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183B1 - 식기 - Google Patents

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183B1
KR102146183B1 KR1020190009367A KR20190009367A KR102146183B1 KR 102146183 B1 KR102146183 B1 KR 102146183B1 KR 1020190009367 A KR1020190009367 A KR 1020190009367A KR 20190009367 A KR20190009367 A KR 20190009367A KR 102146183 B1 KR102146183 B1 KR 102146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liquid food
tableware
foo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2163A (ko
Inventor
송이호
Original Assignee
송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이호 filed Critical 송이호
Priority to KR1020190009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1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6Articles adapted for a particular kind of foodstuff
    • A47G2400/062Articles adapted for a particular kind of foodstuff for cereals or other foods where liquid and non-liquid elements should be kept separate until eaten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스나 국물 등의 액상 음식이 더해지는 탕수육 등의 음식을 상이한 방식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식기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식기는, 액상 음식이 더해지는 메인 음식을 상이한 방식으로 섭취하기 위한 식기로, 상부가 개방되며 메인 음식을 담는 공간을 가지는 식기 몸체; 상기 공간을 3개 이상의 칸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부; 및 상기 칸막이부에 구비되며 상기 3개 이상의 칸 중 2개의 칸 사이로 상기 액상 음식의 이동을 안내하는 액상 음식 이동로;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 음식 이동로는, 상기 칸막이부의 상단에서 아래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그 바닥면이 상기 칸막이부의 하반부에 위치된다.

Description

식기{Dinnerware}
본 발명은 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는 음식을 내놓거나 먹기 위해 사용하는 그릇들을 총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식기는 음식에 대한 개인의 기호 또는 섭취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 또는 크기 등으로 제공된다.
한편, 음식에 대한 개인의 기호 또는 섭취 방식 등은 매우 다양한 양상을 가지기 때문에, 개개인의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식음료 산업 분야에서 끊임 없는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식음료 산업에서는 식자재 및 조리법의 개선 뿐만 아니라, 음식을 섭취하는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고객을 만족시키고 수요를 창출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 음식에서 가장 보편적인 메뉴로서 손꼽히는 면류를 주문할 경우에, 두 가지 상이한 면을 동시에 맞보고 싶다면 과거에는 상이한 면을 각각 주문해야만 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두 가지 상이한 메뉴를 동시에 제공하는 메뉴를 개발함으로써 수요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수요를 확대시키고 있다.
도 1은 기존의 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기존의 식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식기 몸체(10)와, 식기 몸체(10)에 구비되며 식기 몸체(10)의 공간을 제1 및 제2 칸 이렇게 두 개의 칸으로 구획하는 칸막이(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칸과 제2 칸에 서로 상이한 종류의 음식이 담길 수 있어, 음식의 수요자는 상이한 맛을 가진 음식을 동시에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다.
한편, 음식은 개인의 기호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섭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기 튀김과 상기 고기 튀김에 더해지는 소스(sauce)로 이루어지는 탕수육을 먹는 경우를 가정하면, 어떤 사람은 고기 튀김 전체에 소스(sauce)가 배게 하여 섭취하는 것을 선호하며, 따라서 고기 튀김을 소스에 골고루 묻게 하기 위하여 소스를 고기 튀김에 부어서 먹는다. 이에 반하여, 어떤 사람은 고기 튀김의 일부에만 소스가 묻은 상태로 섭취하는 것을 선호하여, 따라서 고기 튀김을 소스에 찍어 먹는다. 더욱이, 어떤 경우에는 동일한 개인이 고기 튀김 전체에 소스가 배인 상태로 섭취하고 싶을 뿐만 아니라 고기 튀김의 일부에만 소스가 묻게 하여 섭취하고 싶을 수도 있다.
따라서, 만약 상이한 기호를 가진 2인 이상 함께 탕수육을 먹는 경우에, 서로의 기호가 충돌하므로 이를 절충하거나 타협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1인이 탕수육을 먹는 경우라 할지라도 상이한 방식의 식음 섭취 방법을 경험하고 싶어한다면,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소스나 국물 등의 액상 음식이 더해지는 탕수육 등의 메인 음식을 상이한 방식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어느 한 칸의 메인 음식에 부은 액상 음식을 이에 인접한 칸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복수 개가 있을 경우 서로 적층할 수 있는 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는, 소스나 국물 등의 액상 음식이 더해지는 탕수육 등의 메인 음식을 상이한 방식으로 섭취하기 위한 식기로, 상부가 개방되며 메인 음식을 담는 공간을 가지는 식기 몸체; 상기 공간을 3개 이상의 칸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부; 및 상기 칸막이부에 구비되며 상기 3개 이상의 칸 중 2개의 칸 사이로 상기 액상 음식의 이동을 안내하는 액상 음식 이동로;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 음식 이동로는, 상기 칸막이부의 상단에서 아래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그 바닥면이 상기 칸막이부의 하반부에 위치된다.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식기 몸체의 바닥면에서 위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칸막이 양각부; 상기 칸막이 양각부에 대응하여 상기 식기 몸체의 저면에서 위로 요입된 형상을 가지는 칸막이 음각부; 상기 칸막이 양각부에 형성되며 상기 액상 음식 이동로를 이루는 액상 음식 이동 음각부; 및 상기 칸막이 음각부에 형성되며 상기 액상 음식 이동로를 감싸는 액상 음식 이동 양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 양각부 및 상기 칸막이 음각부 각각은, 위로 갈수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액상 음식 이동 양각부 및 상기 액상 음식 이동 음각부 각각은, 위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액상 음식 이동로는 상기 메인 음식의 크기 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고, 상기 액상 음식이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2개의 칸 중 앞부분의 칸의 바닥면은 그 뒷부분의 칸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상향 경사지는 형상을 가지는 경사 구간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일 예로, 상기 칸막이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간을 3개의 칸으로 일렬로 구획하는 제1 및 제2 칸막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식기 몸체의 내면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 양단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간을 두 개의 칸으로 구획하는 제1 칸막이; 및 상기 제1 칸막이와 상기 식기 몸체의 내면의 제3 부분에 양단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칸 중 어느 한 칸을 두 개의 칸으로 다시 구획하는 제2 칸막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칸막이는, 곡선 형상, 직선 형상, 곡선과 직선이 조합된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식기 몸체의 내면에 폐곡선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공간을 중심 칸과 가장자리 칸으로 구획하는 내부 칸막이; 상기 내부 칸막이의 외면의 제1 부분과 상기 식기 몸체의 내면의 제1 부분에 양단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가장자리 칸을 가로질로 구비되는 제1 외부 칸막이; 및 상기 내부 칸막이의 외면의 제2 부분과 상기 식기 몸체의 내면의 제2 부분에 양단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가장자리 칸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상기 제1 외부 칸막이와 함께 상기 가장자리 칸을 두 개의 칸으로 구획하는 제2 외부 칸막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기 몸체는, 사각 형상, 원 형상, 타원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스나 국물 등의 액상 음식이 더해지는 탕수육 등의 메인 음식을 상이한 방식으로 섭취하기 위한 식기로, 식기 몸체와, 칸막이부와, 그리고 액상 음식 이동로를 포함하고, 칸막이부는 식기 몸체의 공간을 3개 이상의 칸으로 구획하고, 액상 음식 이동로는 3개 이상의 칸 중 2개의 칸 사이로 액상 음식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제1 및 제2 칸에 메인 음식을 넣고 제1 칸의 메인 음식에 액상 음식을 부을 경우 제1 칸에 부은 액상 음식이 액상 음식 이동로를 통해 인접한 제3 칸으로 이동될 수 있어, 제2 칸의 메인 음식을 소스 등의 액상 음식 없이 섭취하거나 제2 칸의 메인 음식을 제3 칸의 액상 음식에 찍어 섭취하거나 제1 칸의 메인 음식을 이에 부어진 액상 음식과 함께 섭취하는 등 소스나 국물 등의 액상 음식이 더해지는 메인 음식을 상이한 방식으로 섭취할 수 있고, 특히 소스나 국물 등의 액상 음식이 더해지는 메인 음식의 섭취 방식이 상이한 개인들이 동시에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액상 음식 이동로는 칸막이부의 상단에서 아래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그 바닥면이 칸막이부의 하반부에 위치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어느 하나의 칸의 메인 음식에 부은 액상 음식이 이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칸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어, 별도의 액상 음식을 따로 상기 다른 하나의 칸에 붓지 않더라도 상기 어느 하나의 칸에 부은 액상 음식만으로 상기 다른 하나의 칸에 액상 음식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칸막이부는 칸막이 양각부, 칸막이 음각부, 액상 음식 이동 음각부, 그리고 액상 음식 이동 양각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어느 하나의 식기의 칸막이 양각부가 다른 하나의 식기의 칸막이 음각부에 삽입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식기의 액상 음식 이동 양각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식기의 액상 음식 이동 음각부에 삽입되면서 복수의 식기가 서로 적층될 수 있어, 이로 인해 복수의 식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등 보관이 용이할 수 있고, 오토바이 등을 통한 빈 식기 수거시에 한 번에 많은 식기를 수거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식기를 III-III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식기를 IV-I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식기가 서로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식기를 III-III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식기를 IV-I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식기가 서로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기(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나 국물 등의 액상 음식이 더해지는 탕수육 등의 메인 음식을 상이한 방식으로 섭취하기 위한 식기로, 식기 몸체(110)와, 칸막이부(120)와, 그리고 액상 음식 이동로(130)를 포함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식기 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기(10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식기 몸체(110)는 그 상부가 개방될 수 있고 메인 음식을 담는 공간(R10)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식기 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 형상(도 6 및 도 7 참조)이나 사각 형상(도 8 및 도 9 참조)을 가질 수도 있다.
칸막이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몸체(110)의 공간(R10)을 3개의 칸(R11, R12, R13)으로 구획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칸막이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식기 몸체(110)의 공간(R10)을 3개의 칸(R11, R13, R12)으로 일렬로 구획하는 제1 및 제2 칸막이(121)(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식기 몸체의 공간에 보다 다양한 메인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칸막이부는 식기 몸체의 공간을 4개 이상의 칸으로 구획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액상 음식 이동로(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칸(R11, R13) 사이로 액상 음식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액상 음식 이동로(130)는 칸막이부(1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3개의 칸(R11, R12, R13) 중 2개의 칸(R11, R13) 사이로 액상 음식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제공하므로, 제1 및 제2 칸(R11)(R12)에 메인 음식을 넣고 제1 칸(R11)의 메인 음식에 액상 음식을 부을 경우 제1 칸(R11)에 부은 액상 음식이 액상 음식 이동로(130)를 통해 인접한 제3 칸(R13)으로 이동될 수 있어, 제2 칸(R12)의 메인 음식을 액상 음식 없이 섭취하거나 제2 칸(R12)의 메인 음식을 제3 칸(R13)의 액상 음식에 찍어 섭취하거나 제1 칸(R11)의 메인 음식을 이에 부어진 액상 음식과 함께 섭취하는 등 소스나 국물 등의 액상 음식이 더해지는 메인 음식을 상이한 방식으로 섭취할 수 있고, 특히 소스나 국물 등의 액상 음식이 더해지는 메인 음식의 섭취 방식이 상이한 개인들이 동시에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액상 음식 이동로(13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액상 음식 이동로(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부(120)의 상단에서 아래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바닥면이 칸막이부(120)의 하반부[칸막이부(120)의 중간 높이에서 하단 사이의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칸(R11)의 메인 음식에 부은 액상 음식이 이에 인접한 제3 칸(R13)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어, 별도의 액상 음식을 따로 제3 칸(R13)에 붓지 않더라도 제1 칸(R11)에 부은 액상 음식만으로 제3 칸(R13)에 액상 음식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나아가, 액상 음식 이동로(13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인 음식의 크기 보다 작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액상 음식 이동로(130)를 통해 제1 칸(R11)의 메인 음식이 제3 칸(R13)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1 칸(R11)에서 액상 음식 만이 제3 칸(R13)으로 이동되면서 제3 칸(R13)에 액상 음식 만을 제대로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칸막이부(12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칸막이부(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 양각부(120a), 칸막이 음각부(120b), 액상 음식 이동 음각부(120c), 그리고 액상 음식 이동 양각부(120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 양각부(120a)는 식기 몸체(110)의 바닥면에서 위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칸막이 음각부(120b)는 칸막이 양각부(120a)에 대응하여 식기 몸체(110)의 저면에서 위로 요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 음식 이동 음각부(120c)는 칸막이 양각부(120a)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액상 음식 이동로(130)를 이룰 수 있고, 액상 음식 이동 양각부(120d)는 칸막이 음각부(120b)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액상 음식 이동로(130)를 감쌀 수 있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식기(100A)의 칸막이 양각부(120a)가 제2 식기(100B)의 칸막이 음각부(120b)에 삽입되고 제2 식기(100)의 액상 음식 이동 양각부(120d)가 제1 식기(100A)의 액상 음식 이동 음각부(120c)에 삽입되면서 제1 및 제2 식기(100A)(100B)가 서로 적층될 수 있어, 이로 인해 복수의 식기(100A)(100B)가 차지하는 공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등 보관이 용이할 수 있고, 오토바이 등을 통한 빈 식기 수거시에 한 번에 많은 식기를 수거할 수 있다.
나아가, 칸막이 양각부(120a) 및 칸막이 음각부(120b)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갈수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액상 음식 이동 양각부(120d) 및 액상 음식 이동 음각부(120c)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식기(100A)의 칸막이 양각부(120a)는 제2 식기(100B)의 칸막이 음각부(120b)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고 제2 식기(100B)의 액상 음식 이동 양각부(120d)는 제1 식기(100A)의 액상 음식 이동 음각부(120c)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기(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기(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몸체(210)의 형상과 칸막이부(22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식기 몸체(210)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형상일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아래 설명될 칸막이부를 적용함에 있어 식기 몸체는 다른 형상을 가지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칸막이부(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칸막이(221)와 제2 칸막이(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칸막이(221)는 식기 몸체(210)의 내면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 그 양단이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식기 몸체(210)의 공간을 두 개의 칸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2 칸막이(222)는 제1 칸막이(221)와 식기 몸체(210)의 내면의 제3 부분에 그 양단이 각각 구비될 수 있고 두 개의 칸 중 어느 한 칸을 두 개의 칸으로 다시 구획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칸막이(2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칸막이는 직선 형상이나 곡선과 직선이 조합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할 것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기(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기(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몸체(310)의 형상과 칸막이부(32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식기 몸체(310)의 형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형상일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아래 설명될 칸막이부를 적용함에 있어 식기 몸체는 다른 형상을 가지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칸막이부(3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칸막이(321), 제1 외부 칸막이(322), 그리고 제2 외부 칸막이(323)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칸막이(321)는 식기 몸체(310)의 내면에 폐곡선 형태로 배치되어 식기 몸체(310)의 공간을 중심 칸과 가장자리 칸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1 외부 칸막이(322)는 내부 칸막이(321)의 외면의 제1 부분과 식기 몸체(310)의 내면의 제1 부분에 그 양단이 각각 구비되되 가장자리 칸을 가로질로 구비될 수 있고, 제2 외부 칸막이(323)는 내부 칸막이(321)의 외면의 제2 부분과 식기 몸체(310)의 내면의 제2 부분에 그 양단이 각각 구비되되 가장자리 칸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제1 외부 칸막이(322)와 함께 가장자리 칸을 두 개의 칸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기(4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기(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몸체(410)의 형상과 칸막이부(42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식기 몸체(410)의 형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일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아래 설명될 칸막이부를 적용함에 있어 식기 몸체는 다른 형상을 가지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칸막이부(4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칸막이(421)와 제2 칸막이(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칸막이(421)는 식기 몸체(410)의 내면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 그 양단이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식기 몸체(410)의 공간을 두 개의 칸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2 칸막이(422)는 제1 칸막이(421)와 식기 몸체(410)의 내면의 제3 부분에 그 양단이 각각 구비될 수 있고 두 개의 칸 중 어느 한 칸을 두 개의 칸으로 다시 구획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칸막이(4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칸막이는 곡선 형상이나 곡선과 직선이 조합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할 것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식기(5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식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식기(5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칸 중 어느 한 칸의 바닥면(540)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상 음식이 이동되는 방향(도 9의 화살표 참조)을 기준으로, 두 개의 칸 중 앞부분의 칸(R11)의 바닥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부분의 칸(R13)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상향 경사지는 형상을 가지는 경사 구간(54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앞부분의 칸(R11)에 부은 액상 음식은 경사 구간(540)을 따라 흘러 내리면서 뒷부분의 칸(R13)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식기
110, 210, 310, 410: 식기 몸체
120, 220, 320, 420: 칸막이부
130: 액상 음식 이동로 R10: 공간
R11: 제1 칸 R12: 제2 칸
R13: 제3 칸 120a: 칸막이 양각부
120b: 칸막이 음각부 120c: 액상 음식 이동 음각부
120d: 액상 음식 이동 양각부

Claims (3)

  1. 소스나 국물 등의 액상 음식이 더해지는 탕수육 등의 메인 음식을 상이한 방식으로 섭취하기 위한 식기로,
    상부가 개방되며 메인 음식을 담는 공간을 가지는 식기 몸체;
    상기 공간을 3개 이상의 칸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부; 및
    상기 칸막이부에 구비되며 상기 3개 이상의 칸 중 2개의 칸 사이로 상기 액상 음식의 이동을 안내하는 액상 음식 이동로;
    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 음식 이동로는,
    상기 칸막이부의 상단에서 아래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그 바닥면이 상기 칸막이부의 하반부에 위치되고,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식기 몸체의 바닥면에서 위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칸막이 양각부;
    상기 칸막이 양각부에 대응하여 상기 식기 몸체의 저면에서 위로 요입된 형상을 가지는 칸막이 음각부;
    상기 칸막이 양각부에 형성되며 상기 액상 음식 이동로를 이루는 액상 음식 이동 음각부; 및
    상기 칸막이 음각부에 형성되며 상기 액상 음식 이동로를 감싸는 액상 음식 이동 양각부;
    를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 양각부 및 상기 칸막이 음각부 각각은,
    위로 갈수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액상 음식 이동 양각부 및 상기 액상 음식 이동 음각부 각각은,
    위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액상 음식 이동로는,
    상기 메인 음식의 크기 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고,
    상기 액상 음식이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2개의 칸 중 앞부분의 칸의 바닥면은,
    그 뒷부분의 칸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상향 경사지는 형상을 가지는 경사 구간
    을 포함하는
    식기.
  2. 삭제
  3. 삭제
KR1020190009367A 2019-01-24 2019-01-24 식기 KR102146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367A KR102146183B1 (ko) 2019-01-24 2019-01-24 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367A KR102146183B1 (ko) 2019-01-24 2019-01-24 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163A KR20200092163A (ko) 2020-08-03
KR102146183B1 true KR102146183B1 (ko) 2020-08-19

Family

ID=7204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367A KR102146183B1 (ko) 2019-01-24 2019-01-24 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1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641Y1 (ko) * 2016-06-02 2018-10-16 송이호 소스를 상이한 방식으로 섭취할 수 있게 하는 식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9230A (ko) * 2009-12-17 2011-06-23 최세중 반찬 그릇이 달린 면그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641Y1 (ko) * 2016-06-02 2018-10-16 송이호 소스를 상이한 방식으로 섭취할 수 있게 하는 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163A (ko) 202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874B1 (ko) 내용물 분할형 컵
Lin Dim sum for everyone!
KR102146183B1 (ko) 식기
AU2012339614A1 (en) Lunch box
KR200487641Y1 (ko) 소스를 상이한 방식으로 섭취할 수 있게 하는 식기
KR200395130Y1 (ko) 테이크아웃 일회용 용기
KR100990795B1 (ko) 음식물 저장부가 구분된 복합용기
KR200434078Y1 (ko) 내용물 분할형 컵
JP4594903B2 (ja) 容器に収容されたペースト状の調味済の食肉または魚肉からなる調理材
KR100541265B1 (ko) 적층이 가능한 2분할 음료용기
CN102478342A (zh) 一种冰箱
JP2017222365A (ja) 中容器を有する包装用容器
CN102448843A (zh) 构成调味汁收容部的食物容器盖
KR200280720Y1 (ko) 뚜껑이 있는 급식판
KR101267511B1 (ko) 적층식 음식포장용기
CN217865535U (zh) 一种包装盒、加热装置及食品包装
WO2022102124A1 (ja) 飲食サービス用什器
JP2022070300A (ja) 包装用容器
KR20080004051U (ko) 음식물 포장용 상자
KR102071798B1 (ko) 포장 용기
KR200349816Y1 (ko) 뷔페용 그릇
JP3142226U (ja) 中皿付食品包装用簡易容器
JP3108620U (ja) 使い捨て食品容器
JP2008265767A (ja) スプラウト用容器
KR200179891Y1 (ko) 칸막이가 내장된 캔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