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987B1 - 도로 포장 결빙 방지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 방지 표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포장 결빙 방지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 방지 표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987B1
KR102142987B1 KR1020200018190A KR20200018190A KR102142987B1 KR 102142987 B1 KR102142987 B1 KR 102142987B1 KR 1020200018190 A KR1020200018190 A KR 1020200018190A KR 20200018190 A KR20200018190 A KR 20200018190A KR 102142987 B1 KR102142987 B1 KR 102142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cing
surface treatment
acrylate
treatm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국
최종윤
Original Assignee
도경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승후테크
신현국
최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경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승후테크, 신현국, 최종윤 filed Critical 도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8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45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for preventing ice formation or for loosening ice, e.g. special additives to the paving material, resilient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포장 결빙 방지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 방지 표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은, 개질 혼화제 5~85 중량%, 기능성 충전재 5~75중량% 및 결빙 방지제 0.1~20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도, 부착력,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결빙 방지제가 높은 결빙 방지 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 눈길 미끄럼 사고 및 도로시설물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화속도가 빠르면서도 노면 부착성능 및 장기적 물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제를 활용하여 결빙 방지 시공 문제점을 완전 해결할 수 있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 포장 결빙 방지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 방지 표면 처리 방법{SURFACE TREATMENT COMPOSITION FOR PREVENTING FREEZING OF ROAD PAVEMENT AND SURFACE TREATMENT METHOD FOR PREVENTING FREEZING OF ROAD PAVEMENT THEREWITH}
본 발명은 도로 포장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첨가되는 결빙 방지제가 높은 결빙 방지 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 눈길 미끄럼 사고 및 도로 시설물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도로 포장 결빙 방지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 방지 표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급경사 구간, 작은 곡선 반경의 곡선부, 경사 구간의 교차점, 시계 불량 구간, 보행자가 많은 횡단보도 앞부분 등에 미끄럼 저항성을 높여주어 차량의 제동거리를 짧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용 조성물은 다양한 재료와 공법으로 개발되어 시공되고 있는데 도로의 특성상 시공과 건조 중에 차량 통행을 차단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건조가 신속하게 진행되어 교통을 쾌속하게 연결해주는 재료와 공법이 요구된다.
한편, 동절기에 눈이 내리면 결빙이 되기 쉽고, 이렇게 결빙이 되는 경우에는 차량 사고와 보행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도로에 쌓인 눈을 신속히 융설 작업하여 도로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최근 이상 기상 현상에 따라 기록적인 폭설현상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겨울철 도로의 결빙 방지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종래 미끄럼 방지 포장재 또는 아크릴공중합수지를 바인더로 한 미끄럼 방지제로 시공한 미끄럼방지구간에도 눈이 쌓이거나 결빙되어 차량의 미끄럼 사고를 유발함으로써 동절기 교통사고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눈이 쌓이거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현재는 도로에 모래를 뿌리거나 염화칼슘 등을 뿌리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갑자기 폭설이 내리는 경우는 염화칼슘 또는 모래를 도로에 직접 살포해야 하므로 신속한 융설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며 많은 시간과 인원 장비를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염화칼슘은 살포 후에 지속적으로 눈이 내리면 염화칼슘의 농도가 낮아져 결국에는 다시 결빙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방법은 눈길 또는 빙판길의 미끄럼 사고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등록특허 제10-1885813호 (2018.07.31.) 등록특허 제10-1971714호 (2019.04.17.) 등록특허 제10-1780347호 (2017.09.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첨가되는 결빙 방지제가 높은 결빙 방지 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 눈길 미끄럼 사고 및 도로 시설물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도로 포장 결빙 방지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 방지 표면 처리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자가 기등록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용 결빙 방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특허등록번호 제10-1838896)의, 결빙 방지제 조성물(이하, 결빙 방지제라 함)을 사용하며,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은 중량 대비 개질 혼화제 5~85 중량%, 기능성 충전재 5~75중량% 및 결빙 방지제 0.1~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개질 혼화제는, 주제와 경화제를 1 : 0.01~0.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제는, 메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5~99중량%, 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25중량%,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0.1~25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25중량%, 아크릴아미드-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25중량%, 알킬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0.01~15중량% 및 클로로(C1-C10알킬)실란 0.01~1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개질 혼화제의 경화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벤조일 퍼옥사이드,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디라우릴 퍼옥사이드, 디-터트-부틸 퍼옥사이드, 쿠밀 히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및 과황산칼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충전재는 돌로마이트 25~95중량%, 중질탄산칼슘 4~35중량%, 비트리파이드 0.1~20중량%, 실리카 에어로젤 0.1~20중량%, 그래핀 0.01~15중량%, 알런덤 0.01~15중량% 및 안료 0.01~1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빙 방지제는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 10~90중량%, 황산나트륨 1~15중량%, 산화칼슘 1~15중량%, 규산나트륨 1~15중량%, 알킬 또는 알켄 실리코네이트 1~15중량%, 지르코알루미네이트 0.01∼10중량%, 수성실리카졸 0.01~10중량% 및 알콕시 실란 0.01~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질 혼화제는 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진제로는 n.n-디메틸 아닐린(n.n-dimethyl aniline; DMA), 2-에틸렌헥소네이트(2-ethylhexonate), 코발트 카르복실레이트(cobalt carboxylate), n.n-디에틸 아닐린(n.n-diethyl aniline; EMA), n-디-p-톨루이딘(n-di-p-toluidine), 디-메틸 아크릴아미드(d-methyl acylamide),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촉진제는 상기 개질 혼화제에 대하여 0.01~10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 도로면을 표면 건조하는 단계와, 숏블라스트, 평삭기, 연마기 등을 이용하여 치핑하여 열화부위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단계와, 제거된 상부에 물, 유해물질 등의 침투를 방지하고, 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프라이머를 붓, 롤러, 에어리스 등으로 도포하는 단계와, 도포된 상부에 상기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을 도포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포장 표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도, 부착력,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도로 포장용 표면처리제 조성물이 결빙 방지제를 포함하므로 높은 결빙 기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어 눈길 미끄럼 사고 및 도로시설물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빙 방지 도로 표면처리제는 도로 표면에 도포되므로 결빙 방지제가 물에 잘 녹지 않고, 초기 성분의 비율 및 물리적 조건을 변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의 방빙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빙 방지 도로 표면처리제는 도로 상에서의 반복적인 착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주변 온도가 갑자기 떨어지면서 도로 표면의 빈 틈 사이에 있던 물이 다시 얼어붙는 것과 같은 블랙아이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빙 방지 도로 표면처리제는 환경에 유해하지 않고, 금속에 대한 부식성이 없으므로 자동차나 교량 및 지하매설의 철 구조물 등을 부식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도로 포장용 결빙 방지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도로 포장 결빙 방지 표면 처리 방법은 경화속도가 빠르면서도 노면 부착성능 및 장기적 물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제를 활용하여 종래의 융설 또는 결빙 방지 시공 문제점을 완전 해결할 수 있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은 개질 혼화제, 기능성 충전재 및 결빙 방지제를 포함한다.
상기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은 개질 혼화제 5~85 중량%, 기능성 충전재 5~75중량% 및 결빙 방지제 0.1~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질 혼화제는, 주제와 경화제를 1 : 0.01~0.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제는, 메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5~99중량%, 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25중량%,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0.1~25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25중량%, 아크릴아미드-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25중량%, 알킬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0.01~15중량% 및 클로로(C1-C10알킬)실란 0.01~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메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작업성, 강도, 내마모성, 내약품성 등의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메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내산 및 내알칼리성이 우수하며 강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메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개질 혼화제에 대하여 25∼99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메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99중량%를 초과하면 성능은 개선되나 점도가 낮아져 재료분리가 발생하기 쉬우며, 상기 메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25중량% 미만이면 강도, 내마모성 및 내구성 개선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연성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개질 혼화제에 대하여 0.1~25중량%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25중량%를 초과하면 더 이상의 성능 개선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0.1중량%미만이면 성능 개선 효과가 미약하게 된다.
상기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는 저온경화성, 내수성, 전단접착강도 및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는 상기 개질 혼화제에 대하여 0.1∼2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성능은 개선되나 점성이 낮아져 재료분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작업성이 저하되고 접착력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작업성, 연성, 부착력, 내수성, 내충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내산 및 내알칼리성이 우수하며 강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개질 혼화제에 대하여 0.1∼2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공중합체의 함량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성능은 개선되나 재료분리가 발생하기 쉽고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성능 개선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아미드-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인성, 신장률, 내충격성, 강성, 내약품성, 유동성 및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치수안정성, 성형가공성, 내약품성 등의 제반특성이 매우 뛰어나고, 작업성이 편리하며,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다. 상기 아크릴아미드-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개질 혼화제에 대하여 0.1∼25중량%가 혼입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아크릴아미드-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성능은 개선되나 작업성이 저하되고, 상기 아크릴아미드-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성능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는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는 상기 개질 혼화제에 대하여 0.01∼15중량%가 혼입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면 성능은 개선되나 경제성이 저하되고,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성능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상기 클로로(C1-C10알킬)실란은 반응성, 내화학성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클로로(C1-C10알킬)실란은 상기 개질 혼화제에 대하여 0.01∼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클로로(C1-C10알킬)실란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면 성능은 개선되나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클로로(C1-C10알킬)실란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내구성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개질 혼화제의 경화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벤조일 퍼옥사이드,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디라우릴 퍼옥사이드, 디-터트-부틸 퍼옥사이드, 쿠밀 히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및 과황산칼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질 혼화제는 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진제는 반응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촉진제로는 n.n-디메틸 아닐린(n.n-dimethyl aniline; DMA), 2-에틸렌헥소네이트(2-ethylhexonate), 코발트 카르복실레이트(cobalt carboxylate), n.n-디에틸 아닐린(n.n-diethyl aniline; EMA), n-디-p-톨루이딘(n-di-p-toluidine), 디-메틸 아크릴아미드(d-methyl acylamide),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촉진제는 상기 개질 혼화제에 대하여 0.01~1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충전재는 상기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에 대하여 5~7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 충전재의 함량이 75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저하되고, 상기 기능성 충전재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강도, 내마모성, 내산성, 내열성 및 내구성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충전재는 돌로마이트 25~95중량%, 중질탄산칼슘 4~35중량%, 비트리파이드 0.1~20중량%, 실리카 에어로젤 0.1~20중량%, 그래핀 0.01~15중량%, 알런덤 0.01~15중량% 및 안료 0.01~1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로마이트는 강도, 미끄럼 저항성 및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돌로마이트는 입경이 0.01~2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로마이트는 상기 기능성 충전재에 대하여 25~9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로마이트의 함량이 95중량%를 초과하면 성능은 개선되나 작업성이 저하되고, 상기 돌로마이트의 함량이 25중량%미만이면 성능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상기 중질탄산칼슘(ground calcium carbonate)은 강도, 충전성, 내충격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조방법에 따라 중질탄산칼슘과 경질탄산칼슘(precipitated calcium cabonate) 2가지로 크게 구분되며, 중질탄산칼슘은 백색결정질 방해석(CaCO3)을 분쇄ㅇ분급시켜 제조된 탄산칼슘으로 백색도가 높기 때문에, 백색 탄산칼슘으로도 불린다. 한편, 경질 탄산칼슘은 석회석을 소성시켜 화학적으로 제조된 탄산칼슘으로서 침강성 탄산칼슘이라고도 불린다. 상기 중질탄산칼슘은 상기 기능성 충전재에 대하여 4~35중량%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질탄산칼슘의 함량이 35중량%를 초과하면 성능은 개선되나 작업성이 저하되고, 상기 중질탄산칼슘의 함량이 4중량%미만이면 작업성은 개선되나 성능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상기 비트리파이드는 강도, 내마모성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비트리파이드는 상기 기능성 충전재에 대하여 0.1~20 중량%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비트리파이드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면 성능은 개선되나 작업성이 저하되고, 상기 비트리파이드의 함량이 0.1중량%미만이면 강도, 내마모성 및 내구성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은 초 다공성 나노구조(10nm open-pore)로 되어 있으며, 초경량성은 물론 초단열성 및 흡음성, 내열성 등을 갖춘 친환경 신소재로, 지구상에서 가장 가벼운 고체로서 열, 전기, 소리에 강하고 무게도 공기보다 약 3배 정도로 가볍다. 또한, 공기가 가득 차 있는 다공성 젤(Gel) 소재이며, 실리카 등으로 이루어진 무기계와 고분자 사슬로 이어진 유기계로 구분된다. 또한, 수성의 물 기반으로 구성되며 실리카 에어로젤의 나노 기공구조가 온전히 유지되어 도막 내부에서는 발수가 이루어지며 발수 각도는 130도 이상의 초소수성을 가진다.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은 조성물의 초소수성, 경량화, 단열성, 내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은 상기 기능성 충전재에 대하여 0.1~20 중량%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면 성능은 개선되나 작업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고, 상기 실리카 에어로젤의 함량이 0.1중량%미만이면 성능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상기 그래핀은 열전도율, 내마모성 및 내구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그래핀은 상기 기능성 충전재에 대하여 0.01∼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래핀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 성능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고, 상기 그래핀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성능은 개선되나 경제성이 저하된다.
상기 알런덤은 강도, 경도, 내열성 및 내식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런덤은 상기 기능성 충전재에 대하여 0.01∼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런덤의 중량비가 증가하면 내열 및 내식 성능을 나타내며, 상기 알런덤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 내열 및 내식 성능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고, 상기 알런덤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작업성이 저하되고 제조 원가가 높아져 경제적이지 못하다.
상기 안료는 색상 구현과 미관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안료는 이산화티탄, 적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산화크롬(Cr2O3), 자색 산화철, 흑색 산화철, 카본블랙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상기 기능성 충전재에 대하여 0.01~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빙 방지제는 상기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에 대하여 0.1~2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빙 방지제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면 결빙 방지 효과는 뚜렷하나 경제성이 저하되고, 상기 결빙 방지제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결빙 방지 효과가 미약하게 된다.
상기 결빙 방지제는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 10~90중량%, 황산나트륨 1~15중량%, 산화칼슘 1~15중량%, 규산나트륨 1~15중량%, 알킬 또는 알켄 실리코네이트 1~15중량%, 지르코알루미네이트 0.01∼10중량%, 수성실리카졸 0.01~10중량% 및 알콕시 실란 0.01~10중량%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은 흡습성 및 보수성이 우수한 수용성 무기염류로서 습기를 흡수하여 눈 또는 얼음을 녹이는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은 상기 결빙 방지제 조성물에 대하여 10~9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의 함량이 90중량%를 초과하면 결빙방지 효과는 우수하나 구조물의 부식을 촉진시키기 쉽고,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결빙방지 효과가 미흡하게 된다.
상기 황산나트륨은 조성물의 탈수 및 건조성을 개선하여 결빙방지 효과를 얻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황산나트륨은 상기 결빙 방지제 조성물에 대하여 1~15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산나트륨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면 탈수 및 건조성이 개선되어 결빙방지 효과는 개선되나 점도가 높아져 성형성이 저하되고,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탈수 및 건조성이 저하되어 결빙방지 효과가 미흡하게 된다.
상기 산화칼슘은 수분을 포집하여 건조성을 개선시켜 결빙방지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산화칼슘은 상기 결빙 방지제 조성물에 대하여 1~15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칼슘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면 건조성이 개선되어 결빙방지 개선효과는 뚜렷하나 가사시간이 단축되고,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건조성이 저하되어 결빙방지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된다.
상기 규산나트륨은 수분을 흡착하는 성능이 우수하고 내수성을 가져 조성물의 장기간에 걸쳐 결빙방지 효과를 연장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규산나트륨은 상기 결빙 방지제 조성물에 대하여 1~15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산나트륨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면 성능 개선효과는 뚜렷하나 취성이 높아지고,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장기간의 결빙방지 효과는 저하된다.
상기 알킬 또는 알켄 실리코네이트는 염소 입자를 포위하여 수분이 조성물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염화물이 용출되는 것을 감소시켜 장기간의 결빙방지 효과를 얻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알킬 또는 알켄 실리코네이트는 발수제, 즉 재료에 발수성을 부여하는 물질이다. 알킬 또는 알켄 실리코네이트의 발수성은 체인 길이가 비슷한 에틸, 메틸, 프로필, 비닐의 유기 라디칼 때문이며, 동일한 가수 분해 안정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동일한 특성을 가진다. 상기 알킬 또는 알켄 실리코네이트는 발수제 역할뿐만 아니라 계면 활성제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 경계 면의 표면 장력을 낮추어, pH 값을 조절하고, 산성 반응을 중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방식성이 우수하게 된다. 또한, 분말형 알킬 또는 알켄 실리코네이트는 알칼리와 알콕시 실란의 반응을 통해 얻어진다. 분말형 알킬 실리코네이트 또는 알켄 실리코네이트는 수용성이다. 상기 알킬 실리코네이트는 나트륨 또는 칼륨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실리코네이트이며, 상기 알켄 실리코네이트는 나트륨 비닐 실리코네이트이다. 한편, 상기 알킬 또는 알켄 실리코네이트의 구조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0015790097-pat00001
Me = 알칼리 금속(특히 Na 혹은 K),
R = 알킬(메틸(methyl), 에틸(ethyl) 혹은 프로필(propyl)) 또는 알켄(비닐(vinyl)),
n = 구성 물질 수, 3-4.
상기 알킬 또는 알켄 실리코네이트는 상기 결빙 방지제 조성물에 대하여 1~15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 또는 알켄 실리코네이트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면 성능은 개선되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고,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염소이온 고정이 불안정하여 용출되기 쉬어 장기간의 결빙방지 효과는 저하된다.
상기 지르코알루미네이트는 점착력, 반응성, 응집 방지성, 화학적 안정성, 내구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지르코알루미네이트는 상기 결빙 방지제 조성물에 대하여 0.01~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르코알루미네이트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성능 개선 효과가 뚜렷하나 작업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고,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성능 개선 효과가 미흡하게 된다.
상기 수성 실리카졸은 소수성, 발수성, 내수성을 개선하여 장기간의 융빙효과를 얻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수성 실리카졸은 상기 결빙 방지제 조성물에 대하여 0.01~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성 실리카졸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성능 개선 효과가 뚜렷하나 가격경쟁력이 저하되고,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장기간의 결빙방지 성능 개선 효과가 미흡하게 된다.
상기 알콕시 실란은 가수분해 및 축·중합 반응을 통해 피막을 형성시켜 장기간의 결빙방지 효과를 얻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알콕시 실란은 하기 화학식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R1 nSi(OR2)4-n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알콕시 실란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틸트리프로폭시실란, 다이메틸다이메톡시실란, 다이메틸다이에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다이페닐다이메톡시실란, 다이페닐다이에톡시실란, 트리페닐메톡시실란, 트리페닐에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프로필에틸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프로폭시실란, N-(3-아크릴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3-아크릴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3-아크릴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3-아미노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비스(트리메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프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N-(아미놀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아미놀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크롤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헵타데카플루오르데실트리메톡시실란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알콕시 실란은 상기 결빙 방지제 조성물에 대하여 0.01~1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콕시 실란 분말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 반응성이 저하되어 장기간의 결빙방지 효과가 저하되고, 그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성능은 유지되나, 제조 원가가 높아져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 도로면을 표면 건조하는 단계와, 숏블라스트, 평삭기, 연마기 등을 이용하여 치핑하여 열화부위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단계와, 제거된 상부에 물, 유해물질 등의 침투를 방지하고, 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프라이머를 붓, 롤러, 에어리스 등으로 도포하는 단계와, 도포된 상부에 상기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을 도포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포장 표면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프라이머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상기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결빙 방지제 조성물의 실시예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다음에 제시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개질 혼화제 40중량%, 기능성 충전재 55중량% 및 결빙 방지제 5중량%를 강제식 믹서로 3분간 교반하여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개질 혼화제는 메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80중량%, 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중량%,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4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중량%, 아크릴아미드-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중량%, 알킬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1중량%, 클로로(C1-C10알킬)실란 1중량%, 벤조일 퍼옥사이드 1중량% 및 n.n-디에틸 아닐린 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기능성 충전재는 돌로마이트 65중량%, 중질탄산칼슘 10중량%, 비트리파이드 5중량%, 실리카 에어로젤 5중량%, 그래핀 5중량%, 알런덤 5중량% 및 안료 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 때, 안료는 산화티탄을 사용하였다.
상기 결빙 방지제는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 80중량%, 황산나트륨 2중량%, 산화칼슘 2중량%, 규산나트륨 2중량%, 알킬 또는 알켄 실리코네이트 10중량%, 지르코알루미네이트 1중량%, 수성실리카졸 1중량% 및 알콕시 실란 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개질 혼화제 40중량%, 기능성 충전재 50중량% 및 결빙 방지제 10중량%를 강제식 믹서로 3분간 교반하여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개질 혼화제는 상기 개질 혼화제는 메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80중량%, 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중량%,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4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중량%, 아크릴아미드-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중량%, 알킬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1중량%, 클로로(C1-C10알킬)실란 1중량%, 벤조일 퍼옥사이드 1중량% 및 n.n-디에틸 아닐린 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기능성 충전재는 중질탄산칼슘 65중량%, 돌로마이트 10중량%, 비트리파이드 5중량%, 실리카 에어로젤 5중량%, 그래핀 5중량%, 알런덤 5중량% 및 안료 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 때, 안료는 산화티탄을 사용하였다.
상기 결빙 방지제는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 80중량%, 황산나트륨 2중량%, 산화칼슘 2중량%, 규산나트륨 2중량%, 알킬 또는 알켄 실리코네이트 10중량%, 지르코알루미네이트 1중량%, 수성실리카졸 1중량% 및 알콕시 실란 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비교할 수 있는 비교예를 제시한다. 후술하는 비교예 1은 실시예들의 특성과 단순히 비교하기 위하여 제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선행기술이 아님을 밝혀둔다.
<비교예 1>
메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8중량%, 돌로마이트 60중량%, 경화제 1중량% 및 촉진제 1중량%를 강제식 믹서로 3분간 교반하여 표면처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경화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를 사용하였다. 상기 촉진제는 n.n-디에틸 아닐린을 사용하였다.
아래의 시험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과 비교예 1의 특성을 비교한 실험결과들을 나타낸 것이다.
<시험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과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도로협회 기준에 의하여 흡수율, 접착강도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바탕면), 압축강도 (재령 1일) 및 내마모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항 목 단 위 품질기준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흡수율 % 1.0 이하 0.08 0.07 0.15
접착강도 콘크리트 MPa 1.5 이상 2.6 2.6 2.3
아스팔트 1.0 이상 1.4 1.4 1.2
압축강도 (재령 1일) MPa 20 이상 37.2 38.6 32.8
내마모시험
(50만회)
마모율 % 1.0 이하 0.1 0.1 0.1
미끄럼
저항
BPN 55 이상 85 85 84
위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품질기준을 만족하고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보다 약간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2>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과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융빙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30cm×30cm×5cm의 아스팔트 슬래브 시험체를 제작한 후, 에폭시 수지를 이용해 부직포를 부착시험용 지그(
Figure 112020015790097-pat00002
100mm) 한쪽 면에 부착하고 부직포에 물을 흡수시킨 후 아스팔트 슬래브 시험체의 표면과 맞붙여 저온 챔버에 넣어 설정 온도와 시험체가가 항온이 되도록 4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하중속도를 0.35MPa/sec로 하여 아스팔트 슬래브 시험체 표면과 얼음이 분리될 때의 최대 부착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부착강도(MPa)
0℃ -5℃ -10℃ -15℃
실시예 1 0 0.01 0.04 0.10
실시예 2 0 0 0.05 0.11
비교예 1 0.14 0.32 0.42 0.60
위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이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비하여 부착강도가 월등히 낮게 나타나, 융빙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3)

  1.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로서,
    개질 혼화제 5~85 중량%, 기능성 충전재 5~75중량% 및 결빙 방지제 0.1~2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개질 혼화제는, 주제와 경화제를 1 : 0.01~0.2의 중량비로 혼합하며,
    상기 주제는, 메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5~99중량%, 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25중량%,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0.1~25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25중량%, 아크릴아미드-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25중량%, 알킬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0.01~15중량% 및 클로로(C1-C10알킬)실란 0.01~1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아세틸 퍼옥사이드, 디라우릴 퍼옥사이드, 디-터트-부틸 퍼옥사이드, 쿠밀 히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및 과황산칼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충전재는 돌로마이트 25~95중량%, 중질탄산칼슘 4~35중량%, 비트리파이드 0.1~20중량%, 실리카 에어로젤 0.1~20중량%, 그래핀 0.01~15중량%, 알런덤 0.01~15중량% 및 안료 0.01~1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결빙 방지제는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 10~90중량%, 황산나트륨 1~15중량%, 산화칼슘 1~15중량%, 규산나트륨 1~15중량%, 알킬 또는 알켄 실리코네이트 1~15중량%, 지르코알루미네이트 0.01∼10중량%, 수성실리카졸 0.01~10중량% 및 알콕시 실란 0.01~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 혼화제는 촉진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촉진제로는 n.n-디메틸 아닐린(n.n-dimethyl aniline; DMA), 2-에틸렌헥소네이트(2-ethylhexonate), 코발트 카르복실레이트(cobalt carboxylate), n.n-디에틸 아닐린(n.n-diethyl aniline; EMA), n-디-p-톨루이딘(n-di-p-toluidine), 디-메틸 아크릴아미드(d-methyl acylamide),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촉진제는 상기 개질 혼화제에 대하여 0.01~1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을 이용하는 도로 포장 표면 처리 방법으로서,
    시공 도로면을 표면 건조하는 단계와,
    숏블라스트, 평삭기 또는 연마기를 이용하여 치핑하여 열화부위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제거된 상부에 물 또는 유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와,
    도포된 상부에 상기 결빙 방지 표면처리 조성물을 도포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포장 표면 처리 방법.
KR1020200018190A 2020-02-14 2020-02-14 도로 포장 결빙 방지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 방지 표면 처리 방법 KR102142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190A KR102142987B1 (ko) 2020-02-14 2020-02-14 도로 포장 결빙 방지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 방지 표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190A KR102142987B1 (ko) 2020-02-14 2020-02-14 도로 포장 결빙 방지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 방지 표면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987B1 true KR102142987B1 (ko) 2020-08-13

Family

ID=7204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190A KR102142987B1 (ko) 2020-02-14 2020-02-14 도로 포장 결빙 방지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 방지 표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98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085B1 (ko) 2020-10-16 2021-09-29 김보석 블랙아이스 구간 사고예방을 위한 상온식 포장방식과 도트방식을 결합한 블랙아이스존 도로 포장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65737B1 (ko) * 2021-10-19 2022-02-23 하이로드켐텍 주식회사 유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상온 경화형 노면표지용 도료
KR20220163682A (ko) * 2021-06-03 2022-12-12 에코리엔트샤인 (주) 우수한 결빙방지 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시공방법
KR102509267B1 (ko) * 2022-06-10 2023-03-15 주식회사 라온피플인더스트리 접착강도 및 내마모성능이 우수한 미끄럼방지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617402B1 (ko) * 2022-11-15 2023-12-28 범준이엔씨 주식회사 결빙방지제 함유 제올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2627151B1 (ko) 2023-02-20 2024-01-18 오재철 블랙아이스 방지용 노면 포장 시공방법
KR102627154B1 (ko) 2023-02-20 2024-01-18 오재철 블랙아이스 방지용 노면 포장 장치
KR102647215B1 (ko) * 2023-08-10 2024-03-13 김보석 상온 도포식과 도트방식이 적용되는 도로 미끄럼방지용 도로 포장재 조성물 및 그의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347B1 (ko) 2017-04-03 2017-10-10 주식회사 에이원로드 결빙억제 효과가 향상된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KR101838896B1 (ko) * 2017-11-10 2018-03-15 도경이엔지(주)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용 결빙 방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5813B1 (ko) 2018-04-25 2018-09-06 도경건설 주식회사 도로 포장용 결빙방지 표면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방지 표면 처리 방법
KR101914733B1 (ko) * 2018-01-02 2018-12-28 강인동 균열 충전용 상온 경화형 침투식 균열 보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균열 보수 공법
KR101971714B1 (ko) 2018-05-29 2019-10-02 두정산업 주식회사 탄산칼슘과 실란을 이용한 도로포장 결빙방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347B1 (ko) 2017-04-03 2017-10-10 주식회사 에이원로드 결빙억제 효과가 향상된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KR101838896B1 (ko) * 2017-11-10 2018-03-15 도경이엔지(주)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용 결빙 방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4733B1 (ko) * 2018-01-02 2018-12-28 강인동 균열 충전용 상온 경화형 침투식 균열 보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균열 보수 공법
KR101885813B1 (ko) 2018-04-25 2018-09-06 도경건설 주식회사 도로 포장용 결빙방지 표면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방지 표면 처리 방법
KR101971714B1 (ko) 2018-05-29 2019-10-02 두정산업 주식회사 탄산칼슘과 실란을 이용한 도로포장 결빙방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085B1 (ko) 2020-10-16 2021-09-29 김보석 블랙아이스 구간 사고예방을 위한 상온식 포장방식과 도트방식을 결합한 블랙아이스존 도로 포장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20163682A (ko) * 2021-06-03 2022-12-12 에코리엔트샤인 (주) 우수한 결빙방지 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시공방법
KR102496186B1 (ko) 2021-06-03 2023-02-06 에코리엔트샤인 (주) 우수한 결빙방지 기능을 갖는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시공방법
KR102365737B1 (ko) * 2021-10-19 2022-02-23 하이로드켐텍 주식회사 유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상온 경화형 노면표지용 도료
KR102509267B1 (ko) * 2022-06-10 2023-03-15 주식회사 라온피플인더스트리 접착강도 및 내마모성능이 우수한 미끄럼방지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617402B1 (ko) * 2022-11-15 2023-12-28 범준이엔씨 주식회사 결빙방지제 함유 제올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2627151B1 (ko) 2023-02-20 2024-01-18 오재철 블랙아이스 방지용 노면 포장 시공방법
KR102627154B1 (ko) 2023-02-20 2024-01-18 오재철 블랙아이스 방지용 노면 포장 장치
KR102647215B1 (ko) * 2023-08-10 2024-03-13 김보석 상온 도포식과 도트방식이 적용되는 도로 미끄럼방지용 도로 포장재 조성물 및 그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987B1 (ko) 도로 포장 결빙 방지용 표면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 방지 표면 처리 방법
KR101885813B1 (ko) 도로 포장용 결빙방지 표면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방지 표면 처리 방법
KR101773920B1 (ko) 고등급 방수 칼라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 보수공법
KR101792617B1 (ko) Sis 및 crm을 포함하는 고등급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73927B1 (ko) 고등급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73932B1 (ko) 균열저감 효과가 우수한 고등급 저온 경화형 매스틱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38896B1 (ko)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용 결빙 방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5081B1 (ko) 균열저감 효과가 우수한 고등급 저온 경화형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85520B1 (ko) 기능성이 우수한 도로 포장용 미끄럼 방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도로 포장 방법
KR101961270B1 (ko) Sis를 이용한 칼라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03696B1 (ko) 피복 그루빙용 미끄럼방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63588B1 (ko) 해조류를 이용한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22197B1 (ko)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KR101792619B1 (ko)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54232B1 (ko)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sis, s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포장식 다짐구스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64047B1 (ko) 보도용 연성샌드 칼라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04867B1 (ko)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77585B1 (ko) Sis를 이용한 저소음 배수성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61280B1 (ko) Sis를 이용한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현장이송장치을 이용한 이의 시공방법
KR101663584B1 (ko) 해조류를 이용한 내구성이 향상된 일반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89268B1 (ko) 미끄럼방지 및 결빙방지를 위한 도로 포장용 표면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5189535B2 (ja) 路面舗装組成物及び路面舗装方法
KR101045361B1 (ko)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및 도막형 바닥재
KR101880473B1 (ko) 도로용 융설 미끄럼방지재를 이용한 동결 및 미끄럼방지 시공방법
KR100835671B1 (ko) 노면 미끄럼 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및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