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455B1 -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455B1
KR102144455B1 KR1020180046278A KR20180046278A KR102144455B1 KR 102144455 B1 KR102144455 B1 KR 102144455B1 KR 1020180046278 A KR1020180046278 A KR 1020180046278A KR 20180046278 A KR20180046278 A KR 20180046278A KR 102144455 B1 KR102144455 B1 KR 102144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ct
reviewer
performer
template
work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2462A (ko
Inventor
진성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법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법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법틀
Priority to KR1020180046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45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8Electronic negot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계약 검토자로부터 수신한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텝(step)들을 포함하는 계약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단계; (b) 계약 검토자로부터 수신한 계약서 템플릿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계약 워크플로우와 연결 관계를 갖는 계약서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 (c) 계약 수행자로부터 선택된 계약서 템플릿에 기초하여 계약 사건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계약 검토자 또는 계약 수행자에게 계약 사건의 진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계약 검토자 또는 계약 수행자에 의한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계약서 템플릿와 연결 관계를 갖는 계약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스텝들 중 어느 하나로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RACT MANAGEMENT SERVICE}
본 발명은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약서 템플릿과 계약 워크플로우가 연동되어 제공되는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많이 보급되고 통신 수단이 발달함에 따라 그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전자 계약도 그 중의 한 분야이다. 계약의 특성상 계약자 상대방이 서로 자신에 맞는 조건과 양식을 가지게 마련인데, 이러한 다양한 계약자 상호간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전자 계약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계약뿐만 아니라 계약이 완료되기까지의 과정들을 총괄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전자 계약의 방법은 계약 당사자 중 일방에서 당사자의 의사에 따른 전자계약서를 작성하여 전자서명 후 상대방에게 이를 이메일을 통해 전달하고, 이메일을 수신한 상대는 전자계약서를 확인해서 다시 전자서명 후 이를 공증인에게 전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방법은 이메일을 통한 각 단계별 전자계약서를 통해 당사자 및 공증인의 전자서명을 포함하는 여러 단계를 수행해야한다. 따라서 신속하거나, 복수의 거래에 있어서 계약의 이행의 속도가 더디거나, 복잡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지 않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전자계약 후 계약서가 전자 파일로만 존재하기에 이를 보관 및 관리함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계약에 대응되는 계약서 템플릿을 선택하면, 계약서 템플릿에 연동된 계약 워크플로우대로 계약 절차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계약마다 정해진 복잡한 절차를 사용자가 일일이 체크하지 않아도 되게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계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명이 완료된 계약을 서버에 저장하여 종래의 문서 계약이 가지는 관리의 문제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빠르게 계약서를 검색하고, 조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계약 검토자로부터 수신한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텝(step)들을 포함하는 계약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단계; (b) 계약 검토자로부터 수신한 계약서 템플릿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계약 워크플로우와 연결 관계를 갖는 계약서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 (c) 계약 수행자로부터 선택된 계약서 템플릿에 기초하여 계약 사건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계약 검토자 또는 계약 수행자에게 계약 사건의 진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계약 검토자 또는 계약 수행자에 의한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계약서 템플릿와 연결 관계를 갖는 계약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스텝들 중 어느 하나로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그램은, 계약 검토자로부터 수신한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텝(step)들을 포함하는 계약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단계; 계약 검토자로부터 수신한 계약서 템플릿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계약 워크플로우와 연결 관계를 갖는 계약서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 계약 수행자로부터 선택된 계약서 템플릿에 기초하여 계약 사건을 생성하는 단계; 및 계약 검토자 또는 계약 수행자에게 계약 사건의 진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계약 검토자 또는 계약 수행자에 의한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계약서 템플릿와 연결 관계를 갖는 계약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스텝들 중 어느 하나로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서버가 제공하는 계약 관리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계약에 대응되는 계약서 템플릿을 선택하면, 계약서 템플릿에 연동된 계약 워크플로우대로 계약 절차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계약마다 정해진 복잡한 절차를 사용자가 일일이 체크하지 않아도 되게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계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서비스를 통해 진행된 계약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빠르게 계약서를 검색 및 조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계약 관리 서비스의 경우, 계약서 작성 시와 서명 전에 항상 검토자의 검토가 요구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계약서 본문 내용 수정이 불가능한 템플릿을 제공하면서 검토자의 검토를 스킵(skip)할 수 있도록 하여, 검토자의 계약 관리에 들어가는 시간과 노력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스텝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사건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서 버전 이력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서버(100)는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또한, 서버(100)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들(201 및 202)을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계약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계약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서버(100)에 송신한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계약 워크플로우, 계약서 템플릿, 계약 사건을 생성한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계약 워크플로우, 계약서 템플릿 또는 계약 사건을 수정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특히, 서버(100)는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 정보가 갱신되는 경우, 계약 사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200)에 진행 상태에 대한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계약 관리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동되는 계약 관리 프로그램 구동화면 상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계약 관리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200)의 프로그램 구동환경이 변하게 되는 경우, 그에 따라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계약 관리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 개수, 화면 해상도, 운영체제의 종류 및 버전 등에 의해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여기서, 계약 관리 프로그램은 다운로드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계약 관리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동되는 웹 브라우저 상의 계약 관리 웹 페이지 상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계약 관리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동되는 웹 브라우저의 환경이 변하게 되는 경우, 그에 따라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계약 관리 인터페이스는 웹 브라우저의 종류, 설정 값 및 버전뿐만 아니라,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는 운영체제의 종류 및 버전 등에 의해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사용자 단말(200)에 내장된 웹 브라우저이거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일 수 있다.
즉, 계약 관리 인터페이스는 계약 관리 프로그램 혹은 계약 관리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와 같은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201 및 202)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이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서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300)은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1 및 202)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300)은 사용자 단말(200)들이 서버(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3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 모듈(110)은 통신망(300)과 연동하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들(201 및 202)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통신 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계약 워크플로우, 계약서 템플릿, 계약 사건 및 사용자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자는 계약 검토자 및 계약 수행자로 구분될 수 있으며, 계약 검토자와 계약 수행자는 그 역할에 따라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회사의 경우 계약 검토자는 회사 내 법무담당자를 의미하고, 계약 수행자는 계약을 수행하고자 하는 회사 내 임직원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계약 검토자와 계약 수행자는 그 역할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는 어느 한 계약에 대해서는 계약 검토자이지만, 다른 한 계약에 대해서는 계약 수행자일 수 있다.
예컨대, 회사 내 법무담당자로서 계약 검토자 역할을 수행하는 사용자라도, 본인이 직접 계약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 상의 계약 수행자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계약 워크플로우, 계약서 템플릿, 계약 사건 및 사용자 정보 중 일부는 데이터베이스(140)와 물리적 또는 개념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3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메모리(120)에 기록되고, 해당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3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계약 관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서버(100)는 복수의 스텝(step)들을 가지는 계약 워크플로우를 생성한다(S310).
단계(S310)에서 서버(100)는 계약 검토자로부터 수신한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텝들을 포함하는 계약 워크플로우를 생성할 수 있다.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는, 계약 검토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로서,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계약 워크플로우에 포함되는 스텝들의 개수, 종류가 변경될 수 있다.
계약 워크플로우는 계약서 작성 스텝, 계약서 협의 스텝, 계약서 서명 스텝 및 계약 완료 스텝을 기본 스텝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에 따라 추가 스텝을 더 포함하는 계약 워크플로우가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에는 예컨대, 계약 종류, 계약서 템플릿 수정 가부, 수신 계약 여부, 계약 기본 정보, 필수 계약 관련인 지정, 필수 태그(tag), 법무팀 계약 규정(term) 생성 필요, 검토 필요 여부, 특정인 추가 검토 필요 여부, 직인 날인 여부 및 원본 회수 여부 등이 설정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항목들에 대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계약 종류는 전자 계약 및 문서 계약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계약서 템플릿에는 전자 계약으로 설정된 계약 워크플로우와 문서 계약으로 설정된 계약 워크플로우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계약 워크플로우는 전자 계약 또는 문서 계약으로 설정되지만, 하나의 계약서 템플릿에 전자 계약으로 설정된 계약 워크플로우와 문서 계약으로 설정된 계약 워크플로우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계약 수행자가 위와 같은 계약서 템플릿을 선택하는 경우, 전자 계약인지 문서 계약인지를 선택하는 추가 메뉴가 표시될 수 있고, 계약 수행자의 선택에 따라 계약서 템플릿에 연결된 두 계약 워크플로우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계약은 계약의 적어도 하나의 스텝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예컨대, 계약 관리 프로그램 혹은 계약 관리 웹 페이지)을 통해 진행되는 계약을 의미한다.
전자 계약에서는 수정 가능한 계약서 템플릿이 제공될 수 있으며, 계약서 작성, 계약서 서명, 계약서 직인 날인 등의 스텝이 별도의 문서 업로드 없이 단말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전자 계약에서는 계약서 서명이 단말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처리되는 경우, 서명된 계약서 최종본이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40) 상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원본 회수 여부 스텝이 생략될 수 있다.
반면, 문서 계약은 계약의 모든 스텝이 별도의 문서를 통해 진행되는 계약을 의미한다.
여기서의 문서는 일정한 확장자를 갖는 문서 파일(file)일로서, 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워드(word) 파일이거나, 어도비사의 PDF 파일일 수 있으며, 계약서 내용이 포함된 이미지(image) 파일일 수 있다.
따라서, 문서 계약에서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계약서 템플릿이 제공되지 않으며, 계약서 작성은 사용자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문서 파일을 통해 직접 작성하여 업로드하는 것에 의해 처리되며, 계약서 서명 역시 서명된 계약서의 스캔본이 업로드 됨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전자 계약 관리 서비스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계약 관리만 가능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계약 관리 서비스의 경우, 하나의 서비스 내에서 전자 계약과 문서 계약이 함께 관리될 수 있다.
계약서 템플릿 수정 가부는 계약서 템플릿에 입력 가능 항목이 포함되는 경우(예컨대, 전자 계약인 경우), 계약 수행자의 해당 입력 가능 항목에 대한 수정 가부가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계약서 템플릿 수정 가부 항목은 후술하는 검토 필요 여부 항목과 함께 설정되는 경우, 계약서 본문 내용 수정이 불가능한 템플릿을 제공하면서 검토자의 검토를 스킵(skip)할 수 있도록 하여, 검토자의 계약 관리에 들어가는 시간과 노력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계약서 템플릿에 입력 가능 항목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계약 수행자의 해당 입력 가능 항목에 대한 수정이 가능하고, 계약서 템플릿 수정 가부는 계약서 템플릿에 포함된 입력 가능 항목을 포함하는 전체 계약서 내용에 대한 수정 권한을 설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에 포함된 특정 설정 항목들은 그 설정 가부가 양자택일적일 수 있다.
예컨대, 계약 종류가 전자 계약인 경우에는 계약서 템플릿 수정 가부가 수정 가능 또는 수정 불가로 설정될 수 있으나, 계약 종류가 문서 계약인 경우에는 계약서 템플릿 수정 가부에 대한 설정이 불가할 수 있다.
수신 계약 여부는 수신 계약이거나 수신 계약이 아닌 것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계약서 내용에 대한 수정이 불가한 계약인 경우(예컨대, 보험 상품 계약과 같이 계약 내용이 정해져 있고 일부 내용을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한 계약의 경우) 수신 계약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계약 기본 정보는 해당 계약 워크플로우와 관련하여 기본적으로 저장할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일 수 있다.
예컨대, 계약 기본 정보는 계약 기간 또는 계약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약 기본 정보에 계약 기간 또는 계약 금액이 포함되는 경우, 계약 수행자가 계약 사건을 생성할 때마다, 해당 계약 사건의 계약 기간 또는 계약 금액이 계약 기본 정보로 설정된 값으로 미리 설정(preset)되어 있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계약 기본 정보는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약 기본 정보에 컴플라이언스 메시지가 포함되는 경우, 계약 수행자가 계약 사건을 생성하면 계약 수행자에게 해당 컴플라이언스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계약 기본 정보는 후술하는 계약 규정 생성 필요 여부가 필요로 설정되는 경우 계약 검토자가 계약 규정을 생성하는데 있어 필요한 필수 정보가 기입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 문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계약 수행자는 계약 규정 생성 필요 여부가 필요로 설정된 계약 워크플로우가 적용된 계약서 템플릿을 선택하면서 계약 검토자가 계약 규정을 생성하는데 있어 필요한 필수 정보를 입력하고, 이러한 정보가 계약 검토자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법무팀에 계약 규정 생성을 요청해야 하는 계약 사건을 생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필수 정보는 계약 수행자가 사전에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가 이뤄짐으로써, 법무팀의 계약 규정 생성에 들어가는 시간과 노력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필수 계약 관련인 지정은 계약 당사자가 아닌 사용자를 필수 계약 관련인으로 지정할 수 있는 설정 항목일 수 있다.
필수 계약 관련인으로 지정된 사용자는, 계약 사건의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계약 사건의 진행에 따라 계약 수행자 혹은 계약 검토자에게 제공되는 정보 혹은 메시지를 동일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필수 계약 관련인 지정은 계약 수행자 외에 적어도 하나의 계약 당사자가 미리 지정되도록 하기 위한 설정 항목일 수 있다.
필수 태그는 계약 사건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태그를 지정하기 위한 항목일 수 있다.
태그는 계약 사건들이 많아짐에 따라, 분류 혹은 검색의 용이함을 위해 계약 사건에 포함시키는 키워드 정보로서, 계약 수행자에 의해 임의로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여기서, 필수 태그로 지정된 태그는 계약 수행자에 의해 삭제가 불가할 수 있다.
계약 규정 생성 필요 여부는 필요 또는 불필요로 설정될 수 있으며, 계약 사건을 생성할 때마다 계약 규정을 별도로 생성해야 하는 계약에 해당하는지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일 수 있다. 즉, 계약 규정 생성 필요 여부가 필요로 설정되는 경우 해당 계약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계약이 아니어서 계약서 템플릿을 통해 수행될 수 없으며 별도로 계약 규정을 생성해야 하는 계약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계약 규정은 계약 검토자에 의해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계약 규정 생성 필요 여부가 필요로 설정되는 경우, 계약 워크플로우에는 계약 수행자에 의한 계약서 작성 스텝 이후에 계약 검토자에 의한 계약 규정 작성 스텝이 추가 스텝으로서 더 포함될 수 있다.
검토 필요 여부는 필요 또는 불필요로 설정될 수 있으며, 계약 사건마다 작성된 계약서에 대해 계약서 내용에 대한 협의 전에 검토가 필요한지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일 수 있다.
여기서, 작성된 계약서에 대한 검토는 계약 검토자에 의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즉, 검토 필요 여부가 필요로 설정되는 경우, 계약 워크플로우에는 계약 수행자에 의한 계약서 작성 스텝 이후에 계약 검토자에 의한 계약서 검토 스텝이 추가 스텝으로서 더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검토 필요 여부가 필요로 설정된 계약 워크플로우가 적용되는 계약 사건이 생성되는 경우, 검토 스텝에 대응되는 계약 검토자는 어느 특정 사용자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계약 사건마다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계약 검토자가 존재하는 경우, 계약 워크플로우에는 검토 필요 여부가 필요인 것으로만 설정을 해둘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계약 사건이 생성된 경우, 어느 하나의 계약 검토자가 해당 계약 사건의 검토 스텝을 진행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추가 검토 필요 여부는 필요 또는 불필요로 설정될 수 있으며, 추가 검토 필요 여부가 필요로 설정되는 경우, 추가 검토 필요 여부에는 추가 검토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도 함께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계약 워크플로우에는 특정인에 의한 추가 검토가 수행되기 위한 계약서 추가 검토 스텝이 추가 스텝으로서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검토 필요 여부에는 계약 워크플로우 상에서 추가 검토 스텝이 추가될 위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추가 검토 필요 여부에는 계약서 작성 스텝 및 계약서 검토 스텝 사이에 추가 검토 스텝이 추가되도록 하기 위한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추가 검토 필요 여부에는 계약서 검토 스텝 및 계약서 협의 스텝 사이에 추가 검토 스텝이 추가되도록 하기 위한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직인 날인 여부는 날인 또는 날인 생략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검토가 완료된 계약서에 대해 별도의 사용자에게 직인 날인을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일 수 있다.
여기서, 직인 날인 여부가 날인으로 설정된 경우, 검토가 완료된 계약서에 대해 별도의 사용자가 직인 날인하는 스텝이 추가될 수 있다.
즉, 계약 워크플로우에는 계약서 검토 스텝 이후에 특정 사용자에 의한 직인 날인 스텝이 추가 스텝으로서 더 포함될 수 있다.
원본 회수 여부는 회수 또는 회수 생략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서명이 완료된 계약서에 대해 원본 회수를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일 수 있다.
여기서, 원본 회수 여부가 회수로 설정된 경우, 계약 워크플로우에는 계약서 서명 스텝 이후에 계약 수행자에게 원본 회수를 요청하는 원본 회수 스텝이 추가 스텝으로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항목들은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에 다른 항목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계약 워크플로우와 연결 관계를 가지는 계약서 템플릿을 생성한다(S320).
단계(S320)에서 서버(100)는 계약 검토자로부터 수신한 계약서 템플릿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단계(S310)를 통해 생성한 계약 워크플로우와 연결 관계를 가지는 계약서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계약서 템플릿 설정 정보는, 계약 검토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로서, 계약서 템플릿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계약서 템플릿이 어느 사용자에게 표시될 지, 해당 계약서 템플릿이 선택되는 경우 어떤 계약 워크플로우가 적용될지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계약서 템플릿은 계약서 파일 자체 혹은 계약서 문서 자체와는 구별되는 것으로서, 계약서 템플릿은 계약서 내용을 기본 정보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계약서 템플릿 설정 정보에 따라 퍼블리싱(publishing) 여부, 사용자 조건 및 계약 워크플로우와의 연결 관계를 추가 정보로서 더 포함하는 계약서 템플릿이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계약서 템플릿 설정 정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계약서 템플릿 설정 정보
먼저, 퍼블리싱 여부는 계약 검토자가 생성한 계약서 템플릿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계약 수행자에게 표시가 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일 수 있다.
예컨대, 퍼블리싱 여부가 퍼블리시드(published)로 설정된 경우에는 해당 계약서 템플릿이 계약 수행자에게 표시되고, 언퍼블리시드(unpublished)로 설정된 경우에는 해당 계약서 템플릿이 계약 수행자에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계약 검토자는 완성되지 않은 계약서 템플릿에 대해서 퍼블리싱 여부를 언퍼블리시드로 설정해둠으로써, 미완성 계약서 템플릿이 계약 수행자에게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조건은 해당 계약서 템플릿이 표시되기 위한 사용자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항목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조건은 회사 내 복수의 부서가 존재하는 경우, 특정 부서의 사용자들에 대해서만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조건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계약 검토자는 사용자별로 혹은 사용자 그룹별로 서로 다른 계약서 템플릿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계약 워크플로우와의 연결 관계는 해당 계약서 템플릿이 적어도 하나의 계약 워크플로우와 연결 관계를 갖도록 설정하기 위한 항목일 수 있다.
즉, 하나의 계약서 템플릿에는 하나의 계약 워크플로우가 연결될 수도 있으나, 복수의 계약 워크플로우들이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계약서 템플릿에 복수의 계약 워크플로우들이 연결되는 경우, 해당 계약서 템플릿에 의해 생성되는 계약 사건은 계약사 템플릿에 포함된 계약 금액 조건에 따라 해당 계약 워크플로우들 중 어느 하나의 계약 워크플로우가 적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계약서 템플릿은 복수의 계약 금액 조건들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복수의 계약 워크플로우들과 연결 관계를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계약 수행자가 입력한 계약 금액에 대응되는 계약 워크플로우가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계약서 템플릿에 1억원 이하의 계약 금액의 경우 A 계약 워크플로우가 연결되고, 1억원을 초과하는 계약 금액의 경우 B 계약 워크플로우가 연결되는 계약 금액 조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계약 수행자가 계약 금액을 5000만원으로 입력하는 경우 해당 계약 사건은 A 계약 워크플로우가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계약서 템플릿 중 계약 수행자를 통해 선택된 계약서 템플릿에 기초하여 계약 사건을 생성한다(S330).
계약 사건은 앞서 서술한 계약 워크플로우의 매핑되는 각 스텝에 대한 사건의 진행단계 및 순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약 워크플로우에 각각 계약서 작성 스텝, 계약서 협의 스텝, 계약서 서명 스텝, 계약 완료 스텝, 계약서 검토 스텝을 포함하지만, 이는 어떠한 절차나 순서에 따른 스텝이 진행되는 가에 대한 순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단계(S330)에서는 계약이 원할하게 진행될 있게끔 계약 사건 정보를 생성하여 계약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따라서 앞의 예시의 경우 계약 사건 정보는 계약서 작성 스텝 - 계약서 검토 스텝 - 계약서 협의 스텝 - 계약서 서명 스텝 - 계약 완료 스텝의 순서로 사건을 정리하고, 이에 맞게 계약을 수행 및 관리하게 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계약 사건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마다 정보 공개 정도가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계약 상대방에 해당하는 협력 업체의 경우 계약 사건에 관한 다른 정보가 제공되더라도 계약 히스토리에 관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버(100)는 계약 워크플로우에 따라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를 설정한다(S340).
서버(100)는 계약 검토자 및 계약 수행자가 원활한 계약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계약 사건의 진행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진행하고, 계약 검토자 또는 계약 수행자들은 해당 인터페이스 환경을 이용하여 상호간의 인터랙션에 기초하여 계약을 진행하게 된다.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스텝들의 일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버(100)는 해당 사용자 단말(200)로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계약 플로우에 포함되는 스텝들은 사용자가 계약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기 쉽도록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별 대응되는 스텝이 다른 스텝과 구분될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스텝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는 계약 워크플로우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각 단계를 계약 수행자 및 검토자가 진행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계약 워크플로우는 필수적으로 4가지 스텝을 포함하고 있으나, 도 4는 상세한 설명을 위한 추가 스텝을 포함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또한, 도 4와 같은 방법으로 계약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계약 수행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계약 수행 그룹(401), 계약 대상 그룹(403), 및 계약 검토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법무 그룹(402)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계약의 진행 단계를 설명하면, 먼저 계약의 주체가 되는 계약 수행 그룹(401)이 템플릿을 선택하는 단계를 가진다(S410).
이때, 계약 수행 그룹(401)은 서버(100)가 계약서 템플릿 설정을 기초로 생성한 계약서 템플릿 중 자신들이 수행하는 계약에 적합한 템플릿을 선택하고, 계약과 관련된 정보들을 입력하게 된다.
이때, 계약서 템플릿은 서버(100)가 제공하는 계약서 작성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작성되고, 계약 수행 그룹(401)은 계약서 작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계약을 진행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계약서 템플릿에 입력 및 임의로 수정할 수 없는 계약의 세부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계약서 템플릿에는 계약에 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가능한 항목을 포함하며, 이러한 입력 가능한 항목은 계약에서 필수로 입력해야 하는 필수 입력 항목과 그 외의 정보를 입력하는 선택 입력 항목으로 나뉘어 계약 수행 그룹(401)으로 제공한다.
또한, 계약서 작성 인터페이스는 필수 입력 항목과 선택 입력 항목을 구분할 수 있도록 가시적인 차이를 둘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입력 가능한 항목 중에는 비교적 많은 내용을 담을 수 있도록 복수줄의 입력이 가능한 항목과 짧은 구문의 한줄만 입력 가능한 항목을 구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템플릿의 선택(S410) 및 그에 따른 계약서 작성이 완료된다면, 계약 수행 그룹(401)은 내부적으로 해당 계약에 대한 진행여부를 의뢰하여 검토하게 된다(S430).
이는 계약 수행 그룹(401)의 내부에서도 해당 계약을 수행함에 있어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계약서의 구성이나 계약 그 자체가 올바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단순히 담당자의 프로그램 조작의 실수로 본 발명의 서비스가 실행되었는지 등의 문제를 내부적으로 체크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계약 진행 의뢰(S420)가 완료되면, 계약서는 계약 수행 그룹(401)에서 계약 진행에 관한 결제 권한을 가지는 부서장 합의(S430)를 거쳐 다음 단계를 행하게 된다.
이때, 계약에 대한 법무적인 검토가 필요한 경우, 계약서 검토 스텝을 추가하고 법무 그룹(402)을 통해 해당 스텝을 진행하게 된다.
계약서 검토 스텝이 추가되는 경우, 계약 수행 그룹(401)은 부서장의 최종 승인을 거친 계약서를 법무 그룹(402)으로 전달하고, 법무 그룹(402)은 해당 계약서나 계약이 법적으로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검토 하게 된다(S440).
이때, 서버(100)는 계약 수행 그룹(401), 계약 대상 그룹(403) 및 법무 그룹(402)이 손쉽게 계약을 검토할 수 있도록 계약서 비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계약서 비교 인터페이스는 동일하지만 작성 단계에 따라 서로 다른 버전(version)을 가지는 복수의 계약서를 선택하고, 어떤 부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비교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단계(S440)에서 계약상의 문제나 수정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계약 수행 그룹(401) 혹은 계약 대상 그룹(403)과의 계약 협의를 거쳐 계약서를 수정하게 된다(S460).
이때, 최종적으로 계약에 대한 검토가 완료되면 법무 그룹(402) 내부의 법무팀장의 승인(S460)을 거쳐, 계약서는 계약 대상 그룹(403)으로 송부하게 된다.
계약 대상 그룹(403)이 계약서를 수산하면, 계약 수행 그룹(401)과 협의를 거처 계약 서명(S470)을 수행하고, 계약을 완료하게 된다(S480).
이때,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계약 서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계약 서명(S470)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계약서 템플릿에 제시되는 필수 항목에 대한 모든 작성이 완료되어 계약의 조건을 달성해야만 한다.
또한, 계약 서명 단계(S470)에서는 계약서 템플릿에 입력된 항목을 포함한 계약서 전체의 내용은 사용자 임의대로 수정이 불가능하도록 설정하여 계약을 보존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사건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 진행했거나 진행 중인 전자 계약은 각 단계에 대응시켜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 (140)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서버(100)에 접속하여 계약 사건 정보를 조회하는 경우, 계약 수행자나 계약 검토자는 본인이 담당한 사건뿐만 아니라 소속된 그룹의 다른 구성원이 담당하는 계약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계약 사건 정보는 식별자(501), 계약의 명칭(502), 최종수정일자(503), 계약의 상태(504), 계약 수행자명(505), 태그(tag)(5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식별자(501)는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 전자 계약을 수행하는 담당자 혹은 기업이 소지하게 되는 고유한 정보가 된다. 이를 통해 각각의 계약이 어떠한 담당자 혹은 기업을 통해 수행되는지 파악할 수 있다.
계약의 명칭(502)은 진행중이거나 저장된 계약의 제목을 뜻하고, 최종수정일자(503)는 계약의 상태(예컨대, 계약 사건 정보)가 마지막으로 변화되어 저장된 일자를 뜻하게 된다.
계약의 상태(504)는 계약의 계약 사건 정보를 표시하게 되고, 계약 수행자명(505)은 계약을 진행한 담당자의 이름이 저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태그(506)는 사용자가 복수로 저장된 계약들 중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계약 마다 부여하는 단어 혹은 키워드를 뜻하고, 계약의 명칭(502)에서 사용된 단어 이외에도 계약과 관련있는 키워드를 태그(506)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불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생략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오랜시간 이용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140)에 누적되는 계약의 정보가 많아지기 때문에 식별자(501), 계약의 명칭(502), 계약 수행자명(505), 태그(506)에 사용된 키워드를 통해 개별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최종수정일자(503)나 계약의 상태(504)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정렬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서 버전 이력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계약서라도 검토나 계약 수행자의 요청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지기 마련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계약이 진행 중 계약서의 수정 사항이 발생하면, 버전별로 저장하고, 어떤 부분을 수정하였는지 구분할 수 있도록 계약서 비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버전을 가지는 계약서는 저장되거나 수장된 날짜를 기준으로 순서대로 저장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계약서 비교 인터페이스는 버전 생성일시(601), 초안(템플릿)(602), 계약서 버전(603), 검토본(604)이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버전 생성일시(601)는 계약서가 처음 작성된 날짜부터 수정이 이루어진 날짜까지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초안(템플릿)(602)은 계약서가 최초로 작성한 단계가 표시되고, 계약서 버전(603)은 계약서의 내용이 수정된 버전을, 검토본(604)은 수정된 계약서를 검토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각 단계에 표기되는 정보는 식별자(501), 계약의 상태(504), 해당 작업을 수행한 담당자명이 포함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서버 110: 통신 모듈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140: 데이터베이스 200: 사용자 단말
300: 통신망

Claims (20)

  1.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가 계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계약 검토자로부터 수신한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텝(step)들을 포함하는 계약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계약 검토자로부터 수신한 계약서 템플릿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계약 워크플로우와 연결 관계를 갖는 계약서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
    (c) 계약 수행자로부터 선택된 상기 계약서 템플릿에 기초하여 계약 사건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계약 검토자 또는 계약 수행자에게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계약 검토자 또는 계약 수행자에 의한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상기 계약서 템플릿와 연결 관계를 갖는 상기 계약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상기 스텝들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계약 검토자 또는 계약 수행자에게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계약 워크플로우에 포함되는 스텝들이 순서 있게 나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계약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기 쉽도록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에 대응되는 스텝이 다른 스텝들과 구분되도록 표시되고,
    상기 계약서 템플릿의 설정 정보는
    상기 계약 수행자가 소속된 부서에 따라 상기 계약서 템플릿의 표시 여부를 결정하는 표시 부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는 계약서에 대한 상기 계약 검토자의 검토 필요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검토 필요 여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계약 워크플로우는 계약서 작성 스텝, 계약서 협의 스텝, 계약서 서명 스텝 및 계약 완료 스텝을 기본 스텝으로서 포함하고, 상기 검토 필요 여부 정보가 필요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계약서 작성 스텝 및 상기 계약서 협의 스텝 사이에 계약서 검토 스텝을 추가 스텝으로서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가 상기 계약서 검토 스텝인 경우, 상기 계약 검토자에게 버전 생성일시, 초안, 계약서 버전 및 검토본을 포함하는 계약서 비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계약 검토자가 상기 계약서 비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계약 사건에 포함된 복수 버전(version)의 계약서들 중 어느 두 버전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두 버전의 계약서들을 비교 표시하고,
    상기 복수 버전의 계약서들은 상기 계약 수행자가 작성하거나 상기 계약 검토자가 수정한 계약서들을 버전별로 구분하여 저장되고,
    상기 계약 검토자는 계약을 수행하고자 하는 회사에 소속된 법무담당자를 나타내고, 상기 계약 수행자는 상기 회사에 소속된 임직원을 나타내는 것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계약 사건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를 상기 계약서 작성 스텝으로 설정하는 것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서 템플릿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입력 가능 항목으로 설정된 계약서 내용을 포함하는 것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가능 항목은
    필수 입력 항목 및 선택 입력 항목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는
    전자 계약 및 문서 계약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계약 종류 정보,
    상기 입력 가능 항목을 포함하는 전체 계약서 내용에 대한 수정 가부를 설정하기 위한 계약서 템플릿 수정 가부 정보, 및
    계약서 작성 단계에서 상기 계약 검토자에 의해 계약 규정이 별도로 생성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계약 규정 생성 필요 여부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가 상기 계약서 작성 스텝인 경우, 상기 계약 수행자에게 상기 계약서 템플릿을 통한 계약서 작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계약 수행자로부터 계약서의 작성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를 다음 스텝으로 변경 설정하는 것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서 작성 인터페이스는
    상기 계약 수행자에게 상기 계약서 템플릿에 포함된 상기 계약서 내용 및 입력 가능 항목을 표시하면서, 상기 입력 가능 항목 중 상기 필수 입력 항목 및 선택 입력 항목이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계약 수행자로부터 상기 입력 가능 항목에 대응되는 내용을 수신하는 것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입력 가능 항목 중 상기 필수 입력 항목이 입력된 경우에만,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가 상기 계약서 서명 스텝인 경우 상기 계약 수행자에게 계약서 서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서 작성 인터페이스는
    상기 계약 수행자에게 상기 계약서 템플릿에 포함된 상기 계약서 내용 및 입력 가능 항목을 표시하면서, 상기 입력 가능 항목 중 복수줄로 입력이 가능한 항목을 한줄만 입력이 가능한 항목과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계약 수행자로부터 상기 입력 가능 항목에 대응되는 내용을 수신하는 것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계약 수행자로부터 계약서의 작성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를 상기 계약서 검토 스텝으로 변경 설정하고, 상기 계약 검토자에게 상기 계약서 작성 스텝에서 작성된 계약서를 제공하고, 상기 계약 검토자로부터 계약서의 검토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를 상기 계약서 협의 스텝으로 변경 설정하는 것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가 상기 계약서 서명 스텝인 경우, 상기 입력 가능 항목을 포함하는 전체 계약서 내용에 대한 수정이 불가하도록 설정하는 것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사건에 관한 정보의 공개 정도는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계약 사건에 관한 정보의 공개 대상이 계약 상대방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계약 사건에 관한 정보 중 계약 히스토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서 템플릿 설정 정보는
    복수의 계약 금액 조건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계약서 템플릿은
    상기 복수의 계약 금액 조건들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복수의 계약 워크플로우들과 연결 관계를 가지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계약 워크플로우들 중 상기 계약 수행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계약 사건의 계약 금액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계약 워크플로우를 적용하여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를 설정하는 것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는
    상기 계약서 템플릿에 적어도 하나의 계약 당사자가 미리 지정되도록 하기 위한 필수 계약 관련인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는
    계약서에 대해 상기 계약 검토자와 서로 다른 계약 추가 검토자의 검토 필요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추가 검토 필요 여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계약 검토자에 의해 상기 계약 추가 검토자의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계약 워크플로우는 상기 계약 검토자에 의해 지정된 상기 계약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스텝들 중 어느 연속한 두 스텝들 사이에 계약서 추가 검토 스텝을 추가 스텝으로서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가 상기 계약서 추가 검토 스텝인 경우, 상기 계약 추가 검토자에게 상기 계약서를 제공하고, 상기 계약 추가 검토자의 상기 계약서에 대한 검토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를 다음 스텝으로 변경 설정하는 것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 항 내지 제 12 항 또는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20.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계약 검토자로부터 수신한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텝(step)들을 포함하는 계약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계약 검토자로부터 수신한 계약서 템플릿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계약 워크플로우와 연결 관계를 갖는 계약서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
    계약 수행자로부터 선택된 상기 계약서 템플릿에 기초하여 계약 사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계약 검토자 또는 계약 수행자에게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계약 검토자 또는 계약 수행자에 의한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상기 계약서 템플릿와 연결 관계를 갖는 상기 계약 워크플로우에 포함된 상기 스텝들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계약 검토자 또는 계약 수행자에게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계약 워크플로우에 포함되는 스텝들이 순서 있게 나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계약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기 쉽도록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에 대응되는 스텝이 다른 스텝들과 구분되도록 표시되고,
    상기 계약서 템플릿의 설정 정보는
    상기 계약 수행자가 소속된 부서에 따라 상기 계약서 템플릿의 표시 여부를 결정하는 표시 부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약 워크플로우 설정 정보는 계약서에 대한 상기 계약 검토자의 검토 필요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검토 필요 여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계약 워크플로우는 계약서 작성 스텝, 계약서 협의 스텝, 계약서 서명 스텝 및 계약 완료 스텝을 기본 스텝으로서 포함하고, 상기 검토 필요 여부 정보가 필요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계약서 작성 스텝 및 상기 계약서 협의 스텝 사이에 계약서 검토 스텝을 추가 스텝으로서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계약 사건의 진행 상태가 상기 계약서 검토 스텝인 경우, 상기 계약 검토자에게 버전 생성일시, 초안, 계약서 버전 및 검토본을 포함하는 계약서 비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계약 검토자가 상기 계약서 비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계약 사건에 포함된 복수 버전(version)의 계약서들 중 어느 두 버전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두 버전의 계약서들을 비교 표시하고,
    상기 복수 버전의 계약서들은 상기 계약 수행자가 작성하거나 상기 계약 검토자가 수정한 계약서들을 버전별로 구분하여 저장되고,
    상기 계약 검토자는 계약을 수행하고자 하는 회사에 소속된 법무담당자를 나타내고, 상기 계약 수행자는 상기 회사에 소속된 임직원을 나타내는 것인,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80046278A 2018-04-20 2018-04-20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44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278A KR102144455B1 (ko) 2018-04-20 2018-04-20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278A KR102144455B1 (ko) 2018-04-20 2018-04-20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462A KR20190122462A (ko) 2019-10-30
KR102144455B1 true KR102144455B1 (ko) 2020-08-13

Family

ID=6846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278A KR102144455B1 (ko) 2018-04-20 2018-04-20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4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652B1 (ko) * 2020-11-25 2022-04-08 주식회사 이지트러스트 약속 증명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6558A (ja) * 2001-06-19 2003-01-10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フォーム入力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フォームプログラム
JP2004240891A (ja) * 2003-02-07 2004-08-26 Fujitsu Ltd 契約管理システム
JP2009237956A (ja) * 2008-03-27 2009-10-15 Hitachi Ltd 契約内容設定システム及び契約内容設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104A (ko) * 2001-07-30 2002-03-28 박준수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계약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2263A (ko) * 2015-08-20 2017-03-02 진성열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계약 체결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6558A (ja) * 2001-06-19 2003-01-10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フォーム入力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フォームプログラム
JP2004240891A (ja) * 2003-02-07 2004-08-26 Fujitsu Ltd 契約管理システム
JP2009237956A (ja) * 2008-03-27 2009-10-15 Hitachi Ltd 契約内容設定システム及び契約内容設定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652B1 (ko) * 2020-11-25 2022-04-08 주식회사 이지트러스트 약속 증명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462A (ko)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80915B (zh) 自动和半自动选择服务或处理提供商
CN101364221B (zh) 文档管理装置、文档管理系统和方法
US11622019B2 (en) Configuration of content site user interaction monitoring in data networks
US200601848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 electronic document
KR102013321B1 (ko) 개발 프로젝트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개 방법
US20210383370A1 (en) Enhanced multi-party user data deletion
US20140317049A1 (en) Automatic redaction of content for alternate reviewers in document workflow solutions
US20230376621A1 (en) Transaction Docu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9110197A (ja) 購買業務システム、購買業務処理方法、および購買業務処理プログラム
US20130179798A1 (en) Application dissemination and feedback
CN102693270A (zh) 用于内容管理和组件测试的可发布元数据
US201802700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irtual signatures and electronic documents
US9082107B2 (en) Intellectual asset automatic docketing and file association
CN111880890A (zh) 一种城市门户系统
JP2022028881A (ja) 広告を自動的に生成する方法、装置、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Chen et al. “As we grow, it will become a priority”: American mobile start-ups’ privacy practices
US20140164044A1 (en) Use of enhanced user status to facilitate document workflow solutions
KR102144455B1 (ko) 계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2004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20210405616A1 (en) Scenario providing system, scenario providing device, scenario execution terminal, scenario providing method, scenario execution method and program
US20210397620A1 (en) Configurable government process automation on multi tenant platform systems
US8868488B2 (en) Techniques for integrating structured accounting data with unstructured data
US20130325535A1 (en) Service design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700613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ster-client virtual workspace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KR102639134B1 (ko)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