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321B1 - 페달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페달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321B1
KR102143321B1 KR1020200015518A KR20200015518A KR102143321B1 KR 102143321 B1 KR102143321 B1 KR 102143321B1 KR 1020200015518 A KR1020200015518 A KR 1020200015518A KR 20200015518 A KR20200015518 A KR 20200015518A KR 102143321 B1 KR102143321 B1 KR 102143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mper
piston unit
piston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8529A (ko
Inventor
권해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5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3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8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60T8/409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troke simul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는, 차량의 페달 조작에 따른 반력을 제공하는 페달시뮬레이터에 있어서, 페달의 스트로크 진행에 연동되어 후방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전단부가 폐쇄된 중공형의 피스톤 유닛; 피스톤 유닛 내부 전방에 배치되는 제1 댐퍼부; 제1 댐퍼부의 후단과 결합하는 것으로, 후방으로 돌출된 결합축과 결합축의 단부에 형성된 단턱부를 구비하는 압축가이드 유닛; 압축가이드 유닛의 결합축이 관통 결합되는 제2 댐퍼부; 제2 댐퍼부의 후단과 결합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압축가이드 유닛의 결합축에 전단이 끼움 결합되어 단턱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구속되는 스톱퍼 유닛; 및 스톱퍼 유닛의 후단에 결합하여 피스톤 유닛의 진행을 막는 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페달시뮬레이터{PEDAL SIMULATOR OF BRAKE BY WIRE SYSTEM}
본 발명은 페달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방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페달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와이어방식 브레이크 시스템인 BBW(Brake by wire system)은 차량을 제동하는 방식 중 하나를 말한다. 상기 BBW에는 휠 디스크 제동력으로 12V 전압 모터를 갖춘 엑츄에이터 동력을 이용하는 방식인 EMB(Electro mechanical brake)나, 휠 디스크 제동력으로 모터 동력을 웨지구조로 자가배력(Self-energizing)시켜 큰 제동력을 형성시켜주는 방식인 EWB(Electro wedge brake)가 적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BBW에는 페달을 조작하는 운전자에게 페달감(답력)을 느끼게 해주는 페달시뮬레이터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페달시뮬레이터에는 고무재질의 댐퍼와 스프링에 의한 반력으로 상기 페달감을 형성해 주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관련하여, 도 1은 종래 페달시뮬레이터(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페달시뮬레이터(10)는 내부로 챔버를 형성하는 실린더(1)와, 페달(미도시)과 연결되어 페달의 스트로크를 전달받아 이동하는 피스톤(2)과, 실린더(1)의 챔버에 수용되어 피스톤(2)으로 반력을 전달하는 고무댐퍼(3)와, 피스톤(2)이 계속 전진하는 것을 막는 스프링(4) 및 피스톤 스톱퍼(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페달시뮬레이터(10)는 공지의 것으로, 각 구성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 때, 운전자가 가하는 제동력은 다양한 시스템 배력비로 전환되어 대략 5배 정도의 배력비로 고무댐퍼(3)에 작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고무댐퍼(3)는 반복적으로 응력을 받게 되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부분적으로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제동력이 가해지는 초기에 피스톤(2)에 의해서 압축되는 범위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고무댐퍼(3)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파단 현상에 기인한 것으로, 고무댐퍼(3)의 부품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두 개의 댐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부들의 압축 변형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페달 답력 형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댐퍼의 부품 수명을 늘릴 수 있는 페달시뮬레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페달 조작에 따른 반력을 제공하는 페달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페달의 스트로크 진행에 연동되어 후방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전단부가 폐쇄된 중공형의 피스톤 유닛; 상기 피스톤 유닛 내부 전방에 배치되는 제1 댐퍼부; 상기 제1 댐퍼부의 후단과 결합하는 것으로, 후방으로 돌출된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의 단부에 형성된 단턱부를 구비하는 압축가이드 유닛; 상기 압축가이드 유닛의 결합축이 관통 결합되는 제2 댐퍼부; 상기 제2 댐퍼부의 후단과 결합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축가이드 유닛의 결합축에 전단이 끼움 결합되어 상기 단턱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구속되는 스톱퍼 유닛; 및 상기 스톱퍼 유닛의 후단에 결합하여 상기 피스톤 유닛의 진행을 막는 캡부를 포함하는 페달시뮬레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댐퍼부는 상기 압축가이드 유닛 및 상기 스톱퍼 유닛에 의해 전후방이 가압되어 소정 크기로 압축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유닛의 내측 전단부 중앙에는 후방으로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댐퍼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1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댐퍼부의 후단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가이드 유닛의 전단면에는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댐퍼부의 후단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 유닛의 전단면에는 상기 제3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유닛이 제1 거리를 후방 진행하면, 상기 제1 댐퍼부는 상기 피스톤 유닛 및 상기 압축가이드 유닛에 의해 전후방이 가압되어 소정 크기로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유닛이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를 후방 진행하면, 상기 제1 댐퍼부는 상기 피스톤 유닛 및 상기 압축가이드 유닛에 의해 전후방이 가압되어 소정 크기로 압축되고, 상기 제2 댐퍼부는 상기 압축가이드 유닛 및 상기 스톱퍼 유닛에 의해 전후방이 가압되어 소정 크기로 압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의 와이어방식 브레이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두 개의 댐퍼부를 구비하고 전방의 댐퍼부는 초기 페달 스트로크에 대한 답력을 형성하게 하고, 후방의 댐퍼부는 후반 답력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페달의 답력 형성이 가능하다.
특히, 후방의 댐퍼부의 초기 압축 정도를 세팅 가능하므로 페달 스트로크에 따른 답력 형성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댐퍼부를 구비하여 반복응력에 따른 피로파괴율을 낮춤으로써 댐퍼의 부품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도 1은 종래 페달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페달시뮬레이터가 결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페달시뮬레이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시뮬레이터(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도 2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을 "전단"으로 표기하고, 우측 방향을 "후단"으로 표기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2를 참조하면, 페달시뮬레이터(100)는 피스톤 유닛(110)과, 피스톤 유닛(11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결합 배치되는 제1 댐퍼부(120), 압축가이드 유닛(130), 제2 댐퍼부(140) 및 스톱퍼 유닛(150)과, 피스톤 유닛(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캡부(160)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댐퍼부(120), 압축가이드 유닛(130), 제2 댐퍼부(140) 및 스톱퍼 유닛(150)은 피스톤 유닛(1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피스톤 유닛(11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 유닛(110)은 페달(미도시)의 스트로크 진행에 연동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전단부가 폐쇄된 중공형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 유닛(110)은 페달이 가압되면 후방으로 진행하고, 페달의 가압이 해제되면 다시 전방으로 진행한다.
제1 댐퍼부(120)는 피스톤 유닛(110)의 내부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탄성력을 지닌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재로는 대표적으로 고무 소재가 있다. 제1 댐퍼부(1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피스톤 유닛(110)이 후방으로 진행하게 되면 피스톤 유닛(110)의 전단 내부면에 의해 후방향으로 가압된다.
한편, 피스톤 유닛(110)의 내측 전단부 중앙에는 후방으로 제1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1 댐퍼부(120)의 중앙에는 상기 제1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댐퍼부(120)가 피스톤 유닛(110)의 제1 돌출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피스톤 유닛(110)의 내측 전단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압축가이드 유닛(130)은 제1 댐퍼부(120)의 후단과 결합하는 것으로, 가이드부(131), 결합축(133) 및 단턱부(135)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31)는 제1 댐퍼부(120)의 후단면과 맞닿는 부분으로 제1 댐퍼부(120)의 후단면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결합축(133)은 가이드부(131)의 후면 중앙에서 후방향으로 돌출되는 축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단턱부(135)는 결합축(133)의 후단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 크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압축가이드 유닛(130)은 전체적으로 "H"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댐퍼부(120)의 후단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124)가 형성되고, 압축가이드 유닛(130)의 전단면에는 제2 돌출부(124)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댐퍼부(120)의 후단면이 압축가이드 유닛(130)의 전단면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댐퍼부(140)는 압축가이드 유닛(130)의 결합축(133)과 관통 결합되는 것으로, 탄성력을 지닌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재로는 대표적으로 고무 소재가 있으며, 제2 댐퍼부(140)는 제1 댐퍼부(12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댐퍼부(1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피스톤 유닛(110)이 후방으로 진행하게 되면 제1 댐퍼부(120) 및 압축가이드 유닛(130)의 가이드부(131)에 의해 후방향으로 가압된다.
스톱퍼 유닛(150)은 제2 댐퍼부(140)의 후단과 결합하는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2 댐퍼부(140)는 압축가이드 유닛(130)의 결합축(133)과 관통 결합된다. 따라서, 제2 댐퍼부(140)가 압축가이드 유닛(130)의 결합축(133)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톱퍼 유닛(150)이 상기 결합축(133)에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압축가이드 유닛(130)의 단턱부(135)는 스톱퍼 유닛(150)의 내부에 수용되어 구속된다. 다만, 단턱부(135)는 스톱퍼 유닛(150)의 전면에 걸려 구속될 뿐, 스톱퍼 유닛(150)의 길이만큼 스톱퍼 유닛(150) 내부에서 후방으로 전진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스톱퍼 유닛(150)의 전단면과 제2 댐퍼부(140)의 후단면의 결합을 위해서, 제2 댐퍼부(140)의 후단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돌출부(141)가 형성되고 스톱퍼 유닛(150)의 전단면에는 제3 돌출부(141)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댐퍼부(140)의 후단면이 스톱퍼 유닛(150)의 전단면과 결합될 수 있다.
캡부(160)는 스톱퍼 유닛(150)의 후단에 결합하는 것으로, 피스톤 유닛(110)의 크기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제1 댐퍼부(120), 압축가이드 유닛(130), 제2 댐퍼부(140) 및 스톱퍼 유닛(150)은 피스톤 유닛(1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피스톤 유닛(110)이 후방으로 진행할수록, 제1 댐퍼부(120), 압축가이드 유닛(130), 제2 댐퍼부(140) 및 스톱퍼 유닛(150)은 모두 피스톤 유닛(110)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러나, 캡부(160)는 피스톤 유닛(110)의 크기보다 큰 형태를 가지는 바, 피스톤 유닛(110)의 후단부는 캡부(160)에 의하여 더 이상 후방 진행을 하지 못하게 된다. 즉, 캡부(160)는 피스톤 유닛(110)의 진행을 막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캡부(160)는 피스톤 유닛(110)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가진다.
도 3은 도 2의 페달시뮬레이터(100)가 결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피스톤 유닛(110)의 내부에는 제1 댐퍼부(120), 압축가이드 유닛(130), 제2 댐퍼부(140)가 수용되고, 제2 댐퍼부(140)의 후방으로 스톱퍼 유닛(150) 및 캡부(16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피스톤 유닛(110)의 내부 전단면 중앙에는 제1 돌출부(111)가 형성되고, 제1 돌출부(111)는 제1 댐퍼부(120)의 수용홀(122)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제1 댐퍼부(120)의 후단면에는 제2 돌출부(124)가 형성되어 압축가이드 유닛(130)의 가이드부(131) 전면에 형성된 제1 수용홈(131a)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제2 댐퍼부(140)의 후단면에는 제3 돌출부(141)가 형성되어 스톱퍼 유닛(150)의 전면에 형성된 제2 수용홈(151)에 끼움 결합된다.
한편, 압축가이드 유닛(130)의 결합축(133)에는 제2 댐퍼부(140)가 관통되어 결합되어 있고, 제2 댐퍼부(140)의 후단면에는 스톱퍼 유닛(150)이 결합되되, 압축가이드 유닛(130)의 단턱부(135)가 스톱퍼 유닛(150) 전단을 관통하여 구속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 때, 제2 댐퍼부(140)는 압축가이드 유닛(130)의 가이드부(131) 후단면과, 스톱퍼 유닛(150)의 전면에 의해 전후방이 가압되어 소정 크기로 압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댐퍼부(140)의 길이가 결합축(133)의 길이와 같거나 소정 정도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댐퍼부(140)가 결합축(133)에 결합된 후에 다시 스톱퍼 유닛(150)의 전면으로 제2 댐퍼부(140)를 후방에서 가압하면서 스톱퍼 유닛(150)을 압축가이드 유닛(130)에 끼움 결합하면, 제2 댐퍼부(140)는 소정 크기로 압축된 형태로 배치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댐퍼부(120)의 길이는 제2 댐퍼부(140)의 길이보다 길다.
한편, 제2 댐퍼부(140)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제2 댐퍼부(140)의 초기 압축 상태는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가지 답력 세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운전자가 페달을 가압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경우를 중심으로 페달시뮬레이터(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운전자가 페달을 가압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제동력은 직간접적으로 페달시뮬레이터(100)의 피스톤 유닛(110)으로 전달된다. 피스톤 유닛(110)은 상기 제동력에 의해 후방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이 때 페달 스트로크가 상대적으로 낮은 초기 상태에서의 피스톤 유닛(110)의 후방 전진 거리를 제1 거리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피스톤 유닛(110)이 상기 제1 거리를 진행하게 되면, 피스톤 유닛(110) 내부에 결합된 제1 댐퍼부(120)는 자유단 상태에 있다가 피스톤 유닛(110)의 내부 전단면으로부터 전방에서 압력을 받게 된다. 제1 댐퍼부(120)의 후방에는 압축가이드 유닛(130)의 가이드부(131)가 결합되어 있으며, 압축가이드 유닛(130)은 캡부(160)에 의해 후방에서 지지된다. 그러므로 제1 댐퍼부(120)는 압축가이드 유닛(130)의 가이드부(131)로부터 후방에서 압력을 받게 된다. 즉, 제1 댐퍼부(120)는 피스톤 유닛(110) 및 압축가이드 유닛(130)에 의해 압축되어 답력을 형성하게 된다(1차 답력). 이 경우, 제2 댐퍼(140)는 압축되어 있는 상태 그대로이고, 상기 페달 스트로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반대로, 운전자에 의해 페달이 해제되면 제1 댐퍼부(120)의 복원력에 의하여 피스톤 유닛(110)은 다시 전방으로 진행하여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도 4는 도 3의 페달시뮬레이터(100)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페달을 가압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제동력은 직간접적으로 페달시뮬레이터(100)의 피스톤 유닛(110)으로 전달된다. 피스톤 유닛(110)은 상기 제동력에 의해 후방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이 때 페달 스트로크가 상대적으로 높은 후기 상태에서의 피스톤 유닛(110)의 후방 전진 거리를 제2 거리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즉, 제2 거리는 전술한 제1 거리보다 긴 거리에 해당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피스톤 유닛(110)이 상기 제2 거리를 진행하게 되면, 제1 댐퍼부(120)는 피스톤 유닛(110) 및 압축가이드 유닛(130)에 의해 압축되어 답력을 형성하게 된다(1차 답력). 그러나, 피스톤 유닛(110)은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를 진행하게 되고 제1 댐퍼부(120)가 압축되는 크기는 한계가 있으므로 상기 한계에 이르게 되면, 제1 댐퍼부(120)는 더 이상 압축되지 않고 제2 댐퍼부(120)의 압축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댐퍼부들에 작용하는 응력을 단계별로 구분함으로써 반복응력에 따른 피로파괴율을 낮출 수 있다. 이는 댐퍼부들의 부품 수명 연장에 기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댐퍼부(120)가 압축한계에 다다르면, 제1 댐퍼부(120)는 압축된 상태에서 피스톤 유닛(110)과 함께 후방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댐퍼부(120)의 후단에는 압축가이드 유닛(130)이 결합되므로 압축가이드 유닛(130) 역시 후방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톱퍼 유닛(150)은 제2 댐퍼부(120)의 후단에 결합되어 있고 캡부(160)에 의해 후방 지지되고 있으므로, 제2 댐퍼부(120)는 압축가이드 유닛(130)의 가이드부(131) 후면에 의해 전방에서 압력을 받게 되고 스톱퍼 유닛(150)의 전면에 의해 후방에서 압력을 받게 된다.
즉, 제2 댐퍼부(120)는 압축가이드 유닛(130) 및 스톱퍼 유닛(150)에 의해 압축되어 답력을 형성하게 된다(2차 답력). 즉, 피스톤 유닛(110)이 제2 거리를 진행하게 되면 제1 댐퍼부(120) 및 제2 댐퍼부(140) 모두에서 답력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제2 댐퍼부(140)가 압축되는 크기는 한계가 있으므로 상기 한계에 이르게 되면, 제2 댐퍼부(140)는 압축된 상태에서 피스톤 유닛(110)과 함께 후방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는 압축가이드 유닛(130)의 단턱부(135)가 스톱퍼 유닛(150)의 내부에 전진 가능하도록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피스톤 유닛(110)의 후단부가 캡부(160)의 전면 테두리에 맞닿을 때까지(도 4에 도시된 형태) 피스톤 유닛(110)의 진행이 일어나게 된다.
반대로, 운전자에 의해 페달이 해제되면 제1 댐퍼부(120) 및 제2 댐퍼부(140)의 복원력에 의하여 피스톤 유닛(110)은 다시 전방으로 진행하여 원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명의 실시예들은 두 개의 댐퍼부를 구비하고 전방의 댐퍼부는 초기 페달 스트로크에 대한 답력을 형성하게 하고, 후방의 댐퍼부는 후반 답력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페달의 답력 형성이 가능하다. 특히, 후방의 댐퍼부의 초기 압축 정도를 세팅 가능하므로 페달 스트로크에 따른 답력 형성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댐퍼부를 구비하여 반복응력에 따른 피로파괴율을 낮춤으로써 댐퍼의 부품 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페달시뮬레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의 와이어방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와이어방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조작에 의해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구동되는 방식으로 페달시뮬레이터의 피스톤 유닛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 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0: 페달시뮬레이터
1: 실린더 2: 피스톤
3: 고무댐퍼 4: 스프링
5: 피스톤 스톱퍼 110: 피스톤 유닛
111: 제1 돌출부 120: 제1 댐퍼부
122: 수용홀 124: 제2 돌출부
130: 압축가이드 유닛 131: 가이드부
131a: 제1 수용홈 133: 결합축
135: 단턱부 140: 제2 댐퍼부
141: 제3 돌출부 150: 스톱퍼 유닛
151: 제2 수용홈 160: 캡부

Claims (8)

  1. 차량의 페달 조작에 따른 반력을 제공하는 페달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페달의 스트로크 진행에 연동되어 후방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전단부가 폐쇄된 중공형의 피스톤 유닛;
    상기 피스톤 유닛의 내부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 유닛의 전단 내부면과 직접 맞닿는 제1 댐퍼부;
    상기 제1 댐퍼부의 후단과 결합하는 압축가이드 유닛;
    상기 압축가이드 유닛이 관통 결합되는 제2 댐퍼부; 및
    상기 피스톤 유닛의 진행을 막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퍼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댐퍼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댐퍼부의 후단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유닛이 후방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제1 댐퍼부와 상기 압축가이드 유닛은 상기 피스톤 유닛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캡부는 상기 피스톤 유닛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댐퍼부의 압축은 상기 피스톤 유닛이 후방 진행 시에 상기 캡부에 맞닿을 때까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시뮬레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댐퍼부는 전후방이 가압되어 소정 크기로 압축되어 배치되는 페달시뮬레이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유닛의 내측 전단부 중앙에는 후방으로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댐퍼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1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홀이 형성되는 페달시뮬레이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부의 후단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가이드 유닛의 전단면에는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이 형성되는 페달시뮬레이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댐퍼부의 후단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돌출부가 형성되는 페달시뮬레이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유닛이 제1 거리를 후방 진행하면, 상기 제1 댐퍼부는 상기 피스톤 유닛 및 상기 압축가이드 유닛에 의해 전후방이 가압되어 소정 크기로 압축되는 페달시뮬레이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유닛이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를 후방 진행하면, 상기 제1 댐퍼부는 상기 피스톤 유닛 및 상기 압축가이드 유닛에 의해 전후방이 가압되어 소정 크기로 압축되고, 상기 제2 댐퍼부는 전후방이 가압되어 소정 크기로 압축되는 페달시뮬레이터.
  8. 차량의 페달 조작에 따른 반력을 제공하는 페달시뮬레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의 와이어방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페달의 스트로크 진행에 연동되어 후방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전단부가 폐쇄된 중공형의 피스톤 유닛;
    상기 피스톤 유닛의 내부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 유닛의 전단 내부면과 직접 맞닿는 제1 댐퍼부;
    상기 제1 댐퍼부의 후단과 결합하는 압축가이드 유닛;
    상기 압축가이드 유닛이 관통 결합되는 제2 댐퍼부; 및
    상기 피스톤 유닛의 진행을 막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퍼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댐퍼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댐퍼부의 후단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유닛이 후방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제1 댐퍼부와 상기 압축가이드 유닛은 상기 피스톤 유닛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캡부는 상기 피스톤 유닛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댐퍼부의 압축은 상기 피스톤 유닛이 후방 진행 시에 상기 캡부에 맞닿을 때까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와이어방식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200015518A 2020-02-10 2020-02-10 페달시뮬레이터 KR102143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518A KR102143321B1 (ko) 2020-02-10 2020-02-10 페달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518A KR102143321B1 (ko) 2020-02-10 2020-02-10 페달시뮬레이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300A Division KR102080350B1 (ko) 2012-11-20 2012-11-20 페달시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529A KR20200018529A (ko) 2020-02-19
KR102143321B1 true KR102143321B1 (ko) 2020-08-11

Family

ID=6967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518A KR102143321B1 (ko) 2020-02-10 2020-02-10 페달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3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754B1 (ko) * 2020-10-27 2022-0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페달시뮬레이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496A (ja) * 2009-03-26 2010-10-14 Nissin Kogyo Co Ltd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2012206711A (ja) * 2011-03-11 2012-10-25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反力発生装置、およびブレーキ装置の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2210A (ja) * 1992-03-18 1993-10-12 Toyota Motor Corp ブレーキ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496A (ja) * 2009-03-26 2010-10-14 Nissin Kogyo Co Ltd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2012206711A (ja) * 2011-03-11 2012-10-25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反力発生装置、およびブレーキ装置の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529A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440B1 (ko) 능동형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US9141129B2 (en) Pedal simulator
US6216580B1 (en) Reaction mechanism for booster
JP6431595B2 (ja) 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のためのブレーキ倍力装置、および、車両のためのブレーキシステム
KR102143321B1 (ko) 페달시뮬레이터
EP2548776B1 (en) Stroke simulator, master cylinder having stroke simulator and brake system using master cylinder
CN104723874B (zh) 用于减小离合器踏板力的装置
KR101317152B1 (ko) 디스크 브레이크
CN113335247B (zh) 踏板感觉模拟器组件及制动系统
US8210091B2 (en) Quick booster
CN107042814B (zh) 输入装置
KR20170023319A (ko) 차량용 브레이크
KR102080350B1 (ko) 페달시뮬레이터
KR102180435B1 (ko)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CN112319448B (zh) 用于车辆的电动助力器
KR20160000095A (ko) 페달 시뮬레이터
TWM548123U (zh) 用於連動煞車系統之煞車總泵之改良
KR102404349B1 (ko) 마스터 실린더
KR102479446B1 (ko) 페달 시뮬레이터
KR100909999B1 (ko)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
KR101519291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KR101383643B1 (ko) 자동차용 패닉 부스터
KR100391626B1 (ko) 차량용 부스터
KR101285550B1 (ko) 차량용 브레이크의 배력장치
KR20220098908A (ko) 페달시뮬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