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792B1 - 어류 포획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류 포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792B1
KR102144792B1 KR1020180097412A KR20180097412A KR102144792B1 KR 102144792 B1 KR102144792 B1 KR 102144792B1 KR 1020180097412 A KR1020180097412 A KR 1020180097412A KR 20180097412 A KR20180097412 A KR 20180097412A KR 102144792 B1 KR102144792 B1 KR 102144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group
signal
ca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716A (ko
Inventor
강준구
김종태
강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연과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연과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연과기술
Priority to KR1020180097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7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6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t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2Illuminating devices for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 포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해상에서 어군(魚群)을 탐지하고, 탐지된 어군에 대해 다방면에서 광(光)을 조사함과 동시에 음향(音響)을 방사하여 특정 영역 또는 포획장치로 몰아서 한 번에 손쉽게 어군을 이루는 어류들을 대량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어류 포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류 포획 시스템{FISHES CATCHING SYSTEM}
본 발명은 어류 포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어군(魚群)을 탐지하고, 탐지된 어군에 대해 다방면에서 광(光)을 조사함과 동시에 음향(音響)을 방사하여 특정 영역 또는 포획장치로 몰아서 한 번에 손쉽게 어군을 이루는 어류들을 대량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어류 포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를 해상에서 포획하는 과정은 어군탐지기를 활용하여 어류가 나타나는 곳에 그물을 내려서 저인망 등의 고기잡이 방식으로 불특정 다수의 어류를 포획하거나 해저에 통발을 설치하거나 바닥을 훌어서 잡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서는 해저자원을 무분별하게 포획하게 됨으로써 장기적으로 수산자원의 고갈을 가져올 수 있으며 바다 밑에 그물 등 폐기물의 발생이 빈번하여 해저 오염으로 인한 피해가 막심하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방식으로 어류를 포획하기에는 해저 지형이 기복이 있거나 해류의 속도가 빠를 때는 포획하기가 매우 곤란한 것 등 여러 측면에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으며 민관 합동으로 이러한 폐단을 줄이고자 노력을 하지만 그 한계가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수중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어류의 종류와 크기 등을 관찰하면서 낚시로 포획하는 기술이 소개되었으며, 이러한 종래 기술의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2616호(원격 영상제어 기능을 구비한 어류 포획 시스템 ; 이하 문헌1이라 함)가 있다.
상기 문헌1은 영상 원격제어 기능을 구비한 어류 포획시스템에 있어서, 부력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부유체부와; 상기 부유체부에 설치되며, 감김줄이 감겨있는 감김부와; 상기 감김부에 감겨있는 감김줄에 매달려 승하강되고, 상기 어류를 포획하는 포획부와; 상기 포획부의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어 포획 대상 어류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부와; 상기 영상촬영부가 촬영한 화상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부유체부, 감김부, 포획부, 영상촬영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패널부;를 포함하여, 물속의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어류를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원격제어 기능을 구비한 어류 포획 시스템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인 문헌1은 어류 포획을 레져로 즐기는 경우에 유용하며, 어류 포획을 업으로 하여 어군을 한꺼번에 포획하는데는 극히 제한적인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인 문헌1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더욱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3996호(수중카메라를 활용한 어류 포획기 ; 이하 문헌2이라 함)가 개발되었다.
상기 문헌2는 수중카메라를 통하여 해저를 모니터링 한 후 어류를 감지하고, 유압구동장치를 포함한 구동장치를 통하여 포획기를 수중으로 내려보내 포획기에 포함된 수중카메라를 통하여 포획기를 이동하여 해저에 안착시키는 것으로, 포획기 본체의 구성은 8개의 로봇 팔로 구성되어 있으며 8개의 로봇 팔을 그물로 둘러 쌓여 있는 형태이다 8개의 로봇 팔은 본 틀 축의 핀을 거쳐 실린더 피스톤의 끝에 장치된 상하 운동판에 의하여 첫 번째 마디의 작은 각도 운동이 되고, 두 번째 마디가 투망과 같이 넓은 원형으로 벌어져 포획을 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며, 본틀 하단부, 운동판 하단부, 그리고 선박의 하단부의 연결선에 설치되어 있는 수중카메라를 통하여 모니터링하면서 해저 환경(포획기의 위치, 어류의 움직임, 물속 지형)에 따라 어류를 포획하는 수중카메라를 활용한 어류 포획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인 문헌2는 수중카메라로 해저를 모니터링하여 어류를 감지한 상태에서 포획기를 벌려 어류를 감싸면서 오므려 잡는 과정에서 어류들이 모두 포획기 외부로 달아나게 되므로, 포획률이 극히 저조한 문제점이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어류 포획 시스템과 관련된 선행기술(종래기술)의 문헌은 다음과 같다.
문헌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2616호(명칭 : 원격 영상제어 기능을 구비한 어류 포획 시스템 ; 출원일 : 1999년11월04일)
문헌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3996호(명칭 : 수중카메라를 활용한 어류 포획기 ; 출원일 : 2004년10월0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해상에서 어군(魚群)을 탐지하고, 탐지된 어군에 대해 다방면에서 광(光)을 조사함과 동시에 음향(音響)을 방사하여 특정 영역 또는 포획장치로 몰아서 한 번에 손쉽게 어군을 이루는 어류들을 대량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어류 포획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어군의 위치와 양 및 종류를 포함한 어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어군 정보를 토대로 타깃 어군 위치로 이동한 후, 타깃(target) 어군 방향으로 빛을 조사함과 동시에 음향을 전파하면서, 입체적 각도를 유지하면서 타깃 어군을 특정 영역으로 몰아가는 어군유도장치(100); 상기 어군유도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상태로, 특정 영역에 유입구(201)를 갖는 어망형태로 마련되어, 송신되는 제어신호하에 유도되는 타깃 어군을 수용하여 포획하는 포획장치(200); 상기 어군유도장치(100) 및 포획장치(200)와 통신 연결된 상태로 상기 포획장치(200)의 어군이 유입되는 개방부(221) 측에 마련되어, 포획된 어군이 기설정된 포획량에 도달하면, 자체 제어 알고리즘 또는 어군유도장치(100)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포획장치(200)로 동작신호를 전송하여 포획장치(200)의 개방부(221)를 차단하는 차단장치(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어군유도장치(100)는 어군의 위치와 양 및 종류를 포함한 어군정보를 음파 또는 시각정보로 수집하여 사전에 프로그램화된 알고리즘에 따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생성된 운항신호를 토대로 어군 위치로 이동하여, 해당 어군에 대한 기피신호를 출력하면서 어군을 포획장치(200) 방향으로 몰아가는 주어군유도장치(101); 상기 주어군유도장치(101)에서 송출되는 운항신호 및 기피신호에 따라 주어군유도장치(101)의 양 측면 방향에서 간격을 유지하면서 어군을 상기 포획장치(200) 방향으로 몰아가는 복수의 보조어군유도장치(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포획장치(200)는 기체가 충진되는 부구(210); 상기 부구(210)의 하방에 결합된 상태로 수중에 위치하는 정형화된 철망 또는 비정형의 그물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수중 일측 방향에 타깃 어군이 유입되는 개방부(221)가 형성된 포획수단(220); 상기 포획수단(220) 내에서 유동하는 어군의 움직임에 따라 포획량을 감지하는 포획량감지부(230); 상기 포획량감지부(230)의 감지신호를 어군유도장치(100) 또는 차단장치(300)로 전송하는 통신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차단장치(300)는 어군유도장치(100) 또는 포획장치(200)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어군유도장치(100)의 동작제어신호 또는 포획장치(200)의 포획량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310); 상기 포획장치(200)의 개방부(221) 하단 부분 또는 상단 부분 또는 양 측면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통신부(310)에서 전달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기포를 고압으로 발생시켜 개방부(212) 전체에 대해 분사하여 개방부(221)를 차단시키는 차단부(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어군유도장치(100)가 타깃 어군을 포획장치(200) 방향으로 몰고가서 일정량 이상 포획되면, 상기 차단장치(300)가 포획장치(200)의 개방부(212)를 차단하여 어류의 포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한꺼번에 많은 양의 특정 어군 즉 타깃 어군을 손쉽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어류 포획이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업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특히, 본 발명은 어군유도장치(100)가 주어군유도장치(101)와 다수의 보조어군유도장치(102)가 하나의 팀을 이루면서 입체적인 각도를 유지하면서 타깃 어군을 포획장치(200) 방향으로 몰고가서 상기와 같은 포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더욱 더 한꺼번에 많은 양의 타깃 어군을 손쉽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어류 포획이 더욱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업성 향상 극대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어군유도장치(100)가 어군의 위치와 양 및 종류를 포함한 어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어군 정보를 토대로 타깃 어군 위치로 이동한 후, 타깃(target) 어군이 기피하는 빛과 음향을 출력하여 어군 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타깃 어군만을 선별적으로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어군유도장치 중 주어군유도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어군유도장치 중 보조어군유도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중 포획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 차단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어군 탐지와 유도 및 포획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6)에 따른 포획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포획 상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어군 유도 및 포획상태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어류 포획 시스템(100)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군의 위치와 양 및 종류를 포함한 어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어군 정보를 토대로 타깃 어군 위치로 이동한 후, 타깃(target) 어군 방향으로 빛을 조사함과 동시에 음향을 전파하면서, 입체적 각도를 유지하면서 타깃 어군을 특정 영역으로 몰아가는 어군유도장치(100); 상기 어군유도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상태로, 특정 영역에 유입구(201)를 갖는 어망형태로 마련되어, 송신되는 제어신호하에 유도되는 타깃 어군을 수용하여 포획하는 포획장치(200); 상기 어군유도장치(100) 및 포획장치(200)와 통신 연결된 상태로 상기 포획장치(200)의 어군이 유입되는 개방부(221) 측에 마련되어, 포획된 어군이 기설정된 포획량에 도달하면, 자체 제어 알고리즘 또는 어군유도장치(100)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포획장치(200)로 동작신호를 전송하여 포획장치(200)의 개방부(221)를 차단하는 차단장치(3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어군유도장치(100)는 어군의 위치와 양 및 종류를 포함한 어군정보를 음파 또는 시각정보로 수집하여 사전에 프로그램화된 알고리즘에 따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생성된 운항신호를 토대로 어군 위치로 이동하여, 해당 어군에 대한 기피신호를 출력하면서 어군을 포획장치(200) 방향으로 몰아가는 주어군유도장치(101); 상기 주어군유도장치(101)에서 송출되는 운항신호 및 기피신호에 따라 주어군유도장치(101)의 양 측면 방향에서 간격을 유지하면서 어군을 상기 포획장치(200) 방향으로 몰아가는 복수의 보조어군유도장치(10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주어군유도장치(101)는 어군의 위치와 양 및 종류를 포함한 어군정보를 음파 또는 시각정보로 수집하는 어군탐지부(101a); 상기 어군탐지부(101a)에서 수집된 정보를 사전에 프로그램화된 알고리즘에 따라 분석하여, 운항신호 및 어군에 대응되는 기피신호(광/음향)를 출력하는 제어부(101b); 상기 제어부(101b)의 운항신호에 따라 운항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운항을 유도하는 운항부(101c); 상기 제어부(101b)의 기피신호에 따라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101d) 및 음향을 출력시키는 음향발생부(101e); 상기 보조어군유도장치(102)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b)에서 출력된 운항신호 및 기피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보조어군유도장치(102)로부터 동작상태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01b)로 전달하는 한편, 상기 포획장치(200) 및 차단장치(300)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b)에서 출력된 해당 장치의 동작제어신호를 전송하고, 각각의 동작상태를 수신하여 제어부(101b)로 전달하는 통신부(101f);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어군유도장치(101)는 수상에서 운항하는 어선 또는 탐사선일 수 있다.
이때 또한, 상기 어군탐지부(101a)는 음파탐지기 및 수중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음파탐지기는 탐지된 음파로부터 어군의 양과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수중카메라는 음파탐지기로부터 탐지된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여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또한, 상기 제어부(101b)는 어군탐지부(101a)에서 수집된 어군정보로부터 어군 위치를 GPS로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상기포획장치(200)의 위치를 산출하여 운항신호를 생성하여 경로를 설정 출력하고, 촬영된 영상을 어군종류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특정 어군을 분별하고, 사전에 설정 저장된 기피신호데이터로부터 특정 어군에 대한 기피신호 즉, 광 신호와 음향신호를 선별하여 광조사부(101d) 및 음향출력부(101e)로 제공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1a)는 특정 어군의 기피신호데이터에 더하여 선호데이터를 추가로 포함하여 선호데이터에서 특정 어군을 유인할 수 있는 선호신호를 선별하여 광조사부(101d) 및 음향출력부(101e)로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또한, 상기 운항부(101c)는 제어부(101b)에서 제공하는 운항신호를 토대로 어군유도장치(100)를 운항시키는 자동 운항 모듈일 수도 있고, 운항 경로를 모니터로 출력하여 수동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보조어군유도장치(102)는 주어군유도장치(101)의 통신부(101f)와 통신 연결하는 통신부(102a); 전송되는 상기 운항신호 및 기피신호를 자체 운항부(102c)와 광조사부(102d) 및 음향발생부(102e)의 구동신호로 전환하여 출력 제어하는 구동부(102b);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어군유도장치(102)는 자체적으로 어군탐지기 및 수중 카메라가 탑재되어, 사전에 프로그램화 되어 저장된 알고리즘에 의해 탐지 또는 촬영 수집된 어군정보를 분석하여, 자체적으로 주어군유도장치(100)의 설정 영역 이내에서 동작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때 또한, 상기 보조어군유도장치(102)는 수상 또는 수중에서 운항하는 드론일 수 있으며, 주변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가 더 탑재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포획장치(200)는 기체가 충진되는 부구(210); 상기 부구(210)의 하방에 결합된 상태로 수중에 위치하는 정형화된 철망 또는 비정형의 그물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수중 일측 방향에 타깃 어군이 유입되는 개방부(221)가 형성된 포획수단(220); 상기 포획수단(220) 내에서 유동하는 어군의 움직임에 따라 포획량을 감지하는 포획량감지부(230); 상기 포획량감지부(230)의 감지신호를 어군유도장치(100) 또는 차단장치(300)로 전송하는 통신부(24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차단장치(300)는 어군유도장치(100) 또는 포획장치(200)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어군유도장치(100)의 동작제어신호 또는 포획장치(200)의 포획량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310); 상기 포획장치(200)의 개방부(221) 하단 부분 또는 상단 부분 또는 양 측면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통신부(310)에서 전달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기포를 고압으로 발생시켜 개방부(212) 전체에 대해 분사하여 개방부(221)를 차단시키는 차단부(31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차단부(310)는 분사노즐이 간격을 두고 배열된 분사모듈 및 분사모듈로 고압 에어를 발생시켜 공급하는 에어 컴프레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 중 상기 포획장치(200)를 구성하는 포획수단(220)은 개방부(221)의 일측이 부구1(211)에 의해 지지되어 수면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부(2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망의 일측이 부구2(212)에 의해 지지되어 수면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부(221)의 타측은 수중의 하방(수중 바닥면)에 위치하되, 기체가 충진되지 않은 부구3(213)이 결합된 것으로, 상기 포획량감지부(230)가 사전에 설정된 포획량 이상을 감지하면, 상기 부구2(212)로부터 기체가 배기되고 부구3(213)으로는 기체가 유입되어, 개방부(221) 전체가 수면 방향으로 상승하여 포획 어군의 이탈을 차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부구2,3(212,213)의 기체 배기 충진은 에어 컴프레서를 포함한 에어펌프일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 전기적 밸브모듈이 기체 인입 인출단에 마련되어, 포획량감지부(230)의 포획량 감지 상태(설정된 포획량 이상)에 의해 어군유도장치(100)에 의해 단속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어군유도장치(101)의 어군탐지부(101a)가 어군의 위치와 양 및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하면, 상기 제어부(101b)가 어군탐지부(101a)에서 수집된 어군정보로부터 어군 위치를 GPS로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상기포획장치(200)의 위치를 산출하여 운항신호를 생성하여 경로를 설정 출력하고, 촬영된 영상을 어군종류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특정 어군을 분별하고, 사전에 설정 저장된 기피신호데이터로부터 특정 어군에 대한 기피신호 즉, 광 신호와 음향신호를 선별하여 광조사부(101d) 및 음향출력부(101e)로 출력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운항부(101c)는 제어부(101b)에서 제공하는 운항신호를 토대로 어군유도장치(100)를 운항시킴과 동시에, 상기 보조어군유도장치(102)로 운항신호 및 기피신호를 전송하여, 첨부 도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입체적으로 타깃 어군을 포획장치(200) 방향으로 몰아가서 포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포획이 된 후에는 차단장치(300)가 동작하여 포획된 어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101a)는 특정 어군의 기피신호데이터에 더하여 선호데이터를 추가로 포함하여 선호데이터에서 특정 어군을 유인할 수 있는 선호신호를 선별하여 광조사부(101d) 및 음향출력부(101e)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특정 어군의 선호신호로 어군을 유인한 뒤 기피신호를 출력하여 포획장치(200)로 몰아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어군유도장치(100)가 타깃 어군을 포획장치(200) 방향으로 몰고가서 일정량 이상 포획되면, 상기 차단장치(300)가 포획장치(200)의 개방부(212)를 차단하여 어류의 포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한꺼번에 많은 양의 특정 어군 즉 타깃 어군을 손쉽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어류 포획이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어군유도장치(100)가 주어군유도장치(101)와 다수의 보조어군유도장치(102)가 하나의 팀을 이루면서 입체적인 각도를 유지하면서 타깃 어군을 포획장치(200) 방향으로 몰고가서 상기와 같은 포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더욱 더 한꺼번에 많은 양의 타깃 어군을 손쉽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어류 포획이 더욱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어군유도장치(100)가 어군의 위치와 양 및 종류를 포함한 어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어군 정보를 토대로 타깃 어군 위치로 이동한 후, 타깃(target) 어군이 기피하는 빛과 음향을 출력하여 어군 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타깃 어군만을 선별적으로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획장치(200)를 해상의 어떠한 위치에도 이동 설치하고, 어군유도장치(100)를 통해 타깃 어군을 포획장치(200)로 몰아서 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획 시스템의 적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포획장치(200)를 지상(해안가)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할 경우, 어류처리장소(400)로 이송 내지 운송시키는 경로를 단축시킴으로써, 이송 운반이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어군유도장치(100) 중 보조어군유도장치(102)를 속도가 빠른 수중드론을 적용함으로써, 빠른 속도로 이탈하는 어군에 대응하여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어군유도장치(102)에 수중카메라를 탑재할 경우, 수중의 상태 및 어군의 상태를 보다 신속하면서도 근접하여 명확히 촬영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중 모니터링의 명확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단장치(300)가 포획장치(200)의 개방부(221) 하단 부분 또는 상단 부분 또는 양 측면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통신부(310)에서 전달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기포를 고압으로 발생시켜 개방부(212) 전체에 대해 분사하여 개방부(221)를 차단시킴으써, 개방부(212)의 용이하면서도 신속한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포획된 어류가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획수단(220)이 개방부(221)의 일측이 부구1(211)에 의해 지지되어 수면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부(2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망의 일측이 부구2(212)에 의해 지지되어 수면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부(221)의 타측은 수중의 하방(수중 바닥면)에 위치하되, 기체가 충진되지 않은 부구3(213)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포획량감지부(230)가 사전에 설정된 포획량 이상을 감지하면, 상기 부구2(212)로부터 기체가 배기되고 부구3(213)으로는 기체가 유입되어, 개방부(221) 전체가 수면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차단장치(300) 없이도 자체적인 포획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선(1)이 포획장치(200)를 구성하는 포획수단(220)인 그물망을 드리운 상태에서, 상기 어군유도장치(100)가 몰고오는 타깃 어군을 포획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밖에도,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군유도장치(100)가 오목한 해안가로 타깃 어군을 유도하면 어군처리장소(400)에서 어군을 바닷물과 함께 흡입하여 어류는 포획하고 바닷물은 배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어류를 상품화를 위해 포획하는데 적용될 수도 있으나, 이 보다는 특정 지역에 유입된 외래어종을 선택적으로 포획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어류 포획 시스템 101 : 주어군유도장치
101a : 어군탐지부 101b : 제어부
101c : 운항부 101d : 광조사부
101e : 음향출력부 101f : 통신부
102 :보조어군유도장치 102a : 통신부
102b : 구동부 102c : 운항부
102d : 광조사부 102e : 음향출력부
200 : 포획장치 210 : 부구
211,212,213 : 부구1,2,3 220 : 포획수단
230 : 포획량감지부 240 : 통신부
300 : 차단장치 310 : 통신부
320 : 차단부

Claims (7)

  1. 어군의 위치와 양 및 종류를 포함한 어군정보를 음파 또는 시각정보로 수집하여 사전에 프로그램화된 알고리즘에 따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생성된 운항신호를 토대로 어군 위치로 이동하여, 해당 어군에 대한 기피신호를 출력하면서 어군을 포획장치 방향으로 몰아가는 주어군유도장치 및 상기 주어군유도장치에서 송출되는 운항신호 및 기피신호에 따라 주어군유도장치의 양 측면 방향에서 간격을 유지하면서 어군을 상기 포획장치 방향으로 몰아가는 복수의 보조어군유도장치를 포함하는 어군유도장치;
    상기 어군유도장치와 통신 연결된 상태로, 특정 영역에 유입구를 갖는 어망형태로 마련되어, 송신되는 제어신호하에 유도되는 타깃 어군을 수용하여 포획하는 포획장치;
    상기 어군유도장치 및 포획장치와 통신 연결된 상태로 상기 포획장치의 어군이 유입되는 개방부 측에 마련되어, 포획된 어군이 기설정된 포획량에 도달하면, 자체 제어 알고리즘 또는 어군유도장치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포획장치로 동작신호를 전송하여 포획장치의 개방부를 차단하는 차단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1에 있어서,
    주어군유도장치는,
    어군의 위치와 양 및 종류를 포함한 어군정보를 음파 또는 시각정보로 수집하는 어군탐지부;
    상기 어군탐지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사전에 프로그램화된 알고리즘에 따라 분석하여, 운항신호 및 어군에 대응되는 기피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운항신호에 따라 운항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운항을 유도하는 운항부;
    상기 제어부의 기피신호에 따라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및 음향을 출력시키는 음향발생부;
    상기 보조어군유도장치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운항신호 및 기피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보조어군유도장치로부터 동작상태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한편, 상기 포획장치 및 차단장치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해당 장치의 동작제어신호를 전송하고, 각각의 동작상태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시스템.
  4. 청구항1에 있어서,
    보조어군유도장치는,
    주어군유도장치의 통신와 통신 연결하는 통신부;
    전송되는 상기 운항신호 및 기피신호를 자체 운항부와 광조사부 및 음향발생부의 구동신호로 전환하여 출력 제어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시스템.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포획장치는,
    기체가 충진되는 부구;
    상기 부구의 하방에 결합된 상태로 수중에 위치하는 정형화된 철망 또는 비정형의 그물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수중 일측 방향에 타깃 어군이 유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포획수단;
    상기 포획수단 내에서 유동하는 어군의 움직임에 따라 포획량을 감지하는 포획량감지부;
    상기 포획량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어군유도장치 또는 차단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시스템.
  6. 청구항5에 있어서,
    포획수단은,
    개방부의 일측이 부구1에 의해 지지되어 수면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망의 일측이 부구2에 의해 지지되어 수면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부의 타측은 수중의 하방에 위치하되, 기체가 충진되지 않은 부구3이 결합된 것으로, 상기 포획량감지부가 사전에 설정된 포획량 이상을 감지하면, 상기 부구2로부터 기체가 배기되고 부구3으로는 기체가 유입되어, 개방부 전체가 수면 방향으로 상승하여 포획 어군의 이탈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시스템.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는,
    어군유도장 또는 포획장치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어군유도장치의 동작제어신호 또는 포획장치의 포획량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포획장치의 개방부 하단 부분 또는 상단 부분 또는 양 측면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통신에서 전달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기포를 고압으로 발생시켜 개방부 전체에 대해 분사하여 개방부를 차단시키는 차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시스템.
KR1020180097412A 2018-08-21 2018-08-21 어류 포획 시스템 KR102144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12A KR102144792B1 (ko) 2018-08-21 2018-08-21 어류 포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12A KR102144792B1 (ko) 2018-08-21 2018-08-21 어류 포획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716A KR20200021716A (ko) 2020-03-02
KR102144792B1 true KR102144792B1 (ko) 2020-08-14

Family

ID=6980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412A KR102144792B1 (ko) 2018-08-21 2018-08-21 어류 포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7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7358B2 (en) * 2017-10-12 2023-04-04 Atlantic Lionshare Limi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fis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6408B (zh) * 2022-05-26 2023-12-01 国信中船(青岛)海洋科技有限公司 具有鱼类智能起捕分类一体化装置的养殖舱及捕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385A (ja) * 2002-02-27 2003-09-09 Oruka:Kk 魚の捕獲装置および捕獲方法
JP7027024B2 (ja) * 2018-06-18 2022-03-01 正一 田中 3相モータ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385A (ja) * 2002-02-27 2003-09-09 Oruka:Kk 魚の捕獲装置および捕獲方法
JP7027024B2 (ja) * 2018-06-18 2022-03-01 正一 田中 3相モータ駆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7358B2 (en) * 2017-10-12 2023-04-04 Atlantic Lionshare Limi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fi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716A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735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fish
US201602783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ish
KR102144792B1 (ko) 어류 포획 시스템
CN107105613B (zh) 水下捕获系统
CN108064811A (zh) 水下移动体和方法
KR20180124035A (ko) 폐사 물고기 포획 트랩을 가진 가두리 양식 설비
US10392085B2 (en) Remote operated vehicle for selectively harvesting target species
NO20100190A1 (no) Anordning og fremgangsmate for a uskadeliggjore parasitter pa fisk
IL217578A (en) A facility for use in fish status monitoring
JP2021500082A (ja) 貝のための採取システムおよび貝を採取する方法
JP2024010151A (ja) 改善された水中採取システム
WO2017042785A1 (en) Trap for crustaceans with a gps navigation system
KR101474066B1 (ko) 해파리 수집 및 절단장치
CN106284188A (zh) 基于集鱼船的自动光气诱鱼系统及方法
WO20172165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ish
CA2482959C (en) Method and device for collecting animals in or on a water bottom
KR20160092133A (ko) 해파리 유도 및 인양, 수거 장치
KR20140130656A (ko) 해파리 수집 및 절단장치
CN115997739A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智能捕鱼系统及方法
KR101895601B1 (ko) 해파리 수집 장치
JP2007089521A (ja) 多段開閉式ネット及び採集装置
KR102043509B1 (ko) 해파리 수거, 인양 및 저장 장치
CN110574737B (zh) 一种基于视觉的海参捕捞自动化作业系统
CN108684624A (zh) 一种雷达式钓鱼方法
JP4875734B2 (ja) 巨大クラゲの食材部分採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