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332B1 -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332B1
KR102143332B1 KR1020190051462A KR20190051462A KR102143332B1 KR 102143332 B1 KR102143332 B1 KR 102143332B1 KR 1020190051462 A KR1020190051462 A KR 1020190051462A KR 20190051462 A KR20190051462 A KR 20190051462A KR 102143332 B1 KR102143332 B1 KR 102143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opening
closing means
disconne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순
김종래
오범석
Original Assignee
열두방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열두방재(주) filed Critical 열두방재(주)
Priority to KR1020190051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4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043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로는 경계구역별로 일정한 선로를 따라서 설치되며, 열 또는 연기 등을 감지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화재수신기에 알려주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 있어서,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감지회선 상에 단선사고가 발생되어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모든 화재감지기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면서 단선사고 발생사실을 알려줄 수 있는 화재감지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감지회선이 시작되는 부분의 두 선과 감지회선이 끝나는 부분의 두 선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1개폐수단 및 종단저항의 양단과 감지회선이 끝나는 부분의 두 선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2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ic Fire Detection}
본 발명은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로는 경계구역별로 일정한 선로를 따라서 설치되며, 열 또는 연기 등을 감지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화재수신기에 알려주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 있어서,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감지회선 상에 단선사고가 발생되어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모든 화재감지기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면서 단선사고 발생사실을 알려줄 수 있는 화재감지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화재탐지설비라 함은 건축물이나 시설물 내에서 화재발생을 감지하여 해당 건물, 시설물 내에 있는 사람들이나 재난예방 관계자 등에게 알려주는 설비로서, 화재발생 시 화재로 인하여 발생되는 열 또는 연기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화재발생 사실을 탐지하며, 경종, 사이렌, 벨, 표시등 등의 음향설비나 시각장비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설비와 연동하여 시설물 관계자에게 통보하고 시설물 내의 거주자 등에게 알릴 수 있는 설비다. 일반적으로 자동 화재탐지설비는 화재수신기, 중계기, 화재감지기, 발신기, 표시등, 경종, 사이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자동 화재탐지설비의 구성 중 화재감지기는 화재로 인하여 발생되는 열 또는 연기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화재수신기에 알려주는 구성으로서, 경계구역 별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2가닥으로 되어 있는 감지회선 상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화재감지기는 평상시 개방되어 있다가 열 또는 연기 등을 감지하는 경우 감지회선에 대하여 폐로를 형성하게 되며, 화재수신기는 감지회선의 폐로형성 여부를 파악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화재감지기가 설치되어 있는 감지회선은 이렇게 화재감지기들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에 단선이 되는 경우 단선되는 부분 이후에서는 화재감지가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단선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도록 선로의 종단에 종단저항을 부착하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종단저항으로 인하여 일정 값의 선로전류와 선로전압을 유지하다가 중간에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종단저항이 제거된 상태로 되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아 선로전압이 상승하며, 화재수신기에서는 전류 또는 전압변화를 감지하여 선로가 단선된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그러나 자동 화재탐지설비에서 이렇게 단선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종단저항과 이에 대한 판단수단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일단 단선이 발생한 뒤에는 단선부위를 수리하기 전까지는 단선되는 부분 이후에서는 화재감지가 안되기 때문에 수리 전까지는 위험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특히 전문기술자가 상주하지 않는 건축물 또는 시설물에 있어서는 단선사고 발생 시 외부 전문업체에 외주를 주어야 하기 때문에 즉시 조치가 불가능하며, 이러한 단선상태가 상당기간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언제 발생될지 모르는 재난에 대비하는 시설이 상당기간 동안 작동이 불가능한 위험한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은 감지회선에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에 종단저항 쪽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감지회선이 단선되더라도 모든 화재감지기의 작동여부를 화재수신기에 제공할 수 있는 화재감시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지회선에 단선이 발생하여 종단저항 쪽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더라도 감지회선의 단선되었음을 화재수신기에서 알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시 시스템 또는 이에 사용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은, 경계구역 내에 분산 배치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 두 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화재감지기 각각을 병렬로 연결시키는 감지회선, 상기 감지회선과 연결되어 상기 화재감지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탐지하는 화재수신기 및 상기 감지회선이 끝나는 부분에 연결되는 종단저항을 포함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회선이 시작되는 부분의 두 선과 상기 감지회선이 끝나는 부분의 두 선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1개폐수단; 및 상기 종단저항의 양단과 상기 감지회선이 끝나는 부분의 두 선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2개폐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특징에 더하여 상기 제1개폐수단과 상기 제2개폐수단은 동시에 작동되되, 상기 제1개폐수단은 평상시에 개방되어 있다가 상기 감지회선에 단선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투입되며, 상기 제2개폐수단은 평상시에 투입되어 있다가 상기 단선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개폐수단 및 상기 제2개폐수단은 상기 화재수신기 또는 중계기가 보내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단선사고 발생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단선사고 발생 시 상기 제1개폐수단 및 상기 제2개폐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종단저항의 양단에 인가된 종단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종단전압이 일정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단선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감지회선이 시작되는 부분의 전압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전압변화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단선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감지회선 절환장치는, 경계구역 내에 분산 배치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 두 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화재감지기 각각을 병렬로 연결시키는 감지회선, 상기 감지회선과 연결되어 상기 화재감지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탐지하는 화재수신기 및 상기 감지회선이 끝나는 부분에 연결되는 종단저항을 포함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 설치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로서, 상기 감지회선이 시작되는 부분의 두 선과 상기 감지회선이 끝나는 부분의 두 선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1개폐수단; 상기 종단저항의 양단과 상기 감지회선이 끝나는 부분의 두 선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2개폐수단; 및 상기 감지회선에 대한 단선사고 발생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단선사고 발생 시 상기 제1개폐수단 및 상기 제2개폐수단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개폐수단은 평상시에 개방되어 있다가 상기 단선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투입되며, 상기 제2개폐수단은 평상시에 투입되어 있다가 상기 단선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 사용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및 감지회선 절환장치는, 제1개폐수단을 포함하도록 하였고, 감지회선에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제1개폐수단을 작동시켜 감지회선의 종단 쪽을 통하여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단선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단선지점 이후의 화재감지기들도 계속하여 작동되는 상태가 되므로, 감지회선의 단선 시에도 모든 화재감지기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제1개폐수단 외에 제2개폐수단도 포함하고 있으며, 감지회선에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제2개폐수단도 제1개폐수단과 같이 동시에 작동하여 제2개폐수단이 감지회선과 종단저항 사이의 연결을 개방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화재수신기에서는 감지회로에 단선사고가 발생한 사실을 계속하여 인지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제어수단이 제1개폐수단 및 제2개폐수단을 작동시키도록 하기 때문에 감지회선이 시작되고 끝나는 부분에 제1개폐수단, 제2개폐수단 및 제어수단을 설치하게 되면, 화재수신기나 중계기에서 별도의 제어신호를 보내주는 선로가 별도로 있을 필요 없으므로 기존의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은, 화재수신기에서 감지회로의 단선여부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감지회선의 전류나 전압변화 등 기존과 동일한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을 변경하지 않고도 감지회로에 제1개폐수단 및 제2개폐수단만 부가하기만 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을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서 감지회선에 단선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단선지점 이후의 화재감지기는 작동불능 상태인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감지회선에서 단선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모든 화재감지기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 사용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은 화재수신기(100), 상기 화재수신기(100)에 연결되는 감지회선(300), 상기 감지회선(300)상에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400) 및 상기 감지회선(300)의 종단에 연결되는 종단저항(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화재감지기(400)는 P형일 수도 있고 R형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회선(300)은 일반적으로 단자대(200)로부터 연장되어서 나가며 상기 단자대(200)는 상기 화재수신기(100)내부에 있을 수도 있고, 경계구역에 설치되는 발신기함(미도시)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화재감지기(400)는 열 감지기일수도 있고 연기 감지기 일수도 있으며, 정온식 또는 차동식 등 다양한 화재감지기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종단저항(500)은 상기 감지회선(300)의 단선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평상시에는 상기 종단저항(500)을 통하여 폐로가 형성되어 일정한 전류가 계속하여 흐르게 되므로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 도통시험을 하는 경우 도통시험용 저항의 양단에 일정전압이 나타나게 되어 정상상태로 표시되나, 상기 감지회선(300) 중 단선이 발생되면 상기 종단저항(500)을 통하여 폐로가 형성되지 않아 전류가 흐를 수 없게 되므로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 도통시험을 하는 경우 도통시험용 저항의 양단 전압이 0V로 되어 단선상태로 표시되게 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서 감지회선에 단선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단선발생 지점 이후의 화재감지기는 작동불능 상태인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서 상기 감지회선(300) 중 A지점에 단선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복수개의 화재감지기 중 상기 A지점 이전에 위치한 화재감지기들(400a, 400b)만 상기 감지회로(300)를 통하여 상기 화재수신기(100)와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만일 400a 및 400b가 화재로 인하여 작동되면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 화재발생을 탐지하여 화재경보 발생 등 필요조치를 할 수 있으나, 상기 A지점 이후에 위치한 화재수신기들(400c ~ 400h)은 상기 화재수신기(100)와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화재로 인하여 화재감지기들(400c ~ 400h)이 작동되더라도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는 화재발생여부를 알 수 없는 위험한 상태가 된다. 특히 P형 수신기의 경우 상기 감지회로(300)의 단선여부는 상기 화재수신기(100) 등에 대한 설비점검 시 도통시험을 해야만 알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감지회로(300)의 단선 시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소방 설비 점검이 있기 전까지는 자동 화재탐지설비가 비정상적으로 작동되는 매우 위험한 상황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서는 상기 감지회로(300)의 단선 시에도 상기 화재수신기(100)가 상기 감지회선(300) 내의 모든 화재감지기(400)를 통하여 화재발생을 탐지할 수 있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감지회선에서 단선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모든 화재감지기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는, 경계구역 내에 분산 배치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400), 두 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화재감지기(400) 각각을 병렬로 연결시키는 상기 감지회선(300), 상기 감지회선(300)과 연결되어 상기 화재감지기(400)에 대한 동작 상태를 탐지하는 화재수신기(100) 및 상기 감지회선(300)이 끝나는 부분에 연결되는 종단저항(500)을 포함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서, 상기 감지회선(300)이 시작되는 부분의 두 선(301)과 상기 감지회선(300)이 끝나는 부분의 두 선(302)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1개폐수단(600) 및 상기 종단저항(500)의 양단(303)과 상기 감지회선(300)이 끝나는 부분의 두 선(302)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2개폐수단(7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개폐수단(600)과 상기 제2개폐수단(700)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되, 상기 감지회선(300)에서 단선이 발생되지 않는 평상 상태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1개폐수단(600)은 각각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2개폐수단(700)은 각각 투입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감지회선(300)에서 단선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개폐수단(600) 및 상기 제2개폐수단(700)이 작동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도 4에서 처럼 상기 감지회선(300)의 A지점에서 단선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는 상기 감지회선(300)의 두 선이 폐로상태로 있다가 개방된 상태로 변화된 상황 즉 단선사고가 발생한 것을 감지할 수 있는데, 상기 감지회선(300)의 두 선이 개방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화재수신기(100)는 상기 제1개폐수단(600)의 작동을 제어하여 개방되어 있던 상기 제1개폐수단(600)을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입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개폐수단(600)이 투입되면, 상기 감지회선(300)이 시작되는 부분의 두 선(301) 각각과 끝나는 부분의 두 선(302) 각각이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회선(300)이 끝나는 부분의 두 선(302) 쪽으로도 상기 화재수신기(10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파란 점선 화살표 참조) 회로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A지점 이전의 화재감지기(400a, 400b)들이 감지한 화재신호는 상기 감지회선(300)이 시작되는 부분의 두 선(301)을 통하여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 탐지하게 되며, 상기 A지점 이후의 화재감지기(400c ~ 400h)들이 감지한 화재신호는 상기 감지회선이 시작되는 부분의 두 선(301)에 연결된 상기 감지회선이 끝나는 부분의 두 선(302)을 통하여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 탐지하게 되므로 모든 화재감지기(400)에서 감지한 화재신호를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 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회선(300)의 두 선이 개방된 상태로 판단되면 즉 상기 감지회선(300)에 대한 단선사고 발생 시, 상기 화재수신기(100)는, 상기 제1개폐수단(600)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제2개폐수단(700)도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평상시 투입되어 있던 상기 제2개폐수단(700)을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개폐수단(700)이 작동되어 개방상태로 되면, 상기 종단저항(500)은 상기 감지회선(300)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화재감지기들(400) 모두는 작동되지 않는 한 폐로를 형성하지 않는 개방된 상태이므로, 상기 감지회선(300)은 상기 제1개폐수단(600) 및 상기 제2개폐수단(700)이 작동되기 직전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폐로가 없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화재감지기(100)에서는 상기 감지회선(300)이 단선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서는 상기 감지회선(300)이 단선상태가 되더라도 모든 화재감지기(4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받을 수 있으면서도, 상기 화재수신기(100)에 대하여, 상기 감지회선(300)이 단선상태에 있음을 알릴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재수신기(100)는, 상기 감지회선(300)의 단선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상기 감지회선(300)의 단선발생 판단방법으로서 상기 감지회선(300)에 대한 전압측정결과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회선(300)이 시작되는 부분의 두 선(301)에서 측정되는 전압이 일정범위 이상 증가되면 상기 감지회선(300)의 단선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감지회선(300)에 인가된 전압은 DC 24V이지만, 상기 화재수신기(100)의 내부저항과 상기 종단저항(500)으로 인하여 상기 감지회선(300)에는 일정한 전류가 상시적으로 흐르게 되며, 이 전류로 인하여 상기 화재수신기(100)의 내부저항으로 인한 전압강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감지회선(300)이 시작하는 지점(301)에서는 약 22V 정도의 전압이 측정되는데, 만일 상기 감지회선(300)에서 단선이 발생되면, 상기 종단저항(500)에 의하여 형성된 폐로가 개방되기 때문에 상기 감지회선(300)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회선(300)이 시작하는 지점(301)에서 측정되는 전압은 전압강하가 없으므로 24V가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회선(300)이 시작하는 지점(301)에서 측정되는 전압 값의 증가여부로 상기 감지회선(300)의 단선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상기 감지회선(30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판단하는 방법이 있는데, 상기 감지회선(300)에 흐르는 전류 값을 측정하여 전류 값이 없으면 단선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회선(300) 상에 일정 값의 직렬저항을 연결하고 직렬저항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도 단선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직렬저항 양단에 전압이 0V이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이며,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는 것은 단선이 발생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재수신기(100)가 상기 감지회선(300)에 대하여 단선발생으로 판단하면, 상기 화재수신기(100)는 상기 제1개폐수단(600)과 상기 제2개폐수단(700)을 제어하여, 평상시에 개방되어 있던 상기 제1개폐수단(600)을 투입시키며, 평상시에 투입되어 있던 상기 제2개폐수단(700)을 개방시키는데, 상기 제1개폐수단(600)과 상기 제2개폐수단(700)으로는 4개의 접점을 가지는 릴레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도체 스위칭소자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릴레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릴레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원을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평상시 구동전원을 공급하다가 릴레이의 작동이 필요한 경우 공급전원을 중단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스위칭소자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 상기 반도체 스위칭소자를 트리거링 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보내어 스위칭소자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어수단(8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화재수신기(100)가 상기 감지회선(300)에 대한 단선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1개폐수단(600) 및 상기 제2개폐수단(700)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제1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제어수단(800)이 상기 감지회선(300)에 대한 단선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1개폐수단(600) 및 상기 제2개폐수단(700)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수단(800)은 상기 종단저항(500)의 양단(303)에 연결되어 거기에 인가된 종단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종단전압이 일정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단선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감지회선(300)이 단선되는 경우에는 상기 종단저항(500)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상기 종단저항(500)의 양단의 전압은 0V가 된다. 다만 유도전압 및 누설전류에 의하여 흐를 수 있는 미미한 값의 전압이 측정될 수도 있으므로 수V 이하의 전압이 측정되는 경우 상기 감지회선(300)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수단(800)이 상기 감지회선(300)의 단선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800)은 상기 제1개폐수단(600) 및 상기 제2개폐수단(700)을 제어하여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관하여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상기 화재수신기(100)가 상기 제1개폐수단(600) 및 상기 제2개폐수단(700)을 제어하여 작동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개폐수단(600) 및 상기 제2개폐수단(700)이 릴레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800)에서 구동전원을 공급하거나 중단시키고, 반도체 스위칭소자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800)에서 반도체 스위칭소자를 트리거링 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보내어 스위칭소자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수단(80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800)이 상기 감지회선(300)의 단선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감지회선(300)이 단선된 경우 상기 제어수단(800)이 상기 제1개폐수단(600) 및 상기 제2개폐수단(700)을 제어하여 작동되도록 한다. 다만, 상기 감지회선(300)의 단선여부를 판단할 때 상기 제2실시예와 달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800)이 상기 감지회선(300)이 시작되는 부분(301)에 연결되어 그 지점의 전압변화를 측정하며, 상기 전압변화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단선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회선(300)이 시작되는 부분(301)의 전압은 평상시 약 22V 내외가 되었다가 상기 감지회선(300)에 단선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24V로 증가하게 되며, 상기 제어수단(800)은 이러한 전압변화를 감지하여 전압이 일정 값 이상 증가하는 경우 상기 감지회선(300)에 단선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나머지 작동과정의 상기 제1실시예 및 상기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 사용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상기 제2실시예와 같은 원리로 작동되는 실시예이며, 도 7(b)는 상기 제2실시예와 같은 원리로 작동되는 실시예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감지회선 절환장치는, 경계구역 내에 분산 배치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400), 두 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화재감지기(400) 각각을 병렬로 연결시키는 감지회선(300), 상기 감지회선(300)과 연결되어 상기 화재감지기(400)에 대한 동작 상태를 탐지하는 화재수신기(100) 및 상기 감지회선(300)이 끝나는 부분에 연결되는 종단저항(500)을 포함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 설치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로서, 상기 감지회선(300)이 시작되는 부분의 두 선과 상기 감지회선(300)이 끝나는 부분의 두 선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1개폐수단(600), 상기 종단저항(500)의 양단과 상기 감지회선(300)이 끝나는 부분의 두 선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2개폐수단(700) 및 상기 감지회선(300)에 대한 단선사고 발생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단선사고 발생 시 상기 제1개폐수단(600) 및 상기 제2개폐수단(700)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제어수단(8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개폐수단(600)은 평상시에 개방되어 있다가 상기 단선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800)의 제어에 따라 투입되며, 상기 제2개폐수단(700)은 평상시에 투입되어 있다가 상기 단선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800)의 제어에 따라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감지회선 절환장치는 종래기술에 의하여 설치된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의 화재수신기나 발신기 단자함 등에 부가하여 장착하기만 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단선 시에도 작동 가능한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 될 수 있는 바, 기존에 종래기술로 설치된 자동 화재탐지설비에 대하여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단기간 동안에 신뢰성이 높은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으로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화재수신기
200 단자대
300 감지회선
400 화재감지기
500 종단저항
600 제1개폐수단
700 제2개폐수단
800 제어수단

Claims (7)

  1. 경계구역 내에 분산 배치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 두 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화재감지기 각각을 병렬로 연결시키는 감지회선, 상기 감지회선과 연결되어 상기 화재감지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탐지하는 화재수신기 및 상기 감지회선이 끝나는 부분에 연결되는 종단저항을 포함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 있어서,
    - 상기 감지회선이 시작되는 부분의 두 선과 상기 감지회선이 끝나는 부분의 두 선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1개폐수단; 및
    - 상기 종단저항의 양단과 상기 감지회선이 끝나는 부분의 두 선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2개폐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수단과 상기 제2개폐수단은 동시에 작동되되, 상기 제1개폐수단은 평상시에 개방되어 있다가 상기 감지회선에 단선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투입되며, 상기 제2개폐수단은 평상시에 투입되어 있다가 상기 단선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수단 및 상기 제2개폐수단은 상기 화재수신기 또는 중계기가 보내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단선사고 발생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단선사고 발생 시 상기 제1개폐수단 및 상기 제2개폐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종단저항의 양단에 인가된 종단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종단전압이 일정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단선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감지회선이 시작되는 부분의 전압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전압변화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단선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7. 경계구역 내에 분산 배치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 두 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화재감지기 각각을 병렬로 연결시키는 감지회선, 상기 감지회선과 연결되어 상기 화재감지기에 대한 동작 상태를 탐지하는 화재수신기 및 상기 감지회선이 끝나는 부분에 연결되는 종단저항을 포함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 설치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로서
    - 상기 감지회선이 시작되는 부분의 두 선과 상기 감지회선이 끝나는 부분의 두 선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1개폐수단;
    - 상기 종단저항의 양단과 상기 감지회선이 끝나는 부분의 두 선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2개폐수단; 및
    - 상기 감지회선에 대한 단선사고 발생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단선사고 발생 시 상기 제1개폐수단 및 상기 제2개폐수단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개폐수단은 평상시에 개방되어 있다가 상기 단선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투입되며, 상기 제2개폐수단은 평상시에 투입되어 있다가 상기 단선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 사용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
KR1020190051462A 2019-05-02 2019-05-02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 KR102143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462A KR102143332B1 (ko) 2019-05-02 2019-05-02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462A KR102143332B1 (ko) 2019-05-02 2019-05-02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332B1 true KR102143332B1 (ko) 2020-08-11

Family

ID=7204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462A KR102143332B1 (ko) 2019-05-02 2019-05-02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3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595B1 (ko) * 2020-07-09 2021-10-18 열두방재(주) 감지회선이 단선되어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KR102661140B1 (ko) * 2024-01-16 2024-04-26 (주)자바네트웍스 화재 감지 장치의 네트워킹 회선 단선 시의 절체 관리 및 모니터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1576A (ja) * 1995-09-26 1997-04-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火災受信機による感知器回線断線検出システム
JP2013109627A (ja) * 2011-11-22 2013-06-06 Nohmi Bosai Ltd 火災報知設備及びそれに利用する中継器
KR101399025B1 (ko) * 2014-02-13 2014-05-30 비아이산업(주) 양방향 통신 기능을 갖는 위험 구역내 설치용 화재 및 가스 감지 시스템
JP2017085249A (ja) * 2015-10-23 2017-05-18 ホーチキ株式会社 防災監視システム
KR101862672B1 (ko) * 2017-12-28 2018-05-31 (주)온리정보통신 단선 알림 기능의 통신 루프 방식의 화재 감지 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1576A (ja) * 1995-09-26 1997-04-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火災受信機による感知器回線断線検出システム
JP2013109627A (ja) * 2011-11-22 2013-06-06 Nohmi Bosai Ltd 火災報知設備及びそれに利用する中継器
KR101399025B1 (ko) * 2014-02-13 2014-05-30 비아이산업(주) 양방향 통신 기능을 갖는 위험 구역내 설치용 화재 및 가스 감지 시스템
JP2017085249A (ja) * 2015-10-23 2017-05-18 ホーチキ株式会社 防災監視システム
KR101862672B1 (ko) * 2017-12-28 2018-05-31 (주)온리정보통신 단선 알림 기능의 통신 루프 방식의 화재 감지 경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595B1 (ko) * 2020-07-09 2021-10-18 열두방재(주) 감지회선이 단선되어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KR20220007032A (ko) * 2020-07-09 2022-01-18 열두방재(주) 감지회선이 단선되어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KR102569035B1 (ko) * 2020-07-09 2023-08-23 열두방재(주) 감지회선이 단선되어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KR102661140B1 (ko) * 2024-01-16 2024-04-26 (주)자바네트웍스 화재 감지 장치의 네트워킹 회선 단선 시의 절체 관리 및 모니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149012B (no) Gassvarslingsanlegg.
KR101841727B1 (ko) 소방중계기방송장치 선로의 단락검사에 따른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2143332B1 (ko)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
US201301066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spection, maintenance and testing of alarm safety systems
JPH05240882A (ja) 絶縁された表示器を備えた障害回路検出器
KR102569035B1 (ko) 감지회선이 단선되어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KR101717774B1 (ko)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
KR20070109912A (ko) 화재 검출 시스템의 검출기 라인의 결함 감시를 위한 방법및 장치
KR102690443B1 (ko) 화재감지기 및 종단 시험 방법
US102158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ication of contact operation
CN106315373A (zh) 一种电梯层门门锁触点状态检测装置及方法
US5387899A (en) Alarm system with monitoring circuit for detecting a cut or short in a pair of wires
US8456315B2 (en) Monitoring device for functionally monitoring reporting system, re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KR102060467B1 (ko) 개선된 스피커 선로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비상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선로 모니터링 방법
JP6622538B2 (ja) 防災監視システム
JP6746444B2 (ja)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JPH09180072A (ja) 防災システム
KR0131157B1 (ko) 자동폐색기능 검지장치
KR20130027848A (ko) 오경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p형 화재 경보 수신기 시스템 및 오경보 판정 방법
KR102000574B1 (ko) 업소용 가스 누설 감지 및 관리 시스템
KR102513475B1 (ko) 차단기 개폐 보조 장치
KR102710071B1 (ko) 발전기의 화재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JP7203171B2 (ja) 防災監視システム
JPH0887691A (ja) 点検器および防災監視装置
JP6676803B2 (ja) 第1の機器用電源装置及び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