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619B1 -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4619B1 KR102144619B1 KR1020180145954A KR20180145954A KR102144619B1 KR 102144619 B1 KR102144619 B1 KR 102144619B1 KR 1020180145954 A KR1020180145954 A KR 1020180145954A KR 20180145954 A KR20180145954 A KR 20180145954A KR 102144619 B1 KR102144619 B1 KR 1021446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abled
- handicapped
- mobile device
- safety management
- gc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33—System arrangements with pre-alarms, e.g. when a first distance is exceede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6—Touchpa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rket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이동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참조하여 자가 장애인 이동장치 없이는 거동이 곤란한 장애인이 적정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장애인 이동장치의 주변 영상과 GPS 위치정보를 관제서버로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이 긴급한 도움이 필요할 때, 현장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도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장애인 이동장치에 장애인이 착석하는 압력을 파악하여 장애인 이동장치의 제어권을 통제함으로써 제3자가 장애인 이동장치를 탈취하지 못하게 방지하며,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음성 명령을 통해 장애인 이동장치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의 편의를 극대화하는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애인 이동장치에 설치되어 장애인의 위치, 장애인 주변의 영상정보, 음성정보,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안전관리 정보를 외부에 통지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data Generation, data Collection, data Transmission)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비 지원하에 전동 스쿠터나 전동 휠체어와 같은 장애인 이동장치가 장애인에게 보급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들 장애인 이동장치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보행이 곤란한 장애인의 발이 되어주고 있으며, 통상 내장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하고 있다.
이러한 장애인 이동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79341은 직류 전동기를 구동 시 발생하는 정류자의 마모를 해결하기 위해 브러시 리스 모터나 코어리스 모터를 이용하는 "전동스쿠터 및 그 구동 제어방법"(이하, R1이라 한다)을 제시한 바 있고,
장애인 이동장치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장애인의 사고 위치를 파악하는 전동 스쿠터의 GPS 기반 위치추적시스템(이하, R2라 한다)을 제시한 바 있다.
선행문헌 R1은 장애인 이동장치가 배터리를 이용하여야 하는 특성상, 장애인 스스로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예측하며 이용하여야 하고, 선행문헌 R2는 장애인 이동장치가 고장나거나, 장애인의 생명과 관련하여 응급 상황이 발생할 때, 장애인에게 즉각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신체가 불편하거나 노령으로 인해 스스로 이동하기 곤란한 장애인의 GPS 위치정보만을 서버로 제공한다 하더라도 장애인에게 신속한 도움을 주기 곤란한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 이동장치가 고장나거나 또는 장애인 스스로가 자신의 신체에 문제가 생길 경우, 별도의 센서에 의존하지 않고도 사고 및 현장정보를 관제 서버로 통지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GCT(data Generation, data Collection, data Transmission)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애인 이동장치에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장애인의 위치정보와 장애인 이동장치의 주변 영상 정보를 관제 서버로 통지 함으로써, 장애인의 위치를 명확히 특정함과 동시에 장애인의 주변 상태를 영상으로 확인하여 적절한 관제 센터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GCT(data Generation, data Collection, data Transmission)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애인의 음성 명령에 응답하여 장애인 이동장치가 장애인의 지시에 따라 원격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의 이동 환경을 대폭 개선하는 GCT(data Generation, data Collection, data Transmission)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애인 이동장치에 장애인 이외에 타인이 구동하고자 할 때, 이를 방지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의 이동장치가 분실되지 않도록 하는 GCT(data Generation, data Collection, data Transmission)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로 구동되는 장애인 이동장치에 탑재되며, GPS 센서와 카메라; 상기 장애인 이동장치의 의자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장애인이 상기 의자에 착석 시, 상기 장애인이 가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가 받는 압력 패턴이 상기 장애인의 착석 패턴과의 동일성을 판단하며, 상기 압력 패턴이 상기 착석 패턴과 동일할 경우, 상기 장애인 이동장치의 제어를 허여하고 반대의 경우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장애인 이동장치에 탑재되며, 터치스크린; 장애인의 음성명령을 획득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 집음된 명령을 관제 서버로 무선 전송하고,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명령에 대한 제어코드 및 텍스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장애인 이동장치의 조향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텍스트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장애인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텍스트의 실행을 허여 시, 상기 제어코드를 수행하는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는,
1) 장애인 이동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참조하여 자가 장애인 이동장치 없이는 거동이 곤란한 장애인이 적정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2) 장애인 이동장치의 주변 영상과 GPS 위치정보를 관제서버로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이 긴급한 도움이 필요할 때, 현장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도착할 수 있도록 하고,
3) 장애인 이동장치에 장애인이 착석하는 압력을 파악하여 장애인 이동장치의 제어권을 통제함으로써 제3자가 장애인 이동장치를 탈취하지 못하게 방지하며,
4)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음성 명령을 통해 장애인 이동장치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의 시스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가 장애인 이동장치에 장착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E-CALL 스위치(101)를 장착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를 이용하여 도난 방지를 구현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이동 가능범위를 장애인에게 통지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원격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가 장애인 이동장치에 장착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E-CALL 스위치(101)를 장착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를 이용하여 도난 방지를 구현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이동 가능범위를 장애인에게 통지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원격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에서 GCT는 각각 data Generation, data Collection 및 data Transmission의 약자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장애인 이동장치는 장애인이 운용하는 전동 스쿠터, 전동 휠체어 및 기타 전동 이동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하, 장애인 이동장치는 전동 스쿠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예시된 전동 스쿠터만이 장애인 이동장치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며, 언급된 것 이외에도 다양한 이동장치가 이에 해당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의 시스템 개념도를 도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100)는 장애인 이동장치(10)에 탑재되어 운용되며, E-CALL 스위치(101)를 구비하고, 촬상장치(102)를 이용하여 장애인 이동장치(10) 주변을 촬상할 수 있다. 통상 장애인은 일반인 대비 이동성과 위급상황 대처가 곤란한 경우가 많은 점에 착안하여, 본 출원인은 장애인 이동장치(10)가 고장날 경우, 장애인 스스로에게 건강이나 생명에 위급함이 발생하는 경우, 장애인이 외부 조력이 필요한 경우에 대비하여 E-CALL 스위치(101)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E-CALL 스위치(101)는 얇은 박판의 플렉시블 PCB에 형성되는 멤브레인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는데, E-CALL 스위치(101)의 일 면에는 접착이 가능하도록 접착면이 형성되고, 반대면은 돔 스위치가 매립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E-CALL 스위치(101)는 장애인 스스로, 또는 제3자에 의해 손쉽게 장애인이 누르기 편한 위치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장애인이 E-CALL 스위치(101)를 누를 때,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100)는 관제서버(60)를 호출하고, 관제서버(60)는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100)로 안전관리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안전관리 정보는,
1) 장애인 이동장치의 주변 영상정보
2) 장애인 이동장치의 GPS 위치정보
3) 장애인의 음성정보
4) 시간/날짜 정보
5)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정보
6) 압력센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영상정보는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100)가 촬상하는 동영상 정보에 해당하고,
장애인의 음성정보는 마이크에 의해 집음되는 장애인의 음성정보에 해당하고,
BMS 정보는 장애인 이동장치(10)를 구동하는 배터리의 BMS 정보에 해당하며,
압력센서 정보는 장애인이 장애인 이동장치에 탑승하였을 때 발생하는 하중을 측정한 값에 해당한다.
이들 중, 항목 3)의 음성정보는 장애인이 관제서버(60)로 음성통화를 진행하여 도움을 요청하거나, 또는 장애인 이동장치의 원격 제어를 위해 요구되는 정보이며, 항목 5)의 BMS 정보는 장애인 이동장치(10)의 이동 범위를 산출하는데 이용된다. 장애인 이동장치(10)는 기본적으로 배터리로 구동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배터리가 감당하기 곤란한 거리까지 장애인 이동장치(10)가 이동하는 경우, 장애인이 자신과 장애인 이동장치를 함께 목적지나 원래 위치로 끌고와야 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장애인 스스로가 자력으로는 이동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길수도 있다. 이에 대해, 본 출원인은 장애인이 소지한 스마트폰으로 이동 가능범위를 통지하고, 장애인 이동장치가 이동 가능범위를 이탈할 때 경고음을 생성하여 장애인이 무리한 위치까지 이동하지 않도록 배려할 수 있다.
한편, 관제서버(60)는 AI 서버(70)와 연동되어 장애인의 음성을 AI 서버(70)로 전달하고, AI 서버(70)로부터 장애인의 음성에 대한 텍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장애인이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를 통해 장애인 이동장치(10)를 원격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관제서버(60)는 장애인의 음성을 AI 서버(70)로 보내어 음성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획득하고, 텍스트를 명령어로 전환 후,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100)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관제서버(60)가 전송한 명령어를 텍스트 형태로 표시하고, 장애인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텍스트 형태로 표현된 명령어의 실행에 동의하는 경우, 장애인 이동장치(10)를 원격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100)는 장애인 이동장치(10)의 제어를 위해 장애인 이동장치(100)의 조향장치에 연동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장애인 이동장치(10)의 제조업체와 별도의 조율이 요구된다.
한편, 장애인 이동장치(10)가 전복되거나, 건물 또는 차량에 충돌하는 경우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100)는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고, 마이크, 및 촬상장치(102)를 통해 음성과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는 촬상장치(102)에 통되어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참조부호를 부여하지는 않는다.
또한,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100)는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의 시간/날짜 정보, GPS 정보 및 음성 및 영상정보를 패키징하여 안전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관제서버(60)로 제공하며, 관제서버(60)는 안전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장애인에게 필요한 서비스가 무엇인가를 판단할 수 있다. 안전관리 정보를 통해 장애인이 건물, 사람 또는 차량과 추돌하여 상황을 수습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제서버(60)는 119, 장애인 콜택시 또는 장애인 구호단체로 안전관리 정보를 넘겨 장애인의 구호를 지원하며, 안전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BMS 정보를 통해 장애인이 집으로 돌아올 수 없다고 판단되면 장애인 콜택시를 호출하여 장애인의 이동을 지원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가 장애인 이동장치에 장착되는 일 예를 도시하고, 도 3은 E-CALL 스위치(101)를 장착하는 일 예를 도시하며, 도 4는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를 이용하여 도난 방지를 구현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100)는 장애인 이동장치(10)의 좌석(5) 하단, 또는 그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촬상장치(102)가 핸들에 부착되어 장애인 이동장치(10)의 주변영상을 촬상하며, 이때, 촬상장치(102) 내부에 마이크가 내장되어 주변영상정보와 장애인의 음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E-CALL 스위치(101)는 장애인이 누르기 쉬운 좌석(5)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100)는 촬상장치(102) 및 E-CALL 스위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유선으로 연결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의 E-CALL 스위치(101)는 헤드(101a), 플렉시블 케이블(101b) 및 커넥터(101c)로 구성되며, 헤드(101a)의 노출면(S1)에는 돔 스위치가 드러나고, 노출면과 반대면에는 접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접착면에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장애인이 손쉽게 헤드를 부착할 수 있도록 여 장애인이 원하는 위치에 헤드(101a)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플렉시블 케이블(101b)은 휩 특성과 탄성이 좋은 박판 형태로 구현되며, 커넥터(101c)는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100)에 체결되어 장애인이 헤드(101a)의 스위치를 누를 때,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100)가 E-CALL 스위치(101)의 작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는 압력센서(104a 내지 104d)가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100)의 하우징 외주연에 마련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압력센서(104a 내지 104d)가 하우징 외주연에 대칭되게 배치되고, 하우징이 좌석(5) 하부에 배치되어 장애인이 좌석(5)에 앉을 때, 각 센서(104a 내지 104d) 각각이 받는 압력을 측정하독록 구성된다.
좌석(5)에 착석하는 장애인은 각각의 하중과 좌석(5)에 앉는 방식이 다르므로, 장애인이 좌석(5)에 착석할 때, 각 압력센서(104a 내지 104d)가 받는 압력에는 일정한 패턴이 발생한다.
예컨대, 장애인이 D1 방향에서 장애인 이동장치(10)에 승차하는 취향이고, 하중이 60Kg이며, 좌석(5)에 착석 후, 엉덩이를 좌석에 맞추기 위해 좌석(5)에서 흔드는 습관이 있다면,
1) 압력센서(104a, 104b)가 압력센서(104c, 104d) 대비 초기 60kg의 하중을 받고,
2) 이후, 압력센서(104a, 104b)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압력센서(104c, 104d)의 압력값이 증가하며,
3) 이후, 압력센서(104a 내지 104d)의 압력값은 장애인이 엉덩이를 흔드는 습관에 의해 일정시간(대략 수 초 내외) 증감하는 패턴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즉, 장애인의 하중과 각 압력센서(104a 내지 104d)가 받는 압력값의 변동은 하나의 패턴으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를 압력패턴이라 할 때,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를 통해 장애인 이동장치(10)에 착석하는 장애인의 최초 착석 패턴을 획득한 이후에는 압력패턴과 착석패턴을 비교하여 장애인 이동장치(10)에 탑승한 자가 진정한 주인인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장애인 이동장치(10)의 소유자 이외에 제3자가 장애인 이동장치를 몰래 구동할 수 없으며, 만일 불의한 제3자가 장애인 이동장치(10)의 제어를 시도하는 경우,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는 주변 영상정보, 음성정보 및 GPS 위치정보를 관제서버(60)로 통지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100)는 E-CALL 스위치(101), 촬상장치(102), GPS 센서(103), 센서(104), 제어부(105), 통신부(106), 운행영역 판단부(107), BMS(107a)로 구성될 수 있다.
촬상장치(102)는 장애인 이동장치(10)에 부착 또는 기구적으로 체결 및 고정되는 것으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05)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촬상장치(102)는 내부에 마이크(mic)를 내장하여 장애인의 음성정보를 획득하여 영상정보와 함께 제어부(105)로 전송될 수 있다.
E-CALL 스위치(101)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100)가 별도의 센서에 의존하지 않고도, 관제서버(60)로 장애인의 호출을 전달하는데 이용된다.
GPS 센서(103)는 장애인 이동장치(10)의 GPS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05)로 제공할 수 있다.
센서(104)는 복수 개가 하나의 셋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인이 장애인 이동장치(10)에 탑승 시, 장애인의 착석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값을 각각 계측하여 제어부(105)로 제공한다.
통신부(106)는 제어부(105)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제어부(105)에서 전송되는 음성정보, 영상정보를 비롯한 안전관리 정보를 관제서버(60)로 전송하고, 관제서버(6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 및 텍스트 정보를 제어부(105)로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부(106)는 LTE 모뎀일 수 있다.
제어부(105)는,
1) E-CALL 스위치(101)가 눌러질 때 안전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부(106)를 통해 관제서버(60)에 전송하며, BMS(107)에서 측정되는 배터리(11)의 잔량이 목적지 까지의 이동이 곤란한 경우 경고음을 생성하여 스피커(108)를 구동할 수 있다.
2) 장애인 이동장치(10)의 파킹 위치와 장애인 이동장치(10)의 현재 위치 및 배터리(11) 잔량을 참조하여 장애인 이동장치(10)의 이동 가능범위를 산출하고, 장애인 이동장치(10)가 이동 가능범위를 이탈할 때, 스피커(108)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3) 촬상장치(102)에서 생성되는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마이크 내장타입)를 관제서버(60)로 전송할 수 있다.
4) 터치스크린(109)을 통해 장애인이 원격제어 기능을 호출하는 경우, 통신부(106)를 통해 촬상장치(102)에서 획득된 음성정보를 관제서버(60)로 전송하여 음성정보에 대한 제어명령과 텍스트 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한다. 이후, 제어부(105)는 관제서버(60)로부터 획득한 텍스트 데이터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장애인이 해당 텍스트 데이터가 올바르다고 확인하면 텍스트 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5)는 장애인 이동장치(10)의 제어장치와 연동되어야 하며, 장애인 이동장치(10)의 제조업체와 조율이 요구될 수 있다.
5) 제어부(105)는 압력센서(104)의 측정값을 통해 압력 패턴을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05)는 최초 장애인이 장애인 이동장치(10)에 탑승하였을 때의 착석 패턴을 압력 패턴과 대조하여 장애인이 장애인 이동장치(10)의 올바른 주인인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압력 패턴과 착석 패턴이 상이한 경우, 제어부(105)는 통신부(106)를 통해 관제서버(60)에 안전관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이동 가능범위를 장애인에게 통지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5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05)는 BMS(107)를 통해 장애인 이동장치(10)의 파킹 위치를 중심으로 이동 가능범위를 산출하고, 이를 터치스크린(109)에 표시함으로써, 장애인이 원거리에서 기동 불능 상태에 빠지는 문제를 방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09)에는 전자 맵(Map)을 기반으로, 장애인 이동장치(10)의 위치가 표시되고(P1), 장애인 이동장치(10)가 이동 가능한 범위, 즉 이동 가능범위(P2)가 그래피컬하게 표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6의 인터페이스는 장애인의 휴대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으로도 제공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장애인의 휴대단말기에 이동 가능범위(P2)를 표시하기 위한 앱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도 7은 원격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5)는 장애인이 터치스크린(109)를 통해 음성명령을 통한 원격제어를 요청하는 경우, 터치스크린(109)에 장애인 이동장치(10)의 GPS 위치정보(P1)와 이동 가능범위(P2)를 표시하고, 장애인의 음성정보를 획득하여 관제서버(60)로 전송한다.
이후, 관제서버(60)는 AI 서버(70)로 음성정보를 보내어 음성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후,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생성하여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장애인이 터치스크린(109)에 표시되는 원격제어 아이콘을 조작하여 원격제어 기능을 호출 후, "아라야 상일 슈퍼마켓으로 가자"라고 발음하는 경우, 제어부(105)는 촬상장치(102)에 내장되는 마이크를 통해 해당 음성을 집음 및 녹음하며, 통신부(106)를 통해 관제서버(60)로 전송한다.
관제서버(60)는 AI 서버(70)에 녹음된 음성을 전송하고, AI 서버(70)는 녹음된 음성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제서버(60)로 회송한다.
관제서버(60)는 텍스트 데이터를 아래와 같은 형태로 분석한다.
- 아 래 -
1) 아라야(단말기 호칭)
2) 상일 슈퍼마켓(목적지)
3) 으로, (움직임의 경로를 나타내는 격 조사)
4) 가자.(명령)
이후, 관제서버(60)는 장애인 이동장치(10)의 이동 가능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일 슈퍼마켓"을 조회하여 GPS 위치정보를 획득한 후,
장애인 이동장치(10)의 현재 GPS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장애인 이동장치(10)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며, 이동 경로를 중간 경유지로 하여 복수의 목적지 GPS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즉, 관제서버(60)는 장애인의 음성명령에 대해 순차 처리해야 하는 복수의 GPS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05)는 장애인 이동장치(10)의 현재 GPS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순차 로 경유해야 하는 복수의 목적지 GPS 정보에 따라, 장애인 이동장치(10)를 자율 제어하게 된다.
101 : E-CALL 스위치 102 : 촬상장치
103 : GPS 센서 104 : 압력센서
105 : 제어부 106 : 통신부
107 : BMS 108 : 스피커
109 : 터치스크린
103 : GPS 센서 104 : 압력센서
105 : 제어부 106 : 통신부
107 : BMS 108 : 스피커
109 : 터치스크린
Claims (8)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배터리로 구동되는 장애인 이동장치에 탑재되며,
GPS 센서와 카메라;
상기 장애인 이동장치의 의자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장애인이 상기 의자에 착석 시, 상기 장애인이 가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상기 복수의 압력센서가 받는 압력 패턴이 상기 장애인의 착석 패턴과의 동일성을 판단하며, 상기 압력 패턴이 상기 착석 패턴과 동일할 경우, 상기 장애인 이동장치의 제어를 허여하고 반대의 경우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테두리와 중심부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인이 상기 의자에 착석 시, 각 센서가 받는 압력값을 미리 설정된 상기 장애인의 압력값과 비교하여 상기 장애인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자에 착석한 자가 상기 장애인 이동장치의 주인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GPS 센서의 위치정보와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관제 서버로 무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 - 장애인 이동장치에 탑재되며,
터치스크린;
장애인의 음성명령을 획득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 집음된 명령을 관제 서버로 무선 전송하고,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명령에 대한 제어코드 및 텍스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장애인 이동장치의 조향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텍스트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장애인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텍스트의 실행을 허여 시, 상기 제어코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5954A KR102144619B1 (ko) | 2018-11-23 | 2018-11-23 |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5954A KR102144619B1 (ko) | 2018-11-23 | 2018-11-23 |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0857A KR20200060857A (ko) | 2020-06-02 |
KR102144619B1 true KR102144619B1 (ko) | 2020-08-13 |
Family
ID=7109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5954A KR102144619B1 (ko) | 2018-11-23 | 2018-11-23 |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461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4403B1 (ko) * | 2019-06-17 | 2022-06-30 | 주식회사 한걸음 | LoRa망을 이용한 전동보장구 간편 충전 방법 및 시스템 |
CN111696311A (zh) * | 2020-06-23 | 2020-09-22 |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 一种辅助识别室内外的方法、智能穿戴设备和存储介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79451A (ja) * | 1999-03-31 | 2000-10-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移動可能距離検出手段付き電動車椅子 |
KR101262742B1 (ko) * | 2012-06-05 | 2013-05-09 | 주식회사 에스엔씨케어 | 안전 보조 단말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7161A (ko) * | 2014-10-22 | 2016-05-02 | 주식회사 레보 | 전동 휠체어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사고 감지 시스템 |
-
2018
- 2018-11-23 KR KR1020180145954A patent/KR1021446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79451A (ja) * | 1999-03-31 | 2000-10-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移動可能距離検出手段付き電動車椅子 |
KR101262742B1 (ko) * | 2012-06-05 | 2013-05-09 | 주식회사 에스엔씨케어 | 안전 보조 단말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0857A (ko) | 2020-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77459B2 (en) | ECG-enabled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s | |
US20170354564A1 (en) | Mobile walker, monitoring and information system with a mobile walk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walker | |
Greene et al. | IoT-based fall detection for smart home environments | |
CN110200761B (zh) | 智能代步轮椅及基于无障碍地图的应用方法 | |
US20180356233A1 (en) | Intelligent navigation assistance device | |
WO2018163458A1 (ja) | 乗客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2144619B1 (ko) | 장애인 안전관리를 위한 gct 장치 | |
WO2018047392A1 (ja) | モビリティ及びモビリティシステム | |
KR102096462B1 (ko) | 전동휠체어 운용시스템 | |
KR20150085726A (ko) | 전동 보행 보조 장치 | |
KR101690578B1 (ko) | 지능형 보행 보조 알고리듬 기반의 시각 장애인 및 노약자의 보행 보조 방법 | |
CN106038101A (zh) | 一种带有控制装置的轮椅车 | |
JP7354911B2 (ja) | 急病時対応システム | |
US20220331973A1 (en) | Critical care system, critical care system control method, transportation means determination system, transportation means determin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 |
CN109481166A (zh) | 一种智能轮椅机构及其控制系统 | |
JP3548725B2 (ja) | 外出支援システム及び移動体 | |
KR20210059104A (ko) |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 |
KR20080076270A (ko) | 시각 장애인 길 안내 시스템 | |
WO2011046240A1 (ko) | 노약자용 전동차에 부설되는 경로 역탐지 장치 | |
WO2017178803A1 (en) | Patient movement apparatus with alarm | |
JP4178846B2 (ja) | 自律駆動式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1335601B1 (ko) | 노약자를 위한 가정용 긴급경보시스템 | |
JP2001221649A (ja) | 歩行者誘導システム | |
JP3652157B2 (ja) | 施設利用者支援システム | |
JP2014182654A (ja) | 安否確認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安否確認端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