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269A -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269A
KR20120138269A KR1020110057612A KR20110057612A KR20120138269A KR 20120138269 A KR20120138269 A KR 20120138269A KR 1020110057612 A KR1020110057612 A KR 1020110057612A KR 20110057612 A KR20110057612 A KR 20110057612A KR 20120138269 A KR20120138269 A KR 20120138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alue
power cable
proximity stat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548B1 (ko
Inventor
정성만
최원
김동호
최동원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주)엠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파워 filed Critical (주)엠파워
Priority to KR102011005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548B1/ko
Publication of KR20120138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1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longitudinal or not specified vibr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장소별로 지반에 제공되되, 지반에 제공된 복공판의 하부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할 시에, 전력 케이블의 일정한 지점별로 장력 값과 진동 값 및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와;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송수신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여 전력 케이블의 상태를 관리하면서 감시하는 중앙 통제 센터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power cable}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케이블은 일정한 장소별로 제공된 전력구, 맨홀, 관로구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었고, 복공판의 하부에 제공되었다.
이때, 전력 케이블은 지하 굴착 공사 기간 중에 매달기에 의해 매달려져 건설 현장에 노출되었다.
이러한, 전력 케이블은 복공판의 상부로 이동하는 건설 차량들과, 건설 차량들의 건설 자재 투하에 의해 진동을 받아 전력 공급 상태가 불안정해졌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력 케이블의 상태가 불안정해질 때에 빠르게 대처하고, 전력 케이블의 관리를 위한 인건비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전력 케이블의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전력 케이블의 사고를 방지하면서 전력 케이블의 수명을 연장시켜 전력 계통의 운영 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는 개선된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케이블의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하면서, 전력 케이블의 장력 값과 진동 값 및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가 있으므로, 전력 케이블의 관리를 위한 인건비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하 굴착 공사 기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전력 케이블의 위해 요소들을 미리 감지하여 현장 작업자들에게 경각심을 일으켜 주의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력 케이블의 사고를 방지하면서 전력 케이블의 수명을 연장시켜 전력 계통의 운영 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는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장소별로 지반에 제공되되, 지반에 제공된 복공판의 하부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할 시에, 전력 케이블의 일정한 지점별로 장력 값과 진동 값 및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와;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송수신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여 전력 케이블의 상태를 관리하면서 감시하는 중앙 통제 센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는 전력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제공된 맨홀 또는 관로구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과 전력 케이블의 일측 및 타측과 다른 일측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의 장력 값과 진동 값 및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센싱부와; 복공판의 상부 일측에 제공되어 센싱부와 통신을 수행하고,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된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데이터 수집부; 및 복공판의 상부 타측에 제공되어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공급되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중앙 통제 센터와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로 제공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센싱부는 맨홀 또는 관로구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중 내부 바닥면에 제공되고, 전력 케이블과 대향되도록 제공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상부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의 장력 값을 센싱하는 장력 측정용 센서와; 전력 케이블에 제공되어 장력 측정용 센서를 지지하는 지지 바; 및 전력 케이블에 제공되되, 장력 측정용 센서와 지지 바를 보호하도록 제공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센싱부는 복공판의 일측과 고정되고, 전력 케이블의 일측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지지 부재의 일측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의 진동 값을 센싱하는 진동 측정용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센싱부는 복공판의 일측과 고정되고, 전력 케이블의 일측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지지 부재의 타측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에 근접하는 근접 상태를 센싱하는 근접 상태 측정용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데이터 수집부는 센싱부와 통신을 수행하고,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수단; 및 데이터 수집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수집수단을 통해 수집된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송수신 장치는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 2 통신부; 및 제 2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통신부를 통해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미 등록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로 SMS 문자를 전송하는 SMS 문자 발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중앙 통제 센터는 송수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 3 통신부; 및 제 3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여 전력 케이블의 상태를 감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는 데이터 수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알림 신호를 발생하는 알림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중앙 통제 센터는 송수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 3 통신부와, 제 3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여 전력 케이블의 상태를 감시하는 표시부, 및 알림 신호 발생부와 동기화되어 알림 신호 발생부로부터 알림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부는 일정한 장소별로 지반에 제공된 전력 케이블의 장력 값에 해당하는 현재 측정값과 평균값 및 최고값과 초기값 및 기준치 초과 횟수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거나, 전력 케이블의 진동 값에 해당하는 현재 측정 값과 평균값 및 최고값과 허용 기준치와 기준치 초과 횟수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거나, 전력 케이블에 근접되는 근접 상태에 해당하는 경보 횟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알림부는 경보음으로 알리는 경보기, 서로 다른 색상의 발광을 통해 알리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와 녹색 발광 다이오드, 블링크 방식의 발광을 통해 알리는 EL 시트,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벤트 방식으로 표시하여 알리는 팝업창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는 일정한 장소별로 지반에 제공되되, 복공판의 하부 타측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의 일정한 지점별로 전력 케이블의 상태를 촬영하거나, 전력 케이블에 근접되는 근접 상태를 촬영하여 중앙 통제 센터와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로 제공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중앙 통제 센터는 제 3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버튼 동작으로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호출 버튼; 및 호출 버튼과 통신을 수행하고, 호출 버튼의 버튼 동작에 의해 호출 신호를 공급받아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여 전력 케이블을 유지 보수시키는 유지 보수 센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전력 케이블의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하면서, 전력 케이블의 장력 값과 진동 값 및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가 있으므로, 전력 케이블의 관리를 위한 인건비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지하 굴착 공사 기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전력 케이블의 위해 요소들을 미리 감지하여 현장 작업자들에게 경각심을 일으켜 주의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력 케이블의 사고를 방지하면서 전력 케이블의 수명을 연장시켜 전력 계통의 운영 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센싱부중 장력 측정용 센싱 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센싱부중 장력 측정용 센싱 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센싱부중 진동 측정용 센싱 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센싱부중 진동 측정용 센싱 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센싱부중 근접 상태 측정용 센싱 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센싱부중 근접 상태 측정용 센싱 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센싱부중 근접 상태 측정용 센싱 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센싱부중 근접 상태 측정용 센싱 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변위 측정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변위 측정 시스템의 중앙 통제 센터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4에 도시한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센싱부중 장력 측정용 센싱 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센싱부중 장력 측정용 센싱 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센싱부중 진동 측정용 센싱 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센싱부중 진동 측정용 센싱 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센싱부중 근접 상태 측정용 센싱 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센싱부중 근접 상태 측정용 센싱 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센싱부중 근접 상태 측정용 센싱 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의 센싱부중 근접 상태 측정용 센싱 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변위 측정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변위 측정 시스템의 중앙 통제 센터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4에 도시한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100)은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102), 송수신 장치(104), 중앙 통제 센터(106)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102)는 일정한 장소별로 지반(P)에 제공되되, 지반(P)에 제공된 복공판(P1)의 하부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101)을 통해 전력을 공급할 시에, 전력 케이블(101)의 일정한 지점별로 장력 값과 진동 값 및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102)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제공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102)는 센싱부(102a), 데이터 수집부(102b), 제 1 통신부(102c)를 포함할 수가 있다.
센싱부(102a)는 전력 케이블(101)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제공된 맨홀(P2) 또는 관로구(P3)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과 전력 케이블(101)의 일측 및 타측과 다른 일측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101)의 장력 값과 진동 값 및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 2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102a)는 지지대(102a1), 장력 측정용 센서(102a2), 지지 바(102a3), 보호 커버(102a4)를 포함하는 장력 측정용 센싱 수단(A)을 포함할 수가 있다.
지지대(102a1)는 맨홀(P2)의 일측중 내부 바닥면에 제공되고, 전력 케이블(101)과 대향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장력 측정용 센서(102a2)는 지지대(102a1)의 상부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101)의 장력 값을 센싱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지지 바(102a3)는 전력 케이블(101)에 제공되어 장력 측정용 센서(102a2)를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장력 측정용 센서(102a2)는 전력 케이블(101)의 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게 제공될 수가 있고, 방수와 방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보호 커버(102a4)는 전력 케이블(101)에 제공되되 장력 측정용 센서(102a2)와 지지 바(102a3)를 보호하도록 제공되어 외부 요인에 의한 충격 또는 물과 습기 먼지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보호 커버(102a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강력 접착제(미도시)의 접착에 의해 전력 케이블(101)과 장착될 수가 있다.
또한, 도 2와 도 4 및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102a)는 지지 부재(102a5)와 진동 측정용 센서(102a6)를 포함하는 진동 측정용 센싱 수단(B)을 포함할 수가 있다.
지지 부재(102a5)는 복공판(P1)의 일측과 고정되고, 전력 케이블(101)의 일측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101)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가 있다.
진동 측정용 센서(102a6)는 지지 부재(102a5)의 일측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101)의 진동 값을 센싱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진동 측정용 센서(102a6)는 전력 케이블(101)의 자기장 영향을 받지 않게 제공될 수가 있고, 1축 이상의 전력 케이블(101)의 진동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도 2와 도 4 및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102a)는 지지 부재(102a5)와 근접 상태 측정용 센서(102a7)를 포함하는 근접 상태 측정용 센싱 수단(C)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02a5)는 복공판(P1)의 일측과 고정되고, 전력 케이블(101)의 일측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101)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가 있다.
근접 상태 측정용 센서(102a7)는 지지 부재(102a5)의 타측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101)에 근접하는 근접 상태를 센싱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상태 측정용 센서(102a7)는 맨홀(P2)의 외측에 제공된 센서 고정 부재(P2-1)에 고정되어 전력 케이블(101)에 근접하는 근접 상태를 센싱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근접 상태 측정용 센서(102a7)는 전력 케이블(101)의 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외부 충격이나 비, 먼지의 침투에 따라 견딜 수 있도록 제공될 수가 있으며, 방수와 방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서, 근접 상태 측정용 센서(102a7)는 위해 요소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레이저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자석 센서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도 3과 도 4 및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상태 측정용 센싱 수단(C)은 근접 상태 측정용 센서(102a7)에 의해 센싱된 센싱 신호와 동기화되어 경보음과 함께 발광하는 경광등(102a8)과, 경보음을 증폭시키는 싸이렌(102a9)을 포함하여 위해 요소가 접근할 때에 경보음을 울려 현장 작업자들에게 경각심을 일으켜 주의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수집부(102b)는 복공판(P1)의 상부 일측에 제공되어 센싱부(102a)와 통신을 수행하고,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데이터 수집부(102b)는 수집된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수집부(102b)는 데이터 수집수단(102b1)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102b2)을 포함할 수가 있다.
데이터 수집수단(102b1)은 센싱부(102a)와 통신을 수행하고,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102b2)은 데이터 수집수단(102b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수집수단(102b1)을 통해 수집된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통신부(102c)는 복공판(P1)의 상부 타측에 제공되어 데이터 수집부(102b)를 통해 공급되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중앙 통제 센터(106)와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104)로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100)의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102)는 알림 신호 발생부(102d)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알림 신호 발생부(102d)는 데이터 수집부(10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알림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100)의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102)는 촬영부(102e)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촬영부(102e)는 일정한 장소별로 지반(P)에 제공되되, 복공판(P1)의 하부 타측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101)의 일정한 지점별로 전력 케이블(101)의 상태를 촬영하거나, 굴착 현장의 상황을 촬영하거나, 전력 케이블(101)에 근접되는 근접 상태를 촬영하여 제 1 통신부(102c)를 통해 중앙 통제 센터(106)와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104)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서, 촬영부(102e)는 복공판(P1)의 아래 공사 현장이 어두우므로, 조도가 밝고, 적외선 기능이 있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촬영부(102e)는 외부 충격이나 비, 먼지의 침투에 따라 견딜 수 있도록 제공될 수가 있으며, 방수와 방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1 통신부(102c)는 이후에 진술할 제 2 통신부(104a)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유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가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 장치(104)는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102)와 통신을 수행하고,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102)로부터 공급되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송수신 장치(104)는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102)로부터 공급되는 굴착 현장의 상황에 해당하는 굴착 현장 상황 데이터를 이후에 진술할 중앙 통제 센터(106)로 전송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 장치(104)는 제 2 통신부(104a)와 SMS 문자 발송부(104b)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2 통신부(104a)는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102)와 통신을 수행하고,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102)로부터 공급되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제 2 통신부(104a)는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102)로부터 공급되는 굴착 현장의 상황에 해당하는 굴착 현장 상황 데이터를 이후에 진술할 중앙 통제 센터(106)로 전송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2 통신부(104a)는 제 1 통신부(102c) 및 이후에 진술할 제 3 통신부(106a)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유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가 있다.
SMS 문자 발송부(104b)는 제 2 통신부(104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통신부(104a)를 통해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102)로부터 공급되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미 등록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로 SMS 문자를 전송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통제 센터(106)는 송수신 장치(104)와 통신을 수행하고, 송수신 장치(104)로부터 공급되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여 전력 케이블(101)의 상태를 관리하면서 감시하도록 제공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통제 센터(106)는 제 3 통신부(106a)와 표시부(106b)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3 통신부(106a)는 송수신 장치(104)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표시부(106b)는 제 3 통신부(106a)를 통해 송수신 장치(104)로부터 공급되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여 전력 케이블(101)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서, 제 3 통신부(106a)는 송수신 장치(104) 및 이후에 진술할 유지 보수 센터(106e)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유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때,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6b)는 일정한 장소별(#1, #2, #3)로 지반(P)에 제공된 전력 케이블(101)의 장력 값에 해당하는 현재 측정값과 평균값 및 최고값과 초기값 및 기준치 초과 횟수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6b)는 일정한 장소별(#1, #2, #3, #4, #5)로 지반(P)에 제공된 전력 케이블(101)의 진동 값에 해당하는 현재 측정 값과 평균값 및 최고값과 허용 기준치와 기준치 초과 횟수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6b)는 일정한 장소별(#1, #2, #3, #4, #5)로 지반(P)에 제공된 전력 케이블(101)에 근접되는 근접 상태에 해당하는 경보 횟수를 표시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도 4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6b)는 촬영부(102e)에 의해 촬영되는 굴착 공사 현장을 표시하거나, 근접 상태 측정용 센싱 수단(C)에 의해 센싱된 현재의 근접 상태를 개별적으로 녹화하여 표시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100)의 중앙 통제 센터(106)는 알림부(106c)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알림부(106c)는 알림 신호 발생부(102d)와 동기화되어 알림 신호 발생부(102d)로부터 알림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부(106c1, 106c2, 106c3, 106c4, 106c5, 106c6)는 경보음으로 알리는 경보기(106c1), 서로 다른 색상의 발광을 통해 알리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106c2)와 녹색 발광 다이오드(106c3), 블링크 방식의 발광을 통해 알리는 EL 시트(106c4),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벤트 방식으로 표시하여 알리는 팝업창(106c5, 106c6)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100)의 중앙 통제 센터(106)는 호출 버튼(106d)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호출 버튼(106d)은 제 3 통신부(106a)를 통해 송수신 장치(104)로부터 공급되는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버튼 동작으로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중앙 통제 센터(106)는 호출 버튼(106d)과 통신을 수행하고, 호출 버튼(106d)의 버튼 동작에 의해 호출 신호를 공급받아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여 전력 케이블(101)을 유지 보수시키는 유지 보수 센터(106e)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100)은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102), 송수신 장치(104), 중앙 통제 센터(106)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100)은 전력 케이블(101)의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하면서, 전력 케이블(101)의 장력 값과 진동 값 및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가 있으므로, 전력 케이블(101)의 관리를 위한 인건비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100)은 지하 굴착 공사 기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전력 케이블(101)의 위해 요소들을 미리 감지하여 현장 작업자들에게 경각심을 일으켜 주의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력 케이블(101)의 사고를 방지하면서 전력 케이블(101)의 수명을 연장시켜 전력 계통의 운영 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일정한 장소별로 지반에 제공되되, 상기 지반에 제공된 복공판의 하부에 제공되어 전력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할 시에, 상기 전력 케이블의 일정한 지점별로 장력 값과 진동 값 및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현재의 장력 값과 상기 현재의 진동 값 및 상기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와;
    상기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현재의 장력 값과 상기 현재의 진동 값 및 상기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송수신 장치; 및
    상기 송수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송수신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현재의 장력 값과 상기 현재의 진동 값 및 상기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의 상태를 관리하면서 감시하는 중앙 통제 센터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는,
    상기 전력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제공된 맨홀 또는 관로구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과 상기 전력 케이블의 일측 및 타측과 다른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의 상기 장력 값과 상기 진동 값 및 상기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센싱부와;
    상기 복공판의 상부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센싱부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현재의 장력 값과 상기 현재의 진동 값 및 상기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현재의 장력 값과 상기 현재의 진동 값 및 상기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된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복공판의 상부 타측에 제공되어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현재의 장력 값과 상기 현재의 진동 값 및 상기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중앙 통제 센터와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제공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맨홀 또는 관로구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중 내부 바닥면에 제공되고, 상기 전력 케이블과 대향되도록 제공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의 장력 값을 센싱하는 장력 측정용 센서와;
    상기 전력 케이블에 제공되어 상기 장력 측정용 센서를 지지하는 지지 바; 및
    상기 전력 케이블에 제공되되, 상기 장력 측정용 센서와 상기 지지 바를 보호하도록 제공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복공판의 일측과 고정되고, 상기 전력 케이블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의 진동 값을 센싱하는 진동 측정용 센서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복공판의 일측과 고정되고, 상기 전력 케이블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타측에 제공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에 근접하는 근접 상태를 센싱하는 근접 상태 측정용 센서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센싱부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현재의 장력 값과 상기 현재의 진동 값 및 상기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현재의 장력 값과 상기 현재의 진동 값 및 상기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수단; 및
    상기 데이터 수집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수집수단을 통해 수집된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장치는,
    상기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현재의 장력 값과 상기 현재의 진동 값 및 상기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현재의 장력 값과 상기 현재의 진동 값 및 상기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미 등록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로 SMS 문자를 전송하는 SMS 문자 발송부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 센터는,
    상기 송수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 3 통신부; 및
    상기 제 3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송수신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현재의 장력 값과 상기 현재의 진동 값 및 상기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의 상태를 감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현재의 장력 값과 상기 현재의 진동 값 및 상기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알림 신호를 발생하는 알림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통제 센터는,
    상기 송수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 3 통신부와, 상기 제 3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송수신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현재의 장력 값과 상기 현재의 진동 값 및 상기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의 상태를 감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알림 신호 발생부와 동기화되어 상기 알림 신호 발생부로부터 상기 알림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일정한 장소별로 지반에 제공된 전력 케이블의 장력 값에 해당하는 현재 측정값과 평균값 및 최고값과 초기값 및 기준치 초과 횟수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거나, 전력 케이블의 진동 값에 해당하는 현재 측정 값과 평균값 및 최고값과 허용 기준치와 기준치 초과 횟수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거나, 전력 케이블에 근접되는 근접 상태에 해당하는 경보 횟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경보음으로 알리는 경보기, 서로 다른 색상의 발광을 통해 알리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와 녹색 발광 다이오드, 블링크 방식의 발광을 통해 알리는 EL 시트,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현재의 장력 값과 현재의 진동 값 및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장력 값 데이터와 진동 값 데이터 및 근접 상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벤트 방식으로 표시하여 알리는 팝업창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 관리 장치는,
    상기 일정한 장소별로 지반에 제공되되, 상기 복공판의 하부 타측에 제공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의 일정한 지점별로 상기 전력 케이블의 상태를 촬영하거나, 상기 전력 케이블에 근접되는 근접 상태를 촬영하여 상기 중앙 통제 센터와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제공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 센터는,
    상기 제 3 통신부를 통해 상기 송수신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현재의 장력 값과 상기 현재의 진동 값 및 상기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버튼 동작으로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호출 버튼; 및
    상기 호출 버튼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호출 버튼의 버튼 동작에 의해 상기 호출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현재의 장력 값과 상기 현재의 진동 값 및 상기 현재의 근접 상태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이미 저장된 기준 장력 값과 기준 진동 값 및 기준 근접 상태의 범위를 벗어난 장소로 출동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을 유지 보수시키는 유지 보수 센터를 더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20110057612A 2011-06-14 2011-06-14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1265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612A KR101265548B1 (ko) 2011-06-14 2011-06-14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612A KR101265548B1 (ko) 2011-06-14 2011-06-14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269A true KR20120138269A (ko) 2012-12-26
KR101265548B1 KR101265548B1 (ko) 2013-05-20

Family

ID=47905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612A KR101265548B1 (ko) 2011-06-14 2011-06-14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5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347B1 (ko) * 2019-12-05 2020-05-18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공동주택의 통신케이블 보호장치
KR102143015B1 (ko) * 2019-06-20 2020-08-11 주식회사 아모센스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72540B (zh) * 2015-11-09 2019-07-05 上海凌翼动力科技有限公司 自适应的电动汽车高压电安全故障诊断预警定位监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3342A (ja) * 2005-09-28 2007-04-12 Yokogawa Electric Corp 送電線の振動検出装置
KR100932187B1 (ko) * 2008-10-31 2009-12-16 주식회사 아이파워 고압 전기시설물의 접속부 열화 검출에 의한 수배전반 불량감시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015B1 (ko) * 2019-06-20 2020-08-11 주식회사 아모센스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KR102111347B1 (ko) * 2019-12-05 2020-05-18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공동주택의 통신케이블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548B1 (ko)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41069B (zh) 智慧工地人员安全实时监测系统
KR101196802B1 (ko) 안전모 및 그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KR101937085B1 (ko) 타워 크레인 사고예방 안전관리 통합감시 시스템
KR101526938B1 (ko) 현장 안전관리용 실시간 경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0453992Y1 (ko) 위험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CN105528841B (zh) 一种电力电缆的防外力破坏预警系统
KR101172034B1 (ko) 비상도움용 벨 및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경보시스템
KR100928028B1 (ko) 건설현장 안전관리방법
KR102554731B1 (ko) 건설현장 통합 안전 관리를 위한 이동형 안전 박스
JP2016048518A (ja) 災害時等の支援装置
KR101265548B1 (ko) 전력 케이블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20160104948A (ko) 게릴라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CN201420569Y (zh) 矿用避灾指挥与撤离指示系统
KR100981654B1 (ko)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그이용 방법
CN102819922A (zh) 电力施工区域快速布防安全监控系统
JP2009245302A (ja) 環境情報監視管理システム
JP5142887B2 (ja) クレーン警報システム
CN210141042U (zh) 围挡组件、围挡以及围挡系统
KR102205608B1 (ko) 근로자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시스템
KR20210155243A (ko) 활선 경보 안전모 및 활선 경보 안전모 시스템
KR102263890B1 (ko) 타워크레인의 통합 관리 운영 시스템
JP6769821B2 (ja) 作業現場監視装置
KR101824527B1 (ko) 위험요소 감지 비상벨 시스템
CN210136537U (zh) 小型塔吊作业区域入侵预警系统
KR101265546B1 (ko) 전력 케이블 Off­Set 운영관리를 위한 변위 측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