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774B1 - 3단 분리형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3단 분리형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774B1
KR102145774B1 KR1020180167401A KR20180167401A KR102145774B1 KR 102145774 B1 KR102145774 B1 KR 102145774B1 KR 1020180167401 A KR1020180167401 A KR 1020180167401A KR 20180167401 A KR20180167401 A KR 20180167401A KR 102145774 B1 KR102145774 B1 KR 102145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disposed
cervical
traction device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960A (ko
Inventor
허정욱
권원안
주경일
허태준
Original Assignee
허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욱 filed Critical 허정욱
Priority to KR1020180167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7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adapted for simultaneous treatment with light, heat or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단 분리형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3단으로 분리결합되어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하며, 머리와 골반이 견인되고 사용자의 척추 라인을 따라 척추 근육을 지압하는 경추지압기가 갖추어진 3단 분리형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부판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머리가 견인되는 머리견인기기;와 상기 머리견인기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머리견인기기와 분리결합되며, 척추 라인을 따라 굴곡지게 밀착되어 근육을 가압하는 경추지압기가 구비되는 경추교정기기; 및 상기 경추교정기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경추교정기기와 분리결합되며, 상부판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골반이 견인되는 골반견인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단 분리형 견인장치{Three-stage detachable 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3단 분리형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3단으로 분리결합되어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하며, 머리와 골반이 견인되고 사용자의 척추 라인을 따라 척추 근육을 지압하는 경추지압기가 갖추어진 3단 분리형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통 및 디스크는 현대인들에게 대부분 발생하는 척추질환으로서, 이러한 척추질환은 척추를 교정하는 방법 또는 견인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치료되고 있다.
특히, 척추 견인 및 교정장치에서는 견인 베드에서 견인과 동시 척추부의 만곡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은 없어 이러한 기능을 갖는 척추 견인장치 및 교정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었다.
이러한 척추 견인 및 교정장치의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0590680호에 척추 견인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인체의 어깨부위를 지지하는 제1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인체의 척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받침대와, 이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2 받침대를 척추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인체의 후두부가 놓일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그 일측에 인체의 머리와 목의 경계부위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받침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받침대 및, 이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3 받침대를 인체의 목이 숙여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견인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이처럼 종래의 척추 견인 및 교정장치는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고가의 제품으로 구성과 기능이 많아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척추 견인 및 교정장치가 대부분 베드와 일체로 형성되어 넓은 설치공간이 요구되며, 척추 견인 및 교정장치의 베드에서 수면을 취하기 불편하여 별도의 침실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별 신장과 척추라인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적합한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기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의 제한이 따르며, 또한 별도의 장비를 구입하기 위한 비용지출도 추가로 들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된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946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가정에서 누구나 간편하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한 3단 분리형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베드없이 바닥에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넓은 설치공간이 요구되지 않는 3단 분리형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신장과 척추라인의 형상에 따라 적합하게 견인하고 지압할 수 있는 3단 분리형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부판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머리가 견인되는 머리견인기기;와 상기 머리견인기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머리견인기기와 분리결합되며, 척추 라인을 따라 굴곡지게 밀착되어 근육을 가압하는 경추지압기가 구비되는 경추교정기기; 및 상기 경추교정기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경추교정기기와 분리결합되며, 상부판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골반이 견인되는 골반견인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머리견인기기와 상기 골반견인기기는,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판과 연결되어 수축팽창하는 전후진기;와 상기 전후진기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기; 및 상기 에어공급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추지압기는, 상기 골반견인기기의 바닥판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배치되어 척추 근육을 가압하며 회전하는 메인롤러;와 상기 메인롤러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와 연결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척추 라인을 따라 승하강하여 가압하며 회전하는 보조롤러;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후방으로 상기 본체의 기울기를 형성하는 기울기형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롤러는, 장구형상으로 형성되는 롤러몸체;와 상기 롤러몸체 양측 내부에 설치되어 발광하며 열을 발산하는 온열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울기형성부재는, 수평하게 놓여지며, 상하부로 이격거리를 두어 배치되는 한 쌍의 판재;와 한 쌍의 상기 판재 사이에 구비되어 수축 또는 팽창되는 에어튜브; 및 한 쌍의 상기 판재 전단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튜브의 팽창에 의해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는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반견인기기에는, 상부에 배치되며, 에어튜브의 팽창에 의해 다리가 가압되는 다리지압기가 더 포함되며, 상기 다리지압기는, 양단에 배치되어 좌측다리와 우측다리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한 쌍의 외측가압대;와 중앙에 배치되어 양측다리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내측가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3단으로 분리결합되어 보관이 용이하며, 누구나 간편하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며 구성이 적어 비용이 절감되어 가정에서 쉽게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베드없이바닥에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넓은 설치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공간효율성이 높다.
또한, 사용자의 신장과 척추라인의 형상에 맞추어 견인하고 지압할 수 있어 모든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견인장치의 초기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견인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견인장치의 머리안착기와 허리벨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견인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견인장치의 머리견인기기와 골반견인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견인장치의 머리견인기기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견인장치의 경추교정기기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견인장치의 골반견인기기의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견인장치의 메인롤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도 1 내지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단 분리형 견인장치는 머리견인기기(100), 경추교정기기(200), 골반견인기기(300)로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머리견인기기(100)는 상부판(101)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머리가 견인된다. 그리고 상단에 머리안착기(150)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머리와 목이 안착된 상태로 견인되게 한다. 이러한 머리안착기(150)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머리안착구(151), 목안착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머리안착구(151)는 중앙이 함몰되어 곡면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머리가 지지된다. 그리고 목안착구(152)는 머리안착구(151)로부터 전단에 연장형성되며, 내측면이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이 지지된다.
도 6-(a)는 머리견인기기의 초기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b)는 머리견인기기의 머리견인기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견인기기(100)는 상부판(101), 바닥판(102), 측면판(103), 상부판이송부재(104), 하부판고정부재(10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판(101)은 수평하게 놓여지며, 사용자의 경추가 위치되는 전단의 중앙이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경추가 견인된다. 이때, 상부판(101)은 바닥판(102)보다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판(101)의 상단에 머리안착기(150)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경추 견인 효과를 상승시킨다.
바닥판(102)은 상부판(101)과 평행하게 지면에 배치되며, 상부판(101)의 후단과 동일한 위치에 구비된다. 이러한, 바닥판(102)은 환경에 따라 바닥에 설치되거나 베드 위에 설치 가능하도록 갖추어진다.
측면판(103)은 상부판(101)과 바닥판(102)의 양측면에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구멍(103a)이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판(103)의 배치구조에 의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다른 구성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측면판(103)에는 경추교정기기(2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10)가 갖추어진다. 이때, 결합부재(10)는 연결고리 또는 돌기와 돌기삽입구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10)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도록 한다.
상부판이송부재(104)는 상부판(101)의 하부면에 가로대(104a)가 고정되며, 가로대(104a)의 양단에 세로대(104b)가 연결되고, 세로대(104b)에 이동체(104c)가 설치되어 가이드구멍(103a)을 따라 이동된다.
하부판고정부재(105)는 바닥판(102)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상부판이송부재(104)의 가로대(104a)와 대응되도록 이격거리를 두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머리견인기기(100)에는 일단이 상부판이송부재(104)에 고정되며, 타단이 하부판고정부재(105)에 고정되어 에어의 유입과 배출에 의해 수축팽창하는 전후진기(110)가 포함되어 상부판(101)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전후진기(110)의 팽창에 의해 상부판(101)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머리가 견인되며, 전후진기(110)의 수축에 의해 상부판(101)이 전방으로 제자리 복귀되면서 사용자의 머리가 원위치된다.
이때, 머리견인기기(100)의 전후진기(110)는 에어튜브 또는 에어실린더와 같은 전후진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견인기기(100)는 전후진기(110), 에어공급기(120), 밸브(130), 컨트롤박스(140)를 포함하여 각 구성에 의해 전후진기(11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에어공급기(120)는 전후진기(110)에 에어를 공급하는 콤프레셔 또는 에어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밸브(130)는 에어공급기(120)에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컨트롤박스(140)는 에어공급기(320)와 밸브(130)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견인장치의 경추교정기기의 상세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경추교정기기(200)는 머리견인기기(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머리견인기기(100)와 분리결합되며, 척추 라인을 따라 굴곡지게 밀착되어 근육을 가압하는 경추지압기(210)가 구비된다. 이때, 사용자의 신체를 스캔하여 이동하면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경추지압기(210)는 레일(211), 본체(212), 메인롤러(213), 보조롤러(214), 기울기형성부재(21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레일(211)은 골반견인기기(300)의 바닥판(302)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레일(211)은 기어구동방식이나 체인구동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체(212)는 레일(21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전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볼트 또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3단 분리형 견인장치의 메인롤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롤러(213)는 본체(212)의 상단에 배치되어 척추 근육을 가압하며 회전한다. 여기서 메인롤러(213)는 메인롤러(213a)와 온열구(213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온열기능이 부가된 롤러에 의해 사용자의 척추 근육이 지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메인롤러(213a)는 장구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온열구(213b)는 메인롤러(213a)의 양측 내부에 설치되어 발광하면서 열을 발산하여 메인롤러(213a)의 표면이 가열되도록 한다. 여기서 온열구(213b)는 LED 전등 또는 의료용 전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조롤러(214)는 메인롤러(213)의 후방에 배치되며, 본체(212)와 연결 설치되고,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척추 라인을 따라 승하강하여 가압하면서 회전한다. 또한, 보조롤러(214)는 메인롤러(213)의 메인롤러(213a)와 온열구(21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울기형성부재(215)는 본체(212)의 하부에 배치되며, 후방으로 본체(212)의 기울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울기형성부재(215)는 판재(215a), 에어튜브(215b), 힌지(215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판재(215a)는 수평하게 놓여지며, 상하부로 이격거리를 두어 한 쌍이 배치된다. 에어튜브(215b)는 한 쌍의 판재(215a) 사이에 구비되어 수축 또는 팽창된다. 힌지(215c)는 한 쌍의 판재(215a) 전단에 연결되어 에어튜브(215b)의 팽창에 의해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힌지(215c)가 벌어질수록 보조롤러(214)의 승강 높이가 높아져 사용자의 척추 근육의 지압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8-(a)는 골반견인기기의 초기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b)는 골반견인기기의 머리견인기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골반견인기기(300)는 경추교정기기(200)의 전방에 배치되어 경추교정기기(200)와 분리결합되며, 상부판(301)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골반이 견인된다. 이러한 골반견인기기(300)는 머리견인기기(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반견인기기(300)는 상부판(301), 바닥판(302), 측면판(303), 상부판이송부재(304), 하부판고정부재(30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판(301)은 수평하게 놓여지며, 사용자의 골반이 위치되는 후단의 중앙이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골반이 견인된다. 이때, 상부판(301)은 바닥판(302)보다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판(301)의 상단에 골반벨트(350)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골반 견인 효과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골반견인기기(300)의 상부판(301)에 다리지압기(36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에어튜브의 팽창에 의해 사용자의 다리가 가압되어 지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다리지압기(360)는 외측가압대(361)와 내측가압대(36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외측가압대(361)는 골반견인기기(300)의 양단에 배치되어 좌측다리와 우측다리의 외측면을 가압하도록 한 쌍이 구비된다. 그리고 내측가압대(362)는 골반견인기기(300)의 중앙에 배치되어 양측다리의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바닥판(302)은 상부판(301)과 평행하게 지면에 배치되며, 상부판(301)의 후단과 동일한 위치에 구비된다.
측면판(303)은 상부판(301)과 바닥판(302)의 양측면에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구멍(103a)이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판(303)의 배치구조에 의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다른 구성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측면판(303)에는 경추교정기기(2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10)가 갖추어진다. 이때, 결합부재(10)는 연결고리 또는 돌기와 돌기삽입구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10)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도록 한다.
상부판이송부재(304)는 상부판(301)의 하부면에 가로대(104a)가 고정되며, 가로대(104a)의 양단에 세로대(104b)가 연결되고, 세로대(104b)에 이동체(104c)가 설치되어 가이드구멍(103a)을 따라 이동된다.
하부판고정부재(305)는 바닥판(302)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상부판이송부재(304)의 가로대(104a)와 대응되도록 이격거리를 두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골반견인기기(300)에는 일단이 상부판이송부재(304)에 고정되며, 타단이 하부판고정부재(305)에 고정되어 에어의 유입과 배출에 의해 수축팽창하는 전후진기(310)가 포함되어 상부판(301)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전후진기(310)의 팽창에 의해 상부판(301)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골반이 견인되며, 전후진기(310)의 수축에 의해 상부판(301)이 후방으로 제자리 복귀되면서 사용자의 골반이 원위치된다.
이때, 골반견인기기(300)의 전후진기(310)는 에어튜브 또는 에어실린더와 같은 전후진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후진기(310)가 2개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장에 맞추어 길이를 조절한 뒤 골반을 견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반견인기기(300)는 전후진기(310), 에어공급기(320), 밸브(330), 컨트롤박스(340)를 포함하여 각 구성에 의해 전후진기(31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에어공급기(320)는 전후진기(310)에 에어를 공급하는 콤프레셔 또는 에어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밸브(330)는 에어공급기(320)에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컨트롤박스(340)는 에어공급기(320)와 밸브(330)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3단으로 분리결합되어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하며, 머리와 골반이 견인되고 사용자의 척추 라인을 따라 척추 근육을 지압하는 경추지압기가 갖추어진 3단 분리형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작성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결합부재 100 : 머리견인기기
101 : 상부판 102 : 바닥판
103 : 측면판 103a : 가이드구멍
104 : 상부판이송부재 104a : 가로대
104b : 세로대 104c : 이동체
105 : 하부판고정부재 110 : 전후진기
120 : 에어공급기 130 : 밸브
140 : 컨트롤박스 150 : 머리안착기
151 : 머리안착구 152 : 목안착구
200 : 경추교정기기 210 : 경추지압기
211 : 레일 212 : 본체
213 : 메인롤러 213a : 롤러몸체
213b : 온열구 214 : 보조롤러
215 : 기울기형성부재 215a : 판재
215b : 에어튜브 215c : 힌지
300 : 골반견인기기 301 : 상부판
302 : 바닥판 303 : 측면판
304 : 상부판이송부재 305 : 하부판고정부재
310 : 전후진기 320 : 에어공급기
330 : 밸브 340 : 컨트롤박스
350 : 골반벨트 360 : 다리지압기
361 : 외측가압대 362 : 내측가압대

Claims (6)

  1. 상부판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머리가 견인되는 머리견인기기;
    상기 머리견인기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머리견인기기와 분리결합되며, 척추 라인을 따라 굴곡지게 밀착되어 근육을 가압하는 경추지압기가 구비되는 경추교정기기; 및
    상기 경추교정기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경추교정기기와 분리결합되며, 상부판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골반이 견인되는 골반견인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경추지압기는,
    상기 골반견인기기의 바닥판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배치되어 척추 근육을 가압하며 회전하는 메인롤러;
    상기 메인롤러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와 연결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척추 라인을 따라 승하강하여 가압하며 회전하는 보조롤러;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후방으로 상기 본체의 기울기를 형성하는 기울기형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롤러는,
    장구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를 가진 롤러몸체;와
    상기 롤러몸체 양측 내부에 설치되어 발광하며 열을 발산하는 온열구;를 포함하고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분리형 견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견인기기와 상기 골반견인기기는,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판과 연결되어 수축팽창하는 전후진기;
    상기 전후진기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기; 및
    상기 에어공급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분리형 견인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형성부재는,
    수평하게 놓여지며, 상하부로 이격거리를 두어 배치되는 한 쌍의 판재;
    한 쌍의 상기 판재 사이에 구비되어 수축 또는 팽창되는 에어튜브;
    한 쌍의 상기 판재 전단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튜브의 팽창에 의해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는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분리형 견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견인기기에는,
    상부에 배치되며, 에어튜브의 팽창에 의해 다리가 가압되는 다리지압기가 더 포함되며,
    상기 다리지압기는,
    양단에 배치되어 좌측다리와 우측다리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한 쌍의 외측가압대;
    중앙에 배치되어 양측다리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내측가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 분리형 견인장치.
KR1020180167401A 2018-12-21 2018-12-21 3단 분리형 견인장치 KR102145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401A KR102145774B1 (ko) 2018-12-21 2018-12-21 3단 분리형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401A KR102145774B1 (ko) 2018-12-21 2018-12-21 3단 분리형 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960A KR20200077960A (ko) 2020-07-01
KR102145774B1 true KR102145774B1 (ko) 2020-08-19

Family

ID=7160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401A KR102145774B1 (ko) 2018-12-21 2018-12-21 3단 분리형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7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953B1 (ko) * 2020-08-24 2022-11-01 허정욱 척추 견인 치료기
KR102297043B1 (ko) * 2021-04-02 2021-09-02 주식회사신화의료기 척추 견인 치료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3004A (ja) * 1999-02-16 2000-08-29 Family Kk マッサージ機
KR101326035B1 (ko) 2012-05-23 2013-11-20 구경순 척추 재활 치료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908B1 (ko) * 2009-11-09 2011-10-05 구경순 척추 견인 치료기
KR101154934B1 (ko) * 2010-03-22 2012-06-13 구경순 견인치료 및 운동마사지용 의료장치
KR101934383B1 (ko) * 2017-03-20 2019-01-02 주식회사신화의료기 키조절 가능한 척추 견인기
KR20180119469A (ko)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한메드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3004A (ja) * 1999-02-16 2000-08-29 Family Kk マッサージ機
KR101326035B1 (ko) 2012-05-23 2013-11-20 구경순 척추 재활 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960A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774B1 (ko) 3단 분리형 견인장치
KR100932159B1 (ko) 좌식 온열치료기
KR101329233B1 (ko) 척추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658486B1 (ko) 스트레칭 기능을 가진 의자
KR101706587B1 (ko) 순차적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견인장치 및 그 제어 방법,기록매체
KR101154934B1 (ko) 견인치료 및 운동마사지용 의료장치
CN101534678A (zh) 适应多种身体姿势的可调式椅子及其使用方法
CN109998854A (zh) 坐式腰椎牵引及椎间盘按摩设备
KR101535416B1 (ko) 척추 견인장치
CN210932506U (zh) 一种康复用多功能按摩床
KR101010822B1 (ko) 관절 인장 타격기능이 구비된 거꾸리 지압장치
KR101017559B1 (ko) 디스크 치료용 침대
US6905447B1 (en) Rehabilitation device
JP2004344589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102145778B1 (ko) 견인운동장치
KR20090098572A (ko) 다기능 안마의자
CN106821672B (zh) 一种新型骨科脊柱损伤治疗椅
CN117083045A (zh) 脊柱牵引治疗仪
KR102007328B1 (ko) 척추 견인장치
KR20100132279A (ko) 요추 견인 치료장치
KR20210053002A (ko) 허리 보호 및 자세 교정 의자
KR101889368B1 (ko) 자율 스트레칭 기능 및 욕창방지 기능을 갖는 스트레칭 장치
KR100336413B1 (ko) 물리치료기
KR200493480Y1 (ko) 척추견인기
KR200209238Y1 (ko) 등받이형온열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