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134B1 -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134B1
KR102639134B1 KR1020220127561A KR20220127561A KR102639134B1 KR 102639134 B1 KR102639134 B1 KR 102639134B1 KR 1020220127561 A KR1020220127561 A KR 1020220127561A KR 20220127561 A KR20220127561 A KR 20220127561A KR 102639134 B1 KR102639134 B1 KR 102639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work
product
task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7044A (ko
Inventor
고명현
오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람
Priority to KR102022012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134B1/ko
Publication of KR20240007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복수의 작업자가 하나의 프로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작업 각각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복수의 작업물 각각의 원본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각각에 저장된 복수의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작업물 각각의 원본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는, 제1 작업자로부터 제2 작업자가 생성한 제2 작업물에 대한 제공 요청을 얻는 경우, 상기 제2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제2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COOPERATION SERVICE FOR MULTIPLE WORKERS PERFORMING A POJE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급격히 고도해짐에 따라, 하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한 명의 작업자가 혼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경우는 다수의 작업자들이 함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경우 보다 오랜 프로젝트 수행시간이 소요되며,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서 전문성이 결여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나의 고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해당 프로젝트를 다수의 세부 프로세스로 분할하고, 각각 분할된 세부 프로세스를 각각의 팀원에게 할당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에 효율적이면서, 높은 전문성을 갖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협업 시스템을 각 분야에서 적용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예를 들어, 영상 제작과 관련된 프로젝트의 경우, 해당 프로젝트를 다수의 프로세스(예: 모델링, 애니메이션, 쉐이딩, 라이팅, 렌더링 등)로 분할하고,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회사의 부서별, 작업자별로 각 프로세스를 전담하도록 하거나 각 프로세스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업체와 협업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서로 다른 업체들이 복수의 단위 작업(프로세스)을 맡아 하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 각각의 업체들이 사용하는 협업 솔루션에서 제공하는 파이프라인을 따라야 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파이프라인을 갖는 협력업체들 간의 협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07517호 (2012.01.3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수의 협력업체(또는 작업자)들이 작업한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를 협력업체 각각에 별도로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상에 저장 및 관리하고, 서버가 해당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만을 수집 및 관리하며, 특정 작업자로부터 다른 협력업체 또는 작업자의 작업물의 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해당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가 아닌 해당 작업물의 메타 데이터(필요에 따라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관한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파이프라인을 갖는 다수의 협력업체(또는 작업자)들 간의 협업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복수의 작업자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복수의 작업자 각각이 복수의 작업 각각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복수의 작업물 각각의 원본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각각에 저장된 복수의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작업물 각각의 원본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만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는, 특정 작업자에게 제1 작업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특정 작업자와 매칭된 데이터베이스 상에 제1 저장공간을 생성하여 상기 할당된 제1 작업과 매칭하고,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할당된 제1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제1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제1 저장공간에 저장하고, 상기 특정 작업자에게 상기 제1 작업과 연관되지 않은 제2 작업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특정 작업자와 매칭된 데이터베이스 상에 제2 저장공간을 생성하여 상기 할당된 제2 작업과 매칭하고,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할당된 제2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제2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제2 저장공간에 저장하며, 상기 특정 작업자에게 상기 제1 작업과 연관된 제3 작업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할당된 제3 작업과 상기 생성된 제1 저장공간을 매칭하고,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할당된 제3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제3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제1 저장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는, 상기 특정 작업자로부터 제1 프로젝트, 상기 제1 프로젝트에 포함된 제1 작업물 및 상기 제1 작업물에 사용된 제1 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에 대한 상품화 요청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객체와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간의 제1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유사도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상품을 생성하며, 상기 산출된 제1 유사도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상기 산출된 제1 유사도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작업자에게 상기 객체에 대한 보완을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는, 상기 특정 작업자로부터 수행된 제2 프로젝트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2 프로젝트, 상기 제2 프로젝트에 포함된 제2 작업물 및 상기 제2 작업물에 사용된 제2 소스와 상기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간의 제2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2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프로젝트, 상기 제2 작업물 및 상기 제2 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상품화 후보로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상품화 후보에 관한 정보를 상기 특정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는, 제1 작업자로부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이 결제되는 경우, 상기 제1 작업자에게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권한 -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권한은 상기 제1 상품의 이용, 추가, 수정 및 삭제 권한을 포함함 - 을 부여하고,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을 상기 제1 상품의 판매자인 제2 작업자에게 지급하며, 제3 작업자로부터 제2 상품 - 상기 제2 상품은 상기 제1 작업자가 상기 제1 상품을 기반으로 생성한 신규 작업물을 상품화함에 따라 생성된 것임 - 에 대한 구매 비용이 결제되는 경우, 상기 제3 작업자에게 상기 제2 상품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2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작업자와 상기 제2 작업자에게 분할 지급하되, 상기 소정의 비율은 상기 제2 상품에 대응하는 작업물을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품이 사용된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는, 제1 작업자로부터 제1 상품 - 상기 제1 상품은 서로 다른 복수의 작업물을 포함하는 하나의 프로젝트를 상품화함에 따라 생성된 것임 - 에 대한 구매 비용이 결제되는 경우, 상기 제1 작업자에게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작업물 각각을 작업한 서로 다른 복수의 작업자에게 분할 지급하되, 상기 소정의 비율은, 상기 하나의 프로젝트 내에서의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작업물 각각에 대한 중요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는, 제1 작업자에게 하나의 작업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할당된 하나의 작업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할당된 하나의 작업에 대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여 상기 제1 작업자에게 추천하고, 상기 제1 작업자가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을 결제하는 경우, 상기 제1 작업자와 동일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른 작업자들에게도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추천하며, 제2 작업자에게 둘 이상의 작업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할당된 둘 이상의 작업에 관한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상기 할당된 둘 이상의 작업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공통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공통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여 상기 제2 작업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는, 제1 작업자로부터 상기 제1 작업자에게 할당된 작업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질의 내용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획득된 하나 이상의 질의 내용을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여 상기 제1 작업자에게 추천하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판매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에게 상기 획득된 하나 이상의 질의 내용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하나 이상의 질의 내용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로부터 답변 내용을 획득하며, 상기 제1 작업자가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을 결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획득된 답변 내용 상기 제1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협력업체(또는 작업자)들이 작업한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를 협력업체 각각에 별도로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상에 저장 및 관리하고, 서버가 해당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만을 수집 및 관리하며, 특정 작업자로부터 다른 협력업체 또는 작업자의 작업물의 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해당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가 아닌 해당 작업물의 메타 데이터(필요에 따라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관한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파이프라인을 갖는 다수의 협력업체(또는 작업자)들 간의 협업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들 간의 협업을 위한 협업 솔루션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가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작업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는 과정과 저장된 작업물에 대한 정보를 특정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트, 프로젝트에 포함된 작업물 및 작업물에 사용된 소스 각각을 개별적인 자산으로써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8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11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리뷰어(Reviewer)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자산 관리 시스템(Asset Management System, AMS)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들 간의 협업을 위한 협업 솔루션 제공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 복수의 작업자 단말(201A, 202A, 203A), 복수의 데이터베이스(201B, 202B, 203B) 및 외부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 요소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다수의 협력업체 또는 다수의 작업자가 하나의 프로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작업 각각을 수행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문제(예: 다수의 협력업체 및 다수의 작업자 각각의 파이프라인이 서로 다름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협업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협업 솔루션은, 다수의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작업물(예: 영상 콘텐츠)의 원본 데이터가 아닌, 작업물의 메타 데이터와 작업물이 저장된 위치를 가리키는 위치 정보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하고, 추후 특정 작업자로부터 다른 작업자가 작업한 작업물에 대한 제공 요청을 얻는 것에 응답하여, 다른 작업자가 작업한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특정 작업자가 다른 작업자가 작업한 작업물에 직접적인 접근을 요청하는 경우, 작업물이 저장된 위치에 관한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특정 작업자가 해당 작업물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예: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 서비스, 리뷰어(Reviewer) 서비스).
또한, 협업 솔루션은 다수의 작업자가 작업한 프로젝트, 작업물 및 작업물에 사용된 소스 각각을 작업자의 자산으로써 관리하며, 필요에 따라 다른 작업자들에게 판매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예: 자산 관리 시스템(Asset Management System, AMS) 서비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협업 솔루션은 클라우드 형식이 아닌 온프레미스(on premise) 방식에 따라 후술되는 작업자 단말(201A, 202A, 203A)이나 작업자들이 소속된 회사 서버에 직접 설치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다수의 작업자 각각의 작업 스케줄링을 위한 태스크 매니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테스트 매니저 UI(예: 도 5 내지 8의 10)을 제공할 수 있고, 테스트 매니저 UI를 통해 프로젝트의 생성 및 수정 기능, 작업자(또는 협력업체) 등록, 삭제 및 수정 기능, 프로젝트별 타임라인(Timeline) 및 마일스톤(Milestone)(예: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발생된 이벤트) 생성, 수정 및 관리 기능, 프로젝트별 통계정보 시각화(예: 그래프, 도표, 수치 등) 기능, 작업 등록(예: 프로젝트의 세부 단위(Sequence, Shot, Asset, Task 등) 등록 및 작업을 할당받을 작업자(또는 협력업체) 선택 및 작업별 기한입력 등) 기능 및 타입(샷(Shot) 또는 자산(Asset)) 및 작업의 세부정보 검색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를 공유(예: 하나의 업체 내에서 서로 다른 부서 또는 서로 다른 작업자 간의 정보 공유, 하나의 업체와 다수의 외부 업체 간의 정보 공유)하고, 이에 대한 신속 및 간단한 피드백을 위한 리뷰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리뷰어 UI(예: 도 9 내지 11의 20)를 제공할 수 있고, 리뷰어 UI를 통해 작업물(예: 영상, 이미지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의 업로드를 통한 공유 및 리뷰 기능, 공유된 작업물에 대한 코멘트 작성, 의견 공유 및 컨펌 기능, 태스크 매니저와 연동되어 태스크 매니저를 통해 등록된 프로젝트 세부 단위를 기반으로 업로드된 복수의 작업물에 대한 정보를 특정 기준(예: 샷(shot), 자산(asset), 작업(task), 업로드한 작업자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분류하여 보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하나의 프로젝트, 하나의 프로젝트에 포함되며 복수의 작업자가 생성한 작업물 및 작업물에 사용된 하나 이상의 소스 각각을 복수의 작업자 또는 회사의 자산으로 설정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산을 카테고리 분류하고, 검색어 입력 등을 통해 손쉽게 자산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산 관리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자산 관리 시스템 UI(예: 도 12 내지 14의 30)를 제공할 수 있고, 자산 관리 시스템 UI를 통해 자산(예: 작업물 자체 또는 작업물에 사용된 하나 이상의 소스) 등록 및 공유 기능, 업로드된 자산의 검색, 선택 및 불러오기 기능 및 업로드된 자산에 대한 상세 정보 등록, 태그, 수정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자 단말(201A, 202A, 203A)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와 연결되어,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예: 태스크 매니저 서비스, 리뷰어 서비스 및 AMS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작업자 단말(201A, 202A, 203A)은 작업자 단말(201A, 202A, 203A)의 적어도 일부분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및 노트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통해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각종 UI(예: 태스크 매니저 UI, 리뷰어 UI 및 AMS UI)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201B, 202B, 203B)는 복수의 작업자 또는 복수의 회사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회사가 하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경우, 각 회사에 대응하여 3개의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작업자들 간의 협업 솔루션 제공 시스템에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회사의 서버에 데이터베이스가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작업자별로 개인 데이터베이스가 구비(예: 동일한 회사에 소속된 경우라도 작업자별로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201B, 202B, 203B)는 회사 내부의 NAS 서버나 각 작업자의 컴퓨터, 공유 폴더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예: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등).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몽고 데이터베이스(MongoDB)를 이용하여 작업자 각각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작업자가 소속된 회사별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201B, 202B, 203B) 각각은 복수의 작업자 각각이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작업자와 매칭된 제1 데이터베이스(201B)에는 제1 작업자가 복수의 작업 중 제1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제1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제2 작업자와 매칭된 제2 데이터베이스(202B)에는 제2 작업자가 복수의 작업 중 제2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제2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3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가 협업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거나, 협업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생성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300)는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작업자들 간의 협업을 위한 협업 솔루션 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들 간의 협업을 위한 협업 솔루션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가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작업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는 과정과 저장된 작업물에 대한 정보를 특정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작업자가 하나의 프로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작업 각각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복수의 작업물 각각의 원본 데이터를 복수의 데이터베이스(201B, 202B, 203B, 204B)에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작업자 단말(201A, 202A, 203A, 204A)로 작업 툴(예: 영상 콘텐츠 작업 툴)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작업자는 자신의 작업자 단말(201A, 202A, 203A, 204A)에 기 설치된 작업 툴을 이용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작업물(예: 영상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작업자 각각이 자신에게 할당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복수의 작업물이 복수의 데이터베이스(201B, 202B, 203B, 204B)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201A)로부터 제1 작업물을 제공받아 제1 데이터베이스(201B)에 저장하고, 제2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202A)로부터 제2 작업물을 제공받아 제2 데이터베이스(202B)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3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203A)로부터 제3 작업물을 제공받아 제3 데이터베이스(203B)에 저장하고, 제4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204A)로부터 제4 작업물을 제공받아 제4 데이터베이스(204B)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작업자 각각이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가 복수의 데이터베이스(201B, 202B, 203B, 204B) 각각에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를 특정 작업자와 기 매칭된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하되, 작업 간의 연관성에 기초하여 상호 연관된 작업끼리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자에게 제1 작업이 할당되는 경우, 특정 작업자와 매칭된 데이터베이스 상에 제1 저장공간을 생성하여 제1 작업과 매칭하고, 특정 작업자가 제1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제1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를 제1 저장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자에게 제1 작업과 연관되지 않은 제2 작업(예컨대, 제1 작업과 다른 프로젝트에 포함된 작업)이 할당되는 경우, 특정 작업자와 매칭된 데이터베이스 상에 제2 저장공간을 생성하여 제2 작업과 매칭하고, 특정 작업자가 제2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제2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를 제2 저장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자에게 제1 작업과 연관된 제3 작업(예컨대, 제1 작업과 동일한 프로젝트에 포함된 작업)이 할당되는 경우, 제3 작업과 제1 저장공간을 매칭하고, 특정 작업자가 제3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제3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를 제1 저장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즉,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작업자마다 데이터베이스를 매칭(할당)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를 작업자와 매칭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작업자에게 서로 다른 종류의 작업이 할당됨에 따라 복수의 작업물이 생성되는 경우, 복수의 작업물을 연관관계에 따라 분류(예컨대, 프로젝트별로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작업 및 작업물 간의 연관관계에 따라 복수의 작업물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에게 제1 작업이 할당되고, 제2 작업자에게 제1 작업과 연관된 제2 작업(예컨대, 제1 작업과 동일한 프로젝트에 포함된 작업)이 할당되는 경우, 제1 작업자의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 생성된 제1 작업에 대한 저장공간과 제2 작업자의 제2 데이터베이스 상에 생성된 제2 작업에 대한 저장공간을 상호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상기와 같은 작업들 간의 연관관계에 따라 작업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자에 대하여, 복수의 작업이 할당되는 경우, 복수의 작업 각각을 독립적인 노드로 설정할 수 있고, 복수의 작업 각각의 연관관계에 따라 상호 연관성이 있는 작업들(예컨대, 동일한 프로젝트에 포함된 작업 또는 동일한 종류의 작업 등)에 대응하는 노드들을 연결함으로써, 작업의 연관관계를 나타내는 작업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와 제2 작업자에게 상호 연관관계를 가지는 작업(예: 제1 작업 및 제2 작업)이 할당됨에 따라 제1 작업자의 제1 데이터베이스 상에 생성된 제1 작업에 대한 저장공간과 제2 작업자의 제2 데이터베이스 상에 생성된 제2 작업에 대한 저장 공간이 상호 매칭된 경우, 제1 작업자의 작업 맵에 포함된 제1 작업에 대한 노드와 제2 작업자의 작업 맵에 포함된 제2 작업에 대한 노드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자에 대한 작업 맵의 연결관계를 통해 특정 작업자에게 할당된 작업들 간의 연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둘 이상의 작업자들에 대한 작업 맵의 연결관계를 통해 서로 다른 작업자들에게 각각 할당된 작업들 간의 연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상호 연관관계를 가지는 노드를 선으로 연결하되, 노드를 연결하는 선의 속성(예: 종류, 색상, 굵기 및 파선)은 연관관계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에 할당된 복수의 작업 중 동일한 프로젝트에 포함된 작업들에 대응하는 노드들을 제1 색상의 실선으로 연결할 수 있고, 동일한 종류의 작업들에 대응하는 노드들을 제2 색상의 실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상호 연관관계를 가지는 제1 작업자의 제1 작업과 제2 작업자의 제2 작업 각각에 대응하는 노드를 제3 색상의 점선으로 연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후술되는 S130 단계 및 S140 단계를 거쳐, 제1 작업자로부터 제2 작업자의 특정 작업물에 대한 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제1 작업자의 요청에 따라 제2 작업자의 특정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 및/또는 특정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1 작업자에게 제공하되, 제2 작업자에 대한 작업 맵 또는 복수의 작업자들에 대한 작업 맵을 이용하여 특정 작업물과 연관관계를 가지는 다른 작업물의 메타 데이터 및/또는 저장 위치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가 특정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담당자일 때, 제1 작업자로부터 제2 작업자의 특정 작업물(예컨대, 특정 프로젝트에 포함된 작업물)에 대한 제공 요청을 획득하는 경우, 제2 작업자의 특정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 및/또는 특정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2 작업자의 작업 맵에 기초하여 특정 작업물에 대응하는 노드와 실선으로 연결된 노드들에 해당하는 작업물에 관한 정보(메타 데이터 및/또는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작업자가 기 생성한 복수의 작업물 각각의 일부를 수정 또는 삭제하거나, 일부 내용을 신규 추가하는 등 복수의 작업물 각각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경우, 업데이트됨으로써 생성되는 신규 버전의 작업물을 복수의 데이터베이스(201B, 202B, 203B, 204B) 각각에 자동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신규 버전의 작업물은 기존 작업물이 저장된 위치와 인접한 위치에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120 단계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201B, 202B, 203B, 204B)로부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201B, 202B, 203B, 204B) 각각에 저장된 복수의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 및 복수의 작업물 각각의 원본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데이터베이스(201B)로부터 제1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와 제1 작업물이 제1 데이터베이스(201B) 상에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제2 데이터베이스(202B)로부터 제2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와 제2 작업물이 제2 데이터베이스(202B) 상에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3 데이터베이스(203B)로부터 제3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와 제3 작업물이 제3 데이터베이스(203B) 상에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제4 데이터베이스(204B)로부터 제4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와 제4 작업물이 제4 데이터베이스(204B) 상에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작업자 각각이 작업함으로써 생성된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는 복수의 작업자 각각에 할당되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상에 저장하고,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각각의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가 아닌 작업물의 메타 데이터와 저장 위치(데이터베이스 내부 경로)만을 가져와 저장하기 때문에, 데이터 관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복수의 작업자 각각이 작업물을 지속적으로 생성 및 업데이트함으로써 신규 버전이 늘어나는 경우, 이에 따라 전체적인 데이터의 용량이 커지게 되는데,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해당 작업물의 메타 데이터만을 가져오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대용량의 저장 장치를 구비할 필요성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작업물에 대한 저장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추후 작업자가 작업물에 대한 직접 접근을 요청하는 경우, 저장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직접 접근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각 업체(또는 작업자) 입장에서도 링크가 제공된 작업물의 위치를 옮기거나 삭제하지 않는다면, 별도의 규율을 따를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S130 단계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로부터 제2 작업자가 생성한 제2 작업물에 대한 제공 요청을 얻을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S130 단계에서 얻은 제2 작업물에 대한 제공 요청에 따라 제2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 및 제2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프로젝트가 영상 제작 프로젝트이고, 하나의 프로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제1 작업물, 제2 작업물, 제3 작업물 및 제4 작업물 각각이 영상 콘텐츠일 때,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로부터 제2 작업물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제2 작업물의 섬네일(thumbnail) 및 기본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작업물의 기본 정보는, 제2 작업물의 리뷰 상태(Review status) 정보, 작업 상태(Task status) 정보, 개체(Entity) 정보, 진행 단계 정보, 업무 정보, 버전 정보 및 로드 권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작업자는 작업물 자체를 직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메타 데이터를 통해 비교적 간편하게 작업물의 진행 상황이나 작업물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로부터 제2 작업물 자체에 대한 제공을 요청(또는 제2 작업물에 대한 직접 접근 요청)받는 경우, 제2 데이터베이스(202B) 상에 제2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접근하기 위한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작업물에 직접 접근하여 작업물을 직접 수정, 삭제, 추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로부터 얻은 제2 작업물에 대한 제공 요청에 따라 제2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 및 제2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작업자에게 제공하되, 제1 작업자에게 기 부여한 권한에 따라 제1 작업자가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를 로드하거나 제1 작업자가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정 또는 삭제하거나 제1 작업자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에 신규 내용을 추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권한은 로드 권한, 수정 및 삭제 권한, 신규 내용 추가 권한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작업 각각을 수행할 작업자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담당자로부터 사전에 부여받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가 기 부여된 권한에 따라 제2 작업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특정 작업물을 수정, 삭제, 신규 내용 추가 등의 보정 작업 수행할 경우, 제1 작업자가 제2 작업자의 특정 작업물에 대한 보정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제1 작업자 외의 다른 작업자가 제2 작업자의 특정 작업물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가 기 부여된 권한에 따라 제2 작업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특정 작업물을 수정, 삭제, 신규 내용 추가 등의 보정 작업 수행할 때, 제3 작업자로부터 제2 작업자의 특정 작업물에 대한 제공 요청을 획득하는 경우, 제1 작업자가 제2 작업자의 특정 작업물에 대한 보정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제3 작업자에게 제2 작업자의 특정 작업물에 대한 읽기 전용 버전(보정 작업이 불가한 버전으로, 제1 작업자의 보정 작업 이전의 작업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가 제2 작업자의 작업물에 대한 보정 작업을 요청하는 경우, 제1 작업자로부터 요청된 보정 작업과 관련된 내용을 제2 작업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후,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2 작업자가 제1 작업자의 보정 작업 요청에 따라 작업물을 보정하는 경우, 작업물을 보정함에 따라 생성되는 메타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제1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작업자로부터 특정 작업물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 또는 특정 작업물 자체에 대한 접근 요청이 아닌, 프로젝트에 관한 특정 정보인 제1 정보의 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하나의 프로젝트에 대한 복수의 작업물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결합하고,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제1 정보를 상기 제1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작업자로부터 전체 프로젝트의 진행 현황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하나의 프로젝트에 포함된 제1 작업물, 제2 작업물 및 제3 작업물의 메타 데이터를 결합하여, 각 작업물의 진행 상황을 판단하고, 판단된 각 작업물의 진행 상황에 따라 프로젝트 전체의 진행 현황을 가리키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작업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작업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둘 이상의 작업물에 대한 정보를 결합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정보를 도출 및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니즈에 맞춰 최적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자산 관리 시스템(AMS)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트, 프로젝트에 포함된 작업물 및 작업물에 사용된 소스 각각을 개별적인 자산으로써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210 단계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복수의 작업물을 포함하는 하나의 프로젝트, 하나의 프로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작업물 각각, 복수의 작업물 각각에 사용된 복수의 소스 각각을 상품화함으로써, 복수의 상품(예: 자산)을 생성 및 등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이 중복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 작업자로부터 제1 프로젝트, 제1 프로젝트에 포함된 제1 작업물 및 제1 작업물에 사용된 제1 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에 대한 상품화 요청을 획득하는 경우, 객체와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객체에 대한 상품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먼저,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자로부터 제1 프로젝트, 제1 프로젝트에 포함된 제1 작업물 및 제1 작업물에 사용된 제1 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에 대한 상품화 요청을 획득하는 경우,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과 객체 간의 제1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자로부터 제1 프로젝트에 대한 상품화 요청을 획득하는 경우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프로젝트 단위로 상품화된 복수의 상품과 제1 프로젝트 간의 제1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고, 특정 작업자로부터 제1 작업물에 대한 상품화 요청을 획득하는 경우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작업물 단위로 상품화된 복수의 상품과 제1 작업물 간의 제1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작업물(예: 영상 콘텐츠)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는 방법은 다양한 기술들이 공지(예컨대, "홍택은. 텍스트-이미지 임베딩 기반의 영상 콘텐츠 유사도 측정 방법. Diss.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2.",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97380호(2007.10.04.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0884066호(2009.02.19. 공고)" 등)되어 있고, 이러한 공지 기술들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바, 본 명세서에서는 작업물 간 유사도를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서술하지 않는다.
이후,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객체와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간의 제1 유사도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객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바, 객체를 상품화함으로써 객체에 대응하는 상품을 생성 및 등록할 수 있다.
한편,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객체와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간의 제1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객체에 대한 상품화를 거절할 수 있다.
이때,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객체와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간의 제1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제1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관한 정보를 특정 작업자에 제공하며 특정 작업자에게 객체에 대한 보완을 요청할 수 있으며, 특정 작업자로부터 객체가 보완되는 경우(예컨대, 객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변경, 삭제되거나, 객체에 신규 내용이 추가되는 등), 보완된 객체에 대하여 제1 유사도를 산출하는 동작을 재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재산출된 제1 유사도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보완된 객체를 상품화할 수 있으며, 재산출된 제1 유사도 역시 기준값 이상이거나 또는 특정 작업자로부터 객체가 보완되지 않은 경우 객체에 대한 상품화를 최종 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자에게 상품화 후보를 추천할 수 있다.
먼저,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자로부터 수행된 제2 프로젝트가 완료 및 종료되는 경우, 제2 프로젝트, 제2 프로젝트에 포함된 제2 작업물 및 제2 작업물에 사용된 제2 소스와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간의 제2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자가 특정 작업을 완료함에 따라 작업물이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작업물과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간의 제2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2 유사도를 기반으로 제2 프로젝트, 제2 프로젝트에 포함된 제2 작업물 및 제2 작업물에 사용된 제2 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상품화 후보로 결정하며, 상품화 후보에 관한 정보를 특정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프로젝트 단위로 상품화된 복수의 상품과 제2 프로젝트 간의 제2 유사도를 산출하고, 제2 유사도가 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2 프로젝트를 상품화 후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작업물 단위로 상품화된 복수의 상품과 제2 작업물 간의 제2 유사도를 산출하고, 제2 유사도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2 작업물을 상품화 후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소스 단위로 상품화된 복수의 상품과 제2 소스 간의 제2 유사도를 산출하고, 제2 유사도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2 소스를 상품화 후보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상품화 후보로 결정된 객체(프로젝트, 작업물 및/또는 소스)에 대한 상품화 요청을 획득하는 경우, 별도의 유사도 판단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객체에 대한 상품화를 진행함으로써 객체에 대응하는 상품을 생성 및 등록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S210 단계에서 생성된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태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작업자로부터 상품(프로젝트, 작업물 및/또는 소스코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태그를 직업 입력받을 수 있고, 직접 입력된 태그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태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로부터 제1 작업자의 작업물과 해당 작업물에 사용된 하나 이상의 소스에 대한 태그를 입력 받고, 제2 작업자로부터 제2 작업자의 작업물과 해당 작업물에 사용된 하나 이상의 소스에 대한 태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받은 태그를 이용하여 각각의 상품에 대한 태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추천 태그를 선정하고, 복수의 작업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추천 태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태그를 선택받으며, 선택받은 어느 하나의 추천 태그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태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UI를 통해 하나 이상의 추천 태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추천 태그 리스트를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작업자가 추천 태그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추천 태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상품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복수의 상품 각각을 분석함으로써,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태그를 추출하고, 추출된 태그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태깅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상품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복수의 상품 각각을 분석함으로써,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태그를 선택하고, 선택한 하나 이상의 태그가 복수의 상품 각각에 얼마나 적합한지를 스코어링하며, 스코어링된 점수가 가장 높은 태그를 선택하여 복수의 상품 각각에 태깅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분석 모델은 복수의 상품 각각에 태그가 레이블링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도학습된 인공지능 모델로서, 특정 상품을 입력 데이터로 하여 특정 상품에 적합한 태그가 출력되는 모델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상품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태그를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하여 자동으로 선택된 태그가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예: 적합성 점수가 기준 점수 미만인 경우), 작업자로부터 태그를 직접 입력받는 수동 방식이나 추천 태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작업자로부터 선택받는 반자동 방식으로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태깅을 수행할 수 있고, 태깅을 수행한 결과 자체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상품 분석 모델을 지속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다. 이후,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상품 분석 모델의 신뢰도가 향상되어 상품 분석 모델을 통해 자동으로 선택된 태그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예: 적합성 점수가 기준 점수 이상이 되는 시점)부터 상품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태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태깅을 수행한 이후, 태그에 따라 복수의 상품 각각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상품 각각이 영상 콘텐츠인 경우, 복수의 영상 콘텐츠를 각각의 태그에 따라 2D, 3D, 사람, 동물, 크리쳐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고, UI에 포함된 검색어 입력바를 통해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240 단계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S230 단계에서 입력된 하나 이상의 검색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검색어 각각에 대응되는 태그를 가지는 상품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1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S230 단계에서 입력된 검색어가 "사람"인 경우, 복수의 상품 중 "사람"의 태그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여 제1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로부터 둘 이상의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둘 이상의 검색어 각각에 대응하는 태그를 모두 포함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선택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1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로부터 두개의 검색어를 입력 받았으나, 두개의 검색어 각각에 대응하는 태그를 모두 포함하는 상품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해당 검색어에 대응하는 상품이 검색되지 않음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두개의 검색어 중 우선순위가 높은 검색어(예: 먼저 입력된 검색어 또는 작업자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검색어)를 태그로 가지는 상품을 선택하여 제1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로부터 두개의 검색어를 입력 받았으나, 두개의 검색어 각각에 대응하는 태그를 모두 포함하는 상품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소정 기간 동안의 복수의 사용자의 검색 이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검색된 복수의 검색어 중 제1 작업자로부터 입력된 두개의 검색어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단어(동의어)를 선택하고, 제1 작업자로부터 입력된 두개의 검색어를 선택된 단어로 치환하여 상품에 대한 검색을 재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가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속성, 프로젝트 내에서 제1 작업자에게 할당된 작업의 속성(예: 작업의 종류 등) 및 제1 작업자가 현재 작업중인 작업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작업자에게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상품을 자동적으로 검색하여 추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자에게 하나의 작업이 할당되는 경우, 특정 작업자에게 할당된 작업에 관한 정보(예컨대, 작업의 종류, 작업 내용 등)를 분석하여 작업에 대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고,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추출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태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여 특정 작업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때,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자가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을 결제하는 경우 즉, 특정 작업자가 작업과 관련된 추천 상품을 구매한 경우, 특정 작업자와 동일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른 작업자(예컨대, 특정 작업자에게 할당된 작업과 동일한 프로젝트로 분류된 다른 작업들을 할당받은 작업자들) 또는 특정 작업자와 동일한 종류의 작업을 수행하는 다른 작업자들에게도 특정 작업자가 구매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자에게 둘 이상의 작업이 할당되는 경우, 둘 이상의 작업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공통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고,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추출된 하나 이상의 공통 키워드에 대응하는 태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여 특정 작업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자에게 제1 작업 및 제2 작업이 할당되는 경우, 제1 작업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제1 키워드를 추출하고, 제2 작업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제2 키워드를 추출하며, 복수의 제1 키워드와 복수의 제2 키워드를 비교하여 공통으로 추출된 하나 이상의 공통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고,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추출된 하나 이상의 공통 키워드에 대응하는 태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여 특정 작업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한편,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자에게 둘 이상의 작업이 할당되는 경우, 둘 이상의 작업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공통 키워드를 추출하되, 둘 이상의 작업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공통 키워드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 둘 이상의 작업에 관한 정보 각각을 분석하여 추출된 각각의 키워드를 기반으로 둘 이상의 작업에 관한 추천 상품을 선정하여 각각의 작업별로 개별적인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을 할당받은 특정 작업자로부터 특정 작업과 관련된 질의 내용을 획득하는 경우, 질의 내용을 분석하여 질의 내용에 대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고,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추출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대응하는 태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여 특정 작업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때,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질의 내용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선택되는 경우, 질의 내용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판매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자들에게 특정 작업자의 질의 내용을 제공하여 질의 내용에 대한 답변 내용을 획득할 수 있으며, 특정 작업자가 질의 내용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을 결제하는 경우, 해당 상품의 판매자로부터 획득된 답변 내용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S250 단계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로부터 S240 단계에서 제공된 하나 이상의 상품 중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얻는 경우, 특정 상품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고, 결제 프로세스를 통해 제1 작업자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이 결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작업자에게 특정 상품에 대한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상품에 대한 권한은 특정 상품에 대한 로드 권한, 수정 권한, 삭제 권한 및 신규 내용 추가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작업자 각각의 작업물 및 작업물에 사용된 하나 이상의 소스 각각을 작업자의 자산으로서 상품화하고, 이를 등록하되, 복수의 작업자 각각으로부터 해당 상품의 이용 권한 범위를 설정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상품의 원작자인 제1 작업자가 해당 상품의 신규 내용 추가 권한만을 부여한 경우,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다른 작업자들이 해당 상품에 신규 내용을 추가하는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상품의 내용을 임의적으로 수정 및 삭제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로부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이 결제되는 경우, 제1 상품에 대한 권한을 제1 작업자에게 부여할 수 있고,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을 제1 상품의 판매자인 제2 작업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이후,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3 작업자로부터 제2 상품(제1 작업자가 제1 상품을 이용하여 생성한 신규 작업물을 상품화함에 따라 생성된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이 결제되는 경우, 제2 상품에 대한 권한을 제3 작업자에게 부여할 수 있고, 제2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제1 작업자와 제2 작업자에게 분할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작업자와 제2 작업자에게 구매 비용을 분할 지급하기 위한 소정의 비율(예: 수익 분배 비율)은 제2 상품에 대응하는 작업물을 생성함에 있어서 제1 상품이 사용된 비율(예컨대, 제2 상품 내에서 제1 상품이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가 제1 상품에 신규 내용을 추가하여 신규 작업물을 생성함에 따라 신규 작업물 내에서 제1 상품이 차지하는 비율이 70%인 경우, 제1 작업자와 제2 작업자의 수익 분배 비율을 7:3으로 설정할 수 있고, 신규 작업물을 상품화함에 따라 생성된 제2 상품을 통해 수익이 발생되는 경우, 발생된 수익을 제1 작업자와 제2 작업자에게 7:3 비율로 분할 지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로부터 제3 상품(예: 서로 다른 복수의 작업물을 포함하는 하나의 프로젝트를 상품화함에 따라 생성된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이 결제되는 경우, 제1 작업자에게 제3 상품에 대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고, 제3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작업물 각각을 작업한 서로 다른 복수의 작업자에게 분할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복수의 작업자에게 구매 비용을 분할 지급하기 위한 소정의 비율(예: 수익 분배 비율)은 하나의 프로젝트 내에서의 서로 다른 복수의 작업물 각각에 대한 중요도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하나의 프로젝트를 총괄 관리하는 담당자로부터 하나의 프로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작업 각각에 대한 중요도(또는 우선순위)를 설정받을 수 있고, 복수의 작업 각각에 대한 중요도에 기초하여, 하나의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상품을 판매할 경우의 수익 분배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작업 각각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작업 각각을 수행한 작업자들에 대한 수익 분배 비율을 결정하되, 복수의 작업자들의 작업 수행 이력(예컨대, 작업 완료 순서, 기한 준수 여부 등)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작업 각각에 대한 중요도를 보정할 수 있으며, 보정된 중요도를 이용하여 복수의 작업 각각을 수행한 작업자들에 대한 수익 분배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로부터 S240 단계에서 제공된 하나 이상의 상품 중 특정 상품에 대한 대여 요청을 얻는 경우, 특정 상품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고, 제1 작업자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대여 비용이 결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작업자에게 특정 상품에 대한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작업자가 특정 상품에 대한 대여 비용을 결제함으로써 제1 작업자에게 부여되는 권한은 제1 작업자가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을 결제함으로써 제1 작업자에게 부여되는 권한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이 결제되는 경우 특정 상품에 대한 이용, 수정, 삭제 및 신규 추가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반면, 제1 작업자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대여 비용이 결제되는 경우 소정의 기간(대여 기간) 동안의 특정 상품에 대한 이용 권한만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가 대여한 특정 상품에 대한 대여가 종료되는 경우, 특정 상품에 대한 대여 기간의 연장을 질의할 수 있으며, 제1 작업자가 대여 기간 연장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지 않는 경우, 특정 상품을 대여함에 따라 제1 작업자에게 부여된 이용 권한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가 대여한 특정 상품을 이용하여 신규 작업물을 생성한 이후에 제1 작업자가 대여 기간 연장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지 않는 경우, 제1 작업자의 신규 작업물에서 특정 상품을 제외시킬 수 있다. 예컨대,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가 대여한 특정 상품이 음악 콘텐츠인 경우, 제1 작업자가 대여한 특정 상품의 대여 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신규 작업물에서 음악 콘텐츠를 제외시키거나 음악 콘텐츠가 재생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가 대여한 특정 상품이 영상(동영상 또는 이미지) 콘텐츠인 경우, 제1 작업자가 대여한 특정 상품의 대여 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신규 작업물에서 영상 콘텐츠가 제외시키거나, 영상 콘텐츠를 블러, 모자이크 처리하거나 또는 영상 콘텐츠 상에 워터마크 등 표식을 삽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을 이용하여, 복수의 작업을 포함하는 하나의 프로젝트를 총괄 담당하는 담당자에게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을 이용하여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작업자를 선정하고, 선정된 작업자에게 특정 작업이 할당하거나, 선정된 작업자에 대한 정보를 담당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담당자가 적합한 작업자에게 작업을 할당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일례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담당자가 특정 작업을 포함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특정 작업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태그를 포함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인 특정 작업자에게 특정 작업을 할당하거나, 특정 작업자에 대한 정보를 담당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작업자에게 특정 작업이 할당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때,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태그를 포함하는 상품이 둘 이상이고, 둘 이상의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상이한 경우 즉,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작업자가 둘 이상 검색되는 경우, 둘 이상의 작업자 각각의 상품 판매 이력(예: 특정 작업과 관련된 상품의 개수, 특정 작업과 관련된 상품의 판매 횟수 등)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작업자 각각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점수가 가장 높은 작업자에게 특정 작업을 할당하거나, 산출된 점수가 가장 높은 작업자에 대한 정보를 담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을 이용하여 특정 작업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작업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 작업을 할당받은 특정 작업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작업물을 생성한 경우, 특정 작업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태그를 포함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상품과 작업물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유사도에 기초하여 특정 작업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작업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제1 작업자가 제1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제1 작업물을 생성한 경우,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제1 작업과 동일한 종류의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작업물에 대응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선택한 상품과 제1 작업물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1 작업자가 제1 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산출된 유사도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1 작업자가 제1 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작업자들 간의 협업을 위한 협업 솔루션 제공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간단한 설명을 위해 작업자들 간의 협업을 위한 협업 솔루션 제공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시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새로운 블록이 추가되거나, 일부 블록이 삭제 또는 변경된 상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10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들 간의 협업을 위한 협업 솔루션 제공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서,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또는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20), 버스(130), 통신 인터페이스(140) 및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서(11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5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 컴퓨터 프로그램(151)이 로드되면, 프로세서(110)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30)는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3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150)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비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100)를 통해 작업자들 간의 협업을 위한 협업 솔루션 제공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우, 스토리지(150)는 작업자들 간의 협업을 위한 협업 솔루션 제공 프로세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5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1)은 메모리(120)에 로드될 때 프로세서(110)로 하여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151)은 복수의 작업자가 하나의 프로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작업 각각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복수의 작업물 각각의 원본 데이터를 복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각각에 저장된 복수의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 및 복수의 작업물 각각의 원본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제1 작업자로부터 제2 작업자가 생성한 제2 작업물에 대한 제공 요청을 얻는 단계 및 제2 작업물에 대한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제2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 및 제2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의 작업자들 간의 협업 솔루션 제공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협력 솔루션 제공 서버
201A, 202A, 203A, 204A : 작업자 단말
201B, 202B, 203B, 204B : 데이터베이스
300 : 외부 서버
400 : 네트워크

Claims (1)

  1. 복수의 작업자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복수의 작업자 각각이 복수의 작업 각각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복수의 작업물 - 상기 복수의 작업물은 영상 콘텐츠를 포함함 - 각각의 원본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각각에 저장된 복수의 작업물에 대한 메타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작업물 각각의 원본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만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협업 솔루션 제공 서버는,
    특정 작업자에게 제1 작업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특정 작업자와 매칭된 데이터베이스 상에 제1 저장공간을 생성하여 상기 할당된 제1 작업과 매칭하고,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할당된 제1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제1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제1 저장공간에 저장하고,
    상기 특정 작업자에게 상기 제1 작업과 연관되지 않은 제2 작업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특정 작업자와 매칭된 데이터베이스 상에 제2 저장공간을 생성하여 상기 할당된 제2 작업과 매칭하고,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할당된 제2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제2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제2 저장공간에 저장하며,
    상기 특정 작업자에게 상기 제1 작업과 연관된 제3 작업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할당된 제3 작업과 상기 생성된 제1 저장공간을 매칭하고, 상기 특정 작업자가 상기 할당된 제3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제3 작업물의 원본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제1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특정 작업자로부터 제1 프로젝트, 상기 제1 프로젝트에 포함된 제1 작업물 및 제1 소스 - 상기 제1 소스는 상기 제1 작업물 생성에 사용된 재료인 캐릭터, 소품, 환경 및 차량을 포함하는 객체, 이미지, 영상 및 캐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에 대한 상품화 요청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객체와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간의 제1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유사도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상품을 생성하며, 상기 산출된 제1 유사도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중 상기 산출된 제1 유사도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작업자에게 상기 객체에 대한 보완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특정 작업자로부터 수행된 제2 프로젝트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2 프로젝트, 상기 제2 프로젝트에 포함된 제2 작업물 및 제2 소스 - 상기 제2 소스는 상기 제2 작업물 생성에 사용된 재료인 캐릭터, 소품, 환경 및 차량을 포함하는 객체, 이미지, 영상 및 캐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와 상기 기 등록된 복수의 상품 간의 제2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2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프로젝트, 상기 제2 작업물 및 상기 제2 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상품화 후보로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상품화 후보에 관한 정보를 상기 특정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 작업자로부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이 결제되는 경우, 상기 제1 작업자에게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권한 -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권한은 상기 제1 상품의 이용, 추가, 수정 및 삭제 권한을 포함함 - 을 부여하고, 상기 제1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을 상기 제1 상품의 판매자인 제2 작업자에게 지급하고,
    제3 작업자로부터 제2 상품 - 상기 제2 상품은 상기 제1 작업자가 상기 제1 상품을 기반으로 생성한 신규 작업물을 상품화함에 따라 생성된 것임 - 에 대한 구매 비용이 결제되는 경우, 상기 제3 작업자에게 상기 제2 상품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2 상품에 대한 구매 비용을 소정의 비율에 따라 상기 제1 작업자와 상기 제2 작업자에게 분할 지급하되,
    상기 소정의 비율은 상기 제2 상품에 대응하는 작업물을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품이 사용된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를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0220127561A 2022-07-07 2022-10-06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639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561A KR102639134B1 (ko) 2022-07-07 2022-10-06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504A KR102453579B1 (ko) 2022-07-07 2022-07-07 작업자들 간의 협업을 위한 협업 솔루션 제공시스템
KR1020220127561A KR102639134B1 (ko) 2022-07-07 2022-10-06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504A Division KR102453579B1 (ko) 2022-07-07 2022-07-07 작업자들 간의 협업을 위한 협업 솔루션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044A KR20240007044A (ko) 2024-01-16
KR102639134B1 true KR102639134B1 (ko) 2024-02-21

Family

ID=835998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504A KR102453579B1 (ko) 2022-07-07 2022-07-07 작업자들 간의 협업을 위한 협업 솔루션 제공시스템
KR1020220127561A KR102639134B1 (ko) 2022-07-07 2022-10-06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504A KR102453579B1 (ko) 2022-07-07 2022-07-07 작업자들 간의 협업을 위한 협업 솔루션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53579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517B1 (ko) 2009-04-01 2012-01-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협업프로젝트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101356191B1 (ko) * 2011-12-23 2014-01-27 학교법인 서강대학교 네트워크를 이용한 협업 프로젝트 수행 시스템 및 방법
KR102307517B1 (ko) * 2019-09-17 2021-09-30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기반 상품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220046378A (ko) *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바람 다수의 작업자들 간의 협업 솔루션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20046379A (ko) *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바람 영상 콘텐츠 제작에 특화된 복수 주체 간 협업 솔루션 제공방법
KR20220046380A (ko) *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바람 콘텐츠 자산 분류 및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579B1 (ko) 2022-10-14
KR20240007044A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Context-aware risk management for architectural heritage using historic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virtual reality
US7574379B2 (en) Method and system of using artifacts to identify elements of a component business model
US9026984B2 (en) Integrated design application system
US20220044289A1 (en) Document term recognition and analytics
US119664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bining data analyses
US201600047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rporate data
KR101914620B1 (ko) 빅데이터 및 기계학습을 이용한 자동 분개 수행 방법 및 이를 실현하는 서버
US11921737B2 (en) ETL workflow recommendation device, ETL workflow recommendation method and ETL workflow recommendation system
Huang et al. Research status and challenges of data-drive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in the big data context
CN103026334A (zh) 数据分类
US20130006888A1 (en) Autotagging Business Processes
KR20220046380A (ko) 콘텐츠 자산 분류 및 관리시스템
KR102153259B1 (ko) 데이터 도메인 추천 방법 및 추천된 도메인을 이용하여 통합 데이터 저장소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
KR102547033B1 (ko) 키워드 인식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N117273018A (zh)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639134B1 (ko)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다수의 작업자들을 위한 협업 서비스 제공시스템
US202204056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project by using data merging
US20190347595A1 (en) Automated analysis of digital production data for improved production efficiency
KR20220046378A (ko) 다수의 작업자들 간의 협업 솔루션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20046379A (ko) 영상 콘텐츠 제작에 특화된 복수 주체 간 협업 솔루션 제공방법
US20140149186A1 (en) Method and system of using artifacts to identify elements of a component business model
US20140279132A1 (en) Buyer assignment for requisitions lines
KR102668394B1 (ko) 다수의 작업자들 간의 협업 솔루션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Ribeiro et al. Improving productive processes using a process mining approach
Mahalle et al. Data-Centric A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