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015B1 -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3015B1 KR102143015B1 KR1020190073609A KR20190073609A KR102143015B1 KR 102143015 B1 KR102143015 B1 KR 102143015B1 KR 1020190073609 A KR1020190073609 A KR 1020190073609A KR 20190073609 A KR20190073609 A KR 20190073609A KR 102143015 B1 KR102143015 B1 KR 1021430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cable
- sensor
- pedestal
- core
- Prior art date
Links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QVFWZNCVPCJQOP-UHFFFAOYSA-N chloralodol Chemical compound CC(O)(C)CC(C)OC(O)C(Cl)(Cl)Cl QVFWZNCVPCJQO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31 ther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IWAQLJGPBVORC-UHFFFAOYSA-N ethylmethylamine Chemical compound CCNC LIWAQLJGPBVOR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3상 전력케이블(L1,L2,L3)을 상 이격시켜 지지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며 상기 3상 전력케이블(L1,L2,L3)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유기되는 자기장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자가전원부(200)와 상기 자가전원부(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력케이블(L1,L2,L3) 및 상기 전력케이블(L1,L2,L3)이 설치되는 주변 상태를 감시하는 센서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력구 내의 전력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전력케이블을 관리할 수 있고, 전력구 내의 전력케이블에 대한 정보 및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전력구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케이블을 관리할 수 있고 전력구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구 내 설비에 대한 점검은 주기적인 인력순시를 기본으로 운영된다. 이러한 인력순시는 순시자가 육안으로 수행하므로 전원설비(전력케이블, 접속함 등)를 정확하게 점검하고 감시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
상황에 따라 열화상 진단 장비를 전력구 내에 수시로 투입하여 전력케이블을 점검하기도 하나, 열화상 진단 장비를 전력구 내에 수시로 투입하여 점검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대안으로 CCTV용 카메라를 전력구 내에 일정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전력구 내를 감시하고 있다. 그러나 CCTV용 카메라는 전력구 내의 제한된 공간에 설치되고 한정된 영상만 제공하므로, 전력구 내의 전체적인 영역에 대한 고장이나 화재 등의 상황을 정확하게 모니터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케이블을 지지하면서 전력케이블을 관리할 수 있고, 전력구 내의 전력케이블에 대한 정보 및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전력구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3상 전력케이블을 상 이격시켜 지지하는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며 3상 전력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유기되는 자기장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자가전원부와 자가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케이블 및 전력케이블의 주변 상태를 감시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본체는 상면에 요입된 두 개의 수용 홈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블 받침대와 하부 케이블 받침대와 함께 전력케이블이 지지되는 제1 수용공 및 제2 수용공을 형성하도록 하면에 하부 케이블 받침대의 수용 홈에 대응되는 두 개의 수용 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요입된 하나의 수용 홈이 형성되는 상부 케이블 받침대와 상부 케이블 받침대와 함께 전력케이블이 수용되는 제3 수용공을 형성하도록 하면에 상부 케이블 받침대의 상면의 수용 홈에 대응되는 수용 홈이 형성되는 상부 커버와 하부 케이블 받침대, 상부 케이블 받침대 및 상부 커버를 결합시켜 제1 수용공 내지 제3 수용공에 전력케이블이 수용된 상태를 구속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자가전원부는 각 수용 홈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하부 케이블 받침대, 상부 케이블 받침대 및 상부 커버를 결합시 상하 접속되고 제1 수용공, 제2 수용공 및 제3 수용공에 수용된 각 전력케이블을 감싸며, 전력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유기되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블 받침대, 상부 케이블 받침대 및 상부 커버는 수용 홈의 양측으로 코어노출부을 구비하며, 코어의 양단부는 코어노출부에 끼워진 형태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수용공을 형성하는 수용 홈의 양측의 코어노출부와 제2 수용공을 형성하는 수용 홈의 양측의 코어노출부는 서로 엇갈린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코어노출부 중 어느 하나에는 코어의 단부가 코어노출부에서 요입된 상태로 노출되고, 마주하는 코어노출부에는 코어의 단부가 코어노출부에서 돌출된 상태로 노출될 수 있다.
서로 마주하는 코어노출부 중 어느 하나에 실링을 위한 가스켓이 개재될 수 있다.
서로 마주하는 코어노출부 중 어느 하나에 테이퍼진 안내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블 받침대에 전원 인출을 위한 제1 코일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부 커버에 전원 인입을 위한 제2 코일 커넥터를 구비하며, 제1 코일 커넥터를 상기 제2 코일 커넥터와 연결하여 상기 제1 수용공과 제2 수용공을 감싸는 코어에서 생산되는 전원을 제3 수용공을 감싸는 코어에서 생산되는 전원과 결합할 수 있다.
상부 커버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제1 배터리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부 케이블 받침대는 전원 인입을 위한 제2 배터리 커넥터를 구비하며, 제1 배터리 커넥터를 제2 배터리 커넥터에 연결하여 상부 케이블 받침대에 구비되는 부품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자가전원부는 코어에 유기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가 흐르는 코일과 코일을 흐르는 전류를 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전류 센서(310), 출입 감지 센서(320), 접속점 온도 센서(330), 주변 온도 센서(330), 침수 센서(350) 및 진동 센서(36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출입 감지 센서는 본체에 2개가 나란히 이격되게 위치되고, 인체의 움직임을 순차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제1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 및 제2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 및 제2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는 소정각도 벌어지게 본체에 위치될 수 있다.
센서부가 감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신호처리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LoRa 통신모듈과 LoRa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의 동작 상태와 통신부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점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력구 등에 설치되는 3상 전력케이블에 일정 구간마다 설치되어, 전력케이블을 지지하면서, 전력케이블의 전원을 받아서 전력케이블 및 전력구의 상태를 감시하고 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전력케이블을 관리할 수 있고, 전력구 내의 전력케이블에 대한 정보 및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전력구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전력구에 일전 간격을 두고 여러 개가 설치되므로 본 발명이 설치된 각 지점의 인원 출입 감시로 사람이 전력구 내의 어디에 위치에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가 전력케이블을 지지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하부 케이블 받침대와 상부 케이블 받침대에 코어가 노출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하부 케이블 받침대의 상면과 상부 케이블 받침대의 하면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부 케이블 받침대의 상면과 상부 커버의 하면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의 후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부 중 부속 센서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를 전력케이블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하부 케이블 받침대와 상부 케이블 받침대에 코어가 노출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하부 케이블 받침대의 상면과 상부 케이블 받침대의 하면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부 케이블 받침대의 상면과 상부 커버의 하면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의 후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부 중 부속 센서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를 전력케이블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1)는 전력케이블을 지지하면서, 전력케이블의 전원을 받아서 전력케이블 및 전력구의 상태를 감시하고, 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이다.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는 지중 전력케이블이 설치되는 전력구, 터널, 맨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가 전력구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는 외관을 본체(100)가 형성한다. 본체(100)는 R, S, T 3상 전력케이블(L1,L2,L3)을 상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된다. 전력케이블(L1,L2,L3)을 상 이격시키는 것은 허용전류용량 증대를 위한 것이다.
본체(100)는 전력케이블(L1,L2,L3)의 상 이격시키면서 고정이 용이하도록 3개의 구조체를 결합시켜 형성한다. 본체(100)는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 및 상부 커버(130)를 결합시켜 3상 전력케이블(L1,L2,L3)을 지지한다.
본체(100)는 3상 전력케이블(L1,L2,L3)을 상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제1 수용공(100a), 제2 수용공(100b) 및 제3 수용공(100c)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수용공(100a), 제2 수용공(100b) 및 제3 수용공(100c)은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 및 상부 커버(1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는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상부에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가 결합되고,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의 상부에 상부 커버(130)가 결합된다.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 및 상부 커버(130)는 상호 결합되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 및 상부 커버(130)가 결합된 상태는 체결수단(140)에 의해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는 상면에 요입된 두 개의 수용 홈(111,112)이 형성된다. 두 개의 수용 홈(111,112)은 소정 간격 이격된다.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는 전력구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면에 평평한 면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는 하면이 평형하게 형성된다.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는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와 함께 전력케이블(L1,L2)이 지지되는 제1 및 제2 수용공(100a,100b)을 형성하도록 하면에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수용 홈(111,112)에 대응되는 두 개의 수용 홈(121,122)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는 상면에 요입된 하나의 수용 홈(123)이 형성된다.
상부 커버(130)는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와 함께 전력케이블(L3)이 수용되는 제3 수용공(100c)을 형성하도록 하면에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의 상면의 수용 홈(123)에 대응되는 수용 홈(131)이 형성된다.
수용 홈들(111,112,121,122,123,131)은 전력케이블(L1,L2,L3)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반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에 형성된 수용 홈(111,112),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상면에 형성된 수용 홈(123), 상부 커버(130)의 하면에 형성된 수용 홈(131)은 반원 형상이고,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의 하면에 형성된 수용 홈(121,122)은 반원 형상 보다 조금 여유가 있는 형상이다.
실시예에서 제1 수용홈(100a)과 제2 수용홈(100b)은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제1 수용홈(100a)과 제2 수용홈(100b)은 두 개의 전력케이블(L1,L2)을 상 이격시킬 수 있으면 일부 연통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체결수단(140)은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 및 상부 커버(130)를 결합시켜 제1 수용공(100a) 내지 제3 수용공(100c)에 전력케이블(L1,L2,L3)이 수용된 상태를 구속한다.
체결수단(140)은 상부 커버(130),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 및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양단부에 각각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 제1 체결공(141) 내지 제4 체결공(144)과 제1 체결공(141) 내지 제4 체결공(144)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스크류(145)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제1 체결공(141) 내지 제4 체결공(144)에는 나사산이 없고, 제4 체결공(144)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고정스크류(145)에는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4 체결공(144)에 체결될 수 있다. 고정스크류(145)의 단부와 제4 체결공(144)에만 나사산을 형성하면 빠른 조립이 가능하다.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는 내부에 센서 등의 부품 삽입 용이성을 위해 두 몸체를 나사 조립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는 제2 체결공(142)과 제3 체결공(143)의 2개의 체결공을 구비한다.
제1 체결공(141) 내지 제4 체결공(144)은 상부 커버(130),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 및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양단부에 2곳씩 4곳에 형성되어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의 상부에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가 안착되고,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상부에 상부 커버(130)가 안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전력케이블(L1,L2,L3)을 감쌀 수 있는 위치에 각각 코어(210)가 구비된다. 코어(210)는 자가 전원 생산을 위한 것이다.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1)는 각 상별로 전력케이블(L1,L2,L3)의 전력을 받아서 전원을 생산하기 위한 자가전원부(200)를 포함한다. 코어(210)는 자가전원부(200)에 포함된다. 자가전원부(200)의 상세한 구성은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코어(210)는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 상부 커버(130)에 각각 배치되고, 각 수용 홈(111,112,121,122,123,131)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210)는 상부 코어(210b)와 하부 코어(210a)가 상호 접하여 전력케이블(L3)의 외주를 감싸게 된다. 코어(210)는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상호 접하여 제1 수용공(100a)과 제2 수용공(100b)에 수용되는 전력케이블(L1,L2)의 외주도 감싸게 된다.
코어(210)는 아치 형상, 반원 형상, U자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210)는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 및 상부 커버(130)를 결합시 상하 접속되고 제1 수용공(100a), 제2 수용공(100b) 및 제3 수용공(100c)에 수용된 각 전력케이블(L1,L2,L3)을 이격된 위치에서 감싸 자장 회로(폐회로)를 형성한다.
전력케이블(L1,L2,L3)을 흐르는 전류는 자기장을 형성하며 자기장을 전력으로 생산하기 위해 코어(210)가 구비된다. 코어(210)가 클수록 자기장이 크고 폐회로를 구성해야 전력 생산성이 높아진다.
코어(210)의 양단부가 상하 서로 접속되어 폐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 및 상부 커버(130)는 각 수용 홈(111,112,121,122,123,131)의 양측으로 코어노출부(151,152,153)를 구비한다.
코어(210)의 양단부가 코어노출부(151,152,15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 및 상부 커버(130)를 결합시 서로 상하 접속되어 폐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코어(210)의 양단부는 코어노출부(151,152,153)에 끼워진 형태로 외부로 노출된다. 이는 코어(210)를 본체(100)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두 코어의 상하 접속시 편심을 방지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노출부(151,152,153) 중 어느 하나에는 코어(210)의 단부가 코어노출부(152)에서 요입된 상태로 노출되고, 마주하는 코어노출부(152)에는 코어(210)의 단부가 코어노출부(152)에서 돌출된 상태로 노출된다.
상하 접속되는 두 코어(210a,210b)가 잘 맞지 않으면 전력 생산성이 떨어진다. 전력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상하 접속되는 두 코어(210a,210b)가 일치되고 밀착 접촉되도록 두 코어(210a,210b)가 홈과 돌기 구조로 결합되게 한다.
도 4에 의하면, 서로 마주하는 코어노출부(152) 중 어느 하나에 실링을 위한 가스켓(160)이 개재된다. 또한 서로 마주하는 코어노출부(151,152,153) 중 어느 하나에 테이퍼진 안내경사면(152a)이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가스켓(160)은 코어노출부(152)에서 돌출된 상태로 노출되는 코어(210a)의 단부에 개재되고, 안내경사면(152a)은 코어노출부(152)에서 코어(210b)의 단부가 요입된 상태로 노출되는 내측면에 형성된다. 안내경사면(152a)은 상부 코어(210a)와 하부 코어(210b)가 일측으로 쏠리지 않고 잘 접속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코어(210a,210b)가 홈과 돌기 구조로 결합되고 코어(210a)의 외주에 개재된 가스켓(160)이 홈 형상의 코어노출부(152)에 밀착되면, 상부 코어(210a)와 하부 코어(210b)가 일치된 상태로 접속되어 전력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방수성도 확보되어 본체(100)에 구비된 센서 및 부품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공(100a)을 형성하는 수용 홈(111,121)의 양측 코어노출부(151)와 제2 수용공(100b)을 형성하는 수용 홈(112,122)의 양측 코어노출부(152)는 서로 엇갈린 위치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수용공(100a)을 형성하는 수용 홈(111,121)의 양측의 코어노출부(151)와 제2 수용공(100b)을 형성하는 수용 홈(111,122)의 양측의 코어노출부(152)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가 두 수용 홈(111,112)(121,122) 사이의 중앙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위치된다.
이러한, 코어노출부(151,152)의 엇갈린 배치는 폭(m) 제한이 있는 본체(100) 형상에서 제1 수용공(100a)을 형성하는 수용 홈(111,121)과 제2 수용공(100b)을 형성하는 수용 홈(112,122)의 간격(n)을 줄이고 코어(210)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코어(210)를 크게 형성하면 전력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체(100)의 폭(m) 제한은 전력케이블(L1,L2,L3)을 지지하고 전력구에 설치되는 장치의 특성상 이웃하는 전력케이블들과 전력케이블(L1,L2,L3)이 붙어 전력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수용공(100c)을 형성하는 수용 홈(123,131)의 코어노출부(153)는 제3 수용공(100c)을 형성하는 수용 홈(123,131)의 양측 중앙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제1 수용공(100a), 제2 수용공(100b) 및 제3 수용공(100c)은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되고 서로 간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1)는 각 상별로 전력케이블(L1,L2,L3)의 전력을 받아서 전원을 생산하기 위한 자가전원부(200), 센서부(300) 및 통신부(400)를 포함한다. 자가전원부(200), 센서부(300) 및 통신부(400)는 본체(100)에 구비된다.
자가전원부(200)는 센서부(300)와 통신부(400)에 안정적인 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자가전원부(200)는 3상 전력케이블(L1,L2,L3)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유기되는 자기장을 특정 전원으로 변환하여 센서부(300), 통신부(400) 및 부품의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 공급한다. 자가전원부(200)는 코어(210), 코일(220) 및 컨버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210)는 제1 수용공(100a), 제2 수용공(100b) 및 제3 수용공(100c)에 수용된 각 전력케이블(L1,L2,L3)을 감싸 자장 회로(폐회로)를 형성한다. 또는 코어(210)는 제1 수용공(100a), 제2 수용공(100b) 및 제3 수용공(100c)에 수용된 각 전력케이블(L1,L2,L3)을 각각 감싸거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 자장 회로(폐회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코일(220)은 코어(210)에 유기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 역할을 한다. 컨버터(230)는 코일(220)을 흐르는 전류를 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한다.
자가전원부(200)는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와 상부 커버(13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에 구비된 자가전원부(200)가 제1 수용공(100a)에 수용되는 전력케이블(L1)과 제2 수용공(100b)에 수용되는 전력케이블(L2)의 전원을 받아 전원을 생산하고, 상부 커버(130)에 구비된 자가전원부(200)가 제3 수용공(100c)에 수용되는 전력케이블(L3)의 전력을 받아 전원을 생산할 수 있다.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자가전원부(200)에서 생산된 전원은 상부 커버(130)의 자가전원부(200)에서 생산된 전원과 결합한다.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자가전원부(200)와 상부 커버(130)의 자가전원부(200)에서 각각 DC 전압을 생산한 다음, 두 DC 전압을 결합한다.
자가전원부(200)는 배터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가전원부(200)는 두 DC 전압을 결합한 후 배터리(240)에 저장할 수 있으며, 배터리(240)에 저장된 DC 전압을 센서부(300) 및 부품에 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는 자가전원부(200)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케이블(L1,L2,L3) 및 전력케이블(L1,L2,L3)의 주변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300)를 포함한다.
센서부(300)는 전류 센서(310), 출입 감지 센서(320), 접속점 온도 센서(330), 주변 온도 센서(330), 침수 센서(350) 및 진동 센서(360)를 포함한다.
전류 센서(310)는 이상 전류 감시를 위한 것이다. 전류 센서(310)는 전력케이블(L1,L2,L3)에 흐르는 전류를 상시 감시하고 사용자 지정 이상의 이상 전류 발생시 경고를 송출한다. 예를 들어, 전류 센서(310)는 전력케이블(L1,L2,L3)에 허용 전류 이내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 지정된 시간마다 IGOOD 신호를 송출하고, 전력케이블(L1,L2,L3)에 허용 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거나 지락 발생시 IFAULT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출입 감지 센서(320)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1)의 설치 지점에서 인원 출입 감시를 위한 것이다. 출입 감지 센서(320)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1)가 설치된 지점에서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출입 신호를 송출한다. 출입 감지 센서(320)는 사람이 들어올 때 PeIN 신호를 송출하고 사람이 나갈 때 PeOUT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출입 감지 센서(320)는 본체(100)의 일면에 사람이 지나가는 방향으로 2개가 이격되게 나란히 구비되는 제1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320a)와 제2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320b)일 수 있다.
제1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320a) 및 제2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320b)가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순서로 사람의 입출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도 9 참조). 예를 들어, 사람이 제1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320a)와 제2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320b)의 순서로 지나게 되면 제1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320a)와 제2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320b)의 순서로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람이 전력구 내로 들어오는 것으로 인식하고 PeIN 신호를 송출하며, 사람이 제2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320b)와 제1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320a)의 순서로 지나게 되면 제2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320b)와 제1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320a)의 순서로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력구에서 사람이 나가는 것으로 인식하고 PeOUT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1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320a)와 제2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320b)가 인체를 인식한 순서로 사람의 입출입 및 입출입 인원수, 전력구 내 사람이 위치한 곳의 위치도 파악할 수 있다.
접속점 온도 센서(330)는 접속점 표면의 이상 온도 발생 감시를 위한 것이다. 접속점 온도 센서(330)는 전력케이블과(L1,L2,L3) 접속한 접속점의 온도 감시를 위한 것이다. 각 수용공(100a,100b,100c)에 수용된 전력케이블(L1,L2,L3)과 접속점 온도 센서(330)가 접속한 접속점의 온도를 감시하고 정해진 시간에 온도 정보를 송출한다.
접속점 온도 센서(330)는 전력케이블(L1,L2,L3)의 허용 온도 이상의 온도가 발생한 경우 고온 경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접속점 온도 센서(330)는 전력케이블이 허용 온도 범위인 경우 지정된 시간마다 TjNORMAL 신호를 송출하고 허용 온도 이상의 고온인 경우 TjWARNING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주변 온도 센서(330)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1)의 설치 지점의 주위 온도 감시를 위한 것이다. 주변 온도 센서(330)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1)가 설치된 주변 온도를 측정하고 정해진 시간에 온도 정보를 송출한다. 주변 온도 센서(330)는 허용 온도 이상의 고온인 경우 경고를 송출할 수 있다.
침수 센서(350)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1) 설치 지점의 침수 발생 감시를 위한 것이다. 침수 센서(350)는 지정된 높이에 침수 발생시 침수 경고 신호를 송출한다. 예를 들어, 침수 센서(350)는 지정된 높이에 침수 발생시 SkWARNING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진동 센서(360)는 전력케이블(L1,L2,L3)의 이상 진동 발생을 감시하기 위한 것이다. 진동 센서(360)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1)가 설치된 지점의 진동 발생을 감시하고 허용치 이상의 진동 발생시 경고 신호를 송출한다. 진동 센서(360)는 경고 출력신호로 VbWARNING를 송출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부(300)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1)의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 또는 상부 커버(130)에 구비될 수 있다.
전류 센서(310), 접속점 온도 센서(330), 주변 온도 센서(330), 진동 센서(360)는 3상 전력케이블(L1,L2,L3)과 모두 접할 수 있는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에 구비되고, 출입 감지 센서(320), 침수 센서(350)는 일정 높이에 구비되는 것이 감지에 유리하므로 상부 커버(13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300)가 감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신호처리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400)를 포함한다. 통신부(400)는 LoRa 통신 모듈(410)과 LoRa 안테나(420)를 포함한다. LoRa 통신 모듈(410)과 LoRa 안테나(420)를 통해 센서부(300)가 감지한 정보들을 일정 시간마다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각 센서에 이벤트 발생시 LoRa 통신 모듈(410)과 LoRa 안테나(420)를 통해 무선으로 관련 정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LoRa 통신 모듈(410)은 특정 주파수를 적용하여 게이트웨이의 LoRa 통신 모듈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LoRa 통신 모듈이 송수신하는 데이터는 NMEA 0182의 데이터 형식을 갖는 프로토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는 전원 인출을 위한 제1 코일 커넥터(250)를 구비하고, 상부 커버(130)는 전원 인입을 위한 제2 코일 커넥터(260)를 구비한다.
제1 코일 커넥터(250)와 제2 코일 커넥터(260)는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자가전원부(200)에서 생산한 DC 전압과 상부 커버(130)의 자가전원부(200)에서 생산한 DC 전압을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코일 커넥터(250)를 제2 코일 커넥터(260)와 연결하여 제1 수용공(100a)에 수용된 전력케이블(L1)과 제2 수용공(100b)에 수용된 전력케이블(L2)을 감싸는 코어(210)에서 생산되는 전원을 제3 수용공(100c)에 수용된 전력케이블(L3)을 감싸는 코어(210)에서 생산되는 전원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130)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제1 배터리 커넥터(270)를 구비하고,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는 전원 인입을 위한 제2 배터리 커넥터(280)를 구비한다. 제1 배터리 커넥터(270)를 제2 배터리 커넥터(280)에 연결하여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에 구비되는 센서부(300) 등의 부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와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의 폭 및 높이 증가는 어렵고 상부 커버(130)의 높이 증가는 가능하다. 따라서 높이 증가가 가능한 상부 커버(130)에 센서부(300)와 전력 결합 및 공급 등을 위한 메인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코일 커넥터(250), 제2 코일 커넥터(260), 제1 배터리 커넥터(270) 및 제2 배터리 커넥터(280)는 본체(100)의 정면에 구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측면에는 안테나(420)의 결합을 위한 안테나 커넥터(421)와 출입 감지 센서(320)를 구비할 수 있다. 안테나 커넥터(421)는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에 구비한다.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에 LoRa통신 모듈(410)을 내장하고 안테나 커넥터(421)를 구비하여, LoRa통신 모듈(410)을 LoRa 안테나(420)와 연결할 수 있다.
출입 감지 센서(320)는 상부 커버(130)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나란히 2개를 구비할 수 있다. 출입 감지 센서(320)는 제1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320a)와 제2 적외선 동작 감시 센서(320b)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람의 출입 감지가 보다 용이하도록 바깥쪽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벌어지게 본체(100)에 부착할 수 있다.
제1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320a)와 제2 적외선 동작 감시 센서(320b)가 인체를 인식한 순서로 사람의 입출을 감지하므로, 제1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320a)와 제2 적외선 동작 감시 센서(320b)는 사람이 지나가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소정간격 이격되며 소정각도 벌어지게 본체(100)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300)의 동작 상태와 통신부(40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점등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점등부(600)는 전원 확인을 위한 녹색 LED(610), 통신 이상을 확인하기 위한 황색 LED(620), 경고시 점등되는 적색 LED(630)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녹색 LED(610), 황색 LED(620), 적색 LED(630)는 본체(10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0)는 후면에 디버그 커넥터(650), 온도 센서 커넥터(660), 침수 커넥터(6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디버그 커넥터(650), 온도 센서 커넥터(660), 침수 커넥터(670)는 주변 온도 센서, 진동 센서, 침수 센서 등의 부속 센서 연결을 위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센서부(300) 중 전류 센서(310), 출입 감지 센서(320), 진동 센서(360)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1)의 내부에 내장하는 내부 센서로 구성하고, 접속점 온도 센서(330), 주변 온도 센서(340), 침수 센서(350)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1)에 추가로 연결할 수 있는 부속 센서로 구성한다. 이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1) 내의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센서 배치의 효율화를 위한 것이다. 그러나 각 센서들의 배치가 반드시 본 발명의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 효율화한 배치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속 센서는 온도 센서(a)와 침수 센서(b)를 포함할 수 있다. 부속 센서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온도 센서 커넥터(660)와 침수 커넥터(670)에 연결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동작 LED(640), 주변 대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주변 온도 센서(340), 전력케이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접속점 온도 센서(RST)(3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는 본체(100)가 절연 소재로 이루어지며, 변형 등의 방지를 위해 강도가 우수한 ABS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0)에서 전력구의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바닥부 등은 알루미늄 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를 전력케이블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치하는 과정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를 전력구에 설치한다.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는 전력구의 바닥면에 볼트 체결하거나 전력구에 설치된 행거에 볼트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를 전력구에 설치할 수 있다.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를 전력구에 설치한 다음,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전력케이블 2선(L1,L2)을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각 수용 홈(111,112)에 안착시킨다. 일반적으로 3선인 3상 전력케이블이 1회선을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케이블(L1,L2)이 안착된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상부에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를 안착시킨다.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상부에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를 안착시키면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각 수용 홈(111,112)과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의 각 수용 홈(121,122)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수용공(100a)과 제2 수용공(100b)에 각각 전력케이블(L1,L2)이 수용된다.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상부에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를 안착시키면,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에 구비된 코어(210)와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에 구비된 코어(210)가 접속하면서 제1 수용공(100a)에 수용된 전력케이블(L1)과 제2 수용공(100b)에 수용된 전력케이블(L2)을 각각 감싸게 된다.
이때, 코어(210)는 홈과 돌기 구조로 결합되고 코어(210)의 외주에 개재된 가스켓(160)이 상대편 홈 형상의 코어노출부(152)에 밀착되면서 결합되므로 상하 두 코어가 일치된 상태로 접속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전력케이블 1선(L3)을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의 수용 홈(123)에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도 1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케이블(L3)이 안착된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의 상부에 상부 커버(130)를 덮는다.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의 상부에 상부 커버(130)를 덮으면,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에 구비된 코어(210)와 상부 커버(130)에 구비된 코어(210)가 접속하면서 제3 수용공(100c)에 수용된 전력케이블(L3)을 감싸게 된다.
이때, 코어(210)는 홈과 돌기 구조로 결합되고 코어(210)의 외주에 개재된 가스켓(160)이 상대편 홈 형상의 코어노출부(152)에 밀착되면서 결합되므로 상하 두 코어가 일치된 상태로 접속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 커버(130),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 및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 체결공(141)을 통해 고정스크류(145)를 체결한다.
다음으로, 도 12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130),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 및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양단부에 각각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 제1 체결공(141) 내지 제3 체결공(143)을 관통하여 제4 체결공(144)에 고정스크류(145)의 단부가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하부 케이블 받침대(110)의 상부에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가 안착되고, 상부 케이블 받침대(120)의 상부에 상부 커버(130)가 안착된 상태의 평행을 잡으면서 고정하도록 고정스크류(145)는 대각선 순서로 고정한다.
다음으로, 부속 센서를 케이블을 이용하여 본체(100)에 연결한다.
실시예에서 부속 센서는 온도 센서(330,340)와 침수 센서(350)를 포함하며, 온도 센서(330,340)와 침수 센서(350)는 각각 케이블을 이용하여 온도 센서 커넥터(660)와 침수 커넥터(670)에 연결한다.
상술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1)는 전력구에 설치되는 3상 전력케이블(L1,L2,L3)에 일정 구간마다 설치되어, 전력케이블(L1,L2,L3)을 지지하면서, 전력케이블(L1,L2,L3)의 전원을 받아서 전력케이블(L1,L2,L3) 및 전력구의 상태를 감시하고, 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1)는 R,S,T 3상 전력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유기되는 자기장을 특정 전압과 전류(DC 전원)로 변환하는 자가전원부를 포함하고, 온도, 진동, 침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하여 전력케이블 및 전력구의 상태를 감시하고, 이에 대한 상태를 LoRa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Gate way)에 송신할 수 있다.
특히,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1)는 출입 감지 센서(320)를 포함하고 전력구에 일정 구간마다 설치되므로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1)가 설치된 지점에서의 인원 출입 감시로 사람이 전력구에서 어디에 위치에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기존의 케이블 크리트를 대체하여 전력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고, 전력케이블 및 전력케이블 주변의 상태를 감시하여, 문제 발생시 신속하게 파악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전력구에 대한 원활한 관제가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전력구 외에도 전력케이블을 지지하면서 전력케이블 및 전력케이블 주변의 감시가 필요한 다양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100: 본체 100a: 제1 수용공
100b: 제2 수용공 100c: 제3 수용공
110: 하부 케이블 받침대 111,112: 수용 홈
120: 상부 케이블 받침대 121,122: 수용 홈
130: 상부 커버 131: 수용 홈
140: 체결수단 141: 제1 체결공
142: 제2 체결공 143: 제3 체결공
144: 제4 체결공 145: 고정스크류
151,152,153: 코어노출부 160: 가스켓
152a: 안내경사면 200: 자가전원부
210: 코어 220: 코일
230 컨버터 240 배터리
250: 제1 코일 커넥터 260: 제2 코일 커넥터
270: 제1 배터리 커넥터 280: 제2 배터리 커넥터
300: 센서부 400: 통신부
410: LoRa 통신모듈 420: LoRa안테나
421: 안테나 커넥터 600: 점등부
100: 본체 100a: 제1 수용공
100b: 제2 수용공 100c: 제3 수용공
110: 하부 케이블 받침대 111,112: 수용 홈
120: 상부 케이블 받침대 121,122: 수용 홈
130: 상부 커버 131: 수용 홈
140: 체결수단 141: 제1 체결공
142: 제2 체결공 143: 제3 체결공
144: 제4 체결공 145: 고정스크류
151,152,153: 코어노출부 160: 가스켓
152a: 안내경사면 200: 자가전원부
210: 코어 220: 코일
230 컨버터 240 배터리
250: 제1 코일 커넥터 260: 제2 코일 커넥터
270: 제1 배터리 커넥터 280: 제2 배터리 커넥터
300: 센서부 400: 통신부
410: LoRa 통신모듈 420: LoRa안테나
421: 안테나 커넥터 600: 점등부
Claims (18)
- 3상 전력케이블을 상 이격시켜 지지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3상 전력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유기되는 자기장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자가전원부; 및
상기 자가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면에 요입된 두 개의 수용 홈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블 받침대; 및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와 함께 전력케이블이 지지되는 제1 수용공 및 제2 수용공을 형성하도록 하면에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의 수용 홈에 대응되는 두 개의 수용 홈이 형성되는 상부 케이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와 상기 상부 케이블 받침대에 형성되는 수용 홈들의 외주를 각각 감싸도록 코어가 배치되고,
상기 수용 홈들은 각각 양측으로 코어노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수용공을 형성하는 수용 홈들의 양측의 코어노출부와 상기 제2 수용공을 형성하는 수용 홈들의 양측의 코어노출부는 서로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전원부는
상기 전력케이블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력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유기되는 코어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전원부는
상기 코어에 유기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가 흐르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을 흐르는 전류를 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를 더 포함하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 케이블 받침대, 상부 케이블 받침대 및 상부 커버를 결합하여 3상 전력케이블을 지지하며,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 또는 상부 케이블 받침대에 전원 인출을 위한 제1 코일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커버에 전원 인입을 위한 제2 코일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코일 커넥터를 상기 제2 코일 커넥터와 연결하여 3상 전력케이블 중 일부 전력케이블을 감싸는 코어에서 생산되는 전원을 나머지 전력케이블을 감싸는 코어에서 생산되는 전원과 결합하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제1 배터리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케이블 받침대 또는 하부 케이블 받침대는 전원 인입을 위한 제2 배터리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배터리 커넥터를 상기 제2 배터리 커넥터에 연결하여 상기 상부 케이블 받침대 또는 하부 케이블 받침대에 구비되는 부품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전류 센서, 출입 감지 센서, 접속점 온도 센서, 주변 온도 센서, 침수 센서 및 진동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출입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감지 센서는 상기 본체에 2개가 나란히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본체를 지나가는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 및 제2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 및 제2 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는 소정각도 벌어지게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신호처리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동작 상태와 상기 통신부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점등부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양단부는 상기 코어노출부에 끼워져 밀착된 형태로 외부로 노출되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삭제
- 3상 전력케이블을 상 이격시켜 지지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3상 전력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유기되는 자기장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자가전원부; 및
상기 자가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면에 요입된 두 개의 수용 홈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블 받침대; 및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와 함께 전력케이블이 지지되는 제1 수용공 및 제2 수용공을 형성하도록 하면에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의 수용 홈에 대응되는 두 개의 수용 홈이 형성되는 상부 케이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와 상기 상부 케이블 받침대에 형성되는 수용 홈들의 외주를 각각 감싸도록 코어가 배치되고,
상기 수용 홈들은 각각 양측으로 코어노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수용공을 형성하는 수용 홈들의 양측의 코어노출부와 상기 제2 수용공을 형성하는 수용 홈들의 양측의 코어노출부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가 두 수용 홈 사이의 중앙 부분에 상기 전력케이블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위치되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3상 전력케이블을 상 이격시켜 지지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3상 전력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유기되는 자기장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자가전원부; 및
상기 자가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면에 요입된 두 개의 수용 홈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블 받침대; 및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와 함께 전력케이블이 지지되는 제1 수용공 및 제2 수용공을 형성하도록 하면에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의 수용 홈에 대응되는 두 개의 수용 홈이 형성되는 상부 케이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와 상기 상부 케이블 받침대에 형성되는 수용 홈들의 외주를 각각 감싸도록 코어가 배치되고,
상기 수용 홈들은 각각 양측으로 코어노출부가 구비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의 코어노출부와 상기 상부 케이블 받침대의 코어노출부 중 어느 하나에는 코어의 단부가 상기 코어노출부에서 요입된 상태로 노출되고, 상대편 코어노출부에는 코어의 단부가 상기 코어노출부에서 돌출된 상태로 노출되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3상 전력케이블을 상 이격시켜 지지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3상 전력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유기되는 자기장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자가전원부; 및
상기 자가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면에 요입된 두 개의 수용 홈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블 받침대; 및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와 함께 전력케이블이 지지되는 제1 수용공 및 제2 수용공을 형성하도록 하면에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의 수용 홈에 대응되는 두 개의 수용 홈이 형성되는 상부 케이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와 상기 상부 케이블 받침대에 형성되는 수용 홈들의 외주를 각각 감싸도록 코어가 배치되고,
상기 수용 홈들은 각각 양측으로 코어노출부가 구비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의 코어노출부와 상기 상부 케이블 받침대의 코어노출부 중 어느 하나에 실링을 위한 가스켓이 설치되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3상 전력케이블을 상 이격시켜 지지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3상 전력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유기되는 자기장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자가전원부; 및
상기 자가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면에 요입된 두 개의 수용 홈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블 받침대; 및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와 함께 전력케이블이 지지되는 제1 수용공 및 제2 수용공을 형성하도록 하면에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의 수용 홈에 대응되는 두 개의 수용 홈이 형성되는 상부 케이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와 상기 상부 케이블 받침대에 형성되는 수용 홈들의 외주를 각각 감싸도록 코어가 배치되고,
상기 수용 홈들은 각각 양측으로 코어노출부가 구비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하부 케이블 받침대의 코어노출부와 상기 상부 케이블 받침대의 코어노출부 중 어느 하나에 테이퍼진 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3609A KR102143015B1 (ko) | 2019-06-20 | 2019-06-20 |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3609A KR102143015B1 (ko) | 2019-06-20 | 2019-06-20 |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3015B1 true KR102143015B1 (ko) | 2020-08-11 |
Family
ID=72050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3609A KR102143015B1 (ko) | 2019-06-20 | 2019-06-20 |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301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00044A (zh) * | 2021-08-20 | 2022-01-07 | 伽利略(天津)科技有限公司 | 一种线缆综合感知装置 |
KR102539208B1 (ko) * | 2023-03-22 | 2023-06-01 |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 에너지 측정용 변류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
KR102564670B1 (ko) * | 2023-02-27 | 2023-08-08 | (주)아이티알 | 대전류 및 고전압 케이블 안전사고 방지용 스마트 클리트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84141A (ko) * | 2004-10-12 | 2007-08-24 | 이턴 코포레이션 | 센서 장치 |
KR100973545B1 (ko) | 2008-05-13 | 2010-08-02 | 한국전력공사 | 지하전력구 케이블 접속함 표면온도의 무선센서를 이용한감시시스템 |
KR20120138269A (ko) * | 2011-06-14 | 2012-12-26 | (주)엠파워 |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
-
2019
- 2019-06-20 KR KR1020190073609A patent/KR1021430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84141A (ko) * | 2004-10-12 | 2007-08-24 | 이턴 코포레이션 | 센서 장치 |
KR100973545B1 (ko) | 2008-05-13 | 2010-08-02 | 한국전력공사 | 지하전력구 케이블 접속함 표면온도의 무선센서를 이용한감시시스템 |
KR20120138269A (ko) * | 2011-06-14 | 2012-12-26 | (주)엠파워 |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00044A (zh) * | 2021-08-20 | 2022-01-07 | 伽利略(天津)科技有限公司 | 一种线缆综合感知装置 |
KR102564670B1 (ko) * | 2023-02-27 | 2023-08-08 | (주)아이티알 | 대전류 및 고전압 케이블 안전사고 방지용 스마트 클리트 |
WO2024181587A1 (ko) * | 2023-02-27 | 2024-09-06 | (주)아이티알 | 대전류 및 고전압 케이블 안전사고 방지용 스마트 클리트 |
KR102539208B1 (ko) * | 2023-03-22 | 2023-06-01 |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 에너지 측정용 변류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
WO2024195947A1 (ko) * | 2023-03-22 | 2024-09-26 |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 에너지 측정용 변류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3015B1 (ko) |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 |
CA2747378C (en) | Data collecting connection | |
CA2982565C (en) | Enhanced optical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power transformer and method for operating power transformer | |
KR101529818B1 (ko) | 배전반 상태 감시를 위한 진단 시스템 | |
CN105785162A (zh) | 由电流变压器所感应的测试装置动力提供 | |
US10156602B2 (en) |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iagnosing integrity of electrical conductor-carrying systems | |
WO2020138623A1 (ko) | 배전반 감시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 |
CN108776257A (zh) | 高压带电显示闭锁装置 | |
WO2010077078A2 (ko) | 부하표시 배전용 변압기 및 그의 표시 장치 | |
KR100916146B1 (ko) |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 | |
KR20130057696A (ko) | 맨홀 내부 감시 시스템 | |
KR102161224B1 (ko) | 지중배전선로 접속점별 고장구간 검출장치 | |
KR102485053B1 (ko) | 지중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및 모듈 | |
KR102351540B1 (ko) |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 | |
KR101812767B1 (ko) | 접지선의 누설전류감지부 교체가 용이한 배전반 | |
US11327104B2 (en) | Fault circuit indicato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 |
CN208689102U (zh) | 高压带电显示闭锁装置 | |
CN104871013B (zh) | 电流互感器和具有这种电流互感器的负载中断器 | |
KR100905929B1 (ko) |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 |
CN208537035U (zh) | 高压非接触测温系统 | |
JP2003156517A (ja) | 電界磁界センサ | |
ES1071460U (es) | Equipo portatil de adquisicion de datos. | |
KR102517889B1 (ko) | 아크전류의 검출이 가능한 태양광 접속함용 전류 감지 모듈 | |
KR101801644B1 (ko) |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 |
KR101828073B1 (ko) | 접지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신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