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050B1 - 레귤레이터의 압력표시부 - Google Patents

레귤레이터의 압력표시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050B1
KR102145050B1 KR1020190016201A KR20190016201A KR102145050B1 KR 102145050 B1 KR102145050 B1 KR 102145050B1 KR 1020190016201 A KR1020190016201 A KR 1020190016201A KR 20190016201 A KR20190016201 A KR 20190016201A KR 102145050 B1 KR102145050 B1 KR 102145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air
rail
regulator
sc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우뉴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우뉴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우뉴매틱
Priority to KR1020190016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6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or deleterious influence of the measured medium on the measuring device or vice vers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F16K37/0016Mechanical means having a graduated sca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귤레이터에 달린 아날로그식 압력 게이지의 눈금원판의 테두리를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여 레귤레이터의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을 자유롭게 표시하는 한 쌍의 인디케이터를 상기 눈금원판을 에워싸고 있는 레귤레이터의 본체부위에 장착된 레일부에 장착하고, 상기 눈금원판에 장착된 눈금바늘의 운동에 장애를 주지 않게 상기 눈금원판을 덮을 수 있는 캡부를 상기 레일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한 레귤레이터의 압력표시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귤레이터의 압력표시부{pressure indicating means of regulator}
본 발명은,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을 표시해주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구비한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레귤레이터는 배관내의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시켜주거나 원하는 압력으로 낮추어 주기 위해 사용된다.
레귤레이터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 압력이 초기에 레귤레이터 상부에 걸려있는 스프링(9)의 장력으로 인해 다이아프램(5; diaphragm)이 눌려지고 이 다이아프램(5)에 봉을 개재하여 연결된 메일 밸브(2)가 개방되게 아래로 내려와 있으므로, 입구측과 출구측 사이의 제1유로가 항시 열려 있게 되어서, 유체는 그대로 흘러서 출구측으로 흘러한다.
흘러간 압력은 출구측 배관의 압력을 상승시키고 상승된 압력은 레귤레이터에 마련된 제2유로(3)를 통해 상기 다이아프램(5)에 전달된다.
전달된 압력은 상기 스프링(9)의 텐션보다 높은 압력이 되었을때 상기 다이아프램(5)을 들어 올리게 되고, 들려진 높이만큼 유체는 적게 흘러가게 되다가 결국엔 제1유로를 막게 된다. 막힌 유로로 인하여 더 이상 유체가 입구측에서 통과되지 않으므로 출구의 압력은 고정된다.
하지만 출구측의 압력을 누군가가 사용하게 될 경우, 출구측 압력은 상기 스프링(9)의 텐션보다 낮아지게 되고, 상기 스프링(9)은 다시 메인밸브(2)를 개방시킨다. 개방된 밸브로 유체는 빠져나간 압력만큼 채워지게 된다.
이런한 작동의 반복으로 레귤레이터는 출구측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시켜 준다.
하지만, 만약 메인밸브에서 통과 시킬수 있는 최대의 유량이 100이라 가정했을때 출구에서 누군가가 120이라는 유량으로 뽑아 쓴다면 레귤레이터는 메일밸브를 100%로 개방 시킨다 해도 압력을 채우지 못한다.
이럴 경우 레귤레이터의 유량보다 사용유량이 너무 많으므로, 레귤레이터의 압력조절기능은 출구측에서 유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만 압력을 조절할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조절한 압력보다 더 낮은 압으로 떨어진다.
반대로 레귤레이터가 최대 유량이 100인데 사용 유량이 1 이라고 한다면 이역시 문제가 즉 감도(정밀도)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1밖에 사용하지 않으므로 메인밸브(2)가 조금만 열려도 유량을 체워 버리므로 압력이 심하게 요동하게 된다.
따라서 레귤레이터 선정시에는 사용압력조건 뿐아니라 유량값 확인도 중요하다.
이러한 중요성을 감안하여 레귤레이터에 아날로그식 압력게이지를 달고 이 압력게이지에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을 표시해주는 식인표를 스티커로서 붙일 수 있지만, 레귤레이터에 달린 조절디바이스(10)를 이용하여 스프링(9)을 탄성강도를 조절하여서 현장의 배관에 맞게 레귤레이터를 세팅하게 되면, 제조시에 레귤레이터에 부착된 식인표에 새겨진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과 현장 실제의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이 상이하게 되어, 작업자가 설치자가 상기 식인표를 떼어서 버리고 현장 실제의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이 새겨진 새로운 스티커를 레귤레이터에 부착하게 되는 번거러운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귤레이터에 달린 상기 아날로그식 압력게이지의 압력눈금표에 인접하게 상기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이 새겨진 식인표가 부착되지 못하여 사용자나 설치자가 눈금바늘이 위치된 실제의 압력눈금과 새겨진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 간의 비교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레귤레이터에 달린 아날로그식 압력 게이지의 눈금원판의 테두리를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여 레귤레이터의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을 자유롭게 표시하는 한 쌍의 인디케이터를 상기 눈금원판을 에워싸고 있는 레귤레이터의 본체부위에 장착된 레일부에 장착하고, 상기 눈금원판에 장착된 눈금바늘의 운동에 장애를 주지 않게 상기 눈금원판을 덮을 수 있는 캡부를 상기 레일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레귤레이터의 제조사가 레귤레이터에 달린 조절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된 설계적인 레귤레이터의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을 한 쌍의 인디케이터로 표시한 상태에서 판매한 후에 사용자나 배관 설치자가 현장의 배관의 조건에 맞게 상기 조절디바이스를 조절하여 실제 현장의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을 설정하고 나서, 배관 관리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한 쌍의 인디케이터를 버리지 않고, 실제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에 맞는 위치에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종래보다 저렴하고 용이하게 현장 실제의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을 표시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레귤레이터에 달린 상기 아날로그식 압력게이지의 압력눈금표의 여러부위중 상기 실제 현장의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에 상당하는 압력눈금표의 부위에 인접하게 한 쌍의 인디케이터가 위치결정될 수 있어서, 사용자나 설치자가 바늘이 위치된 실제의 압력과 한 쌍의 인디케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실제 현장의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 간의 비교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하는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귤레이터를 도시한 개념 단면도,
도 2는 레귤레이터에 구비된 아날로그 압력 게이지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압력표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눈금평판을 (a)에, 도 2의 압력표시부에 구비된 레일부를 (b)에, 눈금평판 위에 레일부를 얹어놓은 상태에서 상기 레일부에 장착된 한 쌍의 인디케이터를 (c)에, 및 도 2의 압력표시부에 구비된 캡부를 (d)에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레일부를 위에서 본 사시도(a) 및 아래에서 본 사시도(b),
도 5은 도 3의 인디케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선에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3의 캡부를 위에서 본 사시도(a) 및 아래에서 본 사시도(b),
도 8은 도 3의 캡부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a) 및 위에서 본 평면도(b).
이하, 레귤레이터에 구비된 아날로그 압력 게이지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압력표시부가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에는 레귤레이터(100)에 구비된 아날로그 압력 게이지(300)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압력표시부(2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아날로그 압력 게이지(300)는 도 1에 도시된 워킹 다이아프램(6)과 컴팬세이션 다이아프램(4) 사이의 공간에 유통하게 장착되어 레귤레이터(100)의 본체 밖으로 표시부가 노출된 공지된 게이지이다.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100)의 본체(110)는 상기 아날로그 압력 게이지(300)의 압력표시부(200)에 구비된 압력눈금이 인쇄된 눈금평판(310)이 밀착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대략 육면체로 되어 있으며, 상기 눈금평판(310)에는 상기 워킹 다이아프램(6)과 상기 컴팬세이션 다이아프램(4) 사이의 공간에서의 압력이 증감됨에 따라 정역을 회전하게 되는 바늘축(321)이 상기 눈금평판(310)을 관통하여 상기 레귤레이터(100)의 본체(110)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돌출된 바늘축의 상단에는 바늘(320)의 기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된 상태에서 선단이 눈금평판(310)의 압력눈금부위 위로 뻗어 있다.
상기된 아날로그 압력 게이지(300)의 구성과 상기 레귤레이터(100)의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며, 본 발명의 주된 구성이 아니므로, 이하에서는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이 생략 될 것이다.
상기 압력표시부(200)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눈금평판(310)을 개재하여 상기 레귤레이터(100)의 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레일부(210), 상기 눈금평판(310) 위에 상기 바늘축(321)의 중심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두고 복수개의 압력눈금들이 인쇄된 압력눈금부위(311)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레일부(2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 및 상기 레일부(210)에 얹어 놓여져 상기 레일부(210)와 암수결합되는 캡부(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레일부(210)는, 중앙에 상기 바늘(320)과 상기 압력눈금부위(311)가 노출되게 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원형의 관통구멍(211)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눈금평판(310)의 압력눈금부위(311) 외측을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몸체(212), 상기 눈금평판(310)의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게 상기 눈금평판(310)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구멍(312)에 마주하게 형성된 한 쌍의 관통구멍(213), 상기 원형의 관통구멍(211)을 구획형성하는 내주벽(215)의 중간에서 상기 내주벽(215)을 따라 뻗어서 반경 안쪽방향으로 돌출된 숫형레일(214), 상기 숫형레일(214) 밑의 상기 내주벽(215)의 부위에 상기 숫형레일(214)의 방사안쪽방향 돌출량보다 작은 돌출량을 가지고서 상기 내주벽(215)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복수개의 스톱퍼(216), 상기 내주벽(215)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가지고서 상기 몸체(212)의 윗면에 기립되어 상기 내주벽(215)의 둘레발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217), 및 상기 바늘축(321)의 중심에서 상기 한 쌍의 관통구멍(213)에 대하여 90도 위상차를 두고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게 상기 몸체(212)에 형성된 한 쌍의 암형쇄기구멍(21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레일부(210)와 상기 눈금평판(310)이 서로 맞닿음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관통구멍(213)과 상기 한 쌍의 관통구멍(312)을 통하여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너트형 홈에 도시되지 않은 볼트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레일부(210)와 상기 눈금평판(310)이 함께 상기 레귤레이터(100)의 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 각각은, 전체적으로 탄성재질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숫형레일(21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암수결합될 수 있는 암형홈(231)이 형성된 뭉치(232), 상기 뭉치(232)의 하단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뻗어 상기 복수개의 스톱퍼(216)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게 되는 클로(233;claw), 상기 뭉치(232)의 윗면에서 위로 돌출된 손잡이편(234) 및 상기 뭉치(232)의 방사방향 내측면에 뾰족하게 돌출되어 상기 압력눈금부위(311)에 인쇄된 어느 하나의 압력눈금을 가르키는 지시부(23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에 구비된 한 쌍의 클로(233) 중 어느 하나는 시계방향으로 뻗어 있고 다른 하나는 반시계방향으로 뻗어 있으면, 상기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를 많이 이동시키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에 해당되는 압력눈금에 위치결정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캡부(220)는 상기 레일부(210)의 둘레 테두리와 같은 크기로 되어 있는 테두리부위(221), 및 상기 레일부(210)의 원형의 관통구멍(211)과 마주하는 위에서 중앙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볼록렌즈 작용을 하도록 중앙에 돔형상부(222)를 일체로 가지고서 투명재질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테두리부위(221)의 밑에는 상기 레일부(210)의 한 쌍의 암형쇄기구멍(218)와 마주하는 상기 테두리부위(221)의 밑 부위에는 상기 한 쌍의 암형쇄기구멍(218)과 암수결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한 쌍의 쇄기숫형부(223)가 상기 한 쌍의 암형쇄기구멍(218)과 마주하게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쇄기숫형부(223)는 상기 레일부(210)의 복수개의 가이드레일(217)의 외면과 미끄럼접촉되어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레일(217)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돔형상부(222)의 하단 테두리 외면에는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돔형상부(222)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서 반경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편(2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압력표시부(200)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을 표시해줄 수 있다.
먼저, 레귤레이터(100)의 본체(110)에 장착된 바늘축(321)을 관통시켜 눈금평판(310)을 상기 본체(110)에 얹어 놓은 상태에서 상기 바늘축(321)의 선단에 바늘(320)을 장착하여 압력표시부(200)의 장착 준비를 한다.
그 다음, 상기 눈금평판(310) 위에 상기 레일부(210)를 엊어놓은 상태에서, 상기 한 쌍 관통구멍(213)과 상기 한 쌍의 관통구멍(312)을 통하여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너트형 홈에 도시되지 않은 볼트를 체결하게 하면, 상기 레일부(210)와 상기 눈금평판(310)이 함께 상기 레귤레이터(100)의 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게 한다.
그 다음, 레귤레이터의 제조사가 설계적인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레일부(210)에 장착된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의 손잡이편(234)을 제조사의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그리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서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 중 우측에 위치된 인디케이터(230)의 지시부(235)가 예를 들면 0.8MPa를 표시하는 압력눈금에 위치되게 하고,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 중 좌측에 위치된 인디케이터(230)가 예를 들면 0.4MPa를 표시하는 압력눈금에 위치되게 하여, 최대허용압력을 0.8MPa로 표시하고 설정압력범위를 0.4MPa~0.8MPa로 표시하게 하면서,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의 각각의 상기 클로(233)가 복수개의 스톱퍼(216)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간 중 해당 공간에 삽입되게 되어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가 그 위치에서 위치고정되어 비의도인 외력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캡부(220)의 쇄기숫형부(223)를 상기 레일부(210)의 암형쇄기구멍(218)에 헐렁하게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캡부(220)의 돌출편(225)을 제조사의 작업자가 파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캡부(220)의 쇄기숫형부(223)의 내주부가 상기 레일부(210)에 마련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217)의 외주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안내를 받아 상기 쇄기숫형부(223)가 상기 암형쇄기구멍(218)에 억지끼워맞춤되게 되어 상기 캡부(220)가 상기 레일부(210)에 대한 장착이 완료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조사는 레귤레이터를 판매하게 된다.
상기 제조사의 레귤레이터를 구매한 배관업체는 현장의 배관 도중에 상기 레귤레이터를 설치하고 나서, 상기 현장의 배관에 적합한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에 맞게 레귤레이터(100)에 마련된 조절디바이스(10; 도 1참조)를 이용하여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을 세팅한다.
그 다음, 배관업체의 작업자가 상기 캡부(220)의 돌출편(225)을 파지하여 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캡부(220)의 쇄기숫형부(223)의 내주부가 상기 레일부(210)에 마련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217)의 외주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안내를 받아 상기 쇄기숫형부(223)가 상기 암형쇄기구멍(218)에 억지끼워맞춤이 해제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배관업체의 작업자가 상기 캡부(220)의 돌출편(225)을 파지하여 상기 캡부(220)를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눈금평판(310)이 노출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조사에 의해 설계적인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에 상응하게 위치결정된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를 배관업체의 작업자가 상기 레일부(210)에 장착된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의 손잡이편(234)을 파지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그리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서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 중 우측에 위치된 인디케이터(230)의 지시부(235)가 예를 들면 0.7MPa를 표시하는 압력눈금에 위치되게 하고,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 중 좌측에 위치된 인디케이터(230)가 예를 들면 0.5MPa를 표시하는 압력눈금에 위치되게 하여, 최대허용압력을 0.7MPa로 표시하고 설정압력범위를 0.5MPa~0.7MPa로 표시하게 하면서,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의 각각의 상기 클로(233)가 복수개의 스톱퍼(216)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간 중 해당 공간에 삽입되게 되어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가 그 위치에서 위치고정되어 비의도인 외력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캡부(220)의 쇄기숫형부(223)를 상기 레일부(210)의 암형쇄기구멍(218)에 헐렁하게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캡부(220)의 돌출편(225)을 배관업체의 작업자가 파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캡부(220)의 쇄기숫형부(223)의 내주부가 상기 레일부(210)에 마련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217)의 외주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안내를 받아 상기 쇄기숫형부(223)가 상기 암형쇄기구멍(218)에 억지끼워맞춤되게 되어 상기 캡부(220)가 상기 레일부(210)에 대한 장착이 완료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배관에 유체를 원하는 압력으로 유통시키게 되면, 상기 배관에 형성된 실제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바늘축(321)과 상기 바늘(320)이 함께 선회하여 실제의 압력에 해당하는 압력눈금에 상기 바늘(320)의 선단이 위치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바늘(320)의 선단이 상기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투명한 상기 캡부(220)에 볼록렌즈화되어 구비된 돔형상부(222)를 통하여 투시하면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바늘(320)의 선단이 상기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지 않으면, 상기 레귤레이터(100)에 마련된 조절디바이스(10; 도 1참조)를 이용하여 설계적인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바늘(320)의 선단이 상기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 사이에 위치되게 하여, 배관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레귤레이터의 압력표시부에 의하면, 종래보다 저렴하고 용이하게 현장 실제의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을 표시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레귤레이터에 달린 상기 아날로그식 압력게이지의 압력눈금부위중 실제 현장의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에 상당하는 압력눈금표의 부위에 인접하게 한 쌍의 인디케이터가 위치결정될 수 있어서, 사용자나 설치자가 바늘이 위치된 실제의 압력과 한 쌍의 인디케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실제 현장의 설정압력범위와 최대허용압력 간의 비교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하는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100: 레귤레이터, 110: 본체, 200: 압력표시부, 210: 레일부, 211: 원형의 관통구멍, 212: 몸체, 213: 한 쌍의 관통구멍, 214: 숫형레일, 215: 내주벽, 216: 복수개의 스톱퍼, 217: 복수개의 가이드레일, 218: 암형쇄기구멍, 220: 캡부, 221: 테두리부위, 222: 돔형상부, 223: 한 쌍의 쇄기숫형부, 225: 복수개의 돌출편, 230: 한 쌍의 인디케이터, 231; 암형홈, 232: 뭉치, 233: 클로, 234: 손잡이편, 235: 지시부, 300: 아날로그 압력 게이지, 310: 눈금평판, 320: 바늘, 321: 바늘축

Claims (3)

  1. 레귤레이터(100)에 구비된 아날로그 압력 게이지(300)에 장착된 압력표시부(200)에 있어서,
    눈금평판(310)을 개재하여 상기 레귤레이터(100)의 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레일부(210),
    상기 눈금평판(310) 위에 바늘축(321)의 중심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두고 복수개의 압력눈금들이 인쇄된 압력눈금부위(311)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레일부(2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 및
    상기 레일부(210)에 얹어 놓여져 상기 레일부(210)와 암수결합되는 캡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210)는,
    중앙에 상기 아날로그 압력 게이지(300)의 바늘(320)과 상기 압력눈금부위(311)가 노출되게 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원형의 관통구멍(211)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눈금평판(310)의 압력눈금부위(311) 외측을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몸체(212),
    상기 눈금평판(310)의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게 상기 눈금평판(310)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구멍(312)에 마주하게 형성된 한 쌍의 관통구멍(213),
    상기 원형의 관통구멍(211)을 구획형성하는 내주벽(215)의 중간에서 상기 내주벽(215)을 따라 뻗어서 반경 안쪽방향으로 돌출된 숫형레일(214),
    상기 숫형레일(214) 밑의 상기 내주벽(215)의 부위에 상기 숫형레일(214)의 방사안쪽방향 돌출량보다 작은 돌출량을 가지고서 상기 내주벽(215)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복수개의 스톱퍼(216),
    상기 내주벽(215)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가지고서 상기 몸체(212)의 윗면에 기립되어 상기 내주벽(215)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217), 및
    상기 바늘축(321)의 중심에서 상기 한 쌍의 관통구멍(213)에 대하여 90도 위상차를 두고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게 상기 몸체(212)에 형성된 한 쌍의 암형쇄기구멍(218)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인디케이터(230) 각각은, 전체적으로 탄성재질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숫형레일(21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암수결합될 수 있는 암형홈(231)이 형성된 뭉치(232),
    상기 뭉치(232)의 하단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뻗어 상기 복수개의 스톱퍼(216)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게 되는 클로(233;claw),
    상기 뭉치(232)의 윗면에서 위로 돌출된 손잡이편(234) 및
    상기 뭉치(232)의 방사방향 내측면에 뾰족하게 돌출되어 상기 압력눈금부위(311)에 인쇄된 어느 하나의 압력눈금을 가르키는 지시부(235)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220)는
    상기 레일부(210)의 둘레 테두리와 같은 크기로 되어 있는 테두리부위(221), 및
    상기 레일부(210)의 원형의 관통구멍(211)과 마주하는 위에서 중앙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볼록렌즈 작용을 하도록 중앙에 돔형상부(222)를 일체로 가지고서 투명재질로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의 압력표시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220)는
    상기 테두리부위(221)의 밑에는 상기 레일부(210)의 한 쌍의 암형쇄기구멍(218)와 마주하는 상기 테두리부위(221)의 밑 부위에는 상기 한 쌍의 암형쇄기구멍(218)과 암수결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한 쌍의 쇄기숫형부(223)가 상기 한 쌍의 암형쇄기구멍(218)과 마주하게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쇄기숫형부(223)는 상기 레일부(210)의 복수개의 가이드레일(217)의 외면과 미끄럼접촉되어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레일(217)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결정되어 있고,
    상기 돔형상부(222)의 하단 테두리 외면에는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돔형상부(222)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서 반경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편(22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귤레이터의 압력표시부.
KR1020190016201A 2019-02-12 2019-02-12 레귤레이터의 압력표시부 KR102145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201A KR102145050B1 (ko) 2019-02-12 2019-02-12 레귤레이터의 압력표시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201A KR102145050B1 (ko) 2019-02-12 2019-02-12 레귤레이터의 압력표시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050B1 true KR102145050B1 (ko) 2020-08-18

Family

ID=72291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201A KR102145050B1 (ko) 2019-02-12 2019-02-12 레귤레이터의 압력표시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0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14Y2 (ko) * 1984-03-07 1988-01-13
JPH10274550A (ja) * 1997-03-28 1998-10-13 Motoyuki Tomita 圧力計における設定圧範囲表示装置
KR0130579Y1 (ko) * 1994-08-25 1999-03-30 타카다 요시유키 압력범위표시침을 보유하는 압력계
KR20110025134A (ko) * 2009-09-01 2011-03-09 드와이어 인스투르먼쓰 인코포레이티드 게이지 커버 유지 장치
KR20140063197A (ko) * 2012-11-16 2014-05-27 리첸 첸 경고유닛을 구비한 게이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14Y2 (ko) * 1984-03-07 1988-01-13
KR0130579Y1 (ko) * 1994-08-25 1999-03-30 타카다 요시유키 압력범위표시침을 보유하는 압력계
JPH10274550A (ja) * 1997-03-28 1998-10-13 Motoyuki Tomita 圧力計における設定圧範囲表示装置
KR20110025134A (ko) * 2009-09-01 2011-03-09 드와이어 인스투르먼쓰 인코포레이티드 게이지 커버 유지 장치
KR20140063197A (ko) * 2012-11-16 2014-05-27 리첸 첸 경고유닛을 구비한 게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3289B2 (ja) 流体圧機器のケース構造
JP5765560B2 (ja) フィルタ装置
US7958649B1 (en) Punch deflection gauge
KR101406053B1 (ko) 자기적으로 결합된 격막을 구비하는 압력 게이지
KR102334003B1 (ko) 균열정보의 계측이 용이한 시설물의 안전진단 균열측정장치
KR102145050B1 (ko) 레귤레이터의 압력표시부
JP2020526710A (ja) 制御バルブ、ノズル及びノズルステムを有するハンドヘルド流体メータを備えるディスペンス装置
KR100902540B1 (ko) 제수밸브
WO2009022766A1 (en) Gauge for pressure measuring device
US20180249805A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identification means
KR200491368Y1 (ko) 가변형 게이지의 운전범위 표시장치
JP6120784B2 (ja) 範囲表示ベースリング、範囲表示具及び圧力計
KR102162007B1 (ko) 적용압력 조절이 용이한 감압밸브
CN208420254U (zh) 一种高压表的改良结构
US3430820A (en) Vapor-liquid withdrawal valve
JP3156443B2 (ja) 液量検出装置
CN108679252B (zh) 一种新型消防阀门
CN206772422U (zh) 一种天平托盘
KR102107758B1 (ko) 기준유량의 확인이 가능한 유량계 및 이를 구비한 양액기
US1282075A (en) Instrument for taking soundings.
CN205228466U (zh) 一种带激光定点的铅锤
KR20180046275A (ko) 영점 조절이 가능한 압력계
CN101514757B (zh) 具有报警和保护功能的水族输气系统控制阀
CN203798406U (zh) 一种手持式量杯
JP6192213B2 (ja) 酸素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