービス機能をサポートする飲料調製マシン
JP2017174320A (ja) 飲食物払出装置、及び携帯端末
JP5809160B2 (ja) 拡張されたユーザ助言機能を有する飲料調製マシン
JP2015091418A (ja) ネットワーク用飲料マシン
CN102639038A (zh) 包括读卡设置的饮料制备机
US20100094715A1 (en) System for creating menu board and food ordering system using electronic menu board module
US11216156B2 (en) Printed user interface
KR20180091076A (ko) 세탁기를 사용하여 쾌속 쇼핑하는 방법 및 세탁기
EP3005324A1 (en) Control of vending machines
JP6597057B2 (ja) 伝票出力制御装置、伝票出力システム、伝票出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222868A1 (en) Fail-safe electronic restaurant management system
JP2009157421A (ja) セルフオーダシステム
KR102029260B1 (ko) 커피머신 관리서버
EP2381428A1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delivering products and/or beverages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200009455A (ko)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TW201535259A (zh) 應用程式配送系統、通信終端、記憶裝置、程式及應用程式配送方法
CN107945377A (zh) 自动贩卖机、烹饪器具、中控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099222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커피머신 관리방법
JP5613722B2 (ja) 販売時点情報管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0224160Y1 (ko) 음식 주문 장치
KR102147070B1 (ko) 원격 관리가 가능한 커피머신
JP7421203B2 (ja) 自動販売機決済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販売機、中間サーバー、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RU2789390C1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