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356B1 - 변성 하이드로젤 및 이를 포함하는 치은 확장기 - Google Patents

변성 하이드로젤 및 이를 포함하는 치은 확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356B1
KR102143356B1 KR1020190002534A KR20190002534A KR102143356B1 KR 102143356 B1 KR102143356 B1 KR 102143356B1 KR 1020190002534 A KR1020190002534 A KR 1020190002534A KR 20190002534 A KR20190002534 A KR 20190002534A KR 102143356 B1 KR102143356 B1 KR 102143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polymer
modified
vinyl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6421A (ko
Inventor
김민경
장일석
송주동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2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356B1/ko
Priority to EP19908953.3A priority patent/EP3878873A4/en
Priority to PCT/KR2019/017578 priority patent/WO2020145529A1/ko
Publication of KR2020008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4Preparation of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2Devices for expanding tissue, e.g. skin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2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5Hydrogels or hydrocollo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dental implants or prosthe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3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며은, 하이드로젤을 구성하는 고분자의 측쇄에 위치한 카르복실기(-COOH) 중 적어도 일부가 개질되어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하이드로젤 및 이를 포함하는 치은 확장기를 제공한다.
<식>
P-(COO-)n An+
상기 식에서,
P는 상기 고분자의 주쇄이고,
n은 1~3의 정수 중 하나이고,
A는 Na, K, NH4, Ca, Ng, Zn, Fe, Al, Sn, Cu, Ni, Mn, W, Co, Ag, Pb, Au, Pd, Pt, Ti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Description

변성 하이드로젤 및 이를 포함하는 치은 확장기{A MODIFIED HYDROGEL AND A GINGIVA EXPAND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성 하이드로젤 및 이를 포함하는 치은 확장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팽창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변성 하이드로젤 및 이를 포함하는 치은 확장기에 관한 것이다.
턱뼈 내부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골 내 임플란트에 있어서, 성공적인 시술을 위해서는 성공적인 골 유착과 초기 안정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임플란트 식립체 주위에 적당량의 골이 요구될 수 있다.
임플란트의 식립을 위한 적당량의 골의 양이나 부피가 충족되지 않거나, 임플란트 식립 후에 다양한 이유(염증에 의한 치조골 흡수 등)로 식립체의 일부가 골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 있어서 골 유도 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augmentation: GBR)이 이용된다.
골 유도 재생술은 매식한 임플란트의 주변, 또는 임플란트를 매식할 위치의 골 량이 부족할 때 차단막을 이용하여 차단막 하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 하부의 골 결손부 내로 조골세포(Osteoblast)의 유입을 유도함으로써 골 조직 재생을 도모하는 시술이다. 골 유도 재생술에 있어서, 흡수성, 비흡수성 치과용 차단막과 함께 다양한 골 재료(자가골, 동종골, 이종골, 합성골)가 이용된다.
치과용 차단막은 재생력이 우수한 치은 상피가 손상부로 먼저 자라면서 들어가지 못하게 막아주고 공간유지 능력이 있어 결합 조직의 분화와 골 재생을 보조한다.
한편, 임플란트의 매식에 있어서, 골 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치은 퇴축으로 인해 치조골 재생을 위한 공간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골 유도 재생술 이전에 하이드로젤(hydrogel) 기반의 치은 확장기를 이식할 수 있다. 치은 확장기는 팽윤 성질로 인해 퇴축된 치은을 정상상태로 재건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다.
기존의 치은 확장기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및 N-비닐-2-피롤리돈(VP)의 공중합체계 하이드로젤을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었으나, 단순한 팽윤에 의한 공간확보 기능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일반적으로, 상기 하이드로젤은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실리콘 막으로 밀봉되어 치은 확장기에 적용된다. 상기 실리콘 막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의 크기와 수는 체액이 유입되는 속도와 양을 조절하여 하이드로젤의 팽창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만, 상기 통공의 크기를 미세하게 조절하기 어렵고, 팽창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홀의 수가 많아질수록 실리콘 막의 기계적 물성, 특히, 인장강도가 낮아져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실리콘 막의 통공의 크기와 수에 의존하지 않고, 실리콘 막의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하이드로젤의 팽창속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리콘 막의 통공의 크기와 수에 의존하지 않고, 실리콘 막의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하이드로젤의 팽창속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변성 하이드로젤 및 이를 포함하는 치은 확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이드로젤을 구성하는 고분자의 측쇄에 위치한 카르복실기(-COOH) 중 적어도 일부가 개질되어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변성 하이드로젤을 제공한다.
<식>
P-(COO-)n An+
상기 식에서, P는 상기 고분자의 주쇄이고, n은 1~3의 정수 중 하나이고, A는 Na, K, NH4, Ca, Ng, Zn, Fe, Al, Sn, Cu, Ni, Mn, W, Co, Ag, Pb, Au, Pd, Pt, Ti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가지는 제1 단량체 및 비닐기를 가지는 제2 단량체가 가교결합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량체는 N-비닐-2-피롤리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변성 하이드로젤; 및 상기 변성 하이드로젤을 밀봉하는 다공막;을 포함하는 치은 확장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공막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a) 메타크릴레이트를 가지는 제1 단량체 및 비닐기를 가지는 제2 단량체를 중합하여 측쇄에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기(-COOH)를 가지는 하이드로젤 고분자를 제조하는 단계; (b) 이온성 화합물을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하이드로젤 고분자를 상기 용액에 함침시켜 상기 카르복실기(-COOH) 중 적어도 일부를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구조로 개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성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식>
P-(COO-)n An+
상기 식에서, P는 상기 하이드로젤 고분자의 주쇄이고, n은 1~3의 정수 중 하나이고, A는 Na, K, NH4, Ca, Ng, Zn, Fe, Al, Sn, Cu, Ni, Mn, W, Co, Ag, Pb, Au, Pd, Pt, Ti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량체는 N-비닐-2-피롤리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액 중 이온성 화합물의 함량은 3~25중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액의 pH는 5~8.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변성 하이드로젤은, 고분자의 측쇄에 위치한 카르복실기(-COOH)의 양성자(H+)가 이온교환에 의해 미리 정해진 양이온으로 치환되므로, 치환된 양이온과 -COO-의 결합강도에 따른 양이온의 해리속도를 조절하여 하이드로젤의 팽창속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이는 종래 실리콘 막의 통공의 크기와 수에 의존하지 않고, 실리콘 막의 기계적 물성을 저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성 하이드로젤의 팽창 메커니즘을 도식화한 것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하이드로젤 성형체의 팽창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변성 하이드로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이드로젤을 구성하는 고분자의 측쇄에 위치한 카르복실기(-COOH) 중 적어도 일부가 개질되어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변성 하이드로젤을 제공한다.
<식>
P-(COO-)n An+
상기 식에서, P는 상기 고분자의 주쇄이고, n은 1~3의 정수 중 하나이고, A는 Na, K, NH4, Ca, Ng, Zn, Fe, Al, Sn, Cu, Ni, Mn, W, Co, Ag, Pb, Au, Pd, Pt, Ti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성 하이드로젤의 팽창 메커니즘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An+는 1가 또는 다가 양이온일 수 있고, 상기 n이 클수록 -COO-와의 결합이 강하기 때문에 상기 고분자로부터의 해리속도와 그에 따른 팽창속도가 느려진다. 반대로, n이 작을수록 -COO-와의 결합이 약하므로 상기 고분자로부터의 해리속도와 그에 따른 팽창속도가 빨라진다. 따라서, 상기 변성 하이드로젤은 팽창속도에 따라 설계될 수 있고, 설계된 변성 하이드로젤을 치은 확장기로 제품화한 경우, 시술자는 환부의 상태에 따라 일정 팽창속도로 제어된 치은 확장기를 선택적,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젤은은 체액을 흡수하여 체내 팽윤을 통해 치은 내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레이트를 가지는 제1 단량체 및 비닐기를 가지는 제2 단량체가 가교결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이드로젤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N-비닐-2-피롤리돈(VP)을 6~7 : 4~3의 질량비로 가교결합시켜 합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와 N-비닐-2-피롤리돈(VP)이나, n-메타크릴레이트(n=탄소수, 4, 8, 12)와 N-비닐-2-피롤리돈(VP)을 가교결합시켜 합성할 수 있다(n=4: butyl methacrylate, n=8: octyl methacrylate, n=12: lauryl methacrylate).
상기 하이드로젤에 체액이 흡수되면, 하이드로젤을 구성하는 고분자의 측쇄에 위치한 -COOH기가 -COO-와 H+로 해리되고, -COO-로 인해 하이드로젤 고분자 주쇄 간 척력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고분자 주쇄 간 거리가 멀어지면서 자가팽창 특성을 갖게 된다. 이렇게 팽창된 하이드로젤은 초기의 형태와 관계없이 치은을 전반적으로 넓게 팽창시킬 수 있는 둥근 실린더형으로 팽창될 수 있다.
치은 확장기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변성 하이드로젤; 및 상기 변성 하이드로젤을 밀봉하는 다공막;을 포함하는 치은 확장기를 제공한다. 상기 다공막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공막은 유공 또는 반투과성 막으로, 체액 또는 수액이 투과할 수 있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공막의 통공의 크기와 수를 조절함으로써 치은 확장기 내부의 체액의 확산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공의 지름은 0.3~0.7mm일 수 있다. 상기 통공의 지름이 0.3mm 미만이면 체액의 유입량이 적어 하이드로젤의 팽창속도가 과도하게 느려지고, 통공의 지름이 7mm 초과이면 체액의 유입량이 많아져 하이드로젤의 급속한 팽창을 일으키고, 이는 환부의 회복, 치유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다공막의 일측 또는 양측은 접착제로 접합된 접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부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치조골과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공막의 양측에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합부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치조골과 완벽하게 고정되어 치은 내에서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부위에 조직을 확장할 수 있으며, 상기 치은 내부의 치은 확장기의 이동이 없어 주변 연조직의 회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변성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a) 메타크릴레이트를 가지는 제1 단량체 및 비닐기를 가지는 제2 단량체를 중합하여 측쇄에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기(-COOH)를 가지는 하이드로젤 고분자를 제조하는 단계; (b) 이온성 화합물을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하이드로젤 고분자를 상기 용액에 함침시켜 상기 카르복실기(-COOH) 중 적어도 일부를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구조로 개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성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식>
P-(COO-)n An+
상기 식에서, P는 상기 하이드로젤 고분자의 주쇄이고, n은 1~3의 정수 중 하나이고, A는 Na, K, NH4, Ca, Ng, Zn, Fe, Al, Sn, Cu, Ni, Mn, W, Co, Ag, Pb, Au, Pd, Pt, Ti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하이드로젤 고분자의 변성에 의해 도입된 양이온이 하이드로젤의 팽창 메커니즘에 미치는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하이드로젤 고분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N-비닐-2-피롤리돈(VP)을 6~7 : 4~3의 질량비로 가교결합시켜 합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와 N-비닐-2-피롤리돈(VP)이나, n-메타크릴레이트(n=탄소수, 4, 8, 12)와 N-비닐-2-피롤리돈(VP)을 가교결합시켜 합성할 수 있다(n=4: butyl methacrylate, n=8: octyl methacrylate, n=12: lauryl methacrylate).
상기 이온성 화합물은 예를 들어, 금속 또는 비금속 양이온 및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이온결합성 화합물일 수 있고, 용액 중에서 양이온 및 음이온으로 해리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액 중 이온성 화합물의 함량은 3~25중량%일 수 있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의 함량이 3중량% 미만이면 상기 변성 하이드로겔의 팽창속도 조절효과가 미약할 수 있고, 25중량% 초과이면 하이드로젤 고분자 고유의 팽창거동을 저해하여 필요한 부피로 팽창시키기 어렵다.
또한, 상기 용액의 pH는 5~8.5일 수 있다. 상기 용액의 pH가 5 미만이면 상기 변성 하이드로겔의 팽창속도 조절효과가 미약할 수 있고, 8.5 초과이면 하이드로젤 고분자 고유의 팽창거동을 저해하여 필요한 부피로 팽창시키기 어렵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가교결합된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N-비닐-2-피롤리돈(VP)이 6~7 : 3~4의 질량비를 갖도록,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N-비닐-2-피롤리돈(VP),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개시제) 0.1중량%,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가교제) 0.2중량%, 및 메틸피롤리돈(용매)를 배합하여 전체 용액의 농도가 0.8M이 되도록 혼합한 후, 24시간 동안 65℃의 온도로 열 중합시켰다. 이후 용매 등의 잔유물을 제거하고 가수분해하여 측쇄에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N-비닐-2-피롤리돈(VP) 유래의 하이드로젤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상기 가교결합된 하이드로젤 고분자를 농도가 10중량%이고 pH가 6.5인 NaCl 수용액에 함침시켜 이온교환에 의해 상기 하이드로젤 고분자의 측쇄에 위치한 카르복실기(-COOH)의 양성자(H+)를 Na+로 치환시킨 다음 용매 등의 잔유물을 제거하였고, 사각기둥형 압축몰드에 넣고 평균 8MPa의 압력과 평균 60℃의 온도를 가하여 5시간 동안 압축건조하여 하이드로젤 성형체를 얻었다.
실시예 2
가교결합된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N-비닐-2-피롤리돈(VP)이 6~7 : 3~4의 질량비를 갖도록,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N-비닐-2-피롤리돈(VP),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개시제) 0.1중량%,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가교제) 0.2중량%, 및 메틸피롤리돈(용매)를 배합하여 전체 용액의 농도가 0.8M이 되도록 혼합한 후, 24시간 동안 65℃의 온도로 열 중합시켰다. 이후 용매 등의 잔유물을 제거하고 가수분해하여 측쇄에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N-비닐-2-피롤리돈(VP) 유래의 하이드로젤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상기 가교결합된 하이드로젤 고분자를 농도가 10중량%이고 pH가 6.8인 CaCl2 수용액에 함침시켜 이온교환에 의해 상기 하이드로젤 고분자의 측쇄에 위치한 카르복실기(-COOH)의 양성자(H+)를 Ca2+로 치환시킨 다음 용매 등의 잔유물을 제거하였고, 사각기둥형 압축몰드에 넣고 평균 8MPa의 압력과 평균 60℃의 온도를 가하여 5시간 동안 압축건조하여 하이드로젤 성형체를 얻었다.
실시예 3
NaCl 수용액의 농도를 25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젤 성형체를 얻었다.
실시예 4
NaCl 수용액의 농도를 3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젤 성형체를 얻었다.
실시예 5
NaCl 수용액의 pH를 8.5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젤 성형체를 얻었다.
실시예 6
NaCl 수용액의 pH를 5.0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젤 성형체를 얻었다.
비교예 1
가교결합된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N-비닐-2-피롤리돈(VP)이 6~7 : 3~4의 질량비를 갖도록,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N-비닐-2-피롤리돈(VP),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개시제) 0.1중량%,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가교제) 0.2중량%, 및 메틸피롤리돈(용매)를 배합하여 전체 용액의 농도가 0.8M이 되도록 혼합한 후, 24시간 동안 65℃의 온도로 열 중합시켰다. 이후 용매 등의 잔유물을 제거하고 가수분해하여 측쇄에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N-비닐-2-피롤리돈(VP) 유래의 하이드로젤을 합성하였다.
상기 가교결합된 하이드로젤을 사각기둥형 압축몰드에 넣고 평균 8MPa의 압력과 평균 60℃의 온도를 가하여 5시간 동안 압축건조하여 하이드로젤 성형체를 얻었다.
비교예 2
NaCl 수용액의 농도를 30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젤 성형체를 얻었다.
비교예 3
NaCl 수용액의 농도를 2.5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젤 성형체를 얻었다.
비교예 4
NaCl 수용액의 pH를 9.0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젤 성형체를 얻었다.
비교예 5
NaCl 수용액의 pH를 4.5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젤 성형체를 얻었다.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하이드로젤 성형체를 37℃의 인큐베이터에서 생리식염수(saline)에 40일 간 침지하여 팽윤시켰고,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하이드로젤을 구성하는 고분자의 측쇄에 위치한 카르복실기(-COOH) 중 적어도 일부가 개질되어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변성 하이드로젤; 및
    상기 변성 하이드로젤을 밀봉하고 지름이 0.3~0.7㎜인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는 다공막;을 포함하고,
    상기 변성 하이드로젤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N-비닐-2-피롤리돈 단량체 유래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개질은 이온성 화합물을 3~25중량% 포함하는 pH 5~8.5의 용액으로 수행되고,
    상기 다공막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치은 확장기.
    <식>
    P-(COO-)n An+
    상기 식에서,
    P는 상기 고분자의 주쇄이고,
    n은 1~3의 정수 중 하나이고,
    A는 Na, K, NH4, Ca, Ng, Zn, Fe, Al, Sn, Cu, Ni, Mn, W, Co, Ag, Pb, Au, Pd, Pt, Ti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N-비닐-2-피롤리돈을 중합하고 가수분해하여 측쇄에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기(-COOH)를 가지는 하이드로젤 고분자를 제조하는 단계;
    (b) 이온성 화합물을 3~25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pH가 5~8.5인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하이드로젤 고분자를 상기 용액에 함침시켜 상기 카르복실기(-COOH) 중 적어도 일부를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구조로 개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성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식>
    P-(COO-)n An+
    상기 식에서,
    P는 상기 하이드로젤 고분자의 주쇄이고,
    n은 1~3의 정수 중 하나이고,
    A는 Na, K, NH4, Ca, Ng, Zn, Fe, Al, Sn, Cu, Ni, Mn, W, Co, Ag, Pb, Au, Pd, Pt, Ti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02534A 2019-01-09 2019-01-09 변성 하이드로젤 및 이를 포함하는 치은 확장기 KR102143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534A KR102143356B1 (ko) 2019-01-09 2019-01-09 변성 하이드로젤 및 이를 포함하는 치은 확장기
EP19908953.3A EP3878873A4 (en) 2019-01-09 2019-12-12 MODIFIED HYDROGEL AND GUM ENLARGEM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PCT/KR2019/017578 WO2020145529A1 (ko) 2019-01-09 2019-12-12 변성 하이드로젤 및 이를 포함하는 치은 확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534A KR102143356B1 (ko) 2019-01-09 2019-01-09 변성 하이드로젤 및 이를 포함하는 치은 확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421A KR20200086421A (ko) 2020-07-17
KR102143356B1 true KR102143356B1 (ko) 2020-08-12

Family

ID=7152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534A KR102143356B1 (ko) 2019-01-09 2019-01-09 변성 하이드로젤 및 이를 포함하는 치은 확장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878873A4 (ko)
KR (1) KR102143356B1 (ko)
WO (1) WO202014552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5614B2 (ja) * 1992-06-12 2003-09-08 ヴィーゼ・カー・ギュンター 自己拡張性組織拡張部材
JP2009542895A (ja) 2006-07-06 2009-12-03 アボツト・レスピラトリー・エル・エル・シー 酷使に耐える超多孔質ヒドロゲ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21B2 (ja) * 1977-03-16 1983-01-08 日本電子株式会社 電子顕微鏡
JPS59125712A (ja) * 1982-10-11 1984-07-20 コパ−ビジヨン(ユ−・ケ−・)リミテイツド ヒドロゲルコンタクトレンズ
KR101446964B1 (ko) * 2012-03-23 2014-10-0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주조직 재생기능이 탑재된 치은 확장기
KR101668679B1 (ko) * 2014-05-30 2016-10-2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시술 편의성이 높은 치과용 치은 확장기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치은 확장기
KR200475611Y1 (ko) * 2014-09-29 2014-12-1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시술 편의성이 향상된 치과용 치은확장기
KR20190050025A (ko) * 2017-11-02 2019-05-10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티슈 확장기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5614B2 (ja) * 1992-06-12 2003-09-08 ヴィーゼ・カー・ギュンター 自己拡張性組織拡張部材
JP2009542895A (ja) 2006-07-06 2009-12-03 アボツト・レスピラトリー・エル・エル・シー 酷使に耐える超多孔質ヒドロゲ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421A (ko) 2020-07-17
EP3878873A4 (en) 2022-08-10
EP3878873A1 (en) 2021-09-15
WO2020145529A1 (ko)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5512B2 (en) Tissue expander
JP5096793B2 (ja) 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眼用レンズ本体
CA2686927A1 (en) Superporous hydrogels for heavy-duty applications
US10814279B2 (en) Forward osmosis draw material
JP2006519049A5 (ko)
JP2002501563A (ja) 速い膨潤性、機械的高強度及び超吸収性を有するヒドロゲル複合体及び超多孔質ヒドロゲル複合体
JPS6122586B2 (ko)
JP2008508959A5 (ko)
KR102347902B1 (ko) 듀얼네트워크 구조의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인체 삽입형 확장기
KR102597740B1 (ko) 조합된 삼투성 하이드로겔 자궁경부 확장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715175B (zh) 一种plga/两性离子复合多孔骨组织工程支架及其制备方法
CA2606396A1 (en) Hydrophilic/hydrophobic polymer networks based on poly(caprolactone fumarate), poly(ethylene glycol fumarate), and copolymers thereof
KR101726559B1 (ko)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티클의 제조방법
KR200475611Y1 (ko) 시술 편의성이 향상된 치과용 치은확장기
KR102143356B1 (ko) 변성 하이드로젤 및 이를 포함하는 치은 확장기
JPS60502087A (ja) 注入可能な、生理学的に受容できるポリマ−組成物
Qian et al. Osmotic squat actuation in stiffness adjustable bacterial cellulose composite hydrogels
KR101668679B1 (ko) 시술 편의성이 높은 치과용 치은 확장기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치은 확장기
KR20190050025A (ko) 치과용 티슈 확장기 및 이의 제조방법
Fisher et al. Multifunctional poly (β-amino ester) hydrogel microparticles in periodontal in situ forming drug delivery systems
KR20190081534A (ko)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팽창 속도가 제어된 치과용 기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59646B1 (ko) 팽창 속도가 조절되는 치은 확장기 및 이의 제조 방법
Peppas et al. Glucose-responsive hydrogels
US20230174697A1 (en) Hydrogels, methods of fabrication and uses thereof
EP1185315B1 (de) Plastisch verformbares implant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