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540B1 -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540B1
KR102351540B1 KR1020210145889A KR20210145889A KR102351540B1 KR 102351540 B1 KR102351540 B1 KR 102351540B1 KR 1020210145889 A KR1020210145889 A KR 1020210145889A KR 20210145889 A KR20210145889 A KR 20210145889A KR 102351540 B1 KR102351540 B1 KR 102351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distribution line
wedge
wir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명
Priority to KR102021014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84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voltage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는 전주에 설치되어 3상 4선식의 상별 배전선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측정이 가능한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로서, 상기 전주에 끼워져 고정되며 둘레에 상기 각 상별 배전선이 둘레에 끼워지도록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전선안착홈이 형성된 전선고정부재, 상기 각 전선안착홈에서 상기 전주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전선안착홈에 안착되는 각 상별 배전선에 꽂아져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프로브, 상기 검출프로브에서 검출되는 각 상별 배전선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기, 상기 검출프로브가 상기 각 상별 배전선의 외피를 파고들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전주를 따라 상기 전선고정부재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전선안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별 배전선을 상기 검출프로브가 위치한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쐐기부를 갖는 쐐기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안착홈은 상기 검출프로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상별 배전선이 위치하는 접속홈부, 상기 접속홈부에서 상기 검출프로브와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가압쐐기부가 삽입되어 상기 상별 배전선을 가압하는 쐐기홈부, 상기 전선고정부재의 둘레에서 상기 상별 배전선이 인입되는 접속홈부, 및 상기 접속홈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상별 배전선이 상기 접속홈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접속홈부와 상기 접속홈부를 연결하는 연결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Distribution line voltage real-time monit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은 수용가로 전기를 공급하는 선로로서, 배전선에서 전압이 불균일하게 공급될 경우, 수용가에서 사용하는 전기제품에 전기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17142호(2021.2.18.공고)의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시스템"이 개시된 바가 있다.
배전선과 점프선을 통하여 배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점프선에 연결된 전압계가 전압을 실시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전압 측정에 따라 적정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도록 구성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시스템은 상별 배전선마다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 상별 배전선마다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배전선의 설치가 난해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전압의 이상을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선고정부재에 상별 배전선을 각각 고정한 후 쐐기가압부재를 체결하여 한번에 복수 가닥의 상별 배전선을 용이하게 검출프로브에 접속시킴으로써,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별 배전선마다 전압을 측정하여 전압의 이상유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압쐐기부가 나사체결에 의해 하향 이동하면서, 검출프로브가 상별 배전선의 외피를 뚫고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상별 배전선에 외피를 벗기지 않더라도 검출프로브를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별 배전선이 끼워지는 전선안착홈이 홈개폐부재에 의해 밀폐되어 전선안착홈에서 상별 배전선이 이탈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선안착홈이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상별 배전선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상별 배전선을 설치할 수 있는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압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표시알림부가 빛으로서 점멸하여 외부에 알리기 때문에 외부에서도 전압의 이상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류가 앉아 주변이 오염이 발생하거나, 조류에 의한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는 전주에 설치되어 3상 4선식의 상별 배전선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측정이 가능한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로서, 상기 전주에 끼워져 고정되며 둘레에 상기 각 상별 배전선이 둘레에 끼워지도록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전선안착홈이 형성된 전선고정부재, 상기 각 전선안착홈에서 상기 전주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전선안착홈에 안착되는 각 상별 배전선에 꽂아져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프로브, 상기 검출프로브에서 검출되는 각 상별 배전선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기, 상기 검출프로브가 상기 각 상별 배전선의 외피를 파고들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전주를 따라 상기 전선고정부재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전선안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별 배전선을 상기 검출프로브가 위치한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쐐기부를 갖는 쐐기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안착홈은 상기 검출프로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상별 배전선이 위치하는 접속홈부, 상기 접속홈부에서 상기 검출프로브와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가압쐐기부가 삽입되어 상기 상별 배전선을 가압하는 쐐기홈부, 상기 전선고정부재의 둘레에서 상기 상별 배전선이 인입되는 접속홈부, 및 상기 접속홈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상별 배전선이 상기 접속홈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접속홈부와 상기 접속홈부를 연결하는 연결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쐐기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상별 배전선을 가압 시에 상기 접속홈부에서 상기 연결홈부 측으로 상기 상별 배전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선고정부재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전선고정부재의 연결홈부를 막거나 개방하여 상기 상별 배전선을 이탈을 방지하는 홈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고정부재는 상기 전주가 끼워지며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고정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쐐기가압부재는 상기 고정체결부의 나사산에 나사체결됨에 따라 상기 가압쐐기부를 상기 전선고정부재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고정체결부에 나사체결되는 쐐기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쐐기체결부는 상기 쐐기체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체결부에서 상기 쐐기체결부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나사체결하도록 파지하여 회전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고정부재에 복수 개의 상별 배전선을 설치하고, 쐐기가압부재에 의해 복수 개의 상별 배전선을 가압하여 검출프로브에 접속시킴으로써, 한번의 동작으로 복수 개의 상별 배전선을 검출프로브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별 배전선 마다 전압을 측정하여 정확한 전압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압쐐기부가 검출프로브를 향해 상별 배전선을 가압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때문에 상별 배전선의 외피를 벗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전선안착홈이 전선고정부재의 둘레에서 개방되어 상별 배전선이 삽입되기 때문에 기존에 상별 배전선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상별 배전선을 끼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홈개폐부재에 의해 전선안착홈을 밀폐하여 상별 배전선이 전선안착홈에서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압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표시알림부가 빛을 점멸하는 형태로 작동하여 전압의 이상여부를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써,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류들이 앉아 발생하는 주변의 오염 또는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를 전주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를 전주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가압쐐기부에 의해 상별 배전선을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100)는 3상 4선식 배전선(210)의 각 상별로 전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측정되는 전압을 외부로 전달하거나, 전압의 이상여부를 판단하여 외부에 알리거나 표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100)는 전선고정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고정부재(110)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상별 배전선(210)을 고정할 수 있다.
전선고정부재(110)는 전주(200)에 고정설치 될 수 있으며, 전선고정부재(110)는 전주(200)가 중앙을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다.
전선고정부재(110)는 중앙에 전주(200)가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중앙에 전주삽입공(111)이 관통하여 형성된 링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선고정부재(110)의 전주삽입공(111)의 상부에는 전주삽입공(111)을 전선고정부재(110)의 상부로 연장시켜 전주(20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전선고정부재(110)를 전주(200)에 지지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고정체결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전선고정부재(110)에는 상별 배전선(210)이 각각 삽입되어 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전선안착홈(115)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4선식이므로 중성선(N상)을 포함하는 R상, S상, T상 총 4개의 상별 배전선(210)이 각각 삽입되도록 4개의 전선안착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안착홈(115)은 전선고정부재(110)의 둘레에 등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선안착홈(115)은 전선고정부재(110)를 전주(200)에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둘레를 통해 전선안착홈(115)의 내부로 상별 배전선(210)을 인입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전선안착홈(115)은 배전선(210)이 전주(200)의 둘레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구속하여 상별 배전선(210)이 안착되어 검출프로브(1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홈부(116)와, 접속홈부(116)에서 이격되어 전선고정부재(110)의 둘레로 상별 배전선(210)을 인입하도록 전선고정부재(110)의 둘레에서 개방된 형태의 인입홈부(117)가 형성되고, 인입홈부(117)와 접속홈부(116)는 연결홈부(118)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선안착홈(115)은 전선고정부재(110)의 둘레에서 인입홈부(117)를 통해 상별 배전선(210)을 측방향으로 인입하고, 연결홈부(118)를 통해 접속홈부(116)와 이격된 접속홈부(116)까지 배전선(210)을 인입하는 형태로 상별 배전선(210)을 전선고정부재(110)의 전선안착홈(115)으로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접속홈부(116)에서 전주(200)와 마주하는 방향에는 접속홈부(116)에 안착된 상별 배전선(210)을 접속홈부(116)에서 전주(200)가 위치한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배전선(210)을 가압하기 위한, 하기에 설명할 가압쐐기부(131)의 상하의 이동을 안내하는 쐐기홈부(119)가 접속홈부(116)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선고정부재(110)는 상별 배전선(210)의 서로 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방지하도록 부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100)는 검출프로브(121) 및 전압측정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프로브(121)는 각 전선안착홈(115)에 설치되어 상별 배전선(210)의 심선과 접촉하여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프로브(121)는 끝단이 뾰족한 핀 형태로 형성되어 측방향에서 상별 배전선(210)의 가압 시 배전선(210)의 외피를 파고들어 외피의 내부에 존재하는 심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검출프로브(121)는 전선안착홈(115)에서 접속홈부(116)의 내주 중에 전주(200)가 위치하는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쐐기홈부(119)와 마주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검출프로브(121)의 뾰족한 끝단은 접속홈부(116)에서 접속홈부(116)의 중심을 바라보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검출프로브(121)는 전선고정부재(110)의 둘레에서 전선안착함의 접속홈부(116)를 관통하는 핀공에 나사체결되는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각 전선안착홈(115)에 설치되는 검출프로브(121)는 각 전선안착홈(115)에 안착되는 각 상별 배전선(2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전압측정기(120)는 검출프로브(121)에서 검출되는 전압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전압측정기(120)는 4선식의 상별 배전선(210)에서 R상-N상, S상-N상, T상-N상의 전압 또는 R상-S상, S상-T상, T상-R상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각 전선안착홈(115)에 설치되는 검출프로브(121)는 전압측정기(120)와 전선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전압측정기(120)는 유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측정된 전압을 외부의 관리서버로 전달하거나, 하기의 표시알림부(125)를 통해 전압의 이상유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압측정기(120)는 표시알림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표시알림부(125)는 전압측정기(120)에서 측정되는 전압의 이상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표시램프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알림부(125)는 전압측정기(120)에서 측정되는 전압의 범위가 미리 설정된 전압의 범위에 속하면, 백색의 LED를 점등하고, 전압측정기(120)에서 측정되는 전압의 범위가 미리 설정된 전압의 범위를 벗어나면, 빨간색의 LED를 점등할 수 있다.
표시알림부(125)는 각 상별 배전선(210)에서 측정되는 전압에 따라 각 상별 배전선(210)의 이상유부를 각각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알림부(125)는 마치 사람의 심장이 뛰는 것과 같이 섬광과 같은 빛을 점멸하는 형태로 전압이 안정적으로 공급됨을 외부에 알리고, 전압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색상의 빛을 점멸하는 형태로 전압이 불안정하게 공급됨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이때, 표시알림부(125)에서 점멸하는 빛은 외부에 전압공급의 이상유무를 알림과 동시에 점멸하는 빛에 야간에는 조명의 빛으로 사용되거나, 조류를 퇴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100)는 쐐기가압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쐐기가압부재(130)는 전선안착홈(115)에 삽입된 각 상별 배전선(210)을 검출프로브(121)가 외피를 파고 들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전선안착홈(115)에서 검출프로브(121)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쐐기가압부재(130)는 가압쐐기부(131)와 쐐기체결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쐐기부(131)는 전선안착홈(115)의 쐐기홈부(119)로 진입하여 전선안착홈(115)에 삽입된 상별 배전선(210)을 검출프로브(121)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압쐐기부(131)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검출프로브(121)가 위치하는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가져 쐐기홈부(119)로 가압쐐기부(131)가 진입하면서, 경사면에 배전선(210)이 가압되면서 상별 배전선(210)을 검출프로브(121)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압쐐기부(131)는 각 전선안착홈(115)의 쐐기홈부(119)에 각각 삽입되도록 복수 개가 위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가압쐐기부(131)의 상단은 전주(2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링 형태의 쐐기연결부(132)에 연결될 수 있다.
쐐기체결부(135)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쐐기연결부(132)의 상부에서 쐐기체결부(135)의 중앙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쐐기체결부(135)의 직경은 전선고정부재(110)의 고정체결부(113)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쐐기체결부(135)의 내주에 고정체결부(113)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으며, 쐐기체결부(135)의 내주에는 고정체결부(113)의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쐐기체결부(135)의 하부에는 쐐기가압부재(130)가 위치하기 때문에 쐐기체결부(135)를 고정체결부(113)에 나사체결하기 위해 회전 시키면, 쐐기가압부재(130)에서 쐐기체결부(135)만 회전하고, 가압쐐기부(131)는 쐐기홈부(119)에 구속되어 회전하지 않으면서 쐐기체결부(135)의 나사체결함에 따라 쐐기체결부(135)와 함께 전선고정부재(110)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쐐기체결부(135)의 둘레에는 고정체결부(113)에 쐐기체결부(135)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나사체결하기 위해 막대형태 또는 홈 형태의 손잡이부(137)가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100)는 홈개폐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홈개폐부재(140)는 쐐기가압부재(130)에 의해 상별 배전선(210)을 검출프로브(121)에 접속시킬 때, 접속홈부(116)에서 연결홈부(118)를 통해 상별 배전선(2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홈개폐부재(140)는 전선고정부재(110)에 끼워져 회전함에 따라 연결홈부(118)를 덮어 가리거나, 연결홈부(118)를 개방하도록 막대 또는 판의 형태로 형성된 밀폐부(141)가 각 전선안착홈(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밀폐부(141)는 전선안착홈(115)의 접속홈부(116)에 안착된 상별 배전선(210)이 연결홈부(118)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부만을 막거나, 접속홈부(116)까지 함께 막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100)는 상별 배전선(210)을 전주(200)에 고정하기 위한 전선고정부재(110)를 포함하며, 전선고정부재(110)의 중앙에는 전주(200)에 끼워지는 전주삽입공(111)이 형성되며, 전주삽입공(111)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체결부(113)에 의해 전선고정부재(110)의 상부로 연장된다.
한편, 전선고정부재(110)의 둘레에는 상별 배전선(210)이 끼워져 안착되는 전선안착홈(115)이 상별 배전선(21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며, 전선안착홈(115)은 상별 배전선(210)이 측방향에서 인입되는 인입홈부(117)와 상별 배전선(210)이 검출프로브(1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홈부(116)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인입홈부(117)와 접속홈부(116)는 인입홈부(117)로 삽입되는 상별 배전선(210)을 접속홈부(116)로 안내하는 연결홈부(11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접속홈부(116)에서 전주(20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는 가압쐐기부(131)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쐐기홈부(119)가 접속홈부(116)와 연결되어 형성되며, 쐐기홈부(119)와 마주하는 접속홈부(116)의 내주에는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프로브(121)가 설치된다.
검출프로브(121)는 접속홈부(116)의 중앙을 향해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검출프로브(121)에서 검출되는 전압은 전압측정기(120)로 제공되어 전압측정기(120)에서 각 상별 배전선(210)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전압측정기(120)는 전선고정부재(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각 검출프로브(121)와 전압측정기(120)는 서로 전기적인 케이블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선고정부재(110)에서 상별 배전선(210)이 위치하는 인접한 위치에는 전압측정기(120)에서 측정되는 전압에 따라 이상여부를 외부에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알림램프부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선고정부재(110)에는 쐐기가압부재(130)에 의해 배전선(210)이 가압될 때 접속홈부(116)에 위치하는 배전선(210)이 연결홈부(118)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홈부(118)의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밀폐부(141)를 갖는 홈개폐부재(140)가 고정체결부(113)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된다.
홈개폐부재(140)의 상부에는 상별 배전선(210)을 검출프로브(121)가 뚫고 들어가 각 상별 배전선(210)의 심선에 검출프로브(12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쐐기가압부재(130)가 설치된다.
쐐기가압부재(130)는 전주(200)에 끼워지도록 중앙에 관통된 형상을 가지며, 쐐기가압부재(130)는 상별 배전선(210)을 가압하는 가압쐐기부(131)와 가압쐐기부(131)의 상부에 가압쐐기부(131)에 대해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가압쐐기부(131)에 결합되는 쐐기체결부(135)로 구성된다.
쐐기체결부(135)의 내주에는 고정체결부(113)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쐐기체결부(135)의 둘레에는 고정체결부(113)에 쐐기체결부(135)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결합하기 위한 손잡이부(137)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압쐐기부(131)는 하부로 갈수록 점점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쐐기홈부(119)에서 검출프로브(121)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가압쐐기부(131)는 쐐기홈부(119)에 회전이 구속되어 가압쐐기부(131)에 연결된 쐐기체결부(135)를 고정체결부(113)에 회전시켜 체결할 때, 가압쐐기부(131)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100)는 전선고정부재(110)의 전주(200)끼움공에 전주(200)를 삽입하여 상별 배전선(210)이 전주(200)에 둘레에 위치될 수 있는 위치까지 위치시킨다.
이때, 전선고정부재(110)는 앵커볼트와 같은 체결부재 또는 체결밴드에 의해 억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선고정부재(110)가 전주(200)에 설치되면, 각 상별 배전선(210)을 전선안착홈(115)의 인입홈부(117)를 통해 삽입하고, 삽입된 상별 배전선(210)을 연결홈부(118)를 통해 접속홈부(116)까지 이동시켜 위치시킨다.
각 접속홈부(116)에 상별 배전선(210)이 안착되면, 연결홈부(118)를 통해 상별 배전선(210)이 인입홈부(117)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에서 연결홈부(118)를 가리는 밀폐부(141)가 형성된 홈개폐부재(140)를 삽입한다.
한편, 홈개폐부재(140)가 삽입되면, 쐐기가압부재(130)의 가압쐐기부(131)의 뾰족한 끝단이 각 전선안착홈(115)에 형성된 쐐기홈부(119)로 삽입되도록 전주(200)에 쐐기가압부재(130)를 끼운다.
쐐기가압부재(130)가 전주(200)에 끼워지면, 쐐기가압부재(130)의 쐐기체결부(135)가 전선고정부재(110)의 고정체결부(113)에 나사체결되도록 손잡이부(137)를 통해 쐐기체결부(135)를 회전시킨다.
쐐기체결부(135)가 회전하면, 고정체결부(113)에 나사체결되면서, 고정체결부(113)에서 쐐기체결부(135)가 하향되고, 쐐기체결부(135)의 하부에는 가압쐐기부(131)가 위치되어 가압쐐기부(131)도 쐐기홈부(119)에 가이드되어 하향 이동한다.
가압쐐기부(131)가 하향 이동하면, 가압쐐기부(131)의 두께가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기 때문에 상별 배전선(210)을 검출프로브(121)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점점 가압하면서 상별 배전선(210)의 외피를 검출프로브(121)가 뚫고 들어가 상별 배전선(210)의 심선과 검출프로브(12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렇게 전선고정부재(110)에 쐐기가압부재(130)가 결합되면, 모든 상별 배전선(210)이 각 전선안착홈(115)에 위치하는 각 검출프로브(1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검출프로브(121)에서 검출되는 전압은 전압측정기(120)로 제공된다.
전압측정기(120)는 각 검출프로브(121)를 통해 검출된 전압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압 범위의 이내 또는 벗어남에 따라 표시알림부(125)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점멸시켜 외부에 알리거나, 측정되는 전압 값을 외부의 관리서버로 제공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100)는 전선고정부재(110)에 복수 개의 상별 배전선(210)을 삽입하고, 쐐기가압부재(130)를 체결하면, 각 상별 배전선(210)이 함께 전압측정기(120)와 연결되기 때문에 연결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상별 배전선(210)의 각각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가압쐐기부(131)가 상별 배전선(210)을 검출프로브(121)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검출프로브(121)가 상별 배전선(210)의 외피를 뚫고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검출프로브(121)에 상별 배전선(21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상별 배전선(210)의 외피를 벗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전선안착홈(115)이 인입홈부(117)에 의해 둘레로 개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상별 배전선(210)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전선안착홈(115)에 상별 배전선(210)을 끼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선안착홈(115)에 안착된 상별 배전선(210)이 홈개폐부재(140)의 밀폐부(141)에 의해 구속되어 전선안착홈(115)에서 상별 배전선(210)이 용이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별 배전선(210)의 전압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표시알림부(125)가 점멸하면서 외부에서도 상별 배전선(210)의 전압이상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표시알림부(125)가 점멸하면서 조류들이 앉아 주변이 오염되거나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 110: 전선고정부재
111: 전주삽입공 113: 고정체결부
115: 전선안착홈 116: 접속홈부
117: 인입홈부 118: 연결홈부
119: 쐐기홈부 120: 전압측정기
121: 검출프로브 125: 표시알림부
130: 쐐기가압부재 131: 가압쐐기부
132: 쐐기연결부 135: 쐐기체결부
137: 손잡이부 140: 홈개폐부재
141: 밀폐부 200: 전주
210: 상별 배전선

Claims (4)

  1. 전주에 설치되어 3상 4선식의 상별 배전선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측정이 가능한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로서,
    상기 전주에 끼워져 고정되며 둘레에 상기 각 상별 배전선이 둘레에 끼워지도록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전선안착홈이 형성된 전선고정부재,
    상기 각 전선안착홈에서 상기 전주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전선안착홈에 안착되는 각 상별 배전선에 꽂아져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프로브,
    상기 검출프로브에서 검출되는 각 상별 배전선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기,
    상기 검출프로브가 상기 각 상별 배전선의 외피를 파고들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전주를 따라 상기 전선고정부재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전선안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별 배전선을 상기 검출프로브가 위치한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쐐기부를 갖는 쐐기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안착홈은
    상기 검출프로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상별 배전선이 위치하는 접속홈부,
    상기 접속홈부에서 상기 검출프로브와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가압쐐기부가 삽입되어 상기 상별 배전선을 가압하는 쐐기홈부,
    상기 전선고정부재의 둘레에서 상기 상별 배전선이 인입되는 접속홈부, 및
    상기 접속홈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상별 배전선이 상기 접속홈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접속홈부와 상기 접속홈부를 연결하는 연결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상별 배전선을 가압 시에 상기 접속홈부에서 상기 연결홈부 측으로 상기 상별 배전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선고정부재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전선고정부재의 연결홈부를 막거나 개방하여 상기 상별 배전선을 이탈을 방지하는 홈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부재는
    상기 전주가 끼워지며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고정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쐐기가압부재는
    상기 고정체결부의 나사산에 나사체결됨에 따라 상기 가압쐐기부를 상기 전선고정부재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고정체결부에 나사체결되는 쐐기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체결부는
    상기 쐐기체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체결부에서 상기 쐐기체결부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나사체결하도록 파지하여 회전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
KR1020210145889A 2021-10-28 2021-10-28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 KR102351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889A KR102351540B1 (ko) 2021-10-28 2021-10-28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889A KR102351540B1 (ko) 2021-10-28 2021-10-28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540B1 true KR102351540B1 (ko) 2022-01-14

Family

ID=79342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889A KR102351540B1 (ko) 2021-10-28 2021-10-28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5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359B1 (ko) * 2022-03-24 2022-07-19 주식회사 한길이앤씨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선위치 감시 시스템 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794B1 (ko) * 2012-07-03 2014-07-09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KR102160450B1 (ko) * 2020-04-22 2020-09-29 이윤정 도시 가공 배전선로의 구간별 고장관리시스템
KR102217142B1 (ko) * 2020-08-28 2021-02-18 (주)청송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794B1 (ko) * 2012-07-03 2014-07-09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KR102160450B1 (ko) * 2020-04-22 2020-09-29 이윤정 도시 가공 배전선로의 구간별 고장관리시스템
KR102217142B1 (ko) * 2020-08-28 2021-02-18 (주)청송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359B1 (ko) * 2022-03-24 2022-07-19 주식회사 한길이앤씨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선위치 감시 시스템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135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선위치 감시 시스템 제공방법
KR102351540B1 (ko)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
KR101915252B1 (ko) 가공배전선로 활선 작업을 위한 고정기구
KR101847456B1 (ko) 주상변압기용 프로브 유닛
CN211528251U (zh) 一种架空线路金具的等电位带电x射线检测装置
US20070086135A1 (en) Method of detecting faults using graduated fault detection levels
US3975074A (en) Standing box for electrial fixtures
KR102143015B1 (ko) 전력케이블 관리 멀티센서 장치
CN107658702A (zh) 一种多功能柜保装置
CN219552580U (zh) 电缆耐水试验箱
CN112147395A (zh) 一种钳形电流表转接器及电流测量装置
CN207442195U (zh) 多功能柜保装置
CN208999478U (zh) 一种输电线路电流检测装置
CN109510160B (zh) 一种带指示的电缆分支箱
CN210894480U (zh) 一种配电柜警示装置
CN212871500U (zh) 温度测量装置
KR20230018030A (ko) 사활 확인 전력케이블용 안전 절단기
KR101752369B1 (ko) 노후된 건축물의 내진 보강장치
CN219498963U (zh) 微模块数据机房的供电装置
CN211627729U (zh) 一种智能低压线路故障指示器
CN114374103A (zh) 一种声光报警接地装置
CN112378523A (zh) 一种可以测量母线温度和电流的智能监测装置
KR102404634B1 (ko)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장치
CN209387414U (zh) 一种防护用插头线突拉测试机
CN207250272U (zh) 设有测温区的绝缘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