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655B1 -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655B1
KR102143655B1 KR1020200003364A KR20200003364A KR102143655B1 KR 102143655 B1 KR102143655 B1 KR 102143655B1 KR 1020200003364 A KR1020200003364 A KR 1020200003364A KR 20200003364 A KR20200003364 A KR 20200003364A KR 102143655 B1 KR102143655 B1 KR 102143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gas
dioxide gas
unit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준배
탁현우
Original Assignee
탁준배
에이비씨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준배, 에이비씨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탁준배
Priority to KR1020200003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C01B11/023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 C01B11/024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from chlor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염소산염 수용액 또는 아염소산염 (안정화 이산화염소) 겔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발생되는 이산화염소 가스(Chlorine dioxide, ClO2)를 외부로 배출하여 살균 및 소독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형을 이루며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하는 반응부재를 수납하는 약제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에 탈착 가능한 약제부와, 상기 반응부재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상기 반응부재로부터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광원부와,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부와, 상기 약제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부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와 상기 약제부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혼합하는 가스에어 혼합부 및 상기 가스 혼합부를 통해 외부 공기와 이산화염소 가스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약제부와 상기 가스에어 혼합부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DISINFECTION APPARATUS USING CHLORINE DIOXIDE GAS}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염소산염 수용액 또는 아염소산염 (안정화 이산화염소라고도 함) 겔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발생되는 저농도 이산화염소 가스(Chlorine dioxide, ClO2)를 외부로 배출하여 살균 및 소독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작업 또는 생활하는 생활공간의 공기 중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진균, 그 외의 세균, 잡균 등이 혼입되기 쉽다. 최근에는 신형 인플루엔자의 유행이나, 곰팡이 등을 원인으로 하는 알레르기 등의 건강 면에 대한 영향이 염려되고 있다. 특정공간의 공기를 살균 소독 및 탈취하기 위한 장치는 다양하지 않으며, 대부분 인체에 유해할 수도 있는 소독약을 뿌리는 등 실질적인 방역에 문제와 한계가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가정용, 기업용, 의료용 등의 각종 공기청정기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청정기도 넓은 공간을 가지는 장소에서는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공기 중의 바이러스, 세균 등을 멸균하는 수단으로서, 이산화염소 가스를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산화염소는 강한 살균력, 탈취 및 표백력을 갖는다. 기존의 살균제나 소독제로 사용되는 염소는 트리할로메탄과 같은 발암물질이 생성되는 문제가 있지만, 상기 이산화염소의 경우에는 발암물질 생성과 같은 문제점을 갖지 않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산화염소는 대체 살균제로, 또 염소계 소독제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로 주목받고 있으며, 공간의 살균을 위한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도 다양한 형태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전기분해 장치를 이용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전기분해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장치의 구성이 커지고 시스템이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2056호(2012.08.20.,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산화염소를 포함하는 반응부재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함으로써 보조적인 화학제 및 복잡한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 간편한 구성으로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부재에 일정량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일정 농도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지속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살균 및 소독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는, 외형을 이루며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하는 반응부재를 수납하는 약제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에 탈착 가능한 약제부와, 상기 반응부재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상기 반응부재로부터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광원부와,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부와, 상기 약제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부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와 상기 약제부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혼합하는 가스에어 혼합부 및 상기 가스에어 혼합부를 통해 외부 공기와 이산화염소 가스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약제부와 상기 가스에어 혼합부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는, 상기 흡기부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스에어 혼합부가, 도넛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도록 회전반경을 따라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약제부를 향해 상기 유로의 저면이 개구된 가스 유입로를 구비하는 가스 혼합부재와, 일단이 상기 가스 혼합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흡기부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가스 혼합부재 내로 유입하는 흡기부재 및 일단이 상기 가스 혼합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배기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 혼합부재에서 생성된 상기 혼합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가스 배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부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가스는 개구된 가스 유입로를 통해 상기 가스 혼합부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는, 상기 흡기부가 상기 광원부와 상기 약제부의 사이에 1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가스에어 혼합부는 중공 형태로 이루어지고, i) 상기 약제부 및 흡기부를 향해 개구되어 가스 및 외부 공기를 흡기하여 타단에 연결된 가스 혼합부재로 공급하는 흡기부재; ii) 상기 흡기된 가스 및 외부 공기를 혼합하는 가스 혼합부재; 및 ii) 일단이 상기 가스 혼합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배기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 혼합부재에서 생성된 혼합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가스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는, 상기 광원부의 상단에 방열판이 구비되어 있어 광원부(예컨대, LED 또는 램프)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판은 상기 흡기 부재를 통해 흡기되는 외부 공기 및 발생된 이산화염소 가스에 의해 냉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외부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는, 상기 광원부가 200nm 내지 400nm 범위의 파장을 가진 자외선을 출력하는 자외선 LED 또는 자외선 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약제부에는 아염소산 수용액, 또는 아염소산 겔이 장착될 수 있으며, 아염소산 수용액인 경우에는 광원부에서 조사하는 자외선의 파장이 200nm 내지 400nm, 보다 구체적으로는 250nm 내지 400nm, 300nm 내지 4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염소산 겔인 경우에는 광원부에서 조사하는 자외선의 파장이 200nm 내지 28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는, 상기 광원부가 상기 가스에어 혼합부의 중앙에서, 상기 약제용기를 향해 하부 방향으로 광선이 조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가 설정된 범위 미만이면 상기 광원부가 스위치-온(switch-on)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광원부가 스위치-오프(switch-off)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는, 상기 가스 배기부가 상기 외부 공기와 이산화염소 가스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fan)을 포함하고, 상기 팬의 동작에 의해 상기 약제부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가스는 상기 가스에어 혼합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개구부에 제 1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약제용기의 상단에는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서로 연동하는 제 2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고정부재 및 제 2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약제부가 상기 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는, 상기 제 1 고정부재 및 제 2 고정부재는 자성을 가지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자력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제 2 고정부재가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는, 상기 약제용기에 수납되는 반응부재가 일정 수분을 함량하고 있으며 용융상태, 반고형물 상태 또는 고형물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는, 상기 반응부재가 아염소산염 (안정화 이산화염소)을 0.9% 내지 10%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는, 제어부를 연결하면 2 이상의 본 발명의 소독 장치를 연결하여 다수의 장치를 일시에 조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넓은 면적을 소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에 따르면, 아염소산염(안정화 이산화염소)을 포함하는 반응부재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함으로써 보조적인 화학제 및 복잡한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 간편한 구성으로 저농도 이산화염소 가스를 연속하여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부재에 일정량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일정 농도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지속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살균 및 소독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에 의해 생산된 이산화염소 가스는 높은 살균 및 탈취 능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장치에는 감지기가 구비되어 자외선을 on/off 시키면서 가스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산업 현장에서 이용시 상시 종사자에 대한 안전기준(0.1 ppm) 이하의 저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의 작동만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소독이 이루어졌음을 예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사자에 대한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를 이루는 가스에어 혼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를 이루는 가스에어 혼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10)는 몸체부(100), 흡기부(110), 가스에어 혼합부(120), 약제부(130), 반응부재(140), 광원부(150), 배기부(160), 센서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도록 외형을 이루고 있으며, 후술하는 가스에어 혼합부(120)와 약제부(130)가 서로 연통되도록 개구부(101)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후면 일측에는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할 수 있도록 흡기부(110)가 구비된다. 흡기부(110)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 등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스에어 혼합부(120)는, 도 4를 참조하면, 외형이 도넛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도록 회전반경을 따라 유로(122)가 형성되는 가스 혼합부재(121)와, 일단이 이 가스 혼합부재(121)에 연결되고 타단이 흡기부(1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외부 공기를 가스 혼합부재(121) 내로 유입할 수 있는 흡기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스에어 혼합부(120)는 흡기부재(124)가 배치되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일단이 가스 혼합부재(121)에 연결되며 타단이 후술하는 배기부(160)에 연결되어 가스에어 혼합부(120)에서 생성된 혼합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가스 배출부재(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혼합부재(121)에는 약제부(130)를 향해 유로(122)의 저면이 개구된 가스 유입로(123)를 구비함으로써 약제부(130)에서 발생되는 혼합 가스가 가스 유입로(123)를 통해 가스 혼합부재(121)로 유입될 수 있다.
소독 및 살균 작용에 이용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도록 가스에어 혼합부(120)의 하단에는 약제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제부(13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약제용기(13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약제용기(131)의 내부에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하는 반응부재(140)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몸체부(100)에 형성된 개구부(101)를 기준으로 몸체부(100)의 내측에는 제 1 고정부재(102)가 구비되고, 제 1 고정부재(102)의 상측에 가스 혼합부재(121)의 하측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약제용기(131)의 상단에는 제 1 고정부재(102)와 연동하는, 즉 결합과 탈착이 용이한 제 2 고정부재(13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약제용기(131)의 상측은 가스 혼합부재(121)의 하측, 즉 가스 유입로(123)와 연결되고 이러한 구성을 통해 약제부(130)에서 발생되는 혼합 가스가 가스 유입로(123)를 통해 가스 혼합부재(121)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고정부재(102)와 제 2 고정부재(132)는 자성을 가지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자력에 의해 제 1 고정부재(102)와 제 2 고정부재(132)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서로 스크류 결합하는 방법이나 억지 끼움 방법 등 다양한 형태의 결합 방법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광원부(150)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스에어 혼합부(120)의 중앙, 즉 가스 혼합부재(121)의 중앙 하단에 배치되어 약제용기(131)에 수납된 반응부재(140)를 향해 하부 방향으로 광원,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광선이 조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반응부재(140)는 광원부(15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광선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자외선 광선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를 생성하는 반응부재는 일정 수분을 함량하고 있으며 용융상태, 반고형물 상태 또는 고형물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반응부재(140)는 아염소산염(안정화 이산화염소)을 0.9% 내지 10%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50)는 자외선 광원을 출력할 수 있도록 자외선 LED 또는 자외선 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원부(150)는 자외선 영역으로부터 가시광선 영역까지 사용 가능하지만, 반응부재(140)로서 아염소산 염(안정화 이산화염소) 겔을 사용하는 경우, 겔의 표면에서 점증적으로 고르게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투과력이 약한 자외선, 특히 자외선 파장이 200nm 내지 400nm의 파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파장이 320nm 이상인 경우, 아염소산 염(안정화 이산화염소) 겔의 깊숙히 자외선이 작용하면서 초기에는 많은 가스가 발생하는 반면, 점차 이산화염소 가스의 발생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일정량의 이산화염 가스의 농도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원부(150)는 200nm 내지 400nm의 파장이 출력되도록 자외선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일단이 가스 혼합부재(121)에 연결되는 가스 배출부재(125)의 타단은 몸체부(100) 상부 일측에 형성된 배기부(16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배기부(160)를 통해 가스 혼합부재(121)에서 생성된 혼합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배기부(16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팬(fan)(161)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약제부(13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가스의 경우, 비중이 1.6으로 일반 공기의 비중 1.0보다 크기 때문에 상방향으로 이동이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팬(161)의 동작에 의해 혼합 가스의 배출뿐만 아니라 약제부(130)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가스에어 혼합부(1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10)에서는 소독 장치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이동을 위해 팬(161)을 구비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이산화염소 가스의 이동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에어 펌프 등 다양한 장치를 채용할 수도 있다.
몸체부(100)의 일측, 구체적으로 전면 하단에는 공기 중의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170)는 전기화학식, 반도체 소자센서, 광센서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배기부(160)의 위치와 이격 시켜 배치함으로써 배출되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외부 공기에 존재하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10)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0) 및 소독 장치(1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패널(18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81)을 통해 입력되는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소독 장치(10)의 동작,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동작 시간 설정, 배출되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센서부(170)에서 측정되는 공기 중의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가 설정된 범위 미만이면 광원부(150)의 출력을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측정된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광원부(150)의 출력이 감소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일정 농도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특징 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는 자외선 광원의 출력을 조절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를 저농도, 예를 들어, 0.01 내지 1.0ppm 수준으로 발생시키고, 장시간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소독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소독 장치
100 : 몸체부 110 : 흡기부
120 : 가스에어 혼합부 130 : 약제부
140 : 반응부재 150 : 광원부
160 : 배기부 170 : 센서부
180 : 제어부 190 : 전원 공급부

Claims (12)

  1. 외형을 이루며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이산화염소 가스(Chlorine dioxide, ClO2)를 발생하는 반응부재를 수납하는 약제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에 탈착 가능한 약제부;
    상기 반응부재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상기 반응부재로부터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광원부;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부;
    상기 약제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부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와 상기 약제부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가스를 혼합하는 가스에어 혼합부; 및
    상기 가스에어 혼합부를 통해 외부 공기와 이산화염소 가스가 혼합된 혼합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약제부와 상기 가스에어 혼합부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는 상기 광원부와 상기 약제부의 사이에 1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가스에어 혼합부는 중공 형태로 이루어지고, i) 상기 약제부 및 흡기부를 향해 개구되어 가스 및 외부 공기를 흡기하여 타단에 연결된 가스 혼합부재로 공급하는 흡기부재; ii) 상기 흡기된 가스 및 외부 공기를 혼합하는 가스 혼합부재; 및 iii) 일단이 상기 가스 혼합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배기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 혼합부재에서 생성된 혼합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가스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200nm 내지 400nm 범위의 파장을 가진 자외선을 출력하는 자외선 LED 또는 자외선 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가스에어 혼합부의 중앙에서, 상기 약제용기를 향해 하부 방향으로 광선이 조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가 설정된 범위 미만이면 상기 광원부가 스위치-온(switch-on)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광원부가 스위치-오프(switch-off)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혼합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fan)을 포함하고,
    상기 팬의 동작에 의해 상기 약제부에서 발생된 이산화염소 가스는 상기 가스에어 혼합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개구부에는 제 1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약제용기의 상단에는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서로 연동하는 제 2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고정부재 및 제 2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약제부가 상기 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재 또는 제 2 고정부재는 자성을 가지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자력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제 2 고정부재가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용기에 수납되는 반응부재는, 일정 수분을 함량하고 있으며 용융상태, 반고형물 상태 또는 고형물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재는 아염소산염을 0.9% 내지 10%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KR1020200003364A 2020-01-09 2020-01-09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KR102143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364A KR102143655B1 (ko) 2020-01-09 2020-01-09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364A KR102143655B1 (ko) 2020-01-09 2020-01-09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655B1 true KR102143655B1 (ko) 2020-08-11

Family

ID=7204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364A KR102143655B1 (ko) 2020-01-09 2020-01-09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6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863B1 (ko) 2021-04-19 2021-10-19 주식회사 엔에이치 휴대용 살균가스 발생장치
WO2022197102A1 (ko) * 2021-03-16 2022-09-22 탁준배 이산화염소 제조방법 및 장치
KR20220130984A (ko) * 2021-03-19 2022-09-27 김동욱 실내 소독 장치용 제어 장치
CN117427198A (zh) * 2023-12-21 2024-01-23 吉林省百皓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二氧化氯消毒因子的消毒箱及消毒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492A (ja) * 2000-05-02 2001-11-13 San Seal:Kk 脱臭殺菌性ガス供給手段を具備する空調装置類
JP2004057352A (ja) * 2002-07-26 2004-02-26 Meiko Denki Kk 消臭・滅菌ガス発生装置
KR20090016747A (ko) * 2009-01-02 2009-02-17 한국돌기 주식회사 조류 질환을 야기하는 공기 중의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밀폐된 조류 사육장용 공기 정화 방법
JP3163004U (ja) * 2010-07-14 2010-09-24 株式会社ファーマ研究所 気化成分放散容器
KR20120092056A (ko) 2011-02-09 2012-08-20 (주)엘켐텍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을 위한 전기분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간 살균 시스템
KR101465563B1 (ko) * 2013-08-26 2014-11-26 (주)옥시테라피 습윤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KR101527883B1 (ko) * 2013-04-17 2015-06-10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엠아이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 및 의료기구용 멸균박스
KR101847710B1 (ko) * 2016-05-09 2018-04-10 최영철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492A (ja) * 2000-05-02 2001-11-13 San Seal:Kk 脱臭殺菌性ガス供給手段を具備する空調装置類
JP2004057352A (ja) * 2002-07-26 2004-02-26 Meiko Denki Kk 消臭・滅菌ガス発生装置
KR20090016747A (ko) * 2009-01-02 2009-02-17 한국돌기 주식회사 조류 질환을 야기하는 공기 중의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밀폐된 조류 사육장용 공기 정화 방법
JP3163004U (ja) * 2010-07-14 2010-09-24 株式会社ファーマ研究所 気化成分放散容器
KR20120092056A (ko) 2011-02-09 2012-08-20 (주)엘켐텍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을 위한 전기분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간 살균 시스템
KR101527883B1 (ko) * 2013-04-17 2015-06-10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엠아이 이산화염소가스 발생장치 및 의료기구용 멸균박스
KR101465563B1 (ko) * 2013-08-26 2014-11-26 (주)옥시테라피 습윤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KR101847710B1 (ko) * 2016-05-09 2018-04-10 최영철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7102A1 (ko) * 2021-03-16 2022-09-22 탁준배 이산화염소 제조방법 및 장치
KR20220129410A (ko) 2021-03-16 2022-09-23 탁준배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KR102603501B1 (ko) * 2021-03-16 2023-11-17 탁준배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KR20220130984A (ko) * 2021-03-19 2022-09-27 김동욱 실내 소독 장치용 제어 장치
KR102615175B1 (ko) * 2021-03-19 2023-12-19 김동욱 실내 소독 장치용 제어 장치
KR102314863B1 (ko) 2021-04-19 2021-10-19 주식회사 엔에이치 휴대용 살균가스 발생장치
CN117427198A (zh) * 2023-12-21 2024-01-23 吉林省百皓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二氧化氯消毒因子的消毒箱及消毒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655B1 (ko)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KR101847710B1 (ko)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US20160101202A1 (en) System for Sterilizing Objects Utilizing Germicidal UV-C Radiation and Ozone
CN107921156B (zh) 具有选择性地在设备的内部和外部进行不同消毒模式的配置的杀菌设备
JP5469281B2 (ja) オゾン分解器
US20170368220A1 (en) Devices for disinfection, deodorization, and/or sterilization of objects
JPH10511572A (ja) 流体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TW200902099A (en) Method of sterilizing
KR20100011542U (ko) 살균수 분무 장치
KR20070013691A (ko) 사람 소독 장치
KR100753056B1 (ko) 구급차용 소독장치
KR20150000852U (ko) 도어 핸들용 손 살균장치
JP3195890U (ja) 靴用殺菌装置
KR20220031533A (ko) 실내 공기 살균 및 정화 장치
JP2011101748A (ja) 紫外線ランプを用いた殺菌・脱臭装置
US20240033386A1 (en) A disinfection system, method and chamber thereof
JP2009240697A (ja) 除菌消臭ユニット及び除菌消臭機能付き暖房装置
GB2499687A (en) Disinfecting medical device with atmospheric plasma generator
JP2005342314A (ja) 殺菌装置
JP3056584B2 (ja) 水殺菌装置および超音波加湿機
KR20120106028A (ko) 평면형태의 대기압 공기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형의 다용도 멸균소독기
KR102615175B1 (ko) 실내 소독 장치용 제어 장치
KR20210123071A (ko) 자외선 공기 살균장치
KR200362238Y1 (ko) 살균 탈취 쓰레기통
TWM500101U (zh) 次氯酸殺菌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