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501B1 -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501B1
KR102603501B1 KR1020210034298A KR20210034298A KR102603501B1 KR 102603501 B1 KR102603501 B1 KR 102603501B1 KR 1020210034298 A KR1020210034298 A KR 1020210034298A KR 20210034298 A KR20210034298 A KR 20210034298A KR 102603501 B1 KR102603501 B1 KR 102603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lorine dioxide
dioxide gas
drug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9410A (ko
Inventor
탁준배
Original Assignee
탁준배
에이비씨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준배, 에이비씨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탁준배
Priority to KR1020210034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501B1/ko
Priority to PCT/KR2022/003700 priority patent/WO2022197102A1/ko
Publication of KR2022012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일정 농도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원하는 시간 동안 발생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안전하면서도 소독 효능이 뛰어나므로, 감염성 병원체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병/의원과 같은 공간 및 공간 내 장비의 소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Device for manufacturing Chlorine dioxide}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독방법에 있어서 이산화염소 가스는 식품에 첨가 가능한 안전한 살균제이며 산화과정에서 부산물 발생도 없어 장기 노출 사용자에게도 안전하고 이상적인 살균제이다. 다만, 이산화염소 가스는 3% 이상의 농도에서 폭발하며, 상온에서 빠르게 분해되어 보관이 어렵기 때문에 현장에서 직접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산화염소 가스를 제조하는 널리 알려진 방법들 중 전기분해 방법은 제조단가가 비싸고 기계장치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으며 잔류물의 처리도 번거롭다. 또한, 아염소산나트륨에 산을 첨가하는 방식은 이산화염소 가스가 발생하면서 고온의 격렬한 반응이 일어나고, 반응속도를 정량적으로 조절할 수 없어 가스 발생량을 통제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산 첨가 방식은 원료인 아염소산나트륨과 산, 두가지 물질을 수용액 형태로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보관에 많은 주의가 필요하고 안전성이 낮다.
한편, 자외선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가스의 발생 방법은 공급되는 전구체 겔 자체도 위험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의도한대로 자외선을 온/오프(on/off) 조절, 자외선의 세기를 조절하면 이산화염소 생산량을 조절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한편, 최근 다양한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다제내성 병원균(소위 '슈퍼박테리아')이 생겨나며 인류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잦은 살균제와 항생제, 농축산 분야에서 과도한 항생제의 사용은 세균의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키워 치료약이 없는 슈퍼박테리아의 출현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슈퍼박테리아의 출현은 특히 병/의원의 감염병 관리에 있어 큰 문제를 야기한다. 첫째로는 기존의 소독방법으로는 저항성 세균을 전부 제거하지 못한다는 점이고, 둘째로는 저항성이 없는 세균도 저항성 세균과 만나면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수평 복제함으로써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획득한다는 점에 있다. 이에 따라, 슈퍼박테리아로 인한 감염병 관리를 위해서는 항생제가 아닌 내성이 발생하지 않는 소독제를 사용하여야 하며, 소독시 누락되는 공간이 없어야 하며, 수시로 소독을 수행하여야 하는 종사자에게 장기적으로 안전해야 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가스는 오존의 비중인 2.4보다 가벼운 1.6의 비중을 가지므로, 소독시 누락되는 공간이 없이 소독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기존의 공기 중에 훈증 확산하는 소독 방법은 정성적인 의미로 멸균을 시도하지만 훈증 소독 중에 소독제의 농도를 안전기준 범위 내에서 통제하기 어렵고, 소독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매번 배양 시험을 하여야만 확인이 가능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3655호(2020.08.05. 등록)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 농도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 안전하면서도 소독 효능이 우수한 소독 장치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구성의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광원부; 상기 자외선 광원부를 냉각하기 위한 방열부; 약제 장착부; 흡기부; 및 배기부.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광원부;
상기 자외선 광원부를 냉각하기 위한 방열부;
약제 장착부;
흡기부; 및
배기부.
상기 자외선 광원부는 자외선 또는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선을 발광하는 것으로, 상기 자외선의 파장은 200nm 내지 400nm, 보다 구체적으로는 250nm 내지 400nm, 300nm 내지 4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구체적으로는 200nm 내지 280nm, 220 내지 280 nm, 230 내지 280 nm, 240 내지 280 nm, 250 내지 280 nm, 260 내지 280 nm, 220 내지 270 nm, 230 내지 270 nm, 240 내지 270 nm, 250 내지 270 nm, 260 내지 270 nm, 220 내지 260 nm, 230 내지 260 nm, 240 내지 260 nm, 또는 250 내지 260 nm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광원부는 자외선 LED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외선 광원부는 자외선을 상기 약제 장착부에 장착된 약제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시킨다.
상기 자외선 광원부는 동작 중에 자외선이 장치의 외부로 조사되지 않고, 약제 장착부에 장착된 약제에만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자외선 광원의 각도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광원부는 장치의 상부에 구비되어 약제 장착부가 위치한 하방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서 사용되는 약제는 아염소산염을 포함하는 겔, 액체, 또는 고체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아염소산염을 포함하는 겔이다.
상기 아염소산염은 아염소산 알칼리금속염이나 아염소산 알칼리토금속염을 들 수 있다. 아염소산 알칼리금속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염소산 나트륨, 아염소산 칼륨, 아염소산 리튬을 들 수 있고, 아염소산 알칼리토금속염으로서는, 아염소산 칼슘, 아염소산 마그네슘, 아염소산 바륨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입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아염소산 나트륨, 아염소산 칼륨이 바람직하고, 아염소산 나트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 아염소산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아염소산 나트륨을 포함하는 겔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자외선 광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자외선 광원부에서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안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 및 상기 배기부는 상기 장치의 본체 외벽에 위치한다. 상기 흡기부는 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고, 흡인된 공기는 장치 내부를 통하여 상기 배기부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흡기부, 배기부, 또는 흡기부 및 배기부는 공기를 흡인 또는 배출하기 위한 팬(fan) 또는 에어 펌프를 구비한다.
상기 흡인된 공기는 상기 자외선 광원부에서 상기 약제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발생된 이산화염소 가스와 혼합되어 배기부를 통하여 배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기부로 흡인된 공기는 자외선 광원부 및 약제 장착부 사이의 공간을 통과한 후 상기 방열판을 지나 배기부로 배출된다. 상기 자외선 광원부에서 약제 장착부에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이산화염소가 발생하면 흡기부에서 흡인된 공기와 함께 배기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광원부는 자외선 조사가 지속되면 고온의 열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는 약 60℃ 이상의 열에 의해 분해가 촉진되고, 자외선 광원부에 고온의 열이 냉각되지 않으면 자외선 광원부의 소모가 신속하게 일어나고, 자외선 광원부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장치의 방열판은 자외선 광원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냉각시켜 생성된 이산염소의 분해를 방지하고, 자외선 광원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교체시기를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장치에 흡인된 공기는 자외선 광원부의 배면에 구비된 방열판을 지남으로써 공기에 흐름에 따라 방열판을 통해 발산되는 열을 확산시키는데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약제 장착부는 상기 흡기부의 안쪽에 위치한다. 그래야 흡기부를 통해 장치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약제 용기가 장착된 약제 장착부의 상방향으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 가스와 함께 혼합되어 배기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약제 장착부 개폐문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약제 장착부 개폐문은 개폐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 레일(rail) 또는 힌지(hinge) 구조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의 외벽에 구비된 약제 장착부 개폐문을 닫았을 때 생기는 본체의 외벽과 본체의 내부가 연결되도록 생기는 개구부가 흡기부의 역할을 한다.
이 경우의 개구부(흡기부)는 약제 용기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넓지 않으므로, 약제 장착부 개폐문을 열면 약제 용기가 본체의 외벽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약제 장착부 개폐문은 닫혔을 때 흡기부를 통하여 자외선이 장치 외부로 조사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치의 약제 장착부에는 약제 용기의 장착시에만 자외선 광원부가 동작하도록 하는 약제 장착부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약제 용기가 장착되지 않았는데도 자외선 광원부가 동작가능한 경우, 자외선이 사용자의 손이나 눈에 조사되어 손상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제 장착부 스위치는 약제 용기 장착시에 온(on) 되고, 약제 용기를 탈착시에 오프(off)되는 스위치이다. 상기 스위치는 탄성체가 구비된 스위치로서, 약제 용기를 장착하면 스위치가 푸쉬(push)되어 자외선 광원부가 온(on)으로 작동하고, 약제 용기를 탈착하면 스위치가 제자리도 돌아오며 자외선 광원부가 오프(off)로 작동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 조작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입력부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설정 농도, 장치의 동작 시간, 및 장치의 온/오프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산화염소 농도 감지 센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배기부가 형성된 본체의 외벽과 같은 측면 또는 다른 측면의 외벽에 형성된다. 센서가 장치 본체의 외벽에 형성되어야 공기 중의 이산화염소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센서는 배기부가 형성된 본체 외벽과 동일한 측면에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배기부가 본체 외벽의 상면부에 형성되는 경우, 배기부는 본체의 측면부(전면부/배면부/좌측면부/우측면부)에 형성된다. 그래야 배기부로부터 가능한 한 센서부까지의 거리가 멀어져, 배기부에서 배출되는 이산화염소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아 보다 정확하게 공기중의 이산화염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컨트롤 보드, 및 전원공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흡기부, 배기부, 또는 흡기부 및 배기부에 공기 필터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공기 필터는 사용이 거듭됨에 따라 새로운 공기 필터로 교체되거나, 필터를 세척 및 건조한 후 재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외부 단말기와 연결되기 위한 통신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동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는 바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본체 고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약제 교반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아염소산염을 포함하는 약제는 자외선의 조사로 인해 자외선과 접하는 면에서부터 이산화염소가 발생한다. 따라서 일정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 겔의 표면에 존재하는 아염소산나트륨이 소모되면 이산화염소 생산 속도 및 효율이 변동될 수 있다. 약제 교반부는 스크류, 프로펠러, 패들, 터빈 등의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일정 농도의 이산화염소 가스를 원하는 시간 동안 발생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안전하면서도 소독 효능이 뛰어나므로, 감염성 병원체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병/의원과 같은 공간 및 공간 내 장비의 소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의 시제품을 나타낸 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의 MRSA 살균 소독 효능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 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 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의 시제품을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10)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광원부(100); 상기 자외선 광원부를 냉각하기 위한 방열부(200); 약제 장착부(300); 흡기부(400); 및 배기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자외선 광원부(100)는 자외선 LED(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광원부(100)는 자외선을 상기 약제 장착부(300)에 장착된 약제(33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자외선 광원부(100)는 장치의 상부에 구비되어 약제 장착부(300)가 위치한 하방으로 자외선을 조사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방열부(200)는 자외선 광원부(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킨다. 상기 방열부(200)는 상기 자외선 광원부(100)에서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400) 및 상기 배기부(500)는 상기 장치의 본체 외벽에 위치한다. 상기 흡기부(400)는 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고, 흡인된 공기는 장치 내부를 통하여 상기 배기부(500)를 통하여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400), 배기부(500), 또는 흡기부 및 배기부(500)는 공기를 흡인 또는 배출하기 위한 팬(fan) (510)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기부로 흡인된 공기는 자외선 광원부(100) 및 약제 장착부(300) 사이의 공간을 통과한 후 상기 방열부(200)을 지나 배기부(500)로 배출된다. 상기 자외선 광원부(100)에서 약제 장착부(300)에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이산화염소가 발생하면 흡기부에서 흡인된 공기와 함께 배기부(500)로 배출된다. 상기 공기의 흐름은 방열부에서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여 생성된 이산화염소 가스와 함께 배기부(500)로 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제 장착부(300)는 상기 흡기부(400)의 안쪽에 위치한다. 그래야 흡기부(400)를 통해 장치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약제 용기가 장착된 약제 장착부(300)의 상방향으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 가스와 함께 혼합되어 배기부(500)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약제 장착부 개폐문(310)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약제 장착부 개폐문(310)은 힌지(hinge) 구조(3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제 장착부 개폐문은 약제 장착부 고정장치(313)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장착부 고정장치(313)는 자석을 이용하여 개폐문을 고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의 외벽에 구비된 약제 장착부 개폐문(310)을 닫았을 때 생기는 본체의 외벽과 본체의 내부가 연결되도록 생기는 개구부(410)가 흡기부의 역할을 한다. 이 경우의 개구부(흡기부) (400)는 약제 용기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넓지 않으므로, 약제 장착부 개폐문(310)을 열면 약제 용기가 본체의 외벽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치의 약제 장착부(300)에는 약제 용기의 장착시에만 자외선 광원부(100)가 동작하도록 하는 약제 장착부 스위치(3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 조작 입력부(600)와 디스플레이부(7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입력부(600)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설정 농도, 장치의 동작 시간, 및 장치의 온/오프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산화염소 농도 감지 센서(8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배기부가 형성된 본체의 외벽과 동일한 측면 또는 다른 측면의 외벽에 형성된다. 센서가 장치 본체의 외벽에 형성되어야 공기 중의 이산화염소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센서는 배기부가 형성된 본체 외벽과 동일한 측면에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배기부가 본체 외벽의 상면부에 형성되는 경우, 배기부는 본체의 측면부(전면부/배면부/좌측면부/우측면부)에 형성된다. 그래야 배기부로부터 가능한 한 센서부까지의 거리가 멀어져, 배기부에서 배출되는 이산화염소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아 보다 정확하게 공기중의 이산화염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컨트롤 보드(900), 및 전원공급부(10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한다.
실시예 1: MRSA 살균 시험 (0.1 ppm)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의 소독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항생제 내성균인 MRSA(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ATCC 33591)에 대하여 대형 챔버 (8 m3) 내부에 시험균주가 접종된 배지와 제품을 넣고 배지를 제품 토출구로부터 1 m 거리를 두고 제품의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농도를 0.1 ppm으로 설정하고, 1, 2, 3, 4, 5, 6, 및 7시간 동안 각각 작동시킨 후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접종원의 준비, 접종방법 및 결과 판독은 KCL-FIR-1002:2018에 준하였다.
결과는 표 1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시험결과 시험환경
초기농도(cfu) 시험종료 후 농도(cfu) 감소율(%)
항균시험:
MRSA
BLANK (0시간) 1.1x104 1.1x104 - 37.0±0.2℃
1시간 1.1x104 1.0x104 9.0
2시간 1.1x104 9.6x103 12.7
3시간 1.1x104 7.8x103 29
4시간 1.1x104 5.3x103 51.8
5시간 1.1x104 1.8x103 83.6
6시간 1.1x104 5.1x102 95.3
7시간 1.1x104 2.1x102 98.0
상기 표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를 0.1 ppm으로 7시간 이상 발생시키면 항생제 내성균인 MRSA를 100% 살균소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MRSA 살균 시험 (0.3 ppm)
또한,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의 소독 효과를 추가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항생제 내성균인 MRSA(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ATCC 33591)에 대하여 대형 챔버 (8 m3) 내부에 시험균주가 접종된 배지와 제품을 넣고 배지를 제품 토출구로부터 1 m 거리를 두고 제품의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농도를 0.3 ppm으로 설정하고, 1, 2, 및 3시간 동안 각각 작동시킨 후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접종원의 준비, 접종방법 및 결과 판독은 KCL-FIR-1002:2018에 준하였다.
결과는 표 2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시험결과 시험환경
초기농도(cfu) 시험종료 후 농도(cfu) 감소율(%)
항균시험:
MRSA
BLANK (0시간) 1.1x104 1.1x104 - 37.0±0.2℃
1시간 1.1x104 7.0x103 36.3
2시간 1.1x104 1.7x103 84.5
3시간 1.1x104 2.7x102 97.5
상기 표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를 0.3 ppm으로 3시간 이상 발생시키면 항생제 내성균인 MRSA를 100% 살균소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2의 결과는 도 7에 종합하여 나타내었다.
10: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100: 자외선 광원부
110: LED 광원
200: 방열부
300: 약제 장착부
310: 약제 장착부 개폐문
311: 힌지
312: 개구부(흡기부)
313: 약제 장착부 개폐문 고정장치
320: 약제 장착부 스위치
330: 약제
400: 흡기부
500: 배기부
600: 사용자 조작 입력부
700: 디스플레이부
800: 센서
900: 컨트롤 보드
1000: 전원공급부

Claims (12)

  1.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광원부;
    상기 자외선 광원부를 냉각하기 위한 방열부;
    약제 용기의 장착시에만 자외선 광원부가 동작하도록 하는 약제 장착부 스위치가 구비된 약제 장착부;
    흡기부;
    배기부;
    사용자 조작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
    이산화염소 농도 감지 센서; 및
    외부 단말기와 연결되기 위한 통신부; 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로 흡인된 공기는 자외선 광원부 및 약제 장착부 사이의 공간을 통과한 후 상기 방열부를 지나 배기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 자외선 광원부에서 약제 장착부에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이산화염소가 발생하면 흡기부에서 흡인된 공기와 함께 배기부로 배출되며,
    상기 조작 입력부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설정 농도, 장치의 동작 시간, 및 장치의 온/오프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 및 상기 배기부는 상기 장치의 본체 외벽에 위치하는 것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동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장착부는 상기 흡기부가 형성된 외벽의 안쪽에 위치하는 것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약제 장착부 개폐문를 포함하는 것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본체 고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흡기부, 배기부, 또는 흡기부 및 배기부에 공기 필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약제 교반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장치.
KR1020210034298A 2021-03-16 2021-03-16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KR102603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298A KR102603501B1 (ko) 2021-03-16 2021-03-16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PCT/KR2022/003700 WO2022197102A1 (ko) 2021-03-16 2022-03-16 이산화염소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298A KR102603501B1 (ko) 2021-03-16 2021-03-16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410A KR20220129410A (ko) 2022-09-23
KR102603501B1 true KR102603501B1 (ko) 2023-11-17

Family

ID=8332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298A KR102603501B1 (ko) 2021-03-16 2021-03-16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3501B1 (ko)
WO (1) WO202219710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655B1 (ko) * 2020-01-09 2020-08-11 탁준배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492A (ja) * 2000-05-02 2001-11-13 San Seal:Kk 脱臭殺菌性ガス供給手段を具備する空調装置類
JP2005224386A (ja) * 2004-02-12 2005-08-25 Daiichi Seidenki Kk 二酸化塩素ガス消毒装置
AU2011230771B2 (en) * 2010-03-26 2013-12-12 Taiko Pharmaceutical Co., Ltd. Device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KR101847710B1 (ko) * 2016-05-09 2018-04-10 최영철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655B1 (ko) * 2020-01-09 2020-08-11 탁준배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소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7102A1 (ko) 2022-09-22
KR20220129410A (ko)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401537A1 (en) Sterile sit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6490318B1 (ja) 紫外線照射装置、紫外線照射方法、照明装置および紫外線照射システム
KR102120209B1 (ko) 조절된 파워 플럭스를 갖는 펄스화된 광을 사용하는 룸 및 구역 살균 장치 및 펄스 간의 가시 광 보상을 갖는 광 시스템
JP5469281B2 (ja) オゾン分解器
US9205162B2 (en) Instrument disinfector
WO2017135190A1 (ja) 殺菌装置
KR101847710B1 (ko)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JP5189635B2 (ja) 低温プラズマ・紫外線複合殺菌装置
JP2020078479A (ja) 紫外線照射装置
JP7272390B2 (ja) 殺菌方法
US20220047736A1 (en) Uv pathogen control device and system
CN111511409A (zh) 用于快速表面消毒的异步间歇性光照
KR102603501B1 (ko)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US20240173447A1 (en) High-adaptability pulsed ultraviolet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JP2017136191A (ja) オゾンガス消毒器
WO2021155727A1 (zh) 一种衣物消毒装置
CN208785365U (zh) 一种具有动态杀菌的消毒柜
CN208114823U (zh) 一种医疗用具灭菌装置
CN210904258U (zh) 具有风扇循环功能的杀菌灯
JP2022030179A (ja) 紫外線殺菌装置および循環式空気殺菌装置
BR102021007678A2 (pt) Câmara de desinfecção para patógenos
JP2022049619A (ja) 病原微生物増殖抑制装置
CN113117107A (zh) 一种医用病历消毒机
CN112316194A (zh) 消毒装置及消毒方法
TR202009721U5 (tr) Uvc hava ve ortam dezenfeksi̇yon si̇ste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