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321B1 -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 - Google Patents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321B1
KR102145321B1 KR1020200035402A KR20200035402A KR102145321B1 KR 102145321 B1 KR102145321 B1 KR 102145321B1 KR 1020200035402 A KR1020200035402 A KR 1020200035402A KR 20200035402 A KR20200035402 A KR 20200035402A KR 102145321 B1 KR102145321 B1 KR 102145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drying unit
vehicle
air flow
automatic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수
고영근
Original Assignee
가람환경기술(주)
이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람환경기술(주), 이영수 filed Critical 가람환경기술(주)
Priority to KR1020200035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08B1/0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20Solar heat collectors for receiving concentrated solar energy, e.g. receivers for solar power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80/00Details, accessories or component parts of solar heat coll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24S10/00-F24S70/00
    • F24S80/50Elements for transmitting incoming solar rays and preventing outgoing heat radiation; Transparent cove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283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in combination with convection
    • F26B3/28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in combination with convection by solar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18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using renewables, e.g. solar cooking stoves, furnaces or sola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cro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을 자동으로 세차할 수 있도록 하는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에 관한 것으로, 세차하고자 하는 차량이 진입하는 터널 형상의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의 내부에 회전 구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브러쉬와; 상기 세척브러쉬에 의하여 세척이 완료된 차량의 표면에 부착된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차폐부재의 출구측에 회전 구동되도록 설치되는 건조브러쉬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건조브러쉬를 자연 건조시킬 수 있도록 터널 형상의 상기 차폐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브러쉬 건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자동세차기의 건조브러쉬가 자연 상태에서 신속하게 건조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세차기의 세차 및 물기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고, 건조브러쉬의 물기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자동세차기의 내구성을 제고하며 극한기를 제외한 겨울철에도 구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CAR WASHING MACHINE HAVING BRUSH DRYING PART}
본 발명은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세차기의 건조브러쉬가 자연 상태에서 신속하게 건조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세차기의 세차 및 물기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고, 건조브러쉬의 물기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자동세차기의 내구성을 제고하며 극한기를 제외한 겨울철에도 구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세차기는 자동차의 외부를 세척하여 주는 장치로써, 근래에는 생활의 편리성으로 인해 운전자 스스로 외부 세차를 하는 경우가 거의 없고, 대부분이 세차장에 구비된 자동 세차기를 이용하여 외부 세차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자동세차기의 수요가 날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자동 세차기는 기능에 따라 연속형(連續形)(터널형) 자동 세차기와 문형(門形) 자동 세차기로 구분한다.
상기한 연속형 자동 세차기는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 수단에 의해서 피세정차량이 고정 설치된 세차기 본체 내부를 통과할 때 물과 세제를 피세정 차량의 표면에 분사시키고, 브러쉬를 이용하여 세척을 실시하며, 고압의 공기를 자동차 표면에 분사하여 물기를 건조시킨다.
문형 자동 세차기는 연속형 자동 세차기와는 달리 피세정 차량이 지정 위치에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세차기 본체가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와 같은 동작을 하면서 자동차의 표면을 세척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동 세차기에 있어서, 차량의 세척이 완료된 후에 차량의 표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브러쉬는 세차가 완료된 후에 자연 상태에서 방치되어 있다가 후속 차량이 진입하면 반복적으로 세차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브러쉬가 많은 양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물기 제거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아 추후에 작업자가 별도로 차량의 물기를 제거해야 한다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조브러쉬가 항상 많은 양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수분으로 인하여 자동 세차기의 기계적인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브러쉬에 함유된 많은 양의 수분으로 인하여 건조브러쉬가 얼게 되면 겨울철 극한기에는 자동 세차기의 구동이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세차기의 건조브러쉬가 자연 상태에서 신속하게 건조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세차기의 세차 및 물기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고, 건조브러쉬의 물기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자동세차기의 내구성을 제고하며 극한기를 제외한 겨울철에도 구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는, 세차하고자 하는 차량이 진입하는 터널 형상의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의 내부에 회전 구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브러쉬와; 상기 세척브러쉬에 의하여 세척이 완료된 차량의 표면에 부착된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차폐부재의 출구측에 회전 구동되도록 설치되는 건조브러쉬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건조브러쉬를 자연 건조시킬 수 있도록 터널 형상의 상기 차폐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브러쉬 건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 건조부는 상기 차폐부재의 상면에 외부의 공기가 전면으로 유입되어 후면으로 유출되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 형성되고 상기 차폐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공기유동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커버부재와, 상기 공기유동공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유동공간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집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는 태양광이 상기 집열판 측으로 조사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이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공간의 하면과 상면은 각각 외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동공간의 종단면은 하면과 상면의 곡률이 상이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과 하면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전면은 상기 건조브러쉬와 근접하도록 상기 건조브러쉬를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후면은 외부 공기의 유출이 용이하도록 상측 방향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공간 내부의 공기 유동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는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기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커버부재의 전면과 후면은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별도의 개폐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열판은 상기 차폐부재의 상면에 지그재그 형상의 패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브러쉬 건조부가 배치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각도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브러쉬 건조부의 중앙영역과 상기 차폐부재의 중앙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차폐부재에 상기 브러쉬 건조부가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결합부와, 상기 차폐부재 및 상기 브러쉬 건조부의 후면과 근접한 영역의 양측면에 일단이 상기 차폐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브러쉬 건조부에 결합된 복수의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재의 상부 양측면과 상기 브러쉬 건조부의 하부 양측면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된 플렉시블 부재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는 자동세차기의 건조브러쉬가 자연 상태에서 신속하게 건조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세차기의 세차 및 물기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고, 건조브러쉬의 물기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자동세차기의 내구성을 제고하며 극한기를 제외한 겨울철에도 구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의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가동세차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의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가동세차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는, 세차하고자 하는 차량이 진입하는 터널 형상의 차폐부재(100)와; 상기 차폐부재(100)의 내부에 회전 구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브러쉬(200)와; 상기 세척브러쉬(200)에 의하여 세척이 완료된 차량의 표면에 부착된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차폐부재(100)의 출구측에 회전 구동되도록 설치되는 건조브러쉬(300)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건조브러쉬(300)를 자연 건조시킬 수 있도록 터널 형상의 상기 차폐부재(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브러쉬 건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차폐부재(100)는 세차를 하고자 하는 차량이 진입하여 천천히 통과하면서 세척, 브로우 및 건조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 후면이 개구 형성된 터널 형상의 부재이다.
이러한 차폐부재(100)의 전면과 후면은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별도의 셔터(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측면의 복수의 개소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형상의 아크릴 패널(120)이 구비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세차가 진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부재(100)의 내부에는 차량의 세척, 브로우 및 건조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 세척브러쉬(200)와, 브로워(250) 및 건조브러쉬(30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세척브러쉬(200)는 차량이 진입하는 차폐부재(100)의 개구된 전면과 근접한 위치의 차폐부재(100)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어 실질적으로 차량의 표면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브로워(250)는 세척브러쉬(200)에 의하여 표면 세척이 완료된 차량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물기를 고압의 바람을 이용하여 차량에서 이탈시키는 역할을 하며, 세척브러쉬(200) 후방의 차폐부재(100) 내부공간에 열을 이루어도록 복수로 배치되어 있다.
건조브러쉬(300)는 차폐부재(100)의 후면과 근접한 위치의 차폐부재(100)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척 및 브로우가 진행 완료된 차량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건조브러쉬(300)는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브러쉬와,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브러쉬가 조합되어 브러쉬가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차량의 외면에 부착된 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의 세차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이 차폐부재(100)의 내부로 진입하면 예비세차를 위하여 물이 분사되고, 물이 분사된 외면을 브러쉬를 구동시켜 일정 정도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거품세척액을 분사한 후에 세척브러쉬(200)를 이용하여 차량의 외면을 거품세척하게 된다.
그 후, 브러워(250)를 이용하여 차량의 외면에 묻어있는 물기를 일정 정도 제거한 후에 건조브러쉬(300)를 이용하여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 후에 차량이 차폐부재(100)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브러쉬 건조부(400)는 세차가 완료된 후에 물기 제거를 위하여 구동된 건조브러쉬(300)가 함유하고 있는 물기를 자연 건조 방식으로 신속하게 증발되도록 하여 후속 차량의 물기를 제거시에 물기를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브러쉬 건조부(400)는 차폐부재(100)의 상면에 외부의 공기가 전면으로 유입되어 후면으로 유출되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 형성되고 차폐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공기유동공간(411)이 형성되도록 한 커버부재(410)와, 공기유동공간(411)의 일측에 배치되어 공기유동공간(411)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집열판(4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커버부재(410)는 차폐부재(100)의 상면에 커버부재(4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고 차폐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공기유동공간(411)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전면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후면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커버부재(41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유동공간(411)의 전면과 후면은 개구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 형성된 전면과 후면은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별도의 개폐커버(41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410)는 태양광이 집열판(420) 측으로 조사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이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태양광이 조사되어 승온된 집열판(420)에서 자체적으로 많은 양의 열이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유동공간(411) 내부의 온도를 승온시켜 대류 현상이 신속하게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공기유동공간(411)의 내부에서 신속한 대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데워진 공기유동공간(411)의 공기가 개구된 후면을 통하여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기 때문에 그만큼 개구된 전면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신속하게 공기유동공간(411)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개구된 전면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건조브러쉬(400)를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공기유동공간(411)의 하면과 상면은 각각 외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동공간(411)의 종단면은 하면과 상면의 곡률이 상이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커버부재(410)의 상면과 하면은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커버부재(410)의 상면과 하면이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전면을 통하여 공기유동공간(411)으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에 방해가 되는 요소가 제거되도록 하여 빠른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의 경우에 커버부재(410)의 상기 전면은 건조브러쉬(300)와 근접하도록 건조브러쉬(300)를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게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커버부재(410)의 전면이 건조브러쉬(300)와 근접하도록 건조브러쉬(300)를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건조브러쉬(300)의 바로 상측에서 공기유동공간(411)의 내부로 유입되는 빠른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도록 하여 건조브러쉬(300)를 더욱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410)의 상기 후면도 외부 공기의 유출이 용이하도록 상측 방향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유동공간(411) 내부의 공기가 상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유동공간(411) 내부의 공기 흐름이 빨라지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구된 전면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신속하게 공기유동공간(411)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유동공간(411) 내부의 공기 유동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커버부재(410)는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집열판(420)은 차폐부재(100)의 상부 외면에 일정한 패턴를 갖도록 배치되어 태양광이 조사시에 태양열을 집열하여 자체적으로 뜨거운 열기를 발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유동공간(411) 내부의 온도를 더욱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집열판(420)은 다양한 패턴을 갖도록 차폐부재(100)의 상부 외면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의 경우에 집열판(420)은 공기유동공간(411) 내부의 데드존이 형성되지 않도록 차폐부재(100)의 상면에 지그재그 형상의 패턴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집열판(420)은 지그재그 형상 이외에도 커버부재(410)가 투광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는 조건하에 차폐부재(100)의 폭방향을 따라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차폐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집열판(420)과 집열판(420)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의 경우에는 차폐부재(100)의 상면에 대하여 브러쉬 건조부(40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차폐부재(100)의 상면과 브러쉬 건조부(400)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각도조절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의 각도조절부(500)는 브러쉬 건조부(400)의 중앙영역과 차폐부재(100)의 중앙영역에 구비되어 차폐부재(100)에 브러쉬 건조부(400)가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결합부(510)와, 차폐부재(100) 및 브러쉬 건조부(400)의 후면과 근접한 영역의 양측면에 일단이 차폐부재(100)에 결합되고 타단이 브러쉬 건조부(400)에 결합된 복수의 유압실린더(520)로 구성되어 있다.
브러쉬 건조부(400)의 중앙영역이 힌지결합부(510)에 의하여 차폐부재(100)에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적은 동력으로도 브러쉬 건조부(400)를 용이하게 각도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압실린더(520)의 양단은 각각 브러쉬 건조부(400)와 차폐부재(100)의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유압실런더(520)는 공압실리더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러쉬 건조부(400)의 후면을 승하강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차폐부재(100)의 상면에 대하여 브러쉬 건조부(400)가 회동시에 차폐부재(100)의 양측면이 외부와 차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차폐부재(100)의 양측면과 브러쉬 건조부(400)의 양측면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을 갖는 플렉시블 부재(450)가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서 차폐부재(100)의 상면에 대한 브러쉬 건조부(400)의 경사 정도를 조절하여 건조브러쉬(300)가 가장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세차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세차 대상이 되는 차량을 차폐부재(100)의 개구된 후면을 통하여 차폐부재(100)의 내부로 진입시키고 자동세차기를 작동시키면 세차수가 공급되면서 세차브러쉬(200)가 회전 구동되어 차량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차량 의 표면 세척이 완료된다.
표면 세척이 완료된 차량이 진입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브로워(250)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하여 차량의 표면에 부착된 물기가 차량의 표면에서 하측으로 밀리면서 일정 부분 제거된다.
그 후, 차랑이 진입 방향으로 추가 이동하면 건조브러쉬(300)가 회전 구동하면서 차량의 표면과 건조브러쉬(300)가 접촉되어 차량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남은 물기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세차가 완료된다.
세차가 완료된 후에 차량은 차폐부재(100)의 개구된 전면을 통하여 빠져나가게 되고, 브러쉬 건조부(400)에 의하여 건조브러쉬(300)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브러쉬 건조부(400)에 의하여 건조브러쉬(300)가 건조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표면에 부착된 물기 제거를 완료한 후에 건조브러쉬(300)가 초기 위치에 복귀하게 되면 건조브러쉬(300)의 상부에 공기유동공간(411)의 개구 형성된 전면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집열판(420)이 태양광에 의하여 가열되는 공기유동공간(411) 내부의 공기가 데워지게 되고, 데워진 공기는 대류 작용에 의하여 공기유동공간(411)의 개구된 후면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유동공간(411) 내부의 데워진 공기가 상기 후면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면 공기가 배출된 만큼 개구된 전면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동공간(411)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건조브러쉬(300) 측으로 빠른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건조브러쉬(300)의 자연 건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건조브러쉬(300)가 신속하게 건조되면 후속하는 차량의 물기를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세차기 내부의 물기를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세차기의 기계적인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극한기를 제외한 겨울철에도 건조브러쉬(300)가 얼지 않기 때문에 자동세차기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차폐부재 200 : 세척브러쉬
300 : 브러쉬 400 : 브러쉬 건조부
410 : 커버부재 411 : 공기유동공간
412 : 개폐커버 420 : 집열판
500 : 각도조절부 510 : 힌지결합부
520 : 유압실린더 530 : 플렉시블 부재

Claims (12)

  1. 세차하고자 하는 차량이 진입하는 터널 형상의 차폐부재(100)와;
    상기 차폐부재(100)의 내부에 회전 구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브러쉬(200)와;
    상기 세척브러쉬(200)에 의하여 세척이 완료된 차량의 표면에 부착된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차폐부재(100)의 출구측에 회전 구동되도록 설치되는 건조브러쉬(300)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건조브러쉬(300)를 자연 건조시킬 수 있도록 터널 형상의 상기 차폐부재(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브러쉬 건조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 건조부(400)는 상기 차폐부재(100)의 상면에 외부의 공기가 전면으로 유입되어 후면으로 유출되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 형성되고 상기 차폐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공기유동공간(411)이 형성되도록 한 커버부재(410)와, 상기 공기유동공간(4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유동공간(411)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집열판(420)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동공간(411)의 하면과 상면은 각각 외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동공간(411)의 종단면은 하면과 상면의 곡률이 상이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커버부재(410)의 상면과 하면은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410)는 태양광이 상기 집열판(420) 측으로 조사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이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410)의 상기 전면은 상기 건조브러쉬(300)와 근접하도록 상기 건조브러쉬(300)를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410)의 상기 후면은 외부 공기의 유출이 용이하도록 상측 방향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공간(411)을 형성하는 상기 커버부재(410)의 전면과 후면은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별도의 개폐커버(4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열판(420)은 상기 차폐부재(100)의 상면에 지그재그 형상의 패턴을 갖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공간(411) 내부의 공기 유동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410)는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
  10. 제1항, 제3항,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100)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브러쉬 건조부(400)가 배치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각도조절부(5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500)는 상기 브러쉬 건조부(400)의 중앙영역과 상기 차폐부재(100)의 중앙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차폐부재(100)에 상기 브러쉬 건조부(400)가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결합부(510)와, 상기 차폐부재(100) 및 상기 브러쉬 건조부(400)의 후면과 근접한 영역의 양측면에 일단이 상기 차폐부재(1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브러쉬 건조부(400)에 결합된 복수의 유압실린더(5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100)의 상부 양측면과 상기 브러쉬 건조부(400)의 하부 양측면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된 플렉시블 부재(530)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
KR1020200035402A 2020-03-24 2020-03-24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 KR102145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402A KR102145321B1 (ko) 2020-03-24 2020-03-24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402A KR102145321B1 (ko) 2020-03-24 2020-03-24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321B1 true KR102145321B1 (ko) 2020-08-18

Family

ID=7229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402A KR102145321B1 (ko) 2020-03-24 2020-03-24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3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6415A1 (en) * 2021-04-23 2022-10-27 Belanger, Inc. Vehicle wash system having dryer media devices and an air moving assembly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dryer media devices
KR102607763B1 (ko) * 2023-07-28 2023-11-29 주식회사 디케이워시 세척과 건조 장소가 분리된 세차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4293A (ja) * 2007-07-06 2009-01-22 Shinpei Yu 集熱体、換気システムおよび家屋
KR20090119697A (ko) * 2008-05-15 2009-11-1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건조용 브러시
JP2011074622A (ja) * 2009-09-29 2011-04-14 Misawa Homes Co Ltd 建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4293A (ja) * 2007-07-06 2009-01-22 Shinpei Yu 集熱体、換気システムおよび家屋
KR20090119697A (ko) * 2008-05-15 2009-11-1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건조용 브러시
JP2011074622A (ja) * 2009-09-29 2011-04-14 Misawa Homes Co Ltd 建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6415A1 (en) * 2021-04-23 2022-10-27 Belanger, Inc. Vehicle wash system having dryer media devices and an air moving assembly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dryer media devices
KR102607763B1 (ko) * 2023-07-28 2023-11-29 주식회사 디케이워시 세척과 건조 장소가 분리된 세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321B1 (ko) 브러쉬 건조부를 구비한 일체형 자동세차기
US7100538B2 (en) Pet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CN205659931U (zh) 汽车零部件生产用清洗机
JP5581486B2 (ja) 光触媒コートが施された外装面の清掃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8436942B (zh) 水上高尔夫服务机器人
CN105381971A (zh) 鸭蛋清洗筛选风干设备
CN103409960A (zh) 一种面料水洗烘干一体机
CN206588092U (zh) 一种中药材清洗装置
CN109025092A (zh) 一种大棚除雪装置
CN111764089A (zh) 一种针对长毛毛绒玩具的清洗装置及清洗方法
WO2022041770A1 (zh) 一种水上漂浮物清理装置及其清理方法
KR20150086128A (ko) 태양열 집광판 표면세척방법
CN107961996A (zh) 太阳能电池板清洗装置
CN105728360B (zh) 一种太阳能电池板免水清洁装置
CN111938010B (zh) 一种智能化日晒晒场系统及其使用方法
US3545024A (en) Rotary cleaning device and apparatus for cleaning
CN109874684A (zh) 一种带自动投食功能的生猪棚
CN114312681A (zh) 自动识别车辆的隧道式洗车机
CN207091993U (zh) 一种城市护栏自动清洗装置
KR200399290Y1 (ko) 신발 세척장치
CN212645258U (zh) 板材清洗烘干设备
GB2110618A (en) A method of washing and drying motor vehicle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4855243B2 (ja) 車体乾燥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洗車装置
CN211460108U (zh) 一种自动洗鞋机
CN110303630B (zh) 一种用于制造汽车革的压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