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102B1 - 선형 결찰기 - Google Patents

선형 결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102B1
KR102143102B1 KR1020180130574A KR20180130574A KR102143102B1 KR 102143102 B1 KR102143102 B1 KR 102143102B1 KR 1020180130574 A KR1020180130574 A KR 1020180130574A KR 20180130574 A KR20180130574 A KR 20180130574A KR 102143102 B1 KR102143102 B1 KR 102143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main drive
moved
predetermined distance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460A (ko
Inventor
배경철
민성기
Original Assignee
비앤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앤알(주) filed Critical 비앤알(주)
Priority to KR1020180130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1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5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combined with cut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35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one mechanical instrument performing multiple functions, e.g. cutting and gras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12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25Pistol grips

Abstract

본 발명은 선형 결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형 결찰기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으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200), 샤프트(200)의 말단에 구비된 조오(300, jaw),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조오(300)를 제어하도록 직선운동하는 주 구동축(400), 주 구동축(400)에 결합되어, 주 구동축(400)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리거(500, trigger), 하우징(100)에 구비된 구동부(600), 구동부(600)에 의해서 구동되는 보조 구동축(700), 및 보조 구동축(700)에 의해서 직선운동하고, 주 구동축(400)에 연결되어 주 구동축(400)을 직선운동시키는 연결부(8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형 결찰기{Linear Stapler}
본 발명은 선형 결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형 결찰기는 복부 및 흉부의 장기 수술에서 장기의 절단 및 문합에 사용되는 의료기기이다. 이러한 선형 결찰기는 개복이나 개흉 상태에서 사용되는 오픈(open)형 결찰기와 흉강경이나 복강경에 사용되는 엔도(endo)용 결찰기가 존재한다.
선형 결찰기는 수술부위의 절단과 동시에 장기의 문합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시간의 단축과 수술부위의 정확한 봉합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선형 결찰기는 조직 절단과 봉합을 위하여 외과용 봉합사를 사용할 때보다 회복이 빠르고 흉터가 적은 장점으로 인하여 현대 외과 수술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선형 결찰기는 암 수술에 있어 암 조직을 절단하고, 절단 부위를 봉합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선형 결찰기는 조오(jaw)가 폐쇄되는 과정, 조직의 문합과 절단을 수행하는 과정 순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선형 결찰기의 작동은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과 같이 통상 시술자의 힘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조직의 절단과 문합에는 적지 않은 힘이 필요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시술자의 힘이 아닌 별도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선형 결찰기를 작동시키는 방식도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동력원을 이용하는 선형 결찰기는 조오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시술자에게 조직의 상태를 피드백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10-1788243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오를 폐쇄하여 조직을 고정할 때는 트리거를 이용하고, 조직을 문합하고 절단할 때는 구동부를 이용하는 선형 결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말단에 구비된 조오(jaw),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조오를 제어하도록 직선운동하는 주 구동축, 상기 주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주 구동축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리거(trigger),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구동부,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보조 구동축, 및 상기 보조 구동축에 의해서 직선운동하고, 상기 주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주 구동축을 직선운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에 있어서,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제1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조오에는 조직이 고정되고,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소정거리 이동된 후, 제2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조오에서 조직이 문합되고 절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에 의해서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소정거리 이동되고,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소정거리 이동된 후,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2 소정거리 이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에 있어서, 상기 조오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제1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이 가까워지져,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 사이에 조직이 고정되고,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소정거리 이동된 후, 제2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조오에서 조직이 문합되고 절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은 앤빌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촉면은 스테이플과 나이프를 보유한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형성되며, 상기 앤빌은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에 있어서,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앤빌이 회동하여, 상기 앤빌과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가까워지면서, 상기 앤빌과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 사이에 조직이 고정되고,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소정거리 이동된 후, 상기 제2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에서 스테이플이 토출되어 조직이 문합되고 나이프가 이동되어 조직이 절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는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하면서 조직을 절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동축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소정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조 구동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보조 구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직선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동축은 상기 주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동축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보조 구동축이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제2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보조 구동축이 삽입되면, 상기 제1 나사선과 상기 제2 나사선이 나사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에 의해서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제1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주 구동축은 상기 연결부에 대해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에 있어서, 상기 주 구동축과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주 구동축과 상기 연결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홈 내에서 이동가능한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에 있어서, 상기 홈에서 상기 돌기가 이동가능한 거리는 상기 제1 소정거리에 대응하거나 상기 제1 소정거리보다 크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에 있어서,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소정거리 이동된 후,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조 구동축에 의해서 직선운동하여, 상기 홈의 말단에 상기 돌기가 걸리면, 상기 연결부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상기 주 구동축이 직선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상기 주 구동축은 제2 소정거리 이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에 있어서,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제1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조오에는 조직이 고정되고,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소정거리 이동된 후, 상기 제2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조오에서 조직이 문합되고 절단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오를 폐쇄하여 조직을 고정할 때는 트리거를 이용하고, 조직을 문합하고 절단할 때는 구동부를 이용하므로, 조오를 폐쇄할 때 시술자가 트리거를 통해서 조직의 상태를 피드백 받을 수 있고, 조직을 문합하고 절단할 때 시술자의 힘이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에서 하우징을 일부 제거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 측면도,
도 3a, 도 4a, 및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및
도 3b, 도 4b,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의 조오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에서 하우징을 일부 제거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으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200), 샤프트(200)의 말단에 구비된 조오(300, jaw),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조오(300)를 제어하도록 직선운동하는 주 구동축(400), 주 구동축(400)에 결합되어, 주 구동축(400)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리거(500, trigger), 하우징(100)에 구비된 구동부(600), 구동부(600)에 의해서 구동되는 보조 구동축(700), 및 보조 구동축(700)에 의해서 직선운동하고, 주 구동축(400)에 연결되어 주 구동축(400)을 직선운동시키는 연결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선형 결찰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 주 구동축(400)과 보조 구동축(700) 등을 수용하는 배럴부(110)와 배럴부(1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구동부(600) 등을 수용하는 핸들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핸들부(120)는 시술자에 의해서 트리거(500)와 함께 파지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라스틱 등의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0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연장되고 말단에 조오(300)가 구비된다. 즉, 샤프트(200)는 하우징(100)과 조오(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하우징(100)은 전체적으로 관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주 구동축(400)에 연결된 연결축(430), 연결축(430)에 연결된 구동빔(44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주 구동축(400)이 직선운동하면, 샤프트(200)의 내부에서 연결축(430)과 구동빔(440) 역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축(430)과 구동빔(440)이 직선운동하면, 최종적으로 조오(300)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샤프트(200)는 회전노브(210)에 의해서 하우징(1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샤프트(200)가 회전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조오(300)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200)에는 관절운동 제어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절운동 제어부(220)는 조오(300)를 관동운동시켜 샤프트(200)의 길이방향에 대한 조오(3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오(300)는 조직을 고정하거나 조직을 문합하고 절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조오(300)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접촉면(313)과 제2 접촉면(323)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접촉면(313)과 제2 접촉면(323) 사이에서 조직이 고정되거나 조직이 문합되고 절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접촉면(313)은 앤빌(310, anvil)에 형성되고, 제2 접촉면(323)은 카트리지 어셈블리(320, cartridge assembly)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앤빌(310)과 카트리지 어셈블리(320)는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앤빌(310)의 일단이 카트리지 어셈블리(32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앤빌(310)이 카트리지 어셈블리(320)에 대해서 소정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앤빌(310)의 타단과 카트리지 어셈블리(320)의 타단이 이격된 상태에서 조직을 앤빌(310)과 카트리지 어셈블리(320) 사이에 배치한 후, 앤빌(310)을 회동시키면 앤빌(310)과 카트리지 어셈블리(320) 사이에 조직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어셈블리(320)에는 스테이플(324, staple)이 수용되고, 나이프(327, knife; 구동빔(440)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음)가 보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 어셈블리(320)에서 스테이플(324)이 토출되면, 앤빌(310)에 의해서 스테이플(324)이 휘어지면서, 스테이플(324)이 조직을 문합할 수 있다. 동시에, 카트리지 어셈블리(320)의 나이프(327)가 이동되면서, 나이프(327)가 조직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나이프(327)는 카트리지 어셈블리(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하면서 조직을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주 구동축(400)은 조오(300)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우징(100, 배럴부(1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주 구동축(400)은 조오(300)에 가까워지는 방향(일방향)과 멀어지는 방향(타방향)으로 직선운동한다. 이때, 주 구동축(400)은 트리거(500)와 구동부(600)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술자가 트리거(500)를 조작하면 트리거(500)에 의해서 주 구동축(400)은 제1 소정거리 이동되고, 이후 구동부(600)에 의해서 주 구동축(400)은 제2 소정거리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 구동축(400)이 제1 소정거리 또는 제2 소정거리 이동되면, 주 구동축(400)에 연결된 연결축(430)과 구동빔(440) 역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조오(300)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주 구동축(400)의 하측에는 연속적인 톱니(410)가 형성되고, 이러한 톱니(410)에 트리거(500)의 말단에 형성된 체결부(520)가 결합되어, 트리거(500)의 회동에 따라 주 구동축(400)이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주 구동축(400)은 연결부(800)와 결합되어, 구동부(600)에 의해서 연결부(800)가 이동될 때, 주 구동축(400)도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트리거(500)는 주 구동축(40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트리거(500)는 회동축(510)을 기준으로 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가 핸들부(120)와 함께 트리거(500)를 움켜지면, 트리거(500)가 핸들부(12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회동축(510)을 기준으로 회동한다. 이때, 트리거(500)의 말단에 형성된 체결부(520)는 일방향(조오(3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체결부(520)에 결합된 주 구동축(400) 역시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트리거(500)의 체결부(520)가 주 구동축(400)에 일방향으로만 힘을 전달하도록, 주 구동축(400)에 형성된 각각의 톱니(410)는 일측(410a)이 상대적으로 급한 경사를 갖고 타측(410b)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사를 갖을 수 있다(주 구동축(400)에 대한 톱니(410) 일측(410a)의 경사 > 주 구동축(400)에 대한 톱니(410) 타측(410b)의 경사). 따라서, 트리거(500)는 핸들부(120) 방향으로 당겨질 때만 체결부(520)가 톱니(410)의 일측(410a)에 걸려 주 구동축(400)을 일방향으로만 이동시키고, 핸들부(120)에서 멀어질 때는 체결부(520)가 톱니(410)의 타측(410b)에 걸리지 않고 타고 넘어가 주 구동축(400)을 타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는다. 한편, 시술자가 트리거(500)를 놓았을 때 트리거(500)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핸들부(120)에서 멀어지도록), 트리거(5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53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수단(530)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회동축(510)에 구비된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600)는 주 구동축(40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구동부(600)는 하우징(100)에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핸들부(1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럴부(1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구동부(600)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모터(motor)일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60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구동부(600)의 회전력은 베벨기어(620, bevel gear), 연결부재(630), 평기어(640)를 통해서 보조 구동축(700)까지 전달될 수 있다. 즉, 구동부(600)의 회전력으로 인하여, 보조 구동축(700)이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조 구동축(700)이 회전하면, 연결부(800)가 직선운동하여 최종적으로 주 구동축(400)을 직선운동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부(600)의 제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우징(100)의 외부에 구비된 스위치 등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구동축(700)은 구동부(600)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하우징(100, 배럴부(1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보조 구동축(700)은 구동부(600)의 회전력에 의해서 소정축(보조 구동축(700)의 길이방향의 가상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보조 구동축(700)에는 연결부(800)가 나사결합되므로, 보조 구동축(700)의 회전에 의해서 연결부(800)는 보조 구동축(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800)의 직선운동을 통해서 주 구동축(400)이 직선운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연결부(800)의 직선운동에 대응하여 주 구동축(400)이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보조 구동축(700)은 주 구동축(40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800)는 보조 구동축(700)에 의해서 직선운동하고, 주 구동축(400)에 연결되어 주 구동축(400)을 직선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연결부(8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구동축(700)에 나사결합되어, 보조 구동축(700)이 회전함에 따라 직선운동할 수 있다(이때, 연결부(800)는 회전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보조 구동축(700)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선(7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800)에는 보조 구동축(700)이 관통하도록 관통홀(805)이 형성되고, 관통홀(805)에 제2 나사선(810)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따라서, 연결부(800)의 관통홀(805)에 보조 구동축(700)이 삽입되면, 보조 구동축(700)의 제1 나사선(710)과 관통홀(805)의 제2 나사선(810)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구동축(700)의 제1 나사선(710)과 관통홀(805)의 제2 나사선(810)이 나사결합되면, 보조 구동축(700)의 회전에 의해서 연결부(800)는 보조 구동축(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800)는 주 구동축(400)을 직선운동시키기 위해서 주 구동축(40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 구동축(400)의 상측에는 홈(420)이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800)에는 홈(420)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기(8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 구동축(400)의 홈(420)에 연결부(800)의 돌기(820)가 삽입됨으로써, 주 구동축(400)과 연결부(800)는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반드시 주 구동축(400)에 홈(420)에 형성되고, 연결부(800)에 돌기(820)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주 구동축(400)에 돌기(820)가 형성되고, 연결부(800)에 홈(4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시술자가 트리거(500)를 조작할 때 트리거(500)에 의해서 주 구동축(400)이 제1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주 구동축(400)은 연결부(800)에 대해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할 수 있다. 즉, 트리거(500)에 의해서 주 구동축(400)이 일방향으로 제1 소정거리 이동할 때, 연결부(800)가 주 구동축(400)을 구속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 주 구동축(400)에 형성된 홈(420)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연결부(800)의 돌기(820)는 홈(420)에 삽입되어 홈(420) 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트리거(500)에 의해서 주 구동축(400)이 일방향으로 제1 소정거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홈(420) 내에서 돌기(820)가 이동가능한 거리는 제1 소정거리에 대응하거나 제1 소정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통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는 구동부(600)가 주 구동축(400)에 연결됨에도 불구하고, 트리거(500)로 주 구동축(400)을 이동시켜 조오(300)를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트리거(500)에 의해서 주 구동축(400)이 일방향으로 제1 소정거리 이동된 후, 연결부(800)는 보조 구동축(700)에 의해서 직선운동하여, 홈(420)의 말단(조오(300)에 가까운 말단)에 돌기(820)가 걸리면, 연결부(800)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주 구동축(400)이 직선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800)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주 구동축(400)은 제2 소정거리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 구동축(400)이 제2 소정거리 이동하면, 조오(300)에서 조직이 문합되고 절단될 수 있다.
결국, 트리거(500)에 의해서 주 구동축(400)이 일방향으로 제1 소정거리 이동될 때, 조오(300)에는 조직이 고정되고, 이후 연결부(800)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주 구동축(400)이 제2 소정거리 이동될 때, 조오(300)에서 스테이플(324)이 도출되어 조직이 문합되고 나이프(327)가 이동되어 조직이 절단되는 것이다.
도 3a, 도 4a, 및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b, 도 4b,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의 조오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앤빌(310)의 타단(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일단의 반대 말단)과 카트리지 어셈블리(320)의 타단(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결합된 일단의 반대 말단)이 이격된 상태에서(조오(300)의 개방 상태), 앤빌(310)과 카트리지 어셈블리(320) 사이에 조직(T)을 배치한다.
다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500)가 당겨지면, 트리거(500)에 의해서 주 구동축(400)이 일방향(조오(3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1 소정거리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주 구동축(400)은 연결부(800)에 대해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 구동축(400)에 형성된 홈(420) 내에서 연결부(800)의 돌기(820)가 이동하며, 주 구동축(400)은 연결부(800)에 대해서 제1 소정거리 만큼 이동할 수 있다.
주 구동축(400)이 제1 소정거리 이동되면, 주 구동축(400)의 말단에 연결된 연결축(430)과 연결축(430)의 말단에 연결된 구동빔(440)이 제1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빔(440)의 말단에 형성된 캠 부재(450, cam member)가 이동(전진)하면서, 앤빌(310)의 내부에서 앤빌(3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플레이트(315, guide plate)의 경사진 캠 면(317, cam surface)를 밀어준다. 따라서, 앤빌(310)은 카트리지 어셈블리(320)에 가까워지도록 회동하여, 앤빌(310)의 제1 접촉면(313)과 카트리지 어셈블리(320)의 제2 접촉면(323) 사이에 조직(T)이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술자가 트리거(500)를 당기면, 주 구동축(400)이 일방향으로 제1 소정거리 이동하여, 조오(300)에 조직(T)이 고정될 수 있다.
즉, 시술자가 트리거(500)로 조오(300)를 폐쇄하여 조직(T)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시술자는 트리거(500)를 통해서 조오(300)가 조직(T)을 정확히 고정했는지 여부 또는 조직(T)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졌는지 여부 등 조직의 상태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조직(T)의 상태는 앤빌(310), 구동빔(440), 연결축(430), 주 구동축(400), 트리거(500) 순으로 전달됨).
만약 조오(300)를 다시 개방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별도의 제어부재를 통해서 트리거(500)의 체결부(520)를 주 구동축(400)의 톱니(4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체결부(520)를 톱니(410)에서 분리시키면, 주 구동축(400)은 별도의 탄성부재 등에 의해서 타방향(조오(3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도, 주 구동축(400)에 형성된 홈(420) 내에서 연결부(800)의 돌기(820)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주 구동축(400)은 연결부(800)에 대해서 자유롭게 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 구동축(400)이 타방향으로 이동하면, 주 구동축(400)에 연결된 연결축(420)과 구동빔(430) 역시 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앤빌(310)은 카트리지 어셈블리(320)에 멀어지도록 회동하여, 최종적으로 조오(300)가 개방될 수 있다. 결국, 조직(T)을 다시 고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주 구동축(400)을 자유롭게 타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오(300)를 개방시킴으로써, 조오(300)로부터 조직을 분리한 후, 다시 조직(T)을 조오(300)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600)가 작동하면, 구동부(600)에 의해서 보조 구동축(700)이 회전하고, 보조 구동축(700)에 나사결합된 연결부(800)가 직선운동하여 주 구동축(400)이 일방향(조오(3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2 소정거리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800)의 돌기(820)가 주 구동축(400)에 형성된 홈(420)에서 이동한 후, 주 구동축(400)의 홈(420)의 말단(조오(300)에 가까운 말단)에 걸림으로써, 연결부(800)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주 구동축(400)이 직선운동할 수 있다.
주 구동축(400)이 제2 소정거리 이동되면, 주 구동축(400)의 말단에 연결된 연결축(430)과 연결축(430)의 말단에 연결된 구동빔(440)이 제2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빔(440)의 말단에는 슬레드(326, sled)를 밀어주는 지지면(326a, 구동빔(440)의 말단 하측에 배치됨)과 나이프(327, 캠 부재(450)와 지지면(326a) 사이에 배치됨)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주 구동축(400)이 이동함에 따라 구동빔(440)이 이동하면, 구동빔(440)의 말단에 구비된 지지면(326a)이 이동(전진)하면서 스레드(326)가 함께 이동(전진)한다. 이와 같이, 이동하는 스레드(326)에 의해서 스테이플(324)을 지지하는 푸셔(325, pusher)가 상측으로 밀어지고 그에 따라 카트리지 어셈블리(320)에서 스테이플(324)이 토출되어 조직(T)이 문합될 수 있다. 동시에, 구동빔(440)의 말단에 형성된 나이프(327)가 카트리지 어셈블리(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전진)하면서 조직(T)을 절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동부(600)가 작동하면, 주 구동축(400)이 일방향으로 제2 소정거리 이동하면서, 조오(300)에 고정된 조직(T)을 스테이플(324)로 문합하는 동시에 조직(T)을 나이프(327)로 절단할 수 있다.
즉, 구동부(600)를 이용하여 조직(T)을 문합하고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T)을 문합하고 절단하는 과정에서 시술자의 힘이 필요하지 않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결찰기는 조오(300)를 폐쇄하여 조직(T)을 고정할 때는 트리거(500)를 이용하고, 조직(T)을 문합하고 절단할 때는 구동부(600)를 이용하므로, 조오(300)를 폐쇄할 때 시술자가 트리거(500)를 통해서 조직의 상태를 피드백 받을 수 있고, 조직(T)을 문합하고 절단할 때 시술자의 힘이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하우징 110: 배럴부
120: 핸들부 200: 샤프트
210: 회전노브 220: 관절운동 제어부
300: 조오 310: 앤빌
313: 제1 접촉면 315: 가이드 플레이트
317: 캠 면 320: 카트리지 어셈블리
323: 제2 접촉면 324: 스테이플
325: 푸셔 326: 슬레드
326a: 지지면 327: 나이프
400: 주 구동축 410: 톱니
410a: 톱니의 일측 410b: 톱니의 타측
420: 홈 430: 연결축
440: 구동빔 450: 캠 부재
500: 트리거 510: 회동축
520: 체결부 530: 탄성수단
600: 구동부 620: 베벨기어
630: 연결부재 640: 평기어
700: 보조 구동축 710: 제1 나사선
800: 연결부 805: 관통홀
810: 제2 나사선 820: 돌기
T: 조직

Claims (16)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말단에 구비된 조오(jaw);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조오를 제어하도록 직선운동하는 주 구동축;
    상기 주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주 구동축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리거(trigger);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보조 구동축; 및
    상기 보조 구동축에 의해서 직선운동하고, 상기 주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주 구동축을 직선운동시키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에 의해서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제1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주 구동축은 상기 연결부에 대해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며,
    상기 주 구동축과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주 구동축과 상기 연결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홈 내에서 이동가능한 돌기가 형성된 선형 결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제1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조오에는 조직이 고정되고,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소정거리 이동된 후, 제2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조오에서 조직이 문합되고 절단되는 선형 결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에 의해서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소정거리 이동되고,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소정거리 이동된 후,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2 소정거리 이동되는 선형 결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오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제1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이 가까워지져,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 사이에 조직이 고정되고,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소정거리 이동된 후, 제2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조오에서 조직이 문합되고 절단되는 선형 결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은 앤빌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촉면은 스테이플과 나이프를 보유한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형성되며,
    상기 앤빌은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선형 결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앤빌이 회동하여, 상기 앤빌과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가 가까워지면서, 상기 앤빌과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 사이에 조직이 고정되고,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소정거리 이동된 후, 상기 제2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에서 스테이플이 토출되어 조직이 문합되고 나이프가 이동되어 조직이 절단되는 선형 결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는 상기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하면서 조직을 절단하는 선형 결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동축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소정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조 구동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보조 구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선형 결찰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동축은 상기 주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선형 결찰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동축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보조 구동축이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제2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보조 구동축이 삽입되면, 상기 제1 나사선과 상기 제2 나사선이 나사결합되는 선형 결찰기.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에서 상기 돌기가 이동가능한 거리는 상기 제1 소정거리에 대응하거나 상기 제1 소정거리보다 큰 선형 결찰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소정거리 이동된 후,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조 구동축에 의해서 직선운동하여, 상기 홈의 말단에 상기 돌기가 걸리면, 상기 연결부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상기 주 구동축이 직선운동하는 선형 결찰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상기 주 구동축은 제2 소정거리 이동되는 선형 결찰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제1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조오에는 조직이 고정되고,
    상기 주 구동축이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소정거리 이동된 후, 상기 제2 소정거리 이동될 때, 상기 조오에서 조직이 문합되고 절단되는 선형 결찰기.
KR1020180130574A 2018-10-30 2018-10-30 선형 결찰기 KR102143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574A KR102143102B1 (ko) 2018-10-30 2018-10-30 선형 결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574A KR102143102B1 (ko) 2018-10-30 2018-10-30 선형 결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460A KR20200048460A (ko) 2020-05-08
KR102143102B1 true KR102143102B1 (ko) 2020-08-10

Family

ID=7067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574A KR102143102B1 (ko) 2018-10-30 2018-10-30 선형 결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1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292A (ko) 2020-11-05 2022-05-13 메카디안(주) 봉합사를 이용한 자동 결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7941B (zh) * 2020-12-04 2022-01-28 苏州贝诺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吻合器可降低损耗的微调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6400A (ja) * 2007-09-11 2009-04-02 Tyco Healthcare Group Lp 外科用機器のための関節運動ジョイント
JP2014057855A (ja) * 2007-03-15 2014-04-03 Covidien Lp 動力外科用ステープリング装置
JP2018515171A (ja) 2015-03-31 2018-06-14 エシコン エルエルシーEthicon LLC 選択的に係合解除可能なねじ式駆動システムを備えた外科用器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8098B2 (en) * 2005-04-14 2007-10-30 Ethicon Endo-Surgery, Inc. Force limiting mechanism for medical instrument
KR101788243B1 (ko) 2015-12-08 2017-10-24 주식회사 메디튤립 외과용 선형 스테이플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7855A (ja) * 2007-03-15 2014-04-03 Covidien Lp 動力外科用ステープリング装置
JP2009066400A (ja) * 2007-09-11 2009-04-02 Tyco Healthcare Group Lp 外科用機器のための関節運動ジョイント
JP2018515171A (ja) 2015-03-31 2018-06-14 エシコン エルエルシーEthicon LLC 選択的に係合解除可能なねじ式駆動システムを備えた外科用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292A (ko) 2020-11-05 2022-05-13 메카디안(주) 봉합사를 이용한 자동 결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460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7491B2 (en) Surgical stapler with rotary cam drive
JP6346358B2 (ja) 内視鏡巾着縫合糸外科用デバイス
JP6437551B2 (ja) 横切開ブレードを有するクリップを備えた外科用器具
JP6840746B2 (ja) ナイフ位置インジケータを伴う外科用ステープラエンドエフェクタ
EP3395266B1 (en) Hysteresis removal feature in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RU2670699C9 (ru) Элементы управления хирургическим сшивающим инструментом с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RU2525225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е приводного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сшивающ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RU2677085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сшива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 узлом привода, имеющим коленно-рычажные элементы
RU2546958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е приводного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сшивающ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RU2627149C2 (ru) Зажимны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выдачи хирургических крепежных элементов в мягкую среду
EP1769755B1 (en)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having preloaded firing assistance mechanism
JP2019502464A (ja) 係止並進可能なピンを備えた外科用ステープラ
JP4879900B2 (ja) 外科用ステープル器具
RU2529375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е приводного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сшивающ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US5433721A (en) Endoscopic instrument having a torsionally stiff drive shaft for applying fasteners to tissue
JP3709223B2 (ja) 手術用器械
CN111031939A (zh) 内窥镜外科手术施夹器和与其一起使用的手柄组件
US11076878B2 (en) Surgical device with anti-binding features
EP0630614A1 (en)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with pivotable and rotatable staple cartridge holding tip portion
JP2019502468A (ja) 均一なステープル形成のための可変高さドライバを備えた外科用ステープラ
JP2019502467A (ja) 固定式顎部支持ピンを備えた外科用ステープラ
JP2010240391A (ja) センターシンチ、およびバットレス材料の解放
CN103690214A (zh) 用于手术器械的组织止挡件
CN1732859A (zh) 具有两件式e形梁发射机构的铰接手术缝合器
JP2005028149A (ja) 関節動作接続部の高い可撓性を得るためにテーパ状発射バーを備えた外科用ステープ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