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053B1 - 자기적으로 결합된 격막을 구비하는 압력 게이지 - Google Patents

자기적으로 결합된 격막을 구비하는 압력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053B1
KR101406053B1 KR1020117019201A KR20117019201A KR101406053B1 KR 101406053 B1 KR101406053 B1 KR 101406053B1 KR 1020117019201 A KR1020117019201 A KR 1020117019201A KR 20117019201 A KR20117019201 A KR 20117019201A KR 101406053 B1 KR101406053 B1 KR 101406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diaphragm
wall
fluid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5922A (ko
Inventor
마이클 에이. 폽
Original Assignee
드와이어 인스투르먼쓰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와이어 인스투르먼쓰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드와이어 인스투르먼쓰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35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14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volving the displacement of magnets, e.g. electromagn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8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of the flexible-diaphragm type
    • G01L7/08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of the flexible-diaphragm type 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phrag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 G01L13/02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using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or pistons as sensing elements
    • G01L13/025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using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or pistons as sensing elements using diaphrag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8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of the flexible-diaphragm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8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of the flexible-diaphragm type
    • G01L7/084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of the flexible-diaphragm type with mechanical transmitting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압력 감지 격막에 자기적으로 부착된 모션 검출 기구를 가지는 게이지에 대해 개시한다. 모션 검출 기구는 격막의 위치 및 이 격막에 의해 감지된 대응하는 압력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포인터 회전 기구에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Description

자기적으로 결합된 격막을 구비하는 압력 게이지{PRESSURE GAGE WITH MAGNETICALLY COUPLED DIAPHRAGM}
본 발명은 연성의 압력 감지 격막에 자기적으로 부착된 모션 검출 기구를 가지는 압력 게이지에 관한 것이며, 상기 모션 검출 기구는 격막의 위치 및 격막이 감지한 대응하는 압력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포인터 회전 기구에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압력 게이지의 정면 투영도이다.
도 2는 게이지의 배면 투영도이다.
도 3은 게이지의 투영 단면도이다.
도 4는 게이지의 투영 단면도이다.
도 5는 게이지의 투영 단면도이다.
도 6은 게이지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하우징의 베이스 부재의 배면 투영도이다.
도 8은 하우징의 베이스 부재의 배면 투영도이다.
도 9는 하우징의 베이스 부재의 측입면도이다.
도 10은 하우징의 베이스 부재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11은 하우징의 베이스 부재의 하부 측면도이다.
도 12는 하우징의 베이스 부재의 배면 입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라인 13-13을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라인 14-14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하우징의 밀봉 부재의 배면 투영도이다.
도 16은 하우징의 밀봉 부재의 정면 투영도이다.
도 17은 하우징의 밀봉 부재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라인 18-18을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라인 19-19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하우징의 밀봉 부재의 배면 입면도이다.
도 21은 하우징의 밀봉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커버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라인 23-23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라인 24-24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커버의 배면 입면도이다.
도 26은 커버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27은 격막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라인 28-28을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모션 검출 기구의 투영도이다.
도 30은 모션 검출 기구의 전개도이다.
도 31은 모션 검출 기구의 빔 및 자석 장착 어셈블리의 투영도이다.
도 32는 캡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33은 캡의 저면도이다.
도 34는 캡의 배면 입면도이다.
도 35는 장착 브라켓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라인 36-36을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7은 헬릭스의 투영도이다.
도 38은 헬릭스 하우징의 투영도이다.
도 39는 헬릭스 하우징의 상면도이다.
도 40은 헬릭스 하우징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41은 헬릭스 하우징의 좌측 단부도이다.
도 42는 도 40의 라인 42-42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압력 게이지의 대안의 실시예에 대한 배면 투영도이다.
도 44는 장착 장치를 포함하는 도 43의 압력 게이지의 배면 투영도이다.
도 45는 장착 장치의 록킹 부재의 부분 확대 투영도이다.
도 46은 장착 장치의 배면 입면도이다.
도 47은 장착 장치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48은 장착 장치의 정면 입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지(10)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게이지(10)는 압력을 감지하고 측정된 압력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압력 게이지일 수 있는 데, 상기 측정된 압력은 제1 유체의 압력 및 제2 유체의 압력 간의 압력차일 수 있다. 게이지(10)는 하우징(14),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16), 및 직선 중심 축(32)을 포함한다.
하우징(14)은 도 7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8)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밀봉 부재(20)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18)는 제1 단부(24)로부터 제2 단부(26)로 연장하는 원통형의 주변 측벽(22)을 포함한다. 측벽(22)은 제1 단부(24)에는 원형의 주변 제1 림(rim)(28)을 가지고 제2 단부(26)에는 원형의 주변 제2 림(30)을 가진다. 측벽(22) 및 제1 및 제2 림(28 및 30)은 대체로 축(32)을 중심으로 동심원 상에 위치한다. 베이스 부재(18)는 단부 벽(34)을 포함하는 데, 상기 단부 벽은 측벽(22) 내에 위치하면서 제2 단부(26)에 인접하되 제2 단부(26)로부터 내측으로 공간을 이루고 있다. 단부(34)는 대체로 원형인 주변 에지를 따라 측벽(22)의 내부 표면에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8)는 제1 단부(24)와 제2 단부 벽(34) 사이에서 측벽(22) 내에 위치하는 전면 챔버(front chamber)(36)를 포함한다. 단부 벽(34)은 전면 챔버(36)와 연통할 수 있도록 대체로 원형인 압력 릴리프 포트(pressure relief port)(38)를 포함한다. 압력 릴리프 포트(38)에는 압력 릴리프 포트(39)가 탈착 가능하게 위치하여 압력 릴리프 포트(38)를 밀봉한다. 제1 림(28)은 제1 개구부(29)를 형성하고 제2 림(30)은 제2 개구부(31)를 형성한다. 측벽(22)은 복수의 장착 애퍼처(35)를 포함하는 데, 예를 들어 4개의 장착 애퍼처(35)를 포함하며, 장착 애퍼처들은 축(32)을 중심으로 대체로 일정하게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각각의 장착 애퍼처(35)는 단부 측벽(34)과 제2 림(3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각각의 장착 애퍼처(35)는, 단부 벽(34)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선형 기부 에지(proximal edge), 단부 벽(34)에 떨어져 위치하면서 단부 벽(34)에 대체로 평행한 선형의 말단 에지(distal edge), 및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면서 상기 기부 에지와 말단 에지(37) 사이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선형 측면 에지를 포함한다. 복수의 측면 에지는 말단 에지(37) 쪽으로 연장하면서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다.
단부 벽(34)은 리세스(40)를 포함하며 이 리세스(40)에는 원형의 주변 에지(42) 및 하부 벽(bottom wall)(44)이 있다. 하부 벽(44)은 중심에 위치하는 편평부 및 상기 편평부 주위를 연장하는 환형 측벽부(annular side wall portion)를 포함한다. 하부 벽(44)의 측벽부는 원형의 원호(arc) 형태로 오목하게 곡선을 이루는 방식으로 편평부로부터 원형의 주변 에지(42)로 연장한다. 리세스(40)는 전면 챔버(3)로부터 단부 벽(34)의 반대 측면 상에서 배면 챔버(46)를 형성한다. 주변 에지(42)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배면 챔버(46)와 연통한다. 주변 에지(42)는 축(32)에 평행하고 축(32)에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선형 축(48)을 중심으로 동심원 상으로 위치한다. 하부 벽(44)은 축(48)을 중심으로 동심원 상으로 위치하는 대략의 원형 포트(50)를 포함한다. 포트(50)는 전면 챔버(36) 및 배면 챔버(46)와 유체가 연통할 수 있으며 전면 챔버(36) 및 배면 챔버(46)를 서로 유체가 연통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대략의 원형 홈(circular groove)(52)이 단부 벽(34)의 외부 표면에 위치하며 축(48) 및 리세스(40)의 에지(42)를 중심으로 대체로 동심원 상으로 연장한다. 단부 벽(34)은 또한 전면 챔버(48)와 유체가 연통할 수 있도록 대략 원형의 포트(56)를 포함한다. 포트(56)는 축(48)에 대해 리세스(40) 및 에지(42)로부터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위치한다. 환형의 홈(58)은 단부 벽(34)의 외측 표면에서 포트(56)를 중심으로 동심원 상으로 연장하고 O-링과 같은 탄력적 탄성 중합체 개스킷(resilient elastomeric gasket)(60)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커넥터 부재(62)는 단부 벽(34)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고 축(48)을 중심으로 대체로 일정하게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또한 리세스(40)의 에지(42)로부터 방사상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각각의 커넥터 부재(62)는 단부 벽(34)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면서 단부 벽(34)에 대체로 수직인 U자형 등자(stirrup)를 포함한다. 측벽(22)의 제1 림은 O-링과 같은 탄력적 탄성 중합체 개스킷(68)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벽(22)의 제1 단부(24)에는 외부적으로 나사산이 새겨져 있다. 측벽(22)의 제2 단부(26)는 포트(56)에 인접하는 노치(notch)(70)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18)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4)의 밀봉 부재(20)는 도 15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74)가 외부 챔부(76)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 표면을 포함한다. 리세스(74)는 대체로 원형인 주변 에지(78), 대체로 편평한 하부 벽(80) 및 상기 주변 에지와 하부 벽 사이를 연장하는 곡선의 측벽(82)을 포함한다. 대체로 원형인 환형의 홈(84)이 리세스(74)의 에지(78) 및 축(48)을 중심으로 대체로 동심원 상으로 연장한다. 대체로 C형 부재(88A 및 88B)는 밀봉 부재(20)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하고 서로에 대해 대체로 원형이고 환형의 방식으로 축(48)을 중심으로 대체로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C형 부재(88A 및 88B) 사이에는 챔버(90)가 형성되어 있다. C형 부재(88A 및 88B)의 각각의 단부들 사이에는 갭(92A 및 92B)이 형성되어 챔버(90)와 연통한다. 리세스(74)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홈(94)은 갭(92B)으로부터, 측벽(82)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말단부로, 대체로 선형으로 외측으로 연장한다. 리세스(74)의 내부 표면에는 홈(96)이 형성되어 있고 갭(92A)으로부터 측벽(82)으로 대체로 선형으로 연장한다. 홈(94 및 96)은 서로에 대해 얼라인먼트 되어 위치하며 축(48)에 대해 대체로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연장한다.
밀봉 부재(20)는 제1 유체 도관(fluid conduit)(98)을 포함한다. 제1 유체 도관(98)은 제1 유체 통로(1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체 통로에는 제1 유체 도관(98)의 말단부에 제1 포트(102)가 형성되어 있고 리세스(74)의 측벽(82)에 제2 포트(10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유체 통로(100)의 제2 포트(104)는 리세스(74)의 외부 챔버(76) 및 홈(96)으로 유체가 연통한다. 외이부(ear)(106)는 밀봉 부재(20)의 원형의 주변 에지에 부착되어 있다. 외이부(106)는 대체로 편평한 내부 표면(108)을 포함한다. 제2 유체 도관(110)이 외이부(106)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유체 도관(110)은 제2 유체 통로(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체 통로에는 제2 유체 도관(110)의 말단부에 제1 포트(114)가 형성되어 있고 외이부(106)의 내부 표면(108) 내에 대체로 동심원 상으로 형성된 제2 포트(116)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포스트(118)가 밀봉 부재(20)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고 이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 복수의 포스트(118)는 축(48)을 중심으로 대체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각각의 포스트(118)는 밀봉 부재(20)를 베이스 부재(18)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18)의 커넥터 부재(62)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밀봉 부재(20)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6)는 투명 렌즈(124)를 에워싸는 대략 원형의 리브형(ribbed) 주변 림(122)을 포함한다. 주변 림(122)은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베이스 부재(18)의 제1 단부(24)에 대해 관통되어 맞물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림(122)은 대체로 원형이면서 환형의 편평한 표면(126)을 포함하며, 커버(16)가 베이스 부재(18)에 결합될 때 개스킷(68)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개스킷(68)은 베이스 부재(18)의 제1 단부(24)와 커버(16) 사이를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밀봉시킬 수 있다. 커버(16)는 베이스 부재(18) 상에서 선택적으로 탈착 및 교체 가능하다. 커버(16)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지(10)는 가요성의 격막(130)을 포함한다. 격막(130)은 축(48)을 중심으로 동심원 상으로 위치하고 축(48)에 대해 대체로 수직으로 위치하면서 단단한 대략 디스크형 원형 격막 플레이트(132)를 포함한다. 포스트(134)는 축(48)을 따라 격막 플레이트(132)의 내부 표면에 대해 외측으로 또한 이 내부 표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한다. 포스트(134)의 기부 단부는 플레이트(132)에 결합되어 있다. 포스트(134)의 말단부는 복수의 손가락 모양의 손잡이 부재(136)를 포함한다. 커넥터 부재(138)는 손잡이 부재(136)에 의해 포스트(134)의 말단부에 결합된다. 커넥터 부재(138)는 공 또는 구체로 되어 있는 곡선의 구체 표면과 같은 곡선의 표면을 가진다. 커넥터 부재(138)는 구형 공처럼 형성될 수 있으며 강자성인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격막(130)은 또한 대체로 환형의 탄력이 있는 유연한 격막 부재(140)를 포함하며, 이 격막 부재(140)는 격막 플레이트(132) 주위를 연장한다. 격막 부재(140)는 격막 플레이트(132)의 외부 원형 에지에 결합된 대략의 내부 원형 에지를 포함한다. 격막 부재(140)는 단면이 대체로 타원형인 원주 내의 원형 림(142)을 포함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막 부재(140)는 원의 원호 형상에서 격막 부재(140)의 내부 림과 외부 림(142 사이에서 곡선으로 되어 있어서 격막 부재(140)는 볼록하게 곡선을 이루는 표면 및 환형의 외부의 오목하게 곡선을 이루는 표면을 가진다.
격막(1300은 밀봉 부재(20)에 의해 베이스 부재(18)에 결합되어 있다. 격막 부재(140)의 림(142)은 베이스 부재(18)의 홈(52) 내에 위치하며, 포스트(134)가 배면 챔버(46)로부터 리세스(40)의 하부 벽(44)에 있는 포트(50)를 통해 베이스 부재(18)의 전면 챔버(36)로 연장한다. 이에 의해 격막(130)의 커넥터 부재(138)는 전면 챔버(36) 내에 위치한다. 밀봉 부재(20)가 커넥터 부재(62)에 의해 베이스 부재(18)에 결합될 때, 격막 부재(140)의 림(142)도 밀봉 부재(20)의 홈(84) 내에 위치한다. 림(142)은 홈(52)과 홈(84) 사이를 그리고 베이스 부재(18)와 밀봉 부재(20) 사이를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밀봉한다. 개스킷(60)은 외이부(106)의 내부 표면과 맞물려서 외이부(106)와 베이스 부재(18) 사이를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밀봉한다. 제2 유체 통로(12)의 제2 포트(116)는 베이스 부재(18) 내의 포트(56)와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하며 이에 의해 베이스 부재(18)의 전면 챔버(36)와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한다. 게이지(10)는 밀봉 부재(20)의 외부 챔버(76)를 포함하는 제1 유체 챔버(146) 및 베이스 부재(18)의 전면 챔버(36) 및 배면 챔버(46)를 포함하는 제2 유체 챔버(148)를 포함한다. 제1 유체 챔버(146) 및 제2 유체 챔버(148)는 격막(130)에 의해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서로 밀봉된다. 제1 유체 챔버(146)는 제1 유체 도관(98)과 제1 포트(102)가 있는 제1 유체 통로(100)와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된다. 제2 유체 챔버(148)는 제2 유체 도관(110)과 제2 포트(114)가 있는 제2 유체 통로(112)와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된다.
각각의 유체 챔버(146 및 148)는 각각의 유체의 소스와 유체가 연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다면, 하나의 유체 챔버가 대기와 유체를 연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체 챔버(146)는 제2 유체 챔버(148)와 분리되어 있으며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밀봉되어 있다. 플레이트(132), 포스트(134) 및 커넥터 부재(138)는 제1 유체 챔버(146) 내의 유체의 압력과 제2 유체 챔버(148) 내의 유체의 압력 사이의 압력차에 응답하여 축(48)을 따라 이동한다. C형 부재(88A 및 88B)는 격막 플레이트(132)를 리세스(74)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공간을 두고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이지(10)는 모션 검출 기구(156)를 포함하는 모션 전송 기구(154)를 포함한다. 모션 검출 기구(156)는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챔버(36) 내의 패스너(fastener)(161)에 의해 베이스 부재의 단부 벽(34)에 결합된 장착 베이스(160)를 포함한다. 장착 베이스(160)는 제1 단부(162)와 제2 단부(164) 사이를 연장한다. 장착 부재(160)는, 대체로 편평한 상승 표면(166)을 제1 단부(162)에서 포함하고, 상기 상승 표면(166)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장착 베이스(160)의 제2 단부(164)로 연장하는 대체로 편평한 리세스 표면(168)을 포함한다. 상기 상승 표면(166)은 상승 표면(168)에 대체로 평행하다. 장착 베이스(160)는 또한 리세스 표면(168)의 측면 에지를 따라 각각 연장하는 복수의 플랜지(170)를 포함하는 데, 이 복수의 플랜지(170)는 외측으로 연장한다. 각각의 플랜지(170)는 대체로 편평한 하부 표면(172)을 포함하는 데, 이 하부 표면은 리세스 표면(168)에 대체로 평행하다. 하부 표면(172)은 제2 단부(164)로부터 탑재 베이스(160)의 제1 단부(162) 쪽으로 연장한다.
탄력적이고 유연하며 휘어질 수 있는 캔틸레버 빔(174)이 패스너(175)에 의해 장착 부재(160)에 결합되고 베이스 부재(18)의 단부 벽(34)에 결합된다. 빔(174)은 제1 단부(176) 및 제2 단부(178)를 포함한다. 제1 단부(176)는 장착 베이스(160)의 상승 표면(166)에 결합된다. 빔(174)은 바이어스되지 않은 상태(unbiased condition)에 있을 때는 제1 단부(176) 및 상승 표면(166)으로부터 제2 단부(178) 쪽으로 연장하는 데, 상기 제2 단부(178)는 리세스 표면(168)에 대체로 평행하면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빔(174)은 플레이트 또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의 형태일 수 있으며, 대체로 편평한 상부 표면(180) 및 상기 상부 표면(180)에 대체로 평행한 대체로 편평한 하부 표면(182)을 가진다. 빔(174)은 그 세로 축(184)을 따라 탄력적이고 가요성이 있으며 금속 또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빔(174)의 길이, 폭 및 두께는 원하는 스프링 레이트를 가지는 빔(174)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빔(174)의 제2 단부(178)는 횡단하여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는 애퍼처(186A 및 186B)를 포함한다. 빔(174)의 제2 단부(178)는 또한 제2 단부 및 애퍼처(186A 및 186B)로부터 내측으로 위치하는 애퍼처(188)를 포함한다. 애퍼처(188)는 빔(174)의 측면 에지들 사이에서 대체로 중심에 위치한다.
빔(174)의 제2 단부(178)에는 홀더(192)가 결합되어 있다. 홀더(192)는 대체로 편평한 베이스 플레이트(194)를 포함한다. 한 쌍의 횡단하여 공간을 두고 떨어진 위치 부재(196A 및 196B)는 베이스 플레이트(194)의 대체로 편평한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94)의 상부 표면이 빔(174)의 하부 표면(182)에 인접해서 위치하도록, 위치 부재(196A)는 애퍼처(186A)를 통해 연장하고 위치 부재(196B)는 빔(174)의 애퍼처(186B)를 통해 연장한다. 빔 플레이트(194)는 빔(174)의 애퍼처(188)와 정렬된 애퍼처(198)를 포함한다. 3-측면 벽(200)이 빔(174)의 마주하는 측면 에지들을 따라 그리고 제2 단부(178)에서의 빔(174)의 말단 에지를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94)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한다. 홀더(192)는 빔(174)에 인접해서 외측으로 위치하는 저장부(receptacle)(202)를 포함한다. 저장부(202)는 구동 자석(20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방 말단부를 가지는 포켓(204)을 포함한다. 홀더(192)의 애퍼처(198) 내에는 부착 자석(attachment magnet)(208)이 위치하여 빔(174)의 표면에 결합되어 있다. 부착 자석(208)은 축(184)을 따라 구동 자석(206)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위치한다. 부착 자석(208)은 격막(130)의 커넥터 부재(138)와 직접 접촉하여 맞물려서 자기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부착 자석(208)은 커넥터 부재(138), 포스트(134) 및 격막(130)의 플레이트(132)를 빔(174)이 제2 단부(178)에 자기적으로 부착시킴으로써 제1 유체 챔버(146)와 제2 유체 챔버(148) 간의 압력차에 응답해서 축(48)을 따라 격막(130)의 플레이트(132)가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축(184)을 따라 탄력적으로 휘어지는 빔(174)에 의해 빔(174)의 제2 단부(178)와 구동 자석(206)이 이동하게 된다.
모션 검출 기구(156)는 또한 스프링 레이트 조정 기구(212)를 포함한다. 스프링 레이트 조정 기구(212)는 장착 베이스(160)의 리세스 표면(168)과 빔(174)의 하부 표면(182)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조정 기구(214)를 포함한다. 하부 조정 부재(214)는 일반적인 형태의 편평한 플레이트이며, 리세스 표면(168)과 맞물려 있는 대체로 편평한 하부 표면 및 빔(174)의 하부 표면(182)과 맞물려 있는 대체로 편평한 상부 표면을 포함한다. 하부 조정 부재(214)는 한 쌍의 핑거부(finger)(216)를 포함하는 데, 이 한 쌍의 핑거부는 각각 하부 조정 부재(214)의 각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횡단하여 연장한다. 하부 조정 부재(214)는 또한 축(84)을 횡단하여 연장하는 대체로 선형의 말단 에지(218)를 포함한다. 스프링 레이트 조정 기구(212)는 또한 하부 조정 부재(2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 상부 조정 부재(222)를 포함한다. 상부 조정 부재(222)는 일반적인 형태의 대체로 편평한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빔(174)의 상부 표면(180)과 맞물리는 대체로 편평한 하부 표면을 포함한다. 상부 조정 부재(222)는 핑거부(224)를 포함하는 데, 이 핑거부는 축(184)과 관련해서 상부 조정 기구 부재(222)의 각 측면으로부터 횡단하여 외측으로 연장한다. 상부 조정 부재(222)는 대체로 선형의 말단 에지(226)를 포함하는 데, 이 말단 에지(226)는 축(184)을 횡단하여 연장하고 하부 조정 부재(214)의 말단 에지(218)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상부 조정 부재(222) 및 하부 조정 부재(214)는 빔(174)의 양 측면 상에 위치하면서 서로에 대해 얼라인먼트 되어 위치하고 있다.
스프링 레이트 조정 기구(212)도 또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대체로 평행하게 하향 연장하는 한 쌍의 레그(leg)(232)를 가지는 대체로 U자형 클램핑 부재(230)를 포함한다. 각각의 레그(232)는 자신의 말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하는 립(lip)(234)을 포함한다. 각각의 레그(232)는 또한 상향 연장하는 슬롯(236)을 포함하는 데, 상기 슬롯(236)은 립(234) 및 레그(232)를 통해 연장한다. 하부 조정 부재(214) 및 상부 조정 부재(222)는 클램핑 부재(230)의 복수의 레그(232) 사이를 연장하며, 이 복수의 레그(232)의 각각의 슬롯(236) 내에는 핑거부(216 및 224)가 위치한다. 핑거부(216 및 224)는 하부 조정 부재(214) 및 상부 조정 부재(222)를 클램핑 부재(230)에 결합하는 동시에 하부 조정 부재(214) 및 상부 조정 부재(222)를 클램핑 부재(230)에 대해 슬롯(23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레그(232)의 입(234)은 장착 베이스(160)의 핑거부(170)의 아래에 위치하여 이 핑거부(170)의 하부 표면(172)과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threased bore)(240)을 가지는 크로스 부재(cross member)(238)는 레그(232)의 말단부들 사이를 연장한다. 세트 스크류(set screw)와 같은 관통 패스너(242)가 관통 구멍(240) 내에 위치하여, 크로스 부재(238)에 관통하여 결합된다.
관통 패스너(242)가 수축 해제 위치(retracted released positon)에 있을 때, 클램핑 부재(230), 하부 조정 부재(214), 및 상부 조정 부재(222)는 축(184)을 따라 선택적으로 미끄러져서 말단 에지(218 및 226)를 빔(174)의 제2 단부(178)로부터 선택된 거리에 위치시킨다. 빔(174)는 말단 에지(218 및 226)로부터 외측으로 캔틸레버 방식으로 연장한다. 말단 에지(218 및 226)와 제2 단부(178) 간의 빔(174)의 유효 벤딩 길이(effective bending length), 및 이에 따른 빔(174)의 스프링 레이트는 말단 에지(218 및 226)를 빔(714)에 대해 위치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변할 수 있다. 관통 패스너(242)가 연장 고정 위치(extened tightened position)로 이동하면, 이 관통 패스너(242)는 상부 조정 부재(222)를 빔(174)의 상부 표면(180)과의 맞물림까지 압박하여 레그(232)의 립(234)을 장착 베이스(160)의 플랜지(170)의 하부 표면(172)과의 맞물림까지 압박하게 되어, 상부 조정 부재(222), 하부 조정 부재(214), 및 상부 조정 부재(214)와 하부 조정 부재(222) 간의 빔의(174)의 일부가 압박됨으로써 장착 베이스(160)의 리세스 표면(168)과의 맞물림에 고정된다.
모션 전송 기구(154)는 또한 포인터 회전 기구(248)를 포함한다. 포인터 회전 기구(248)는 제1 단부(252) 및 제2 단부(254)가 베이스 부재(18)의 전면 챔버(36)에 위치해 있는 대체로 U자형 브라켓(250)을 포함한다. 브라켓(250)은 대체로 벤트 플레이트(bent plate)로서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250)은 제2 단부(254)에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한 쌍의 레그(256)를 포함하는 데, 이 한 쌍의 레그는 베이스 부재(18)의 장착 부재(258)에 결합되어 있다. 브라켓(250)은 제1 단부(252)에 애퍼처(260)를 포함하는 데, 이 애퍼처(260)는 관통 제로 세트 스크류(threaded zero set screw)(262)를 관통해서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로 세트 스크류(262)는 편평한 블레이드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툴(tool)의 선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을 가지는 상부 단부 및 베이스 부재(18)의 단부 벽에 있는 포켓(264)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대체로 원형 샤프트를 가지는 하부 단부를 포함한다. 제로 세트 스크류(262)는 커버(16) 내의 구멍으로 연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로 세트 스크류(262)의 상부 단부는 게이지(10)의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다. O-링과 같은 탄성 밀봉 부재는 커버(16)의 구멍 내의 제로 세트 스크류 주위를 연장하여 이 제로 세트 스크류(262)와 커버(16) 간에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밀봉한다. 제로 세트 스크류(262)를 브라켓(250)과 관련해서 그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시켜, 제2 단부(254)와 관련해서 제1 단부(25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브라켓(250)은 제1 단부(254)에 인접하는 대체로 원형 개구부(266)를 포함하며, 이 개구부는 브라켓(250)의 하부 표면(268) 및 상부 표면(270) 사이를 연장한다. 개구부(266)는 중심 축(272) 및 상기 중심 축(272)의 양쪽에서 서로 대각으로 대향하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두 개의 슬롯(274)을 포함한다. 축(272)은 축(48)에 대체로 평행하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빔(174)의 축(184)은 축(272)과 교차하며 축(184)은 빔(174)이 바이어스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축(272)에 대체로 수직이다. 브라켓(250)은 외측으로 연장하는 돌출부(276A 및 276B)를 포함하며, 이 돌출부(276A 및 276B)는 상부 표면(27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며 개구부(266)의 양쪽에 위치한다. 돌출부(276A 및 276B)는 축(272)에 대하여 대각으로 마주하고 있다.
포인터 회전 기구(248)는 또한 제1 단부(286) 및 제2 단부(288)를 가지는 대체로 원형의 하우징(284)을 포함한다. 제1 단부(286)는 원형의 제1 단부 벽(290)을 포함하며, 이 원형의 제1 단부 벽(290)은 원형의 제2 단부 벽(292)으로부터 대체로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제1 단부 벽(290)은 축(272) 상에 동심원 상으로 위치하는 애퍼처(294)를 포함한다. 제2 단부 벽(292)은 축(272)을 따라 애퍼처(294)와 정렬된 애퍼처(296)를 포함한다. 대체로 원통형의 곡선을 이루는 측벽(298)은 제1 단부 벽(290)과 제2 단부 벽(292) 사이를 연장하는 데, 제1 측면 에지(300)와 제2 측면 에지(302) 사이에서 축(272)을 중심으로 대체로 동심원 상으로 연장한다.
하우징(284)은 제1 측면 에지(300)와 제2 측면 에지(302) 사이에 개구부(304)를 포함하여 제1 및 제2 단부 벽(290 및 202)과 측벽(298) 사이에 형성된 챔버(306)와 연통한다. 하우징(284)은 측벽(298)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대체로 직사각형의 한 쌍의 정지 부재(stop member)(31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정지 부재(310)는 제1 및 제2 측면 에지(300 및 302)에 인접하여 각각 위치하며 축(272)과 관련해서 서로에 대해 대각으로 대향하고 있다. 한 쌍의 정지 부재(310)는 제1 및 제2 단부 벽(290 및 202) 사이의 대략 중간에 위치한다. 한 쌍의 정지 부재(310)는 브라켓(250) 내의 개구부(266)의 슬롯(266) 내에 각각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벽(298)은 개구부(266)에 확실하게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84)은 또한 한 쌍의 탄성 클립 부재(312)를 포함한다. 각각의 클립 부재(312)는 외측으로 연장하는 아암(314) 및 상기 아암(314)의 말단부에 부착된 탄성의 유연한 핑거부(316)를 포함하며 캔틸레버 방식으로 아암(314) 쪽으로 횡단하여 연장한다. 각각의 핑거부(316)는 외부 멈춤쇠(detent)(318)를 포함한다. 도 41 및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부(316)는 측벽(298)의 양 측면 상에 위치하며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에서 각각의 아암(314)으로부터 연장한다. 각각의 클립 부재(312)는 제2 단부 벽(292) 쪽 방향으로 축(272)을 따라 각각의 정지 부재(310)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어서 각각의 관련 정지 부재(310)와 클립 부재(312) 사이에는 갭(320)이 형성되며 이 갭은 브라켓(250)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벽(298)은 제2 단부 벽(292)을 넘어 외측으로 연장하는 리브형 돌출부(322)를 포함한다. 하우징(284)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포인터 회전 기구(248)는 또한 헬릭스(helix)(328)를 포함하며, 헬릭스(328)는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332) 및 제2 단부(334)를 포함한다. 헬릭스(328)는 축(272)을 따라 제1 단부(332)와 제2 단부(334) 사이를 연장하는 샤프트(336)를 포함한다. 헬릭스(328)는 또한 샤프트(336)와 축(272)을 중심으로 나선 방식으로 연장하는 헬리컬 플랜지(338)를 포함한다. 헬리컬 플랜지(338)는 헬리컬 에지(340)를 포함한다. 헬릭스(328)는 강자성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헬릭스(328)는 하우징(284)의 챔버(306) 내에 위치하는 데 샤프트(336)의 제1 단부(332)는 베어링(342)에 의해 하우징(284)의 제1 단부 벽(29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샤프트(336)의 제2 단부(334)는 베어링(344)에 의해 하우징(284)의 제2 단부 벽(29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 핀이 샤프트(336)의 제1 단부(332)를 베어링(342)에 결합시키고 제2 핀이 샤프트(336)의 제2 단부(334)를 베어링(344)에 결합시킨다. 대체로 선형의 긴 포인터(346)는 헬릭스(328)의 제1 단부(334)에 결합된 기부 단부(proximal end)를 포함한다. 플레이트형 부재와 같은 평형추(348)가 샤프트(336)의 제2 단부(334)에 결합되어 있고 포인터(346)의 기부 단부는 평형추(348)에 결합될 수 있다. 평형추(348)는 포인터(346)가 축(272)으로부터 연장하는 반대 방향으로 축(27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함으로써 이 평형추(348)는 포인터(346)의 중량의 균형을 잡는다. 헬릭스(328), 포인터(346) 및 평형추(348)는 연합해서 하우징(284)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피봇 가능하게 된다.
하우징(284), 헬릭스(328) 및 포인터(46)를 구성하는 어셈블리는 브라켓(250) 내의 개구부(266)를 통해 하우징(284)의 제1 단부(286)를 삽입하고, 개구부(266) 내의 슬롯(274)을 통해 정지 부재(310)를 각각 삽입함으로써 브라켓(250)에 탈탁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하우징(284)은 도 4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대략 시계방향으로 축(27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브라켓(250)이 정지 부재(310)와 클립 부재(312) 사이의 갭(320)에 위치하게 되고 돌출부(276A 및 276B)는 클립 부재(312)의 멈춤쇠(318)에 위치하게 된다. 클립 부재(312)는 하우징(284)을 브라켓(250)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이에 의해 하우징(284), 헬릭스(328) 및 포인터(346)로 이루어지는 어셈블리는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해 브라켓(25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교체될 수 있다.
게이지(10)는 브라켓(250)의 제2 단부(254) 위에서 브라켓(250)에 결합되어 있는 스케일 플레이트(scale plate)(350)를 포함한다. 스케일 플레이트(350)는 브라켓(250)이 돌출부(352A 및 352B)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대체로 선형의 하부 에지(351)를 포함한다. 스케일 플레이트(350)는 브라켓(250)의 애퍼처(354A 및 354B)를 통해 연장하는 패스너에 의해 브라켓(250)에 고정될 수 있다. 스케일 플레이트(350)에는 스케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 스케일과 관련해서 포인터(346)의 말단부의 회전 위치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나타낼 수 있다.
게이지(10)는 또한 도 32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50)의 제1 단부(252) 위에서 결합되도록 구성된 캡(360)을 포함한다. 캡(360)의 배면은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는 한 쌍의 멈춤쇠 부재(362) 및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는 한 쌍의 포스트(364)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멈춤쇠 부재(362)는 그 사이에서 브라켓(250)의 양쪽의 에지를 해제 가능하게 잡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포스트(364)는 캡(360)이 브라켓(250)에 결합할 때 브라켓(250)의 상부 표면(270)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캡(360)은 제로 세트 스크류(262)의 상부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구멍(368)을 포함하여, 커버(16)가 베이스 부재(370)로부터 제거될 때 구멍(368)을 통해 제로 세트 스크류(262)의 상부가 액세스될 수 있다. 캡(360)의 배면은 또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한 쌍의 포인터 정지 부재(370)를 포함한다. 포인터 정지 부재(370)는 포인터(346)가 축(272)을 중심으로 피봇할 때 포인터(346)에 맞물림으로써 포인터(346)의 회전 이동 범위 또는 피봇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캡(360)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캡(360)은 필요에 따라 제거되거나 교체되도록 브라켓(250)에 스냅(snap)으로 맞춰진다.
제1 유체 챔버(146)는 제1 유체 통로(100)를 통하는 제1 압력을 가지는 제1 유체가 통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제2 유체 챔버(148)는 제2 유체 통로(112)를 통하는 제2 압력을 가지는 제2 유체가 통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유체 챔버(148) 내의 제2 유체의 압력과 관련해서 제1 유체 챔버(146) 내의 제1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면, 격막 플레이트(132), 포스트(134) 및 커넥터 부재(138)로 이루어지는 격막(130)이 빔(174)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축(48)을 따라 이동하게 될 것이므로 격막(130)은 브라켓(250)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단부 벽(34)으로부터 멀어지게 축(184)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빔(174)을 휘어지게 한다. 역으로, 제2 유체 챔버(148) 내의 제2 유체의 압력과 관련해서 제1 유체 챔버(146) 내의 제1 유체의 압력이 감소하면, 격막 플레이트(132), 포스트(134) 및 커넥터 부재(138)로 이루어지는 격막(130)이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빔(174)으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단부 벽(34) 쪽으로 축(48)을 중심으로 이동하게 된다. 빔(174)이 바이어스되지 않은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제2 방향으로 격막(130)이 이동하게 되어 빔(174)이 베이스 부재(18)의 단부 벽(34) 쪽으로 끌어 당겨져서 브라켓(250)으로부터 멀어지는 데, 왜냐하면 격막(130)의 커넥터 부재(138)와 모션 검출 기구(156)의 빔에 결합된 부착 자석(208) 사이의 자기 커넥션(magnetic connection) 때문이다. 커넥터 부재(138)의 대체적 구형 표면은 부착 자석(208)의 대체적 편평한 표면과 접촉점에서 맞물린다. 이 접촉점에 의해 격막(130)은 격막(130)의 가장 자연스런 위치에서 축(48)에 대체로 평행하게 그리고 축을 따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격막(130)은 제1 유체 챔버(146) 및 제2 유체 챔버(148) 사이의 압력 변동에 응답해서 빔(714) 상에서 밀리거나 당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감지된 압력에 응답하여 격막(130)이 변위하면 빔(174)은 휘어지거나 수축하여, 축(48)에 대체로 평행한 구동 자석(206)을 격막(130)에 의해 감지된 압력에 대응하는 위치로 변위시킨다. 구동 자석(206)의 대체적 선형 변위 및 결과적인 위치는 격막(130)에 가해지는 차동 압력에 대응한다. 헬릭스(328)에 인접하여 구동 자석(206)이 위치하지만 에어 갭만큼 공간을 두고 위치하기 때문에, 헬릭스(328)는 구동 자석(206)에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동 자석(206)과 헬릭스(328) 사이에 자기 회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 자석(206)과 헬릭스(328) 사이에는 에어 갭이 형성되어 있다. 격막(130)의 선형 이동에 응답하여 구동 자석(206)이 대략 선형 이동하면, 헬릭스(328)가 각 변위 또는 각 이동하거나 또는 회전 변위 또는 회전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축(272)을 중심으로 포인터(346)가 변위 또는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포인터(346)는 격막(130)에 의해 감지된 압력의 스케일 플레이트(350) 상의 스케일과 관련해서 비주얼 인디케이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게이지에 대한 대안의 실시예가 도 43 및 도 44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 부호 380으로 표시되어 있다. 게이지(380) 및 게이지(10)는 서로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게이지(380)는 게이지(10)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게이지(380)와 게이지(10) 간의 유일한 차이점은 게이지(380)에는 밀봉 부재(382)가 구성되어 있고 게이지(10)에는 밀봉 부재(20)가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밀봉 부재(382)는 그 말단부에 제1 유체 통로(100) 및 제1 포트(102)를 포함하는 제1 유체 도관(384)을 포함한다. 밀봉 부재(382)는 또한 그 말단부에 제2 유체 통로(112) 및 제2 포트(114)를 포함하는 제2 유체 도관(386)을 포함한다. 게이지(10)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게이지(380)의 제1 유체 통로(100)는 제1 유체 챔버(146)와 유체가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게이지(380)의 제2 유체 통로(112)는 제2 유체 챔버(148)와 유체가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제2 유체 도관(386)은 외이부(106)에 부착된 기부 단부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유체 도관(384 및 386)은, 게이지(10)에서와 같이 축(32)에 대해 대체로 횡단하여 연장하는 것과는 달리, 자신들의 기부 단부로부터 말단부 쪽으로 외측으로 연장할 때 서로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며 축(32)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지(380)는 장착 장치(4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게이지(10)는 또한 게이지(380)와 동일한 방식으로 장착 장치(4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6 내지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장치(400)는 대체로 편평하고 원형인 플레이트(402)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402)는 대체로 편평한 내부 표면(404) 및 상기 내부 표면(404)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상기 내부 표면(404)에 대체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대체로 편평한 외부 표면(406)을 가진다. 플레이트(402)는 플레이트(402)에 대체로 횡단하여 연장하고 내부 표면(404) 및 외부 표면(406) 쪽으로 연장하는 중심 축(408)을 포함한다. 플레이트(402)는 축(408)을 중심으로 대체로 동심원 상으로 연장하는 대체로 원형의 주변 에지(410)를 포함한다. 주변 에지(410)는 축(408)을 중심으로 서로 대체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의 긴 노치(412)를 포함한다. 도 46 및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에지(410)는 4개의 노치(412)를 포함하지만,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수의 노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노치(412)는 제1 단부(414)와 제2 단부(416) 간의 주변 에지(410)를 따라 연장한다.
플레이트(402)는 대체로 원형의 제1 액세스 애퍼처(418) 및 대체로 원형의 제2 액세스 애퍼처(420)를 포함한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지(380)가 장착 장치(400)에 결합될 때 제1 액세스 애퍼처(418)는 제1 유체 도관(384)에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2 액세스 애퍼처(420)는 제2 유체 도관(386)에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제1 및 제2 액세스 애퍼처(418 및 420)를 통해 제1 유체 도관(384) 및 제2 유체 도관(386)에 각각 유체 공급 도관이 연결될 수 있다. 플레이트(402)는 복수의 장착 애퍼처(424), 예를 들어 3개의 장착 애퍼처(424)를 포함하며, 이러한 복수의 장착 애퍼처는 축(408)을 중심으로 주변 에지(410)로부터 내측으로 서로 대체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손잡이(lug)(426)는 각각의 장착 애퍼처(424)의 양쪽에 위치하여 플레이트(402)의 내부 표면(404)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 각각의 장착 부재(424)는 장착 장치(400)를 고정물(fixture), 예를 들어 패널, 벽 등에 부착할 때, 예를 들어 볼트 또는 스크류와 같은 패스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플레이트(402)의 외부 표면(406)은 이 고정물에 위치한다. 패스너의 헤드는 각각의 장착 애퍼처(424)에 인접하는 손잡이들(426) 사이에 위치한다. 플레이트(402)의 제1 및 제2 액세스 애퍼처(418 및 420)는 고정물 내의 카운터파트 애퍼처와 정렬되어 있고 이를 통해 유체 공급 도관이 연장할 수 있다.
장착 장치(400)는 플레이트(402)에 부착된 복수의 록킹 부재(430)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록킹 부재(430)가 플레이트(402)에 부착되어 있지만,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수의 록킹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록킹 부재(430)는 축(408)을 중심으로 대체로 일정하게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플레이트(402)의 주변 에지(410)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각각의 록킹 부재(430)는 각각의 노치(412)에 인접하는 플레이트(402)의 내부 표면(404)에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록킹 부재(430)는 제1 단부(434)와 제2 단부(436) 사이에 연장하는 탄력적이고 유연한 긴 레버 아암(432)을 포함한다. 레버 아암(432)의 제1 단부(434)는 포스트(438)의 말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포스트(438)의 기부 단부는 노치(412)의 제1 단부(414)에 인접하는 플레이트(402)의 내부 표면(404)에 부착되어 있고 플레이트(402)의 주변 에지(410)로부터 약간 내측으로 공간을 두고 있다. 포스트(438)는 플레이트(402)의 내부 표면(404)에 대체로 수직으로 그리고 축(408)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레버 아암(432)은 포스트(438)에 대체로 수직으로 그리고 플레이트(402)의 내부 표면(404)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레버 아암(432)은 내부 표면(440) 및 외부 표면(442)을 포함한다. 레버 아암(432)의 제2 단부(436)는 내부 표면(440)과 외부 표면(442) 사이를 연장하는 단부 표면(444)을 포함한다. 각각의 표면(444)은 외부 표면(442)으로부터 내부 표면(440)으로 연장할수록 내측으로 경사진다. 레버 아암(442) 및 그 내부 및 외부 표면(440 및 442)은 축(408)으로부터 각각의 반경에 일치하도록 곡선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록킹 부재(430)는 레버 아암(432)의 외부 표면(44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레버 아암(432)의 제2 단부(436)에 부착된 정지 부재(448)를 포함한다. 정지 부재(448)는 노치(412) 위에 그리고 노치(412)의 제2 단부(416)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정지 부재(448)는 대체로 편평한 맞물림 표면(450)을 포함한다. 맞물림 표면(450)은 레버 아암(432)의 하부 표면과 대체로 동일 평면에 있으며 플레이트(402)의 내부 표면(404)을 포함하는 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상기 면에 대체로 평행하다. 정지 부재(448)는 레버 아암(432)의 외부 표면(442)의 상부 에지로부터 외부 표면(454)으로 하향하여 외측으로 연장하는 경사진 바이어싱 표면(452)을 포함한다. 외부 표면(454)은 맞물림 표면(450)의 외부 에지에 위치하며 이 맞물림 표면으로부터 바이어싱 표면(452)으로 하향으로 연장한다. 외부 표면(454)은 맞물림 표면(450)에 대체로 수직이다. 정지 부재(448) 및 아암(432)의 제2 단부(436)는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어스된 연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여기서 정지 부재(448) 및 레버 아암(432)의 제2 단부(436)는 탄성의 유연한 레버 아암(423)에 의해 플레이트(402)의 내부 표면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그 수축된 위치로부터 축(408) 쪽으로 이동된다. 레버 아암(432)은 정지 부재(448) 및 레버 아암(432)의 제2 단부(436)를 그 연장된 위치 쪽으로 탄성적으로 바이어스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 장치(400)는 장착 애퍼처(424)를 통해 연장하는 패스너를 사용하여 고정물에 부착될 수 있다. 장착 장치(400)는 대안으로 접착제와 같은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물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축(32)이 축(408)과 실질적으로 동축이도록 그리고 게이지(10) 또는 게이지(380)의 각각의 장착 애퍼처(35)가 장착 장치(400)의 록킹 부재(430)의 각각의 정지 부재(448)와 정렬하도록, 게이지(10) 또는 게이지(380)는 장착 장치(400)와 정렬된다. 그런 다음 게이지(10) 또는 게이지(380)는 축(408)을 따라 장착 장치(400) 쪽으로 수동을 움직이게 되고 그래서 베이스 부재(18)의 림(30)은 록킹(430)의 정지 부재(448)의 바이어싱 표면(452)과 맞물린다. 게이지(10) 또는 게이지(380)가 장착 장치(400) 쪽으로 더 움직이게 되면, 림(30)은 록킹 부재(430)의 바이어싱 부재(452)를 따라 슬라이딩하고 정지 부재(448) 및 록킹 부재(430)의 레버 아암(432)의 제2 단부(436)를, 축(408) 쪽으로 내측으로, 그 연장된 위치로부터 그 수축된 위치 쪽으로 탄력적으로 이동시킨다.
베이스 부재(18)의 림(30)이 플레이트(402)의 내부 표면(404)과 맞물리면, 림(30)은 정지 부재(448)를 넘어 통과하게 될 것이므로 레버 아암(432)은 정지 부재(448)를 그 연장된 위치로 그리고 베이스 부재(18)의 각각의 장착 애퍼처(35) 쪽으로 탄력적으로 바이어스시킬 것이다. 각각의 정지 부재(448)의 맞물림 표면(450)이 장착 애퍼처(35)의 말단 에지(37)와 맞물리고 이에 의해 게이지(10) 또는 게이지(380)가 축(408)을 따라 장착 장치(400)로부터 제거되지 않도록, 정지 부재(448)는 장착 애퍼처(35) 쪽으로 돌출한다. 그런 다음 유체 공급 도관은 노치(70)를 통해 게이지(10)의 제1 및 제2 유체 도관(98 및 110)에 또는 액세스 애퍼처(418 및 420)를 통해 게이지(380)의 제1 및 제2 유체 도관(384 및 386)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게이지(10) 또는 게이지(380)는 레버 아암(432)의 제2 단부(436)를 내측으로 수축시키거나 구부리기 위해, 정지 부재(448)의 외부 표면(454) 위를 스크류 드라이버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누름으로써 장착 장치(400)로부터 그 수축된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정지 부재(448) 및 맞물림 표면(450)은 베이스 부재(18)의 장착 애퍼처(35)로부터 이동되고 이에 의해 이때 게이지(10) 또는 게이지(380)는 축(408)을 따라 장착 장치(40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게이지(10)는 밀봉 부재(20)를 밀봉 부재(382)로 교체함으로써 유체 공급 도관의 배면 장착을 위해 게이지(380)로 전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게이지(380)는 밀봉 부재(382)를 밀봉 부재(20)로 교체함으로써 유체 공급 도관의 측면 장착을 위해 게이지(10)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에 대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를 통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특정한 배치는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항들 내에서 가장 완전하게 파악되어야 한다.

Claims (29)

  1.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감지 게이지에 있어서,
    하부 벽 및 주변 에지(peripheral edge)를 포함하는 제1 리세스(recess)를 가지는 단부 벽(end wall)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하부 벽을 포함하는 제2 리세스 및 주변 에지를 포함하는 밀봉 부재(seal member);
    상기 단부 벽의 제1 리세스와 상기 밀봉 부재의 제2 리세스 사이에 위치하는 격막(diaphragm)으로서, 상기 격막과 상기 밀봉 부재의 제2 리세스 사이에는 제1 유체 챔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막과 상기 단부 벽의 제1 리세스의 하부 벽 사이에는 제2 유체 챔버가 형성되어 있는, 격막;
    상기 제1 유체 챔버와 유체가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1 유체 통로; 및
    상기 제2 유체 챔버와 유체가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2 유체 통로
    를 포함하며,
    상기 격막을 제거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압력 감지 게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단부 벽은 상기 측벽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단부 벽과 상기 측벽의 제2 단부 사이에 형성된 배면 챔버(rear chamber)에 위치하는, 압력 감지 게이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측벽의 상기 제1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커버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게이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단부 벽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커넥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커넥터 부재는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단부 벽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압력 감지 게이지.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커넥터는 U자형 등자(stirrup)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하나 이상의 포스트(post)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포스트는 각각의 등자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압력 감지 게이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1 유체 통로를 포함하는 제1 유체 도관, 제2 유체 통로를 포함하는 제2 유체 도관, 및 상기 밀봉 부재의 주변 에지에 부착되어 있는 외이부(ear)를 포함하며,
    상기 외이부는 상기 제2 유체 통로와 유체가 흐르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1 포트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게이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단부 벽은, 상기 단부 벽의 상기 제1 리세스로부터 외측으로 위치하는 제2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단부 벽의 상기 제2 포트는,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연결되면, 상기 외이부의 상기 제1 포트와 유체가 흐르도록 연결되며,
    상기 단부 벽의 상기 제1 리세스의 상기 하부 벽은, 상기 단부 벽의 상기 제2 포트와 유체가 흐르도록 연결된 제3 포트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유체 챔버가 상기 제2 유체 도관과 유체가 흐르도록 연결되는, 압력 감지 게이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와 밀봉 맞물림(sealing engagement)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및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단부 벽의 상기 제1 리세스의 상기 하부 벽의 상기 제3 포트와 유체가 흐르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부 벽의 상기 제2 포트와도 유체가 흐르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면 챔버를 형성하는, 압력 감지 게이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가지는 유체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도관은 상기 제1 유체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의 내부 표면에는 홈(groove)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 도관의 상기 제2 포트는 상기 홈과 유체가 흐르도록 연결되며,
    상기 홈은 상기 유체 도관의 상기 제2 포트 쪽으로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연장하는, 압력 감지 게이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밀봉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C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C형 부재는 상기 격막을 상기 밀봉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공간을 두도록 구성되어 있는, 압력 감지 게이지.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측벽의 상기 제2 단부는 복수의 장착 애퍼처(mounting aperture)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지는 고정물(fixture)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하는 장착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에는 복수의 록킹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탄성의 유연한 레버 아암(lever arm)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 아암의 상기 제2 단부에는 정지 부재(stop member)가 부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정지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를 상기 장착 장치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측벽의 각각의 장착 애퍼처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정지 부재는 상기 레버 아암의 상기 제2 단부를 수축된 위치 쪽으로 내측으로 휘어지게 함으로써, 관련된 장착 애퍼처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장착 장치로부터 제거되는, 압력 감지 게이지.
  12.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감지 게이지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탄성의 유연한 빔(resiliently flexible beam)으로서, 상기 빔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빔;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된 외부 림(outer rim) 및 기부 단부(proximal end), 말단부(distal end) 및 중심 축(central axis)을 가지는 포스트를 가지는 가요성 격막으로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격막에 의해 감지된 압력 변화에 응답해서 상기 중심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격막;
    상기 중심 축을 따라 상기 포스트가 이동하면 상기 빔의 상기 제2 단부가 이동하도록 상기 포스트의 상기 말단부를 상기 빔에 결합시키는 커넥터 부재(connector member)
    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부재는 상기 빔과의 맞물림 포인트에서 곡선을 이루는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빔의 상기 제2 단부의 위치는 감지된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감지 게이지.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부착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부재는 상기 빔의 상기 부착 자석에 자기적으로 결합된 곡선을 이루는 금속 표면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격막은 상기 빔의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빔의 바이어스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제1 방향으로 밀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격막은 상기 빔의 제2 단부를 상기 바이어스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끌어당기도록 구성되는, 압력 감지 게이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부재는 구형의 부재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게이지.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단단한 격막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격막 플레이트에 상기 포스트의 상기 기부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포스트는 상기 격막 플레이트에 수직이며,
    상기 격막 플레이트 주위를 연장하면서 상기 격막 플레이트에 결합된 가요성의 환형의 격막 부재는, 상기 외부 림, 및 상기 격막 플레이트와 상기 외부 림 사이를 연장하는 볼록하게 곡선을 이루는 환형의 표면을 포함하는, 압력 감지 게이지.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빔의 상기 제2 단부에 부착된 구동 자석,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헬릭스(helix), 및 상기 헬릭스에 결합된 포인터를 포함하며,
    상기 헬릭스는 상기 구동 자석에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빔의 상기 제2 단부가 이동하면 상기 헬릭스 및 상기 포인터가 연대해서 회전 이동하는, 압력 감지 게이지.
  18.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감지 게이지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된 장착 베이스;
    제1 단부, 제2 단부 및 길이방향 축(longitudinal axis)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장착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탄성의 유연한 빔(resiliently flexible beam)으로서, 감지된 압력에 응답해서 상기 길이방향 축을 따라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탄성의 유연한 빔; 및
    상기 빔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상기 빔에 대해 선택적으로 위치가 정해질 수 있는 클램핑 부재로서, 상기 빔의 상기 제2 단부로부터의 선택된 거리에서 상기 빔을 상기 장착 베이스에 선택적으로 클램핑함으로써 상기 빔에 선택된 스프링 레이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클램핑 부재
    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게이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는 제1 레그(leg) 및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제2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레그는 상기 빔의 양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레그는 상기 장착 베이스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1 립(lip)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레그는 상기 장착 베이스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2 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레그는 상기 클램핑 부재가 상기 빔을 상기 장착 베이스에 클램핑할 때 상기 장착 베이스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압력 감지 게이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는 하부 조정 부재 및 상부 조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조정 부재 및 상기 상부 조정 부재는 상기 클램핑 부재의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2 레그 사이를 연장하며, 상기 빔은 상기 하부 조정 부재와 상기 상부 조정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압력 감지 게이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는 패스너(fastener)를 포함하며,
    상기 패스너가 죄어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패스너는 상기 하부 조정 부재와 상기 상부 조정 부재 사이에 상기 빔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압력 감지 게이지.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베이스는 오목 표면(recessed surface) 및 볼록 표면(raised surface)을 포함하며, 상기 빔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장착 베이스의 상기 볼록 표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빔은 상기 장착 베이스의 상기 오목 표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기 하부 조정 부재는 상기 장착 베이스의 상기 오목 표면과 상기 빔 사이에 위치하는, 압력 감지 게이지.
  23.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감지 게이지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어 있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브라켓(braket);
    상기 브라켓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회전 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단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헬릭스(helix); 및
    기부 단부 및 말단부를 가지는 포인터
    를 포함하며,
    상기 기부 단부는 상기 헬릭스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헬릭스와의 연대 회전(conjoint rotation)을 위해 상기 헬릭스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상기 헬릭스 및 상기 포인터는 어셈블리로서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압력 감지 게이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제2 단부에 대해 상기 브라켓의 제1 단부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제로 세트 스크류(zero set screw)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헬릭스를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압력 감지 게이지.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단부에서의 제1 단부 벽, 상기 제2 단부에서의 제2 단부 벽, 및 상기 제1 단부 벽과 상기 제2 단부 벽 사이를 연장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헬릭스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1 단부 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헬릭스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2 단부 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측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터는 상기 측벽에서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압력 감지 게이지.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클립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클립 부재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브라켓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압력 감지 게이지.
  27. 게이지를 고정물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로서,
    내부 표면, 외부 표면, 중심 축, 및 상기 중심 축을 중심으로 연장하는 주변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물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주변 에지에 인접하는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록킹 부재
    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의 말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탄성의 가요성 레버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 아암은 상기 포스트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아암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게이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정지 부재(stop member)를 포함하며, 상기 정지 부재는 맞물림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정지 부재는 수축된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정지 부재는 상기 게이지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되어 상기 게이지가 상기 장착 장치 및 상기 고정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장착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유체 도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포함하는, 장착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정지 부재는 바이어싱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싱 표면은 상기 게이지와 맞물리고 상기 레버 아암의 상기 제2 단부 및 상기 정지 부재를 수축된 위치 쪽으로 내측으로 바이어스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착 장치.
KR1020117019201A 2009-03-06 2010-03-03 자기적으로 결합된 격막을 구비하는 압력 게이지 KR101406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97509P 2009-03-06 2009-03-06
US61/157,975 2009-03-06
PCT/US2010/026057 WO2010102008A1 (en) 2009-03-06 2010-03-03 Pressure gage with magnetically coupled diaphrag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922A KR20110135922A (ko) 2011-12-20
KR101406053B1 true KR101406053B1 (ko) 2014-06-11

Family

ID=4267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201A KR101406053B1 (ko) 2009-03-06 2010-03-03 자기적으로 결합된 격막을 구비하는 압력 게이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5) US8307712B2 (ko)
EP (1) EP2404149A4 (ko)
KR (1) KR101406053B1 (ko)
CN (1) CN102341684B (ko)
AU (1) AU2010221385B2 (ko)
BR (1) BRPI1016261B1 (ko)
CA (1) CA2754746C (ko)
MX (1) MX2011008624A (ko)
SG (1) SG173129A1 (ko)
WO (1) WO20101020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1684B (zh) * 2009-03-06 2014-11-26 德怀尔仪器公司 具有磁性结合膜片的压力计
JP2011134541A (ja) * 2009-12-24 2011-07-07 Nifco Inc 連結構造
US8820170B2 (en) * 2012-09-14 2014-09-02 Sensata Technologies, Inc. Pressure sensor
US9193914B2 (en) 2013-01-24 2015-11-24 Trident Fluid Power, Llc Coke oven assemblies, doors therefor, and methods
JP6850152B2 (ja) * 2017-02-22 2021-03-31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圧力検出装置
AU2019205865A1 (en) * 2018-01-04 2020-07-16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Inc. Smart oscillating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TWI705236B (zh) * 2019-06-28 2020-09-21 欽瑞工業股份有限公司 膜片式壓力錶之組裝結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2837A (en) 1950-11-10 1955-11-08 F W Dwyer Mfg Company Pressure gauge
US6433700B1 (en) 2001-02-15 2002-08-13 Wojciech Marek Malewski Multiuse on/off switch for hazard detector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911A (en) * 1909-09-18 1912-12-24 George Hale Barrus Meter for steam, air, or other gasses.
US1399117A (en) * 1919-06-03 1921-12-06 Hastings Herbert Pressure-gage
US2358613A (en) * 1943-02-03 1944-09-19 Square D Co Pressure gauge
US2617300A (en) * 1944-01-06 1952-11-11 Yarnall Waring Co Flowmeter
GB831288A (en) * 1956-05-12 1960-03-30 Askania Werke Ag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of forces produced within an enclosed space
US3153210A (en) * 1958-07-01 1964-10-13 Yarnall Waring Co Electrical pressure transducer
US3397319A (en) * 1966-03-31 1968-08-13 Dwyer Mfg Co F W Differential pressure indicator and switch
US3429333A (en) * 1966-06-23 1969-02-25 Adolf Schoepe Ball cock
US3611797A (en) * 1970-02-02 1971-10-12 Bytrex Inc Strain gage transducer sensing element
US3645140A (en) * 1970-06-15 1972-02-29 Dwyer Instr Pressure gauge
US3625062A (en) * 1970-08-24 1971-12-07 William A Heske Pressure indicating apparatus
US3739645A (en) * 1971-04-22 1973-06-19 Dresser Ind Differential pressure indicating apparatus
US3800736A (en) * 1973-03-12 1974-04-02 Eaton Corp Pressure change indicator
US3862416A (en) * 1974-03-22 1975-01-21 Dwyer Instr Pressure indicator and switch
US4030365A (en) * 1975-12-11 1977-06-21 Dwyer Instruments, Inc. Differential pressure gauge
US4011759A (en) * 1975-12-11 1977-03-15 Dwyer Instruments, Inc. Differential pressure gauge
US4347744A (en) * 1980-09-08 1982-09-07 Dwyer Instruments, Inc. Diaphragm type differential pressure gauge with overpressure relief protection
US4374475A (en) * 1981-02-09 1983-02-22 Dwyer Instruments, Inc. Differential pressure gauge
US4385525A (en) * 1981-09-18 1983-05-31 Dwyer Instruments, Inc. Strain gauge pressure transducer
US4527434A (en) * 1984-05-10 1985-07-09 The Babcock & Wilcox Company Cylindrical force transducer beam
JPS6160135U (ko) * 1984-09-27 1986-04-23
US4798090A (en) * 1985-06-25 1989-01-17 Cobe Laboratories, Inc. Apparatus for use with fluid flow transfer device
JPS62158226U (ko) 1986-03-28 1987-10-07
CN87208989U (zh) * 1987-06-09 1988-03-30 上海第三纺织机械厂 隔膜式高温高压活动介质压力传感器
US4725700A (en) * 1987-06-29 1988-02-16 Dwyer Instruments, Inc. Airflow switch for air ducts
US4841782A (en) * 1987-09-11 1989-06-27 Dwyer Instruments, Inc. Target fluid flow indicator gauge
US4870395A (en) * 1988-03-10 1989-09-26 Seatt Corporation Battery powered smoke alarm safety lockout system
US4827095A (en) * 1988-04-12 1989-05-02 Dwyer Instruments, Inc. Differential pressure switch assembly with high static pressure use characteristics
US4890497A (en) * 1988-08-25 1990-01-02 Dwyer Instruments, Inc. Differential pressure gauge transmitter
US4838090A (en) * 1988-09-30 1989-06-13 Dwyer Instruments, Inc. Multicoil bourdon tube type pressure gauge
US4938076A (en) * 1989-07-17 1990-07-03 Dwyer Instruments, Inc. Target fluid flow indicator gauge
US5085070A (en) * 1990-02-07 1992-02-04 At&T Bell Laboratories Capacitive force-balance system for measuring small forces and pressures
US5012678A (en) * 1990-08-15 1991-05-07 Dwyer Struments, Inc. Overpressure relief safety plug for pressure gauges
US5061832A (en) * 1991-01-28 1991-10-29 Dwyer Instruments, Inc. Field settable differential pressure switch assembly for low fluid pressure applications
US5183983A (en) * 1992-03-20 1993-02-02 Dwyer Instruments, Inc. Flow switch assembly for fluid flow monitoring
CA2084119C (en) * 1992-06-18 1995-12-12 David W. Keck Hermetically sealed snap switch arrangement
US5652391A (en) * 1995-05-12 1997-07-29 Furon Company Double-diaphragm gauge protector
US6089098A (en) * 1998-04-16 2000-07-18 Dwyer Instruments, Inc. Differential pressure switch having an isolated hall effect sensor
US6604425B1 (en) * 2000-06-09 2003-08-12 Hrl Laboratories, Llc Microelectromechanical correlation device and method
US6422086B1 (en) * 2000-09-25 2002-07-23 Welch Allyn, Inc. Low profile pressure measuring device
US6789434B2 (en) * 2001-10-23 2004-09-14 Dwyer Instruments, Inc. Fluid flowmeter having a hall effect sensor with an internal magnet
US6807865B2 (en) * 2002-02-04 2004-10-26 Dwyer Instruments, Inc. Pressure sensor with a radially tensioned metal diaphragm
JP2003315193A (ja) * 2002-04-24 2003-11-06 Denso Corp 圧力センサ
CA2468613C (en) * 2003-05-29 2010-01-19 Dwyer Instruments, Inc. Pressure gage and switch
US7249517B2 (en) * 2004-02-02 2007-07-31 Dwyer Instruments, Inc. Pressure transmitter with power cycled hall effect sensor
CA2513849A1 (en) * 2004-07-29 2006-01-29 Dwyer Instruments, Inc. Gauge having a magnetically driven pointer rotation device
CN101149303A (zh) * 2006-09-20 2008-03-26 台湾双叶工业股份有限公司 压力表非接触式感应装置
US8210049B2 (en) * 2007-03-15 2012-07-03 Nxstage Medical, Inc. Pressure measurement device
US7600427B2 (en) * 2007-09-07 2009-10-13 Dwyer Instruments, Inc. Gage enclosure with cover removal mechanism
CN102341684B (zh) * 2009-03-06 2014-11-26 德怀尔仪器公司 具有磁性结合膜片的压力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2837A (en) 1950-11-10 1955-11-08 F W Dwyer Mfg Company Pressure gauge
US6433700B1 (en) 2001-02-15 2002-08-13 Wojciech Marek Malewski Multiuse on/off switch for hazard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221385A1 (en) 2011-07-28
US8511167B2 (en) 2013-08-20
WO2010102008A1 (en) 2010-09-10
EP2404149A4 (en) 2017-08-23
CN102341684A (zh) 2012-02-01
EP2404149A1 (en) 2012-01-11
US8307712B2 (en) 2012-11-13
US20120325007A1 (en) 2012-12-27
AU2010221385B2 (en) 2012-10-04
US20130000414A1 (en) 2013-01-03
BRPI1016261A2 (pt) 2016-05-03
US20120325008A1 (en) 2012-12-27
CA2754746C (en) 2015-11-10
US8528412B2 (en) 2013-09-10
CN102341684B (zh) 2014-11-26
US20130000410A1 (en) 2013-01-03
US8495916B2 (en) 2013-07-30
CA2754746A1 (en) 2010-09-10
KR20110135922A (ko) 2011-12-20
MX2011008624A (es) 2011-09-15
BRPI1016261B1 (pt) 2019-12-24
SG173129A1 (en) 2011-08-29
US8528410B2 (en) 2013-09-10
US20100224002A1 (en) 201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053B1 (ko) 자기적으로 결합된 격막을 구비하는 압력 게이지
KR100820351B1 (ko) 원 또는 원호 작도용 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줄자
US7690130B1 (en) Punch deflection gauge
TWI281549B (en) Gauge having a magnetically driven pointer rotation device
KR200448742Y1 (ko) 압력측정장치용 게이지
US9329065B2 (en) Variable orifice flow sensor utilizing localized contact force
US7129426B1 (en) Weight scale with hybrid graduation
US8146435B1 (en) Differential pressure gauge
US960946A (en) Price-computing attachment for measuring-faucets.
US5155919A (en) Eccentricity gauge and orifice plate
US20040226388A1 (en) Flow meter alarm device
CN114509208A (zh) 数据表的指针调整装置
CN215573519U (zh) 一种压力表
KR102145050B1 (ko) 레귤레이터의 압력표시부
CN218765064U (zh) 一种校准装置
JP2014190918A (ja) ブルドン管式圧力計
CN102331321A (zh) 一种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